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의 변천

        백승천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18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4 No.3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was enacted on January 29, 1969, but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introduced a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in 1992. In this study, I looked at changes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at took place during each period by dividing the historical period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to 'the quickening period'(1964-1979), 'the dividing period' (1980-1996), 'the settling period'(1997-2009), and 'the take-off period'(2010 or later). Management evaluation was not conducted at the quickening period, and the focus was on presenting problems and improving plans for each evaluation index by establishing Evaluation Institute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to conduct the management evaluation in the context of management diagnosis at the dividing period.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was amended so that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could conduct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t the settling period. And the performance bonus was pai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and the management diagnosis system was introduced for the insolvent local public enterprises. In 2006 and 2007, innovation and president evaluation were conducted and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basic local public enterprises was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from 2008. Since 2010,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has assessed large-area local public enterprises, while the basic local public enterprises have been assessed by metropolitan governments. Starting from 2016, all local public enterprises have been assess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the basic upper and lower water supply systems have been assessed by local governments. In 2018, it induced balanced management between public and efficiency from efficiency-oriented management to efficiency by evaluating social value. While residents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 management assessment, the objective of the assessment was enhanced by introducing a collective assessment method. 1969년 1월 29일 「지방공기업법」이 제정되었지만, 「지방공기업법」에 경영평가제도가 도입된 것은 1992년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의 역사적 시기를 지방공기업 ‘태동기’(1964년~1979년), ‘분화기’(1980년~1996년), ‘정착기’(1997년~2009년), ‘도약기’(2010년 이후)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이루어졌던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지방공기업 ‘태동기’에는 경영평가가 실시되지 않았으며, 지방공기업 ‘분화기’에는 경영평가 전담기관(지방공기업평가원)을 설립하여 직영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진단’차원에서 경영평가를 실시하여 평가지표 별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지방공기업 ‘정착기’에는 지방공기업에 대한 경영평가를 원칙적으로 행정자치부장관이 실시하도록 「지방공기업법」을 개정하였으며,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하고, 부실공기업에 대한 경영진단제도를 도입하였다. 2006년과 2007년에는 혁신평가와 사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008년부터는 기초공기업에 대한 경영평가를 광역자치단체에서 수행하였다. 지방공기업 ‘도약기’에는 2010년부터 광역공기업은 행정안전부에서 평가하고, 기초공기업은 광역자치단체에서 평가하였으며, 2016년부터는 모든 지방공사・공단은 행정안전부에서 평가하고, 기초 상・하수도는 광역자치단체에서 평가하고 있다. 2018년에는 ‘사회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제까지의 효율성 위주의 경영에서 공공성과 효율성 간 균형 있는 경영을 유도하였으며, 경영평가에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한편, 집단평가방식을 도입하여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하였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법적 쟁점과 과제

        최계영(Kae-Young Choi)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5 경제규제와 법 Vol.8 No.2

