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과 그 역사적 의의

        노용필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7 교회사학 Vol.0 No.14

        When we compare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h'ŏnju Sirŭ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and its Annotated Catalog Version one by one, we could learn following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quantity, the former has 314 annotations and the latter has just 149 and also that in terms of their traits, the former has detailed contents and terms for the original text, whereas the latter is no more than the brief summarization of the original text. Thus, in a word, we may say that compared with annotations of Annotated Catalog Version,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had strong tendency of origina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establishing the patterns of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divided by three of ‘A':'explanation of vocabulary’, ‘B:term definition’, ‘C:phrase interpretation', the study learned that it had the tendency of B<C<A and when we calculated mathematical ratio, it turned out as A:B:C=48.1%:13.7%:38.2%≑3.51:1.00:2.79. It implies tha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as naturally added with annotators' own points of view. When we integrated and summarized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itself in general, we learned that as its characteristics, the annotations of the same vocabularies and terms were often overlapped even in the same version, and consequently they had the identical, or similar or quite different content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of this tendency in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as tha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treated 'Fair virtues' and 'Innate talent' repeatedly, apparently suggesting that traditional Confucianism might have been reflected along with their interest in Yangmingism when annotators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provided detailed annotations while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And this ideological aspect makes the largest characteristic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Historical significances of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an largely be summarized with four points. Firs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ould be a decisive turning point for the eventual establishment of 'Catholicism' in Joseon. Second, in-depth research on 'Catholicism' was carried out through learning methods as stipulated in the original text of T'ienchu Shih-i and naturally its translation was done by scholars actively using this learning methods, suggesting the annotation was conducted by themselves through division of work. Third, the firm establishment of ‘Catholicism’ in the country was accomplished by Korean believers not by the Western priests, and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ere also completed principally by Korean believers and as a result, such fact itself may have turned out as an important element materializing 'spontaneity' in the history of Korea's Catholic Church. Fourth,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hich was able to satisfy the desire of Korean Catholics towards Catholic doctrines, could provide the groundwork for Catholicism, namely Catholic Church to expand to diverse social classes including ordinary people regardless of the gender.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주석은 주석목록본 《천주실의》의 주석과 비교해서 한마디로 매우 독창적인 측면이 강한 것이었다. 그리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에 자연히 언해자들 자신 나름대로의 독창적인 견해가 곁들여지게 됨으로써 매우 창작적인 측면이 내포되게 되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은 주석 자체를 전체적으로 통합해서 정리해놓고 보면, 동일한 편 속에서조차도 동일한 어휘 및 용어에다가 중복되게 거듭 주석을 달았으며, 그래서 그 내용이 혹은 동일하게 혹은 유사하게 혹은 전혀 상이하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를 고려할 때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언해자들이 한글로 언해하면서 상세한 주석을 붙이는 데에는 종래의 전통 유학에 익숙함이 반영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양명학에 대한 관심도 반영되었을 것임이 자명하다. 그리고 이런 사상적인 면모가 곧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내용상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의의는 대략 4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째는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으로 조선에서 ‘천주학’이 비로소 정립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마련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는 이 ‘천주학’에 대한 궁구가 《천주실의》 원문 내용 자체에 명시되어 있는 강학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므로, 자연히 《텬쥬실의》 언해도 이 강학에 극력 참여한 학인들에 의해 행해졌고, 따라서 주석도 이들에 의해 분담되어 붙여졌을 것이라는 점이다. 셋째는 이렇듯이 ‘천주학’의 정립이 서양인 사제가 아닌 조선인 신자들에 의해 이루어졌기에,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언해 및 주석도 조선인 신자 주도로 완성됨으로써 그것 자체가 한국천주교회사 속에 ‘자발성’ 구현이 이루어지는 관건이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넷째는 천주교 신자, 당시의 표현으로는 소위 ‘천주학쟁이’들의 천주학 교리에 대한 갈구를 해소시켜줌으로써 그 가르침에 따라 평등을 지향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양반·중인·평민·노비를 가릴 것 없이 모든 신분계층에서 ‘천주학’ 즉 천주교가 점차 확산되는 토대가 마련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 KCI등재

