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크의 『통치론』에 대한 헤겔의 두 가지 비판 – 헤겔 「자연법 논문」과 『대논리학』의 체계론적 독해

        서세동 한국헤겔학회 2019 헤겔연구 Vol.0 No.46

        로크의 『통치론』과 이에 대한 헤겔의 비판으로부터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로크는 ‘자연 상태’라는 착상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자연 상태는 사회가 부재하는 곳, 곧 개별자들의 세상이면서도 바로 이로부터 사회가 비로소 등장해야하는 곳이다. 로크가 이 문제를 다루는 방식을, 헤겔은 「자연법 논문」에서 비판한다. 헤겔에 따르면 사회와 국가를 연역해내는 과정은 경험주의 고유의 한계들에 부닥쳐 실패하고 만다. 로크의 『통치론』과 이에 대한 헤겔의 비판으로부터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로크는 ‘자연 상태’라는 착상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자연 상태는 사회가 부재하는 곳, 곧 개별자들의 세상이면서도 바로 이로부터 사회가 비로소 등장해야하는 곳이다. 로크가 이 문제를 다루는 방식을, 헤겔은 「자연법 논문」에서 비판한다. 헤겔에 따르면 사회와 국가를 연역해내는 과정은 경험주의 고유의 한계들에 부닥쳐 실패하고 만다. 이글은 「자연법 논문」에서의 경험론적 자연법 비판을 헤겔의 ‘거친rough 비판’과 비교하여 그의 『대논리학』로부터 ‘유려한refined 비판’을 보여줄 것이다. 헤겔의 ‘거친’ 비판은 로크의 『통치론』에 대한 ‘자연-신학적인 해석’을 충분히 비판하지 못한다. 이 해석에 따르면 로크의 정치철학은 성경과 기독교적인 믿음에 일정 부분 근거하기 때문에, 헤겔의 「자연법 논문」이 보여주는 경험주의 비판이 약화된다. 하지만 헤겔의 『대논리학』은 로크의 정치철학과 자연 신학적 믿음들까지도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반성 추리를 적절히 해석함으로써, 개별성, 특수성, 보편성이 서로 연결되는 다양한 개념적 조직 구조―범유Allheit, 귀납, 유비―가, 로크의 주장에 대한 해명을 포함하여, 개인과 사회의 정치철학적 관계를 해명하는 체계론적 헤겔 독해가 시도될 것이다. What are we able to learn from the Locke’s account of politics in Second Treatise and Hegel’s critiques on it? Locke’s attempt to propound a kind of intimacy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society takes its shape as ‘the state of nature.’ This place is the locus in which individuals reside without any social norm and political institution which should come into existence by the individuals. Hegel’s critique in On Natural law intends to undermine the way Locke articulates his arguments, due to which, by Hegel, Locke’s deduction of civil or political society fails; indeed, it is in a way that Hegel accuses of the empiricist method. This paper will put forward Hegel’s ‘refined’ critique on Locke in Science of Logic, comparing it with his rough one in On Natural law. The rough one may well be diluted by the interpretative reading about Locke’s political philosophy, called ‘contextualist reading’ which strives to posit Locke’s political arguments midst his natural-theological system. According to this, Locke’s political philosophy is at least partly based on Scripture and Christian belief, yielding waning effects of Hegel’s rough critique. Still, Hegel’s Science of logic is able to provide resources to subsume Locke’s account of politics as well as his theological idea under systematic constellation of the empirical universality. It is expected that the syllogism of reflection makes it possible to substantiate the orderly matrix, such as allness, induction, and analogy, in which individuality, particularity, universality are in play. The inner relationship of individuals and society in political philosophy would be elucidated by this systematic reading on Hegel.This paper will put forward Hegel’s ‘refined’ critique on Locke in Science of Logic, comparing it with his rough one in On Natural law. The rough one may well be diluted by the interpretative reading about Locke’s political philosophy, called ‘contextualist reading’ striving to posit Locke’s political arguments midst his natural theological system. According to this, Locke’s political philosophy is at least partly based on Scripture and Christian belief, yielding waning effects of Hegel’s rough critique. Still, Hegel’s Science of logic is able to provide resources to subsume Locke’s accounts as well as his theological ones under Hegel’s systematic constellation of the concept; it is expected that the syllogism of reflection make it possible to reify the orderly matrix, such as Allness, induction, analogy, in which individuality, particularity, universality are in play. The inner relationship of individuals and society in Political philosophy would be elucidated by this systematic reading on Hegel.