        최근 지방공기업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방공기업은 남설(濫設)되거나 중복 설립되고 있고, 민간영역을 침해하고 있으며, 지방공기업은 비효율적으로 방만하게 운영되고 있고, 지방부채를 증가시켜 지방재정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로 국가기관의 지방공기업에 대한 통제권은 제도적 측면에서나 현실적 측면에서나 모두 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지방공기업에 대한 바람직한 통제는 어떠해야 하는가? 국가의 통제가 강화되는 현재의 방향성은 그대로 유지되어도 좋은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논문에서는 지방공기업에 대한 공법적 통제에 관한 쟁점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먼저 지방공기업의 개념과 종류, 현황에 대해 개관하였다. 지방공기업법에 따르면 지방공기업에는 지방직영기업, 지방공사, 지방공단이 있다. 1999년 이후 지방공기업의 수는 비약적으로 늘어났으나 최근 행정부에서 설립기준을 마련하고 설립 전 행정자치부장관과 협의를 거치도록 하면서 증가세는 둔화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현행 지방공기업법과 지방자치법에 따를 때 지방공기업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와 국가가 각각 어떻게 관여하고 통제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통제에는 지방자치단체 장에 의한 통제와 지방의회에 의한 통제가 있는데, 지방직영기업과 지방공사⋅공단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국가에 의한 통제는 국회, 행정부, 감사원에 의한 통제가 있다. 행정부에 의한 통제 중 특히 문제가 되는 지방공기업법에 근거한 행정자치부장관의 통제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주민과 공중에 의한 통제수단으로는 주민감사청구, 주민소송, 정보공개가 있다. 이상의 고찰을 토대로 할 때 현행법에 따른 공법적 통제의 문제점과 향후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공기업에 대한 국가행정기관의 관여는 지금보다 축소되어야 한다. 현재와 같은 수준의 개입은 지방자치단체의 자기책임성의 원칙을 훼손하고, 주민들이 직접 선출한 지방자치단체 장과 지방의회의 결정에 맡겨야 할 부분까지 국가가 결정하여 지방공기업 운영에 있어서 정치적 책임성을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둘째, 지방의회와 주민의 역할을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지방공기업 임원 인사에 대한 지방의회의 견제권한이 보장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민소송의 확대를 통해 지방공기업 경영진의 법적 책임을 실질적으로 물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지방공기업에 대한 공법적 통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에 대한 불신에 기초하여 국가의 감독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물론 이러한 현실인식이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자칫 지방자치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민주주의적 가치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 지방공기업이 명실상부하게 지방자치단체와 그 주민의 공기업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가급적 국가의 관여는 위법하거나 현저하게 재정건전성을 훼손하는 사항에 한정하여야 한다. 지방공기업이 남설되고 부채가 과도한 현재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의 관여가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지방의회와 주민에 의한 통제수단을 보완하여 지방공기업 운영에 있어 민주주의적 가치를 제고하는 방향으로의 제도 개선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paper addressed issues related to legal control over local public enterprises.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kinds, and present situ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were generally reviewed and then how local governments and the state become to be involved in and control local public enterprises when they follow the current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and Local Autonomy Act was examined. Based on the above considering, problems in the legal control and future tasks under the current laws are as follows. First,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involvement in local public enterprises should be reduced from the state of now. The intervention at the current level damages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and weakens the political accountability as even matters that must be left for decisions by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directly elected by residents are decided by the central government. Second, the roles of local councils and residents should be reinforced. In particular, local councils’ authority to check the personnel management of officer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should be guaranteed. In addition, a measure to hold local public enterprises’ management legally responsible for oper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rough expansion of residents’ lawsuits should be reviewed. Thus far, legal control over local public enterprises has been developed in the direction to reinforce the central government’s supervisory authority based on distrust in local governments’ capability. Of course, such recognition of reality is not completely groundless but might damage the democratic value intended to be implemented through local autonomy.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to be able to become public enterprise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truly to the name, the central government’s involvement should be limited to matters that are illegal or remarkably damage financial soundness. The fact cannot be deni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s involvement is necessary to some extent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situation where local public enterprises have been established excessively and their debts are excessive. However, in the long run, improvement of institutions should be sought in the direction to enhance democratic values in the oper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by supplementing the measure of control by local councils and residents.

      • KCI등재

        지방공기업 부채 절감방안에 관한 소고

        정성호,정창훈 한국지방재정학회 2011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6 No.2

        With the rise of the needs and demands of local residents,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increasing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corporation) to cope with such needs and demands. As long as local public enterprises perform their proper roles, the rising trends in the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s not alarming. Unfortunately, however, one of the primary reasons why the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their roles are rapidly expanding is to cover budget deficit in general and special accounts of the general government. Although part of the causes of local debt increases is associated with fiscal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it lies more with the structure and governance system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stitutional limits, and moral hazard on the part of local government and public enterprises. To address such problem, we recommend that proper rules and regulations be instituted when considering an establishment of new public enterprises. Second, an effort must be made to enhance local governance capacity to cope with governance and collaboration problem. Third, local public enterprises must do every effort to run their entity in an efficient and effective manner so that they can control their budget deficit. Overall, we believe that an enhancement of local governance capacity along with institution of proper rules and regulation must follow to cope with mounting debt i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 KCI등재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과 혁신촉진을 위한 입법과제