        안정복 · 이규경의 이마두 《천주실의》 인용 양상 비교 검토

        노용필(Noh, Yong-Pil) 한국교회사연구소 2018 敎會史硏究 Vol.0 No.52

        이마두(Matteo Ricci, 1520~1610)의 《천주실의》를 인용하여 저술한 안정복(1712~1791)과 이규경(1788~1856)의 글에 나타난 그 인용의 양상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이마두의 초기 저술들에 대한 조선 후기 수용의 역사 전반을 심층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안정복은 그의 저술에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직접 인용한 경우도 있지만 다른 저술에서 재인용한 경우도 있었다. 그 가운데 그 자신의 대표적 천주교 비판 저서로 정평이 나 있는 〈천학고〉 자체에서 《천주실의》를 유일하게 직접 거명하고 그 내용을 인용하였으나, 그 내용을 《천주실의》 원문 전체를 전산 입력 후 검색 기능을 통해 일일이 대조해본 결과 적지 않게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가 있었다. 한편 이규경은 〈척사교변증설〉에서 《천주실의》를 인용함에 있어서 그 양상은 3가지이다. 첫째는 중국 명나라 사조제의 《오잡조》를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이수광의 《지봉유설》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음이다. 셋째는 정하상의 취조 내용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재인용하고 있는 게 그것이다. 결국 이렇듯이 이규경은 《천주실의》를 한 번도 직접 인용한 적은 없었다. 비록 그럼에도 《천주실의》의 전체 중에서도 ‘인혼’ 문제의 규명 및 설파에 설정된 제5편 (23)항이 안정복과 이규경의 저술에서 유일하게 공통된 인용 항목이었다. 그리고 이는 특히 그 제3편의 전편에 걸친 핵심 주제가 다름이 아닌 ‘인혼불멸론’이었다는 사실과 직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써 안정복의 〈천학문답〉 등에서 전면적이면서도 정면으로 행해진 천주교 비판에 있어서나, 이규경의 〈척사교변증설〉에서 ‘척사교’의 실상을 자세히 소개함에 있어서나, ‘인혼’의 불멸 문제를 《천주실의》에서 인용해서 화두의 중심으로 삼았음이 확연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spects of quotation in the writings of An Jeong-bok(1712~1791) and Lee Kyu-gyeong(1788-1856) authored by quoting Matteo Ricci’s(1520~1610) T’ien-chu Shih-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By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use the outcomes as part of work illuminating the overall history of how the late Joseon dynasty accommodated Matteo Ricci’s early books. In his writings, An Jeong-bok sometimes directly quoted the content of T’ien-chu Shih-i and in other times he requoted from other writings. Of these, Cheonhakgo - credited as his representing criticism on Catholic Church - directly mentioned T’ien-chu Shih-i uniquely and quoted its content. As a result of one-by-one comparison of the whole text using search function after putting it into the computer, the study found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quotations. On the other hand, three aspects were revealed when the study examined how Lee Kyu-gyeong quoted T’ien-chu Shih-i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First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Fivefold Miscellany of Xie Zhaozhe during the Ming dynasty. Secon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Lee Su-kwang’s Jibong Yuseol. Thir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detail of interrogation of Jeong Ha-sang. As such, Lee Kyu-gyeong never directly quoted T’ien-chu Shih-i. Yet, what was in common uniquely in quotations of the writings of An Jeong-bok and Lee Kyu-gyeong was Part 5 Section (23) out of whole T’ien-chu Shih-i - investigating and elucidating the issue of ‘human soul’. And this was direct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the argument for ‘Human soul never perishes’ was the central theme throughout Part 3 in particular. So, it’s certain that the issue of immortality of human soul was the central theme of the writings of these two scholars by quoting from T’ien-chu Shih-i whether from An Jeong-bok’s all out and straightforward criticism on Catholicism in his Cheonhak Mundap or from Lee Kyu-gyeong’s detailed introduction to the actual state of ‘Cheoksagyo’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 KCI등재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하느님 이해

        이대근 신부(Prof. Fr. Daekeun Lee) 신학과사상학회 2017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79