      • KCI우수등재

        존 로크: 동의와 정치적 의무

        송규범 ( Kyu Beom Song ) 한국서양사학회 2012 西洋史論 Vol.0 No.115

        Consent theory has provided us with a more appealing account of political obligation than any other tradition in modern political theory. Since Locke`s impassioned defense of the natural freedom of man, the doctrine of personal consent has dominated both ordinary and philosophical thinking on the subject of our political bonds. The heart of this doctrine is the claim that no man is obligated to support or comply with any political power unless he has personally consented to its authority over him. It has greatly influenced the political institutions of many modern states. But there are manifold difficulties inherent in a consent theory approach to the problem of political obligation. John Locke`s political theory is a source for proponents of both individual rights and popular sovereignty. The interpretation of Locke as a typical individualist has long been accepted. According to C. E. Vaughan, for Locke, the state is the prince of individuals, and therefore no more than a Limited Liability Company: the real sovereignty resides in the individual. For Vaughan, Locke is the prince of individualists. W. Kendall, in effect, reverses this image of Locke. He argues that, so far from safeguarding the rights of individuals, Locke sets up a government which demands their entire obedience, and cannot be removed unless conditions become so bad that the majority of the people are driven to revolt. But Kendall, Vaughan too, went too far. Where apparently contradictory views are put forward, each expresses one side of the truth, but falsifies the truth as a whole when it emphasizes its own side to the exclusion of the other. Another interpretation is that consent plays no necessary role in Locke`s theory of obligation at all. In H. Pitkin`s view, the original contract is simply an agreement to limit any subsequent government to act within the bounds of the law of nature, which requires respect for natural rights to property. Then people`s obligations to obey depend on the character of the government, that is, whether it is acting within the bounds of the contract. This view is plausible; but it is not Locke`s. Locke`s doctrine of consent is excessively vague and of limited use as an explanation of political obligation. Still, his commitment to what he called ``consent`` is unassailable. What Locke sought was a means of basing political authority on the voluntary actions of free individuals; that he might not have succeeded in no way detracts from his intentions. In contrast to Pitkin, R. Ashcraft maintains that Locke defended the natural right of every man to give his personal consent to the government as a condition of his definition of political society. In his view, Locke establishes a much closer empirical link (than has generally been assumed by interpreters of his political thought) between his notion of consent and the institutional practice of elections. Yet Locke is not an apologist for a particular form of government. He does not attempt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giving of consent and the choosing of representatives. He does not use the notion of consent to make a case for representative government. (Seowon University / kbsong@seowon.ac.kr)

      • KCI등재

        존 로크(John Locke)의 자연관에 관한 분석적 고찰

        김일방 한국환경철학회 2017 환경철학 Vol.0 No.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One is to analyze Locke's view of nature. For this purpose, I attempted to reveal the essence of Locke's view of nature based on Chapters 2 and 4 of "Two Treatises of Government: The Second Treatise of Government" in which Locke's natural view is evident. The other purpose is to analyze Locke's view of nature from an environmental ethical point of view. From an environmental ethical point of view, I was able to define Locke as a restrictive advocate of anthropocentricism, limited frontier ethics advocate. And the more important point that I found in analyzing Locke's natural view was 'the Locke perspective.' 'Locke viewpoint' refers to the view that all the natural resources that we currently enjoy are not the property of any particular nation but the sharing․common asset of all mankind. I believe that this 'Locke perspectiv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provide a breakthrough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This paper also reveals in detail 'the Locke perspective' and its significance. 이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다. 하나는 로크의 자연관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로크의 자연관이 잘 드러나고 있는 『통치론』의 제2장과 제4장을 토대로 로크의 자연관의 핵심을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다. 다른 하나의 목적은 로크의 자연관을 환경윤리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환경윤리적 관점에서 볼 때 로크는 제한적 인간중심주의자, 제한적 프론티어윤리 제창자로 규정지을 수 있었다. 그리고 로크의 자연관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더욱 중요한 사실은 로크식 관점이었다. 로크식 관점이란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연자원은 총체적으로 어느 특정 국가의 소유가 아니라 인류의 공유물․공동자산으로 여기는 관점을 말한다. 이러한 관점은 환경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하나의 소중한 돌파구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에서는 로크식 관점과 그 의의에 대해서도 자세히 밝히고 있다.

