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시스템 기술에 관한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논의 동향

        이성엽(Seong-yeob Lee),정태환(Tae-hwan Joung),강성길(Seong-gil Kang),이다희(Dahee Lee),김진형(Jinhyung Lee),이상혁(Sanghyuk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선박은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화물운송 수단이지만, 국제사회는 더 개선된 지구환경을 위해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물질 방출 저감을 요구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국제항행을 하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08년 대비 2050년까지 최소 50%로 설정하였다. 현 시점에서 해운사들은 운항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소 배출량 규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조선업계에서는 에너지 효율 개선 장치, 저탄소(LNG, 메탄올 등) 추진 기술, 무탄소(암모니아, 수소 등) 추진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제4차 IMO GHG 연구 결과에서는 IMO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응하기 위해서 무탄소 및 탄소중립연료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무탄소 대체연료(암모니아, 수소)를 선박에 상용화시키기 위해서는 극복해야할 난제가 상당히 많다. 현재 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 논의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 계획이 일정 변경없이 진행되고, 무탄소 선박연료 상용화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면, 징검다리 기술로서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시스템(Onboard Carbon Capture & Storage System, OCCS)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선박에 고려되고 있는 OCCS 기술을 검토하고, EEDI/EEXI 프레임에 OCCS 영향을 반영하는 산정식을 제안한다. Ships are an efficient and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ing cargo, bu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demanding lower emissions of pollutants from ships for a better global environment.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set its target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international vessels at least 50% by 2050 compared to 2008. At this point, shipping companies are responding to regulations on carbon emissions by controlling operating speed, and shipbuilding industries are developing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s, low-carbon (LNG, methanol, etc.) propulsion technologies, and carbon-free (ammonia, hydrogen, etc.) propulsion technologies. Recent results from the fourth IMO GHG study concluded that the introduction of carbon-free and carbon-neutral fuels is essential to respond to IMO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However, there are considerable challenges to overcome in order to commercialize carbon-free alternative fuels (ammonia, hydrogen) on ships. I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plan, currently being discussed at the IMO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Commission (MEPC), will take considerable time to commercialize carbon-free ship fue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nboard Carbon Capture & Storage System (OCCS) as a stepping stone technology. In this study, we review the OCCS technology currently being considered for ships and propose a formula that reflects the OCCS impact on EEDI/EEXI frames.

      • KCI등재

        선체부착생물오손의 규제에 관한 연구

        석지훈(Ji-Hoon Suk) 한국해사법학회 2018 해사법연구 Vol.30 No.1

        외래에서 유입된 유해해양생물은 해양생태계의 위협요소이며, 이는 인간의 생활, 경제ㆍ문화 활동, 수중환경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선박을 통한 유해 해양생물의 이동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며 선박평형수 및 선체부착생물 오손이 그 대표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선박평형수를 통한 유해해양생물 의 유입문제는 국제해사기구 (IMO)의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이 채택 및 발효되면 서 국제적 규제의 기본 체계가 마련되었다. 반면, 선체부착생물오손의 경우는 선박평형수관리협약과 같은 강제협약은 채택되지 않았고 IMO 해양환경보호위 원회 (MEPC) 결의서 형태로 권고적 지침만 존재한다. 또한 생물다양성협약의 제 8조 (h) 및 유엔해양법협약 (UNCLOS) 제 196조에서는 유해해양생물 유입의 규제에 대한 국가의 일반적인 국제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이들 협약에는 선체 부착생물오손이라는 구체적인 규제 대상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선체부착생물오손으로 인한 유해해양생물의 유입에 관하여 강제적이고 구체적인 국제규제체제가 마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는 뉴질랜드, 미국 등과 같이 일부 국가만이 자국의 국내법을 통하여 규제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는 해양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생태계법)에서 유해해양생물의 유입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으나 동 법에서는 선체부착생물오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생물다양성협약 및 UNCLOS 하에서의 유해해양생물의 유입 규제를 선체부착생물오손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선체부착생물 오손에 대한 국내적 규제를 실시하고 있는 미국 및 뉴질랜드, 호주의 국내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반적인 유해해양생물의 유입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해양생태계법 및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생물다양성법)을 선체부착생물오손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선체 부착생물오손과 관련한 국내적 대응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Harmful aquatic organisms such as invasive aquatic species being introduced into the new areas are threatening marine ecosystems, affecting human, animal and plant life,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and the aquatic environment. Ship s ballast water and biofouling are considered the important means of transferring invasive aquatic specie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BWM Convention)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provides the international regulatory framework to minimize the transfer of invasive aquatic species through ship s ballast water. However, in the case of ship s biofouling, the mandatory instrument has not been adopted yet and, instead, IMO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MEPC) adopted the recommendatory Guidelines by Res.MEPC.207(62). Furthermore, Article 8(h)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CBD) and Article 196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provide the regulatory framework concerning invasive aquatic species in general but these conventions do not specifically deal with ship s biofouling matter. Due to the lack of the mandatory and specific international regulatory framework concerning ship s biofouling, only some countries such as New Zealand, the U.S., etc. are regulating biofouling on ships entering their ports by means of their national laws. In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Act regulates invasive aquatic species in general but does not deal specifically with ship s biofouling issue. With this background, this paper carries out the review on the regulatory framework concerning invasive aquatic species under CBD and UNCLOS from the perspective of ship s biofouling. Then, this paper looks at the national laws of the U.S., New Zealand and Australia which regulate biofouling on ships coming into their ports. Furthermore, this paper conducts the review on the Korean national laws regulating in general invasive aquatic species which are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Act and the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se of Biological Diversity from the perspective ship s biofouling. With this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ur country should take with regard to ship s biofouling.