        박종준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아주법학 Vol.14 No.3

        In addition to the existing various support systems for Local 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new policies targeting local SMEs that project regional values, such a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have recently gained more attention. However, apart from the necessity at the policy level,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related to local SMEs are emerging. The legal basis for local SMEs was first established through the 「Act 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Fostering Local Small & Medium Enterprises」 enacted on January 7, 1994. Later, it was transferred to Chapter 4, Section 10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mall & Medium Enterprises」. In the case of the current 「Act on the Promotion of Small & Medium Enterprises」, it is a law that plays a role as a practical general law on local SMEs. However, in the case of this law, only passively settled within the framework of “local small & medium enterprises,” and faces the limit of not effectively addressing the policy issues that continue to be raised against local SMEs. In addition, various laws related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tipulate region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t the systematic rules for regional SMEs are largely insufficient. Meanwhile, in laws related to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uch as the 「Special Act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the rules related to local SMEs. However, since it is composed mainly of matters that are being promoted macroscopically from the viewpoint of revitalization of local industry and economy, not local SMEs, the legal basis for specialized intensive support focusing on local SMEs can be pointed out as a problem. In seeking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fostering local SMEs and promoting innov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while effectively accepting the core policy values ​​related to local SME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reviewing the improvement directions based on these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legislative task is to enact a separate law for fostering local SMEs and promoting innovation. In order to alleviate concerns that the enactment of a new law on local SMEs will mass-produce another over-legislative law, the conceptual category of regional SMEs should be set reasonably and the discrimination should be clearly emphasized in terms of the purpose and content of discipline. 기존의 중소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각종 지원 체계과 별개로 지역균형발전 등의 지역적 가치를 투영하고 있는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육성 정책이 최근 들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적 차원에서의 필요성과 더불어 지역 중소기업과 관련된 현행 법제도상의 한계도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법적 근거는 1994년 1월 7일 제정된 이후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처음으로 마련되었는데 이후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중 제4장 제10절 ‘지방 중소기업의 육성’으로 이관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현행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의 경우 지방중소기업에 관한 실질적인 일반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법령으로 판단되며, 지방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정책 사항이 전개되어 나감에 따라 그때그때 필요한 규정의 부분적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동 법률의 경우 ‘지방중소기업’의 틀 내에서 소극적으로 안주하고 있을 뿐,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정책적 화두를 효과적으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그 밖에 중소기업과 관련된 제반 법령에서도 지역 중소기업을 규정하고는 있으나 지역 중소기업에 관한 체계적인 규율이 크게 미흡하다. 한편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등의 지역균형발전과 관련된 법률에서도 지역 중소기업과 관련된 규율의 연관성이 나타나고 있으나 지역 중소기업이 아닌 지역산업 및 경제의 활성화라는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항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 중소기업에 초점을 둔 특화된 집중적인 지원의 법적 근거가 미흡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과 혁신촉진을 위한 법제개선방향 모색에 있어서 지역 중소기업과 관련된 핵심적 정책 가치를 효과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기존 법령상 규율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려요소를 토대로 개선방향을 비교 검토한 결과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 및 혁신촉진을 위한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과 혁신촉진을 위한 입법과제로는 지역 중소기업 육성 및 혁신촉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개선, 혁신적 지역 선도기업의 발굴ㆍ육성과 입지 제도 도입, 지역 중소기업의 육성ㆍ혁신촉진을 위한 별도의 기금 신설,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위기의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지역 중소기업에 관한 신법 제정이 또 하나의 과잉입법을 양산할 것이라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지역 중소기업의 개념 범주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고 규율목적과 내용 등에 있어서 차별성을 명확하게 부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지역 중소기업이 지역 경제와 산업을 활성화시키는 핵심 기능을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유관 법제도의 종합적인 정비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 부채증가 변인에 관한 연구

        공창동,정성호 한국비교정부학회 2015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9 No.1

        The liabilities of local public enterprise is continuously increasing while the debt of local government is also increasing. Although local public enterprises are off-budget entity and thus located outside the direct control of local government, they are being heavily utilized by local government to pursue local government fiscal activities, resulting in an increase of total local public enterprise liability.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such possibility by employing a panel datas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n increase in the debt of local government leads to an increase in the liability of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and total liabilitie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Second, an increase in the reliance of intergovernmental revenue (dependent revenue)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liabilities of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other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total local public enterprise. Third,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density leads to an increase in the liability of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other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total local public enterprises. Finally, taking over power by opposition party lowers the liability of other local public enterprises. However, reelection of incumbent chief executive officer leads to a reduction in the liability of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and total local public enterprises. Nonetheless, it increases the liability of other local public enterprises.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수익성 영향요인 분석

        강황묵(姜??),남창우(南昌祐) 한국도시행정학회 2017 도시 행정 학보 Vol.30 No.1

        지방자치와 주민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지방 공기업은 그 간 방만경영, 도덕적 해이 등으로 인해 부채가 나날이 증가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의 부채를 해소하고, 재정건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방편으로 지방공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전국 광역자치단체 15개 개발공사를 대상으로 회귀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지방공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부채비율은 총자산순이익률에 있어 부(-)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채무비율 또한 지방공기업의 총자산순이익률과 자기자본순이익률 등에 부(-)의 영향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지방공기업의 수익성 제고를 위해서는 합리적 수준에서의 지방공기업별 맞춤형 부채관리와 지방공기업을 관리, 감독하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분권형 지방세제 개편을 포함한 재정적 지방분권과 지방 공기업의 재정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앙정부 차원의 강력한 정책추진과 이를 뒷받침할 법적,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Local public enterprises established to promote local autonomy and the welfare of residents are increasingly facing social problems due to the increase of the debt due to the Disillusioned management and the moral haz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itability of local public enterprises focused on the Metropolitan Government Development Corporations of the Country as a way to solve debt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to promote Financial soundness.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it is analyzed that the debt ratio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itability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is negative(-) in the ROE(Return On Assets). In addition, the debt ratio of the local governments under the jurisdiction is also influenced by the negative(-) ROA(Return On Assets) and ROE(Return On Equity)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itability of local public enterpris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the management of tailored debt for each local public enterprise at a reasonable level and to secure the fiscal soundness of local governments in charge of managing and supervising local public enterprise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central government has to be financially decentralized, including a decentralized local tax system reform. In order to secure the financial soundness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it is urgent to prepare the central government"s strong polici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to support them.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K­IFRS 도입에 관한 평가 및 개선방안