      • KCI등재

        존 로크의 종교적 관용론 ― 보수주의적 관용에서 자유주의적 관용에로 ―

        최유신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8 No.-

        흔히들 로크는 이미 그의 사상 초기부터 종교적 관용을 옹호한 사람으로 알려져 왔었다. 그러나 크랜스톤의 해석에 의하면 로크는 이십대 중반에는 분명히 자유주의자가 아니었다고 한다. 로크는 한동안 대부분의 17세기의 비국교도들에게 종교적 관용을 허용하는 것은 너무 위험한 일이라는 확신을 가졌었다. 로크는 1659년에 헨리 스튜브에게 긴 편지를 썼는데, 이것은 겉으로 보기에는 관용에 대해서 동정적인 자세를 취했지만, 그는 가톨릭교도들에게 자유를 허용하자는 스튜브의 제안을 강력하게 반대했다. 스튜브에게 보낸 편지를 시작으로, 로크는 1660년과 1661년에 걸친 겨울에 종교적 예배와 관련해서 통치자가 관여할 수 있는 권리의 한계에 대한 논쟁에 참여하게 되었다. 여기서 로크는 “나만큼 권위를 존경하고 숭앙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던 것이다. 크랜스톤은 이러한 로크의 생각을 “명백히 홉스적”이라고 보았다. 1666년에 로크는 1672년에 샤프츠베리 백작이 된 애쉴리경과의 오랜 친교를 시작하게 된다. 이 친교를 통해서 로크의 종교적 관용에 관한 태도는 깊은 영향을 받게된다. 로크는 애쉴리를 만난지 1년도 채 못되어서 관용에 관한 그의 첫 번째 에세이(Essay on Toleration)를 썼다. 여기에서 그는 프로테스탄트 비국교도들에 대해서 관용을 허용하고자 했다. 왜냐하면 그들의 견해는 국가의 질서에 위험을 주지 않기 때문이었다. Essay Concerning Toleration을 쓰고 난 이년 후, 로크는 The Fundamental Constitutions for the Goverment of Carolina을 초안했다. 이 초안에서 로크는 “어느 교회의 어느 누구도 다른 종교의 집회를 방해하거나 해를 가해서는 안되며, 다른 교파나 종교적 고백에 대해서 비난이나 비방을 하거나 욕을 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는 개인에게도 적용된다. 즉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의 종교적 견해나 예배방식에 대해서 훼방하거나 괴롭히거나 박해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1683년에 로크는 네덜란드로 정치적 망명을 가게 되었고, 1685년 겨울 경에 그의 관용론을 가장 체계적으로 명쾌하게 설명한 라틴어로 된 Epistola de Tolerantia를 쓴 것으로 알려진다. 이것은 Essay on Toleration의 주제를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훨씬 더 정교하게 다루고 있다. 로크는 “종교적 관용이야말로 본래의 예수그리스도의 복음과 인간의 순수한 이성에 참으로 적합한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렇게 명백한 빛을 통해서 종교적 관용의 필요성과 이점을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어리석다면 그들은 괴수나 마찬가지이다.”라고 주장한다. It has been said that Locke was a liberalist but Cranston insists that Locke in his mid-twenties was certainly as yet no liberal. Locke, for the time being, remained convinced that most of the dissenters in seventeenth-century England were too dangerous to be tolerated. In 1659 Locke wrote a long letter to Henry Stubbe, which seemed sympathetic to him, but Locke forcibly opposed to Stubbe's view that Catholics had to be tolerated.. In the winter of 1660-1661 he became engaged in a controversy over the right of the magistrate to interfere in matters of religious worship. Here he declared that "No one could have a greater respect and veneration for authority than I." Cranston views Locke at this time as manifestly Hobbesian. In 1666 Locke began his long association with Lord Ashley (to become the first Earl of Shaftesbury in 1672) - a relationship which is commonly believed to hav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Locke's attitude toward religious toleration. Locke was writing the Essay on Toleration within a year after meeting Ashley, in which Locke insisted that Protestant Nonconformists should be extended toleration, as their opinions are not a danger to the order of the state. Two years after writing the Essay on Toleration Locke drafted The Fundamental Constitutions for the Government of Carolina. Here he maintains that no person of any other church is to disturb or molest any religious assembly or use any reproachful, reviling, or abusive language, against the religion of any church or profession. In 1683 Locke was forced to take refuge as a political exile in Holland. His connections with Shaftesbury had been too close to allow him to remain in England after his patron's fall. It was during his exile in Holland, probably in 1686, that Locke wrote his famous Epistola de Tolerantia which represented his thought on toleration in clear and systematic manner. This treats the subjects in the Essay on Toleration in the comprehensive and delicate standpoint.. He argues that "religious toleration is so agreeable to the Gospel of Jesus Christ, and to the genuine reason of mankind, that it seems monstrous for men to be so blind, as not to perceive the necessity and advantage of it, in so clear a light."

