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어두 경음화 실현 및 인지 양상 연구

        한명숙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This study discusses word-initial glottalization of modern Korean language and focuses on college students'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verbal language and indica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ations made by 293 college students(149 male and 144 female) were recorded to examine how word-initial glottalization occurs in verbal language and 420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or dictation to investigate how word-initial glottalization affects written language. In result, 40.6% of students showed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verbal languag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 was ‘Jon’ pronounced as /Jjon/. Other frequently used words were ‘Jogeum(/Jjogeum/)’, ‘Dareun(/Ddareun/)’, and ‘Jakda(/Jjakda/)’. Generally, words from Sino-Korean words writing do not show glottalization, but ‘Gyesok’ also showed relatively frequent 9 tines use of glottalization. In case of written language,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associated with word-initial glottalization were ‘Juggumi(Jjuggumi)(90.0%)’ and ‘Gomjangeo(/Ggomjangeo/)(90.0%)’. It seems that many people believe the glottalization words are correct and write them as they as they sound. Other words that are frequently written with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clude ‘Sukmaek(/Ssukmaek/)(61.7%)’ and ‘Golcho(/Ggolcho/)(48.8%)’.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male use more glottalized words than female, bu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understood that word-initial glottalization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speaker and each individual word and glottalization of each word is quantitatively examined. However, it was limited to verbal language used in formal present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at appears in everyday conversation in more natural settings. 이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어에서 어두 경음화 실현 실태와 어두 경음화에 대한 표기 인식 태도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93명(남성 149, 여성 144)의 발표를 녹취하여 구어에서의 어두 경음화 실태를 살펴보고, 어두 경음화 현상이 표기에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받아쓰기를 하였다. 연구 결과, 발표자에 따라 구어에서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비율은 40.6%였으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좀’을 /쫌/으로 발음하는 경우였다. 그밖에, ‘조금(/쪼금/)’, ‘다른(/따른/)’, ‘짝다(/짝다/)’ 등이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한자어는 경음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데 ‘계속(/꼐속/)’의 경우 빈도수 9로 상대적으로 높은 경음화 빈도를 보였다. 표기 면에서 어두 경음화 비율이 가장 높은 어휘는 ‘주꾸미(/쭈꾸미/)(90.0%)’와 ‘곰장어(/꼼장어)’(90.0%)’이다. 이는 언중들이 어두 경음화된 발음을 표준어로 인식하고 이것이 그대로 표기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어두 경음화 표기 비율이 높은 어휘로는 ‘숙맥(/쓱맥/)(61.7%), 골초(/꼴초/)(48.8%)’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경음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어두 경음화 정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어두 경음화 현상이 화자와 개별 어휘에 따라 실현 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고 개별 어휘에 따른 경음화의 정도를 계량적으로 살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가 다소 격식을 갖춘 발표 구어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좀더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에서 실현되는 어두 경음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루마니아어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성별 언어의 정체성 비교연구

        엄태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oretically linguistic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language. Romanian and Korean linguistic phenomena are compared, eventually extend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female language. In the theoretical approaches, I divided female language into two groups: one being the language spoken by women and the other spoken to women. Particularly, I gave special attention to the mechanism by which lingui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teract in society. In general,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language is mainly attributed to recognition of the male language as the standard, and it seems that the basis of such recognition is based on traditional ideas of gender discrimination. In addition, language seems to have formed a link that reproduces and extends gender discrimination. Regarding language characteristics of Romanians and Koreans, I reaf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ety mentioned above. Gender discrimination is similar for both languages, but it appears to be more severe in Korea. Linguistic changes in both countries indicate that the gender difference is maintained by power, and competitiveness is becoming more evident. Today’s gender conflicts can be interpreted on the surface as sexual conflicts; however, on a deeper level, they are conflicts arising from changes in the power struc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언어의 특징을 중심으로 성에 따른 언어적 차이를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루마니아어와 한국어 현상에 대입하여 교차 비교해봄으로써 여성언어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넓히고 동시에 두 언어에서나타나는 여성언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이 발화하는 언어와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언어의 특징이 유표적으로 인식되는 것은남성언어가 기준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며 그 인식의 기반에는 성차별적인오랜 관념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 언어는 다시 사회적으로 성차별적 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확대 재생산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루마니아어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에서 앞서 언급한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두 언어 모두 성차별적인특징은 유사하지만 한국어에서 좀 더 심한 정도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성별 언어는 과거에 비해 좀 더 평등한 방향으로 변해가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성차가 하나의 권력으로 공고히 유지되던 사회가 좀 더 경쟁적으로변화하는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늘날의 남녀갈등은 표면적으로는 성의 대립이지만 심층적으로는 권력 구조의 변화에서 오는 갈등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어두 경음화 실현 및 인지 양상 연구