        This research intends to understand the Confucian view of the Absolute Being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fucian and Christian views of the Absolute Being. In Confucianism, the Absolute Being, i.e., the Ultimate Existence, is designated “Heaven” (天) or “Sovereign on High” (上帝), and in Christianity is called “God” (Deus). Confucian and Christian ideology possess the common point of venerating the Ultimate Existence as a personal Absolute Being. If we look at the nature of “Heaven” and the “Sovereign on High” that appears in the Confucian scriptures centered on the Book of Poetry and the Book of Documents, it appears first as the Source of all existence and Creator, and as the Overseer who oversees natural phenomena and all human affairs. Also, as a personal Being who possesses volition, emotions and clear spirit, it appears as an object of faith whom humans honor, fear, serve and to whom they pray. And it appears as an immanent and ethical Being manifesting through human nature at the same time it is a transcendent, overseeing Being. Confucius and Mencius inherited this view of a personal God of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developed it into a theory of self-discipline. Confucius generalized as applying to all people the concept of “the will of Heaven” and “virtue” that originally applied only to rulers, and presented “benevolence” as the duty of serving Heaven and humans. Mencius proposed the path of interior and ethical heavenly works, serving Heaven, by maintaining the original heart bestowed by Heaven and cultivating human nature. The Jesuit missionaries who went to China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excluded the view of the impersonal Ultimate Existence of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made the Sovereign on High of Confucianism and the God of Christianity coincide, and propagated Catholicism by way of the “theory of complementing Confucianism”. They demonstrated Christianity’s concept of the Lord of Heaven and main doctrine through the Confucian scriptures, introduced the Lord of Heaven as the Great Sovereign and Great Father, and presented the duty of humans toward the Lord of Heaven as “great loyalty and great filial piety”. The Jesuit mission method grounded in the theory of complementing Confucianism gained great results in the Chinese mission, but it had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advance in Christianity’s essential truth of revelation and of being inclined toward academic dialogue and intellectual acceptance. Compared to this, we can see that the acceptance of the Catholic Church in Joseon, though it began from the id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complementing Confucianism, its form did not remain there but completely accepted and continued deepening Christianity’s truth of revelation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entrants into the Church. The understanding of Catholic doctrine did not remain simply at the academic and intellectual level but from the beginning shows the distinction of advancing to the spiritual, faith and practical level. Most of all, since the most distinct feature of the faith of the Catholic Church in Joseon was “martyrdom faith”, the faithful of Joseon showed remarkable faith leading to martyrdom because of their human duty toward the Lord of Heaven who is the Great Sovereign and Great Father, and their love for and desire to emulate Christ, even in the midst of severe persecution. This is an entirely different aspect from the acceptance of faith in China of the Lord of Heaven. 이 연구는 유교의 절대자관에 대해 이해하고,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절대자관의 상호 소통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유교에서 절대자, 곧 궁극적 실재는 ‘천’(天) 혹은 ‘상제’(上帝)로 지칭되고, 그리스도교에서는 ‘하느님’(Deus)으로 불리워진다. 유교와 그리스도교 사상은 궁극적 실재를 인격적인 절대자로 숭경(崇敬)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시경』과 『서경』을 중심으로 유교 경전에 나타나는 천∙상제의 성격을 살펴보면, 먼저 모든 존재의 근원이요, 조물주(造物主)이며, 자연 현상과 인간만사를 주관하는 주재자(主宰者)로 나타난다. 또 의지와 감정과 영명(靈明)한 지력을 지닌 인격적 존재로, 인간이 공경하고 두려워하고 섬기고 기도드리는 신앙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초월적이고 주재적인 존재인 동시에 인간 본성을 통하여 현현(顯現)하는 내재적이고 도덕적인 존재로서 나타난다. 공자와 맹자는 이러한 유교 경전의 인격적 천관을 계승하여 이를 도덕적 수양론으로 발전시켰다. 공자는 기존의 통치자에게만 적용되던 ‘천명’(天命)과 ‘덕’(德)의 개념을 만인(萬人)에게 해당되는 것으로 보편화시켰고, 하늘 섬김[事天]과 사람 섬김[事人]의 도리로 ‘인’(仁)을 제시하였다. 맹자는 하늘이 부여해 준 본심을 보존하고 본성을 기름으로써 하늘을 섬기는 내적·도덕적 사천의 길을 제시했다. 16세기 후반 중국에 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불교∙도교∙성리학의 비인격적, 궁극적 실재관을 배척하고, 본원유학의 상제와 그리스도교의 하느님[天主]을 상통시켜 ‘보유론’(補儒論)적인 방법으로 천주교를 전파하려고 하였다. 그들은 그리스도교의 천주사상과 주요 교리를 유교 경전을 통해 논증했으며, 천주를 대군대부(大君大父)로 소개하고, 천주에 대한 인간의 도리를 대충대효(大忠大孝)로 소개했다. 예수회의 보유론에 입각한 선교 방법은 중국 선교에 큰 성과를 가져왔지만, 그리스도교의 본질인 계시진리로 나아가지 못한 한계와, 학술적 대화·지적 수용에 치우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비해 조선에서의 천주교 수용은 비록 보유론적인 천주교 사상에서 시작되지만, 거기에 머물지 않고 입교한 첫 세대 교인들부터 그리스도교의 계시진리를 전적으로 받아들이고 심화시켜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천주교 교리 이해가 단순히 학적(學的), 지적(知的)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초기부터 영적(靈的), 신앙적, 실천적 차원으로 나아가는 특징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무엇보다 조선 천주교회 신앙의 가장 큰 특징은 ‘순교신앙’에 있었으니, 모진 박해 속에서도 조선의 신자들은 대군대부이신 천주에 대한 인간의 도리와,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과 모방의 원의 때문에 순교에 이르는 놀라운 신앙을 보여 주었다. 이는 중국에서의 천주신앙 수용과 판이하게 다른 양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