      • KCI등재

        로크와 라이프니츠의 본유주의 논쟁 -정신의 작용에 대한 지각-

        이상명 ( Sangmyung Lee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1 가톨릭철학 Vol.- No.36

        이 논문은 로크와 라이프니츠 간에 이루어진 본유주의에 대한 논쟁을 연구한 것이다. 『인간지성론』 1권에 있는 로크의 본유주의에 대한 반박은 그가 내세운 지식 이론과 비교해보면, 본유주의를 완벽하게 부정한 것이 아니라는 인상을 남긴다. 이 글은 로크의 본유주의 반박과 라이프니츠의 로크에 대한 비판을 비교 분석하고, 라이프니츠가 본유주의를 옹호하는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그 이유를 찾아보려 한다. 로크는 본유주의를 반박하면서 본유주의자들이 주장한 ‘보편적 동의’라는 근거를 논박하는데, 이것은 결국 보편적 동의라는 경험적 증거를 경험적 사례를 통해서 그리고 경험주의적 기준을 적용해서 논박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반박은 오히려 동일률과 모순율 같은 본유 원리는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것은 라이프니츠가 필연적 진리와 사실의 진리를 구별하지 못했다고 로크를 비판하는 지점이 된다. 또한 우리가 본유적이라고 가정되는 원리나 진리에 어떻게 자연적 역량을 이용해서 도달하게 되는지에 대한 로크의 설명은 이성적 추론에 대한 지각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이성적 추론에 대한 지각은 곧 로크가 감각과 더불어 관념의 원천으로 인정한 정신의 내적 작용에 대한 관찰, 즉 반성을 통해서 얻은 지식이다. 이성적 추론을 통해서 얻은 지식은 로크가 말하는 증명적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고 반성적 인식은 이성주의자들도 모두 인정하는 지식이다. 라이프니츠도 우리에게 내재적이고 잠재적인 본유 진리에 대한 인식은 주의를 집중하고 순서를 지키는 것이 필요한 이 반성적 인식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로써 로크가 본유주의를 거부한다고 명시적으로 밝히기는 하지만, 로크의 경험주의적 지식 이론이 이성주의와 공통적인 부분이 있는 만큼 이성주의자들이 본유주의를 옹호하는 입장과도 유사한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controversy over innatism between Locke and Leibniz. Locke’s refutation against innatism in Book 1 of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leaves the impression that, compared with his theory of knowledge, it is not completely denial of innatism.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ses Locke’s refutation against innatism with Leibniz’s critique of Locke, and tries to find out the reason for it by looking at Leibniz’s views in advocating of innatism. Locke refutes innatism, refuting the “universal consent” asserted by the innatists, which in turn refutes the empirical evidence of universal consent through empirical examples and by applying empiricist criteria. Hence, his refutation rather reveals that innate principles such as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the principle of contradiction cannot be proven empirically. And this becomes the point where Leibniz criticizes Locke for failing to distinguish between nesessary truth and truth of fact. In addition, Locke’s account of how we use natural faculties to reach a principle or truth that is supposed to be innate involves the perception of reasoning. And the perception of this reasoning is knowledge gained through observation of the inner actions of the mind, that is reflection, which Locke recognized as the source of ideas with sensations.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reasoning constitutes the demonstrative knowledge of Locke, and reflective cognition is knowledge that rationalists all recognize. Leibniz argues that our recognition of inherent and virtual innate truth is possible through this reflective cognition, which requires attention and order. Hereby, although this explicitly states that Locke rejects innatism, it can be said that Locke’s empiricist theory of knowledge has a part in common with rationalism, so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parts similar to the rationalists’ position in advocating of innatism.