        한명숙 ( Myeong Suk Han )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이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어에서 어두 경음화 실현 실태와 어두 경음화에 대한 표기 인식 태도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93명(남성 149, 여성 144)의 발표를 녹취하여 구어에서의 어두 경음화 실태를 살펴보고, 어두 경음화 현상이 표기에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받아쓰기를 하였다. 연구 결과, 발표자에 따라 구어에서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비율은 40.6%였으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좀``을 /쫌/으로 발음하는 경우였다. 그밖에, ``조금(/쪼금/)``, ``다른(/따른/)``, ``짝다(/짝다/)`` 등이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한자어는 경음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데 ``계속(/꼐속/)``의 경우 빈도수 9로 상대적으로 높은 경음화 빈도를 보였다. 표기 면에서 어두 경음화 비율이 가장 높은 어휘는 ``주꾸미(/쭈꾸미/)(90.0%)``와 ``곰장어(/꼼장어)``(90.0%)`이다. 이는 언중들이 어두 경음화된 발음을 표준어로 인식하고 이것이 그대로 표기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어두 경음화 표기 비율이 높은 어휘로는 ``숙맥(/쓱맥/)(61.7%), 골초(/꼴초/)(48.8%)``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경음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어두 경음화 정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어두 경음화 현상이 화자와 개별 어휘에 따라 실현 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고 개별 어휘에 따른 경음화의 정도를 계량적으로 살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가 다소 격식을 갖춘 발표 구어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좀더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에서 실현되는 어두 경음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iscusses word-initial glottalization of modern Korean language and focuses on college students`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verbal language and indica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ations made by 293 college students(149 male and 144 female) were recorded to examine how word-initial glottalization occurs in verbal language and 420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or dictation to investigate how word-initial glottalization affects written language. In result, 40.6% of students showed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verbal languag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 was ``Jon`` pronounced as /Jjon/. Other frequently used words were ``Jogeum(/Jjogeum/)``, ``Dareun(/Ddareun/)``, and ``Jakda(/Jjakda/)``. Generally, words from Sino-Korean words writing do not show glottalization, but ``Gyesok`` also showed relatively frequent 9 tines use of glottalization. In case of written language,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associated with word-initial glottalization were ``Juggumi(Jjuggumi)(90.0%)`` and ``Gomjangeo(/Ggomjangeo/)(90.0%)``. It seems that many people believe the glottalization words are correct and write them as they as they sound. Other words that are frequently written with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clude ``Sukmaek(/Ssukmaek/)(61.7%)`` and ``Golcho(/Ggolcho/)(48.8%)``.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male use more glottalized words than female, bu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understood that word-initial glottalization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speaker and each individual word and glottalization of each word is quantitatively examined. However, it was limited to verbal language used in formal present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at appears in everyday conversation in more natural settings.

      • KCI등재후보

        여성시인과 남성뮤즈 : 실비아 플라스 시 속의 아버지

        박령(Park Ryung) 새한영어영문학회 2003 새한영어영문학 Vol. No.

        Father figure or male muse is the origin of Sylvia Plath's poetic myth. Father figure in Plath's poetry can be read first as her own father Otto Plath, and next, as her husband Ted Huges, and further, all the 'great gods' Plath loves and reveres in male-centered literature. Using and imitating male-centered language, Plath severely wishes to belong to and be successfully accepted by the male literary canon. But the death of her beloved father and the betrayal of her idolized husband leave her to the realization that as a woman poet she has to quest for her own identity by rebelling against the "jealous gods". Only by destroying the colossus-image of the father and killing him, she can establish herself as a genuine woman poet. Her 'father poems' represent that progress. Poems written before "The Colossus", such as "Lament", "All the Dead Dears", "Snakecharmer", "Full Fathom Five" and "Electra on Azalea Path", show Plath's deep love and grief for her dead father. In these poems Plath counts her father as a god-creator and wishes to reunite with him. Her identity as a poet, in her mind, can only be established in her relationship with the dead father. But in "The Colossus", her father is no longer a god, only a ruined statue. She, nevertheless, cannot help laboring to restore his broken images to remain as a woman poet. In "Daddy", Plath feels an inner necessity to kill her patriarchal vampire-father who always oppresses and undermines her creativity, performing the symbolic murder of him. Passing through these processes, Plath finally rejects the male muse. In "Ariel", reborn as a goddess, Godiva, she soars high up into the sky to unite with the center of creation, the sun.