      • IMO/MEPC 53차 회의에서의 밸럭스트수 처리시스템 검토

        김은찬(Eun-Chan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5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11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 Sediments was adopted by consensus at a diplomatic conference at IMO on February 2004. At the convention, a ship constructed in or after 2009 with a ballast water capacity of less than 5,000 cubic meters shall conduct ballast water management that at least meets given standard of the convention. The convention described also, the committee shall undertake a review which includes a determination of whether appropriate technologies are available to achieve the standard at a meeting of the committee held no later three years before the earliest effective date which is 2009. According to this regulation, the review was conducted at Review Group of the 53rd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The review was conducted in field of safety, environmental acceptability, practicability, cost-effectiveness, biological effectiveness for 16 systems from 6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Review Group did not having final conclusion and, will be re-established during MEPC 55 at October 2006. This paper considers thes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from documents have been submitted and informations have been discussed at MEPC 53.

      • 국제해사기구(IMO) 해양 환경 규제의 영향과 시사점

        정태환(Tae-hwan Joung),강성길(Seong-gil Kang),이성엽(Seong-yeob Lee),이다희(Dahee Lee),원해민(Haemin W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2018년 4월, 국제해사기구(IMO)는 국제항행을 하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초기전략을 수립하였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08년 대비 2050년까지 최소 50%로 설정하였다. 최근 IMO에서는 현존선에 대한 규제(EEXI, CII)를 도입하고, 신조선에 대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일부선종과 선형에 대하여 기존의 규제(EEDI)를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현존선의 활용을 가능한 지속하려는 선주들의 요구에 에너지 효율 개선 장치(Energy Saving Device) 활용 또는 저탄소연료(LNG, 메탄올 등)로의 부분교체(retrofit)와 함께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기술(CCS)과 무탄소 연료(암모니아, 수소 등) 추진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IMO에서 논의되고 있는 시장기반조치(MBM)는 온실가스배출권 거래제를 전세계 해역으로 확신사키거나 노후선에 더 많은 탄소세를 추징하는 방식으로 시행될 것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LNG 추진선에 대한 건조능력과 관련 기술력에서 우위에 있으므로 무탄소연료로 가기 위한 중기적 연료로서 활용하려하고 있으나, 최근 제4차 IMO GHG 연구 결과에서는 가스연료의 사용 증가에 따른 메탄의 증가를 우려하여 있으며, 이에 따라 규제가 있을 것임을 강력하게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한 환경규제 중 특히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규제에 대한 논의 동향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 및 정책개발 현황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 우리나라가 대응하여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In April 2018,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established an initial strategy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ships traveling internationally, and set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to at least 50% until 2050 compared to 2008. Recently, IMO introduced novel regulations for existing ships (EEXI, CII), and strengthened the existing regulations (EEDI) for some types of ships and ships that emit excessive greenhouse gases. Therefore,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ship owners who want to continue using existing ships as much as possible, use of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Energy Saving Device or partial replacement (retrofit) to low-carbon fuel (LNG, methanol, etc.) and propulsion technologies (ammonia, hydrogen, etc.) are being reviewed. In addition, the market-based measures (MBM) currently being discussed at the IMO will be implemented as a form of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 In order to respond to this, Republic of Korea is trying to use LNG fueled ship as a medium-term fuel to go to zero carbon fuelled ship because it has superiority in construction capacity and related technology for the LNG-fuelled ships. There are, however, concerns about an increase in methane, which strongly suggests that there will be regulations accordingly. In this study, among the major environmental regulations being discussed at the IMO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MEPC), the trend of discussion on the reg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the status of technological and policy development to respond to the trend will b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선박의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IMO의 최근 규제 및 연구 동향

        남정길(Jeong-Gil Nam),이돈출(Don-Chool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The main air pollutants which are emitted from ships are SOx, NOx, CO₂ and PM. Due to increasing ship number and total tonnage, there is a steady increase of these pollutants as well. In view of SOx control, the sulfur content in fuel are restricted 1.5% in SECAs and Baltic sea from 2006. SOx cleaning systems from exhaust gas were developed and, in the case of discharge of the cleaning sea water at sea, its effects are estimated. NOx emission may be reinforced more than the present level from 2008. As a principal of GHG(Green House Gas) emission, CO₂ emissions are investigated by the interim guidance agreed at IMO MEPC 53^rd session. In future, the guideline of CO₂ emission will be fixed by thes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introduces the most recent regulation and research trends of the air pollution from ship which were discussed and ratified at IMO MEPC(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55^th s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