      • KCI등재

        로크의 정치사회에서 모든 사람은 정치적 시민권을 갖는가 -로크의 재산 이론을 중심으로-

        임정아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2 No.1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tell that Locke’s Social Contract theory in his Two Treatises of Government does permit the possibility of all the people to be contractors as citizens in political society by arguing against Macperson’s critical interpretation of Locke’s theory. Macperson claims that Locke’s Social Contract theory in his Two Treatises of Government seems to have the intention of justifying the inequality in property and entailing the exclusion of the proletariat. To do this I take three steps. Firstly, I identify with the viewpoint of the purpose and method of constructing political society Locke’s basic theory of Two Treatises of Government and Macperson’s critical interpretation of Locke’s in his The Political Theory of Possessive Individualism : Hobbes to Locke. Secondly, I infer Locke’s theory does not exclude the proletariat when it comes to labor as a property which is comprised in person from Kim, Jong-chul’s idea of person and property. Thirdly, I infer the open possibility of including all human beings as contractors at building a political society from Kim, Eun-hee’s conclusion that in Locke’s theory there is no logic of permitting nor rejecting of exclusion of proletariat. Lastly, as a conclusion, I confirm the open possibility of including all people as contractors in social contract with the evidence of Locke’s viewpoint of women on the partnership in fostering children. 로크는 자연 상태에서 모든 인간이 자연법의 테두리 안에서 스스로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바에 따라서 자신의 행동을 규율하고 자신의 소유물과 인격을 처분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유를 갖으며 평등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고 특정한 계급만을 위한 것이라고 비판받는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맥퍼슨(C.B. Macperson)이 제기한 것이다. 맥퍼슨은 로크가 재산의 불평등을 정당화하고 특정 계급만을 위한 정치사회 구성을 주장하였다고 비판한다. 연구자는 맥퍼슨의 비판, 그리고 이 비판에 대한 옹호와 반론들을 검토하면서, 로크의 정치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정치사회 구성 목적과 방식을 통해 정치 사회 구성원의 범위에 대해 논의하겠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로크가『통치론』에서 주장한 재산이론을 정치사회의 구성 목적과 방식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맥퍼슨이『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에서 비판한 로크의 재산이론에 대해 개괄 정리하겠다. 3절에서는 노동을 재산으로 바라보면서 맥퍼슨의 주장을 보완하는 김종철의 논증을 검토하여, 노동을 재산으로 바라보더라도 특정 계급을 배제하지 않는 사회 구성을 추론하겠다. 4절에서는 로크의 정치 사회가 무산자를 배제하는 사회인 것은 아니라고 맥퍼슨을 비판하는 김은희의 논증을 검토하겠다. 그리고 자연 상태에서의 보편적 평등과 합리성에 대한 로크의 주장을 고려해 볼 때 로크의 이론은 모든 사람에게 정치사회구성원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음을 추론하겠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자의 추론을 입증하는 사례로서 여성에 대한 로크의 관점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 정치적 시민권을 부여할 가능성을 확고히 하되 로크 이론의 한계점 역시 말하겠다.