      • KCI등재후보

        여성시인과 남성뮤즈 : 실비아 플라스 시 속의 아버지 Father in Sylvia Plath's Poetry

        박령 새한영어영문학회 2003 새한영어영문학 Vol.45 No.2

        Fatherfigure of male muse is the origin of Sylvia Plath's poetic myth. Father figure in Plath's poetry can be read first as her own fater Otto Plath, and next, as her husband Ted Huges, and further, all the 'great gods' Plath loves and reveres in male-centered literature. Using and imitating male-centered language, Plath severely wishes to belong to and be successfully accepted by the male literary canon. But the death of her beloved father and the betrayal of her idolized husband leave her to the realization that as a woman poet she has to quest for her own identity by rebeling against the "jealous gods". Only by destroying the colossus-image of the father and killing him, she can establish herself as a genuine woman poet. Her 'father poems' represent that progress. Poems written before "The Colossus", such as "Lament", "All the Dead Dears", "Snakecharmer", "Full Fathom Five" and "Electra on Azalea Path", show Plath's deep love and grief for her dead father. In these poems Plath counts her father as a god-creator and wishes to reunite with him. Her identity as a poet, in her mind, can only be established in her relationship with the dead father. But in "The Colossus", her father is no longer a god, only a reined statue. She, nevertheless, cannot help laboring to restore his broken images to remain as a woman poet. In "Daddy", Plath feels an inner necessity to kill her patriarchal vampire-father who always oppresses and undermines her creativity, performing the symbolic murder of him. Passing through these processes, Plath finally rejects the male muse. In "Ariel", reborn as a goddess, Godiva, she soars high up into the sky to unite with the center of creation, the sun.

      • KCI등재

        한국 여성어 번역과 문화 간극 - 김주영의 <천둥소리> 러시아어 번역을 중심으로

        서유경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2 통번역학연구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ussian translation of Kim Joo-Young's 'The Sound of Thunder' to examine translation problems in translating Korean women's language. As for the concept of women’s language, this study defines it the “language where women are the subject”, which includes address terms, expressions, and conducts related to women. According to Korean linguists, Korean women's language was influenced by Confucian principles and reflects traditions of food, clothing, other life necessities, social norms, history, and unequal representation of women in Korean society, such as man-dominance, preference to sons, the patriarchal system, etc. Therefore, it is hard to find any equivalent expressions or concepts in target language. And translating such kind of culture-specific women's languages, a translator faces the problems caused by cultural gaps. In this regard, the translation of korean women's language is not just changing linguistic codes, but mediating cultural gaps between source language and target language societies. This paper, in this perspectives, analyzes the Russian translations of 'the Sound of Thunder' and examines which translation strategies are taken by the translator to mediate the cultural gaps related with women's language.

      • 근세어의 특징에 관한 일고찰

        민승희(Min, Seung-Hee)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 No.2

        근세 전기 남성이 주로 사용한 인칭대명사로는「われら」,「身」,「身ども」,「拙者」,「お身」가 있으며, 여성이 주로 사용한 인칭대명사로는 「わたし」,「わし」,「こなさん · こなさま」가 있다. 남성이 주로 사용한 자칭대명사「われら」와 여성이 주로 사용한 자칭대명사 「わたし」는 그 사용영역이나 역할이 유사하면서, 성별이 중요한 용법의 차이로 작용하는 대명사이다. 「身」,「身ども」,「拙者」,「お身」는 무사를 비롯한 지배계층, 특히 지배층 남성에 의해 사용되어졌다. 다른 계층의 남성이 사용하는 경우, 「身」,「身ども」,「拙者」,「お身」는 화자의 특수한 감정을 표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자의 특수한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여성이 「身」,「身ども」,「拙者」,「お身」를 사용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わたし」,「わし」는 모두 여성이 사용주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わし」의 경우, 사용하는 여성이 유녀(遊女)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こなさん · こなさま」도 주로 유녀(遊女)가 사용하는 대칭대명사였다. This study compares second person pronouns in Japanese and Korean. Japanese. The warera is used mainly by males. And watasi is used mainly by females. The gender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warera and watasi. The mi, midomo, sesya, onmi is used mainly by the knight. Otherwise, mi, midomo, sesya, onmi express special feelings of the speaker. And mi, midomo, sesya, onmi is not used by female. The watasi, wasi are the same as its speaker is female. But the wasi is used by Yujo. Also konasan, konasama are used by Yujo like wasi.