      • KCI등재

        로크, 스펜서, 노직, 파레도, 및 칼도-힉스 : 특허권에 대한 자연권적 정당성과 실용주의적 정당성의 합체

        나종갑 한국지식재산학회 2021 産業財産權 Vol.- No.66

        로크의 재산권 철학은 모든 인간은 선천적으로 권리를 가지고 있다 는 권리기반이론에서 출발한다. 이에 반하여 경제적 효용성의 극대화라 는 공리주의 철학에서 출발하는 장려설은 특허 등 특허권의 궁극적인 목적은 과학기술발전과 이로 인한 사회적 효용성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로크의 재산권 철학은 자연권에 기초한 재산권이다. 그는 노동의 결 과에 대하여 재산권을 인정함으로써 강한 정당성을 부여했다. 그러한 노동에 의하여 취득하는 재산권은 인간의 편의와 생존을 위한 것이라 고 하고 있다. 그런데 로크는 노동을 하여 토지를 취득한 자는 인류의 공동자산을 감소시킨 것이 아니라 증가시켰다고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 결국 재산권은 인류의 전체적인 효용성을 증가시켰다고 하고 있 다. 이로써 로크의 재산권은 자본주의적 색채를 지니게 되었고, 일부 맥퍼슨이나 스트라우스 같은 정치철학자들은 로크가 자본주의를 옹호 한 것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로크는 자본주의가 아닌 인간의 안락함 과 편의를 위해 노동을 장려하고 그 노동이 가치증가, 즉 재산을 축적하 도록 한 것이다. 즉 인간의 자본은 축적은 결과론적인 것이지 목적은 아니다. 로크의 재산권의 정당성은 파레토나 칼도, 힉스와 같은 후생경제학자들의 주장과 일치한다. 로크의 재산권은 인간의 안온과 생존을 위해 가장 효율적인 것임을 인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크의 재산권은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것임을 주장하였다. 결국 재산권제도는 인간의 안온과 편의를 위한 효율적인 제도이라는 것은 로크의 재산권 철학과 후생경제학에 의해 증명이 된다. The property philosophy of Locke is based on right based theory that all human have a inherent right. Otherwise the incentive theory rooted in the utilitarianism maximizing economic welfare is to promot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n increases the social usefulness. The philosophy of Locke’s property theory is based on the natural right. Locke provides strong philosophy to the recognition of property right on the fruits of labor. He emphasizes that the property right on the fruit of labor must serve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human. However, Locke again emphasizes that a man “who appropriates land to himself by his labour, does not lessen, but increase the common stock of mankind.” Conclusively the property right results increases the gross welfare of the human. Due to showing a capitalism by Locke’s property right which increases capital of human, this results that some scholars such as MacPherson and Strauss assert that Locke vindicates Capitalism. However, Locke is not a Capitalist. He encourages labor for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human and then labor brings increasing value, namely builds the property. The building up of capital stock is a consequent event, not a purpose. The justification of Locke’s property right accords with welfare economic theory of Pareto, Kaldor and Hicks. I cannot but say that Locke’s property right is a efficient way for the comfort and convenience. I may say that Locke’s property right is economical for increasing comfort and convenience of human. That the property right is a efficient way for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human is recognized by Locke’ philosophy of property and also welfare economics.

      • KCI우수등재

        Locke의 관점에서 본 자기에 의한 신체소유권으로서의 도핑-1988년 서울올림픽 벤 존슨 도핑의 경우-

        이강우(LeeKang-woo),이제승(LeeJe-seung)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5

        ‘스포츠에서 왜 도핑은 금지되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고찰하면서 개인이 자신의 신체를 조작·개조하는 것을 자유롭게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무제한적인 자기처분의 권리로서의‘자기 자유 의지에 의한 도핑’은 승인될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이다. 본 연구는 Locke의 ‘자유(freedom)’와‘신체 소유권(body property)’개념을 통해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남자 육상 100M 에 출전한 캐나다의 Ben Johnson의 사례를 통해‘자기에 의한 신체 소유로서의 도핑’행위를 해석하였다. Ben Johnson과 그의 관계자들에 의한 도핑은 모든 인간은 자신의 신체(body)에 대한 소유권(Property)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인 이외의 누구도 어떤 권리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신체 소유권’의 과잉이다. Locke의 ‘자유’는 이성과 양심의 자연법에 따라야 하는 것이다. 절대적 자유 및 절대적 신체 소유권 개념이 지배적이라면 바로 이러한 사고가‘자기에 의한 신체소유로서의 도핑’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즉 Locke가 말하는 자연법 하에서의‘신체 소유권’은 선수가 자신의 신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주체자의 자유가 절대적으로 보장되지 않는 배타적 자유이며 권리이다. Locke의‘신체 소유권’개념을 확대 해석하지 않는 가운데 도핑에 대한‘스포츠의 본질은 무엇인가?’의 구체적인 이해나 범위 설정의 철학적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Doping by self-will” as an unlimited self-disposition, which allows an individual to freely decide on his own body to manipulate and modify body while considering the question“Why athletic Doping Should be Banned?”I am confronted with the problem of whether or not it exists. The study interpreted‘the doping as body property’by Ben Johnson of 100M athlete of Canada in 1988 Seoul Olympic, through Locke's concept of“freedom” and“body property”. Doping by Ben Johnson and his associates is a surplus of“body property”in which every human being has a property of a person, and this has no rights other than yourself. Locke's freedom is to follow the natural laws of reason and conscience. If the notion of absolute freedom and absolute property is dominant, then this is a justification of‘doping as a body property by the self’. In other words, the“body property” in natural law that Locke refers to is an exclusive freedom and right in which the freedom of the subject in which the player freely uses body is not absolutely guaranteed. Without philosophizing Locke's concept of“body property” without misinterpret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take a philosophical examination of the specific understanding and scope of Doping‘What is the essence of sport?’

      • KCI등재

        John Locke and the Politics of Semantic Virtue

        Benjamin C. Thompson 한국정치사상학회 2012 정치사상연구 Vol.18 No.1

        This article addresses the discursive nature of the polity in Locke’s thought. The article aims to show that Locke’s civil society is an association of free citizens, which depends on healthy discourse and what I term semantic virtues. This becomes clear as the important connections between the use and abuse of language and Locke’s political thought are elucidated, so I argue. This article is influenced by several recent studies, which have drawn attention to the semantic dimension of Locke’s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the works of Hannah Dawson and Linda Zerilli are particularly relevant. Nonetheless, this article advances a unique reading of language in Locke’s politics that diverges from previous scholarship. Principally, I aim to uncover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the semantic virtues and also the semantic vices ? the use and abuse of language, written and oral. As I show, healthy discourse in civil society is informed by the philosophical use of words and reform of language which he recommended in the Essay. These virtues enable a variety of social goods that are not possible with everyday use of language. Law, justice and public morality require the semantic virtues in Locke’s thought. By contrast, the abuse of language is tied to destructive and tyrannical social outcomes. Thus, Locke’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thought involve a shared discursive dimension. Ultimately, the semantic virtues allow public discourse to meet the standards needed for civil society. With these virtues, citizens may come to employ their rational capacities cooperatively as free men, establishing the concepts of political justice appropriate for their common life. Critically, these virtues include an emotional solution to the passionate nature of linguistic abuse. Collected together, the semantic virtues are taxing, but they remain possible, reasonably plausible, and foundational for important aspects of politics in Locke’s opinion.

      • KCI등재

        John Locke and the Politics of Semantic Virtue

        톰슨, 벤자민 크리스토퍼 한국정치사상학회 2012 정치사상연구 Vol.18 No.1

        This article addresses the discursive nature of the polity in Locke’s thought. The article aims to show that Locke’s civil society is an association of free citizens, which depends on healthy discourse and what I term semantic virtues. This becomes clear as the important connections between the use and abuse of language and Locke’s political thought are elucidated, so I argue. This article is influenced by several recent studies, which have drawn attention to the semantic dimension of Locke’s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the works of Hannah Dawson and Linda Zerilli are particularly relevant. Nonetheless, this article advances a unique reading of language in Locke’s politics that diverges from previous scholarship. Principally, I aim to uncover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the semantic virtues and also the semantic vices – the use and abuse of language, written and oral. As I show, healthy discourse in civil society is informed by the philosophical use of words and reform of language which he recommended in the Essay. These virtues enable a variety of social goods that are not possible with everyday use of language. Law, justice and public morality require the semantic virtues in Locke’s thought. By contrast, the abuse of language is tied to destructive and tyrannical social outcomes. Thus, Locke’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thought involve a shared discursive dimension. Ultimately, the semantic virtues allow public discourse to meet the standards needed for civil society. With these virtues, citizens may come to employ their rational capacities cooperatively as free men, establishing the concepts of political justice appropriate for their common life. Critically, these virtues include an emotional solution to the passionate nature of linguistic abuse. Collected together, the semantic virtues are taxing, but they remain possible, reasonably plausible, and foundational for important aspects of politics in Locke’s opi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