      • KCI등재

        北魏 皇室 一族 이름의 중복 현상과 그 배경

        최진열(Choi, Jin-Yeoul)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17 No.-

        I found that there were many examples of family males of the identical names in the royal family and unclear steering of the name, which was the virtue of avoiding family name and renaming, during the second half of Beiwei Dynasty. It showed that the nomad or pastoral people(the Xianbei people) used their Xianbei name which language were Xianbei language, similar to the Turk and Mongol languages. Most of Chinese and some Xianbei officials wrote the Xianbei person’s name of 2-3 syllables into 1 syllable. For example, a person of royal family Tuoba called Helanhan(賀蘭汗) in records of inscriptions of carved Buddhist statues or Halüehan(賀略汗) in records of memorial inscriptions is shortly written to lüe(Yuan Lüe, 元略) in Beiwei history books called Weishu, written by Chinese letters. So They wrote one-syllable name shortly in documents written by Chinese letters, which needed no steering clear of the family name. I argued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naming: Chinese naming written by Chinese letters, Xianbei person’s naming spoken to Xianbei’s languages, Buddhistic naming translated by Chinese letters from Hindi languages and Buddhist Bibles and three types of naming were coexisting in the capital city of Luoyang during the second half of Beiwei dynasty. Some students’ insistence of sinicization of naming by Chinese naming written by Chinese letters is not correct.

      • KCI등재

        힘의 관계에 따른 한국남녀대학생의 불만표명행위의 사용양상

        정현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4 No.3

        We have analyzed and examined what language strategies they use when they express discontentment with their motivation and seniors in the identical situation, and what language strategies the complaint providers use,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by analyzing 40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Male students tended to use <compensation-related> language strategies including <compensation presentation>, <compensation confirmation> and <compensation acceptance> to their colleagues and seniors, while female students tended to use language strategies including <alternative presentation>, <alternative confirmation> and <alternative acceptance> to their colleagues and seniors than male students in the situation of expression of complaints 본고에서는 한국남녀대학생이 동일한 불만표명상황에서 동기와 선배에게 불만을 표명하는 경우 어떠한 언어전략을 사용하는지, 또한 불만제공자는 어떠한언어전략을 사용하는지를 남녀차를 중심으로 분석·고찰하였다. 동기와의 대화에서는 남학생은 불만제공자의 <보상제시>와 불만표명자의 <보상수용>을, 여학생은 <달래기>를 의미적인 차이를 보일 정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선배와의 대화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직·간접적인 불만표명>이나<개선요구>의 언어전략을 구사하는 특징이 나타났고, 여학생은 동기에 비해 선배에게는 좀더 대인배려에 초점을 맞춘 언어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불만표명상황에서 남학생은 동기 및 선배에게 <보상제시><보상확인><보상수용>등의<보상관련> 언어전략을 여학생보다 다용하는 특징이 나타났고, 여학생은 동기및 선배에게 <대안제시> <대안확인> <대안수용> 등의 <대안관련> 언어전략을남학생보다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문자/비문자 텍스트에 나타난 ‘젠더횡단’의 가능성 연구 - 2007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를 중심으로 -

        이은주 한국일본어문학회 2019 日本語文學 Vol.82 No.-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Gender-Free’ in the education of Japanese as a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research tendencies of focusing simply on linguistic analysis. In this study, the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Japanese Ⅰ.Ⅱ” is analyzed, focusing on sentences, dialogues, pictures, and illustrations. That is, I analyzed the boundaries between women and men with regard to occupation, social activities, housework, and childcare, as well as the boundaries of dichotomous male culture and female cultur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se illustrations and depictions represented separate gender roles and were biased to show only one perspective, that of male or female. At the same time, it has coexisted with a boundary and break a boundary between male and female. This is a part that can be found the possibility of ‘Trans-Gender’. A study such as this one on the possibility of ‘Gender-Free’ illustrations and text in Japanese textbooks could present a new model of understanding for men and women as times change.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어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젠더문화적인 관점에서 외국어 교육 중 일본어교과서를 통해 젠더프리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 논고의 분석대상은 2007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이다. 그중 문자텍스트인 문장과 대화문, 비문자텍스트인 삽화와 사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고에서는 생활세계 속 젠더의 경계 짓기와 일방적으로 한쪽만을 선택하여 기술되는 남성/여성문화의 경계 만들기에 대해 분석했다. 즉 직업이나 사회적 활동 등의 사회생활과, 가사와 육아 등 가정생활에서의 남녀영역의 경계 짓기로 인해 각각의 장소에서 남녀가 소거됨과 동시에 소외됨을 발견했다. 그와 더불어 남성/여성문화의 경계 만들기로 인해 남성이나 여성 중 어느 한쪽만의 문화로 획득함과 동시에 다른 한쪽 문화를 상실하게 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 여성과 남성의 영역과 남녀문화의 경계 짓기와 경계 허물기가 동시에 공존하여 젠더를 넘나드는 ‘젠더횡단’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일본어교과서에 나타난 젠더프리 또는 젠더횡단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작업은 시대의 변화에 따른 남성과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