        김수성,최원석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회계정보연구 Vol.34 No.3

        This study gives implications o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counting through evaluating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doption of K-IFRS. This study addresses the implications of applying K-IFRS by the case of S-public corporation(quasi-government agency). This study analyses influences from differences between GAAP and K-IFRS by the case of S-public corporation and addresses action plans for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successful adoption of K-IFRS. This study evaluates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doption of K-IFRS and addresses improvement plans in the follow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stinct standard o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doption of K-IFRS through referring to lessons from previous cases. It is expected to apply exceptions because local public enterprises mostly are much smaller than quasi-government agencies and it isn’t built on applying K-IF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oose dual strategy from selection provisions o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doption of K-IFRS in order to minimize the adoption costs of accounting standards. This study lets local public enterprises to cope actively with newly changing accounting environment through referring to the case of S-public corporation(quasi-government agency). This study gives marginal contribution in minimizing side effects o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doption of K-IFRS and proposing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doption of K-IFRS. 우리나라는 영리부문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 대하여도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orea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 이하 ‘K­IFRS’라 함.)을 전면적으로 도입․적용 하고자 2011년부터 이를 확대하여 왔다. 2011년에는 영리기업과 공기업이 K­IFRS를 적용하였으며, 2013년에는 준정부기관이 K­IFRS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2016년에는 지방공기업이 도입․적용하였다. 그러나 정부주도하에 반 강제적으로 도입한 K­IFRS는 기존에 도입한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사례를 볼 때 많은 문제가 있었고 지방공기업에도 역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공공부문인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에 대한 K­IFRS의 도입은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재무제표 작성 및 보고뿐만 아니라 회계처리 전반에 걸친 업무프로세스 및 회계정보시스템과 성과평가 등 전반적인 경영활동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방공기업에도 동일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K­IFRS를 도입․적용하고 있는 지방공기업의 K­IFRS 도입에 관한 평가를 통해 지방공기업 회계처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K­IFRS가 발전적인 방향으로 개선이 되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회계기준을 기 도입 적용하였던 준정부기관인 S공단의 사례를 통해 지방공기업에게 K­IFRS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의 K­IFRS 도입에 관한 평가를 하고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지방공기업에 대해서는 기 도입한 사례의 교훈을 참조하여 K­IFRS 도입 적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지방공기업 대부분이 준정부기관에 비하여 규모가 월등히 작고 K­IFRS 적용에 대한 기반이 구축되지 않아 예외적용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준정부기관의 경우 일부 기관이 K­IFRS를 적용하지 않은 사례를 참조하여 도입 대비 효익을 평가하여 지방공기업의 K­IFRS 적용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정부주도하의 반강제적인 공통된 도입 보다는 차별화된 도입의 과정을 밟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지방공기업의 K­IFRS 적용시 회계기준 도입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강제규정을 적용하기 보다는 선택규정에 따른 이원화된 K­IFRS 도입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를 통해 K­IFRS를 기 도입했던 준정부기관인 S공단의 도입 경험을 교훈삼아 지방공기업도 새롭게 변화하는 회계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이 K­IFRS 도입에 관한 평가를 함에 있어서 도입에 관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도입․적용 상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정부업무평가와 지방공기업평가에 대한 연구

        여영현,김선자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22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8 No.1

        Korea is excessively and extensively evalua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ublic sector is lower than that of foreign countries compared to the level of formalization. In addition, as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ceived as a control means, evaluation results are not properly utilized. In particular, local public enterprises shoul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hey perform the function of local decentralization, autonomy and breakwater from changes in governmen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evaluation method, which is not only an evaluation for local residents, but also an evaluation by local residents, that is, in terms of regional decentralization, the evaluation method that is becoming a means of achieving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government without evaluation flexibility and autonomy, and without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ocal public enterprises need not only management for local residents but also incorporation of methods managed and evaluated by local residents First, public enterprises are not private enterprises, and the 'voluntary clearance of differences' of public enterprises that only consider efficiency like private enterprises is not management innovation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The management method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should essentially be changed to a stakeholder model by local residents. Second, in the case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e process (P・D・S) model, planning, execution, and performance were decided as evaluations of a year, and the public interest index was added according to the policy necessity of the higher authorities, so that the pareto optimum of public interest and profitability suitable for the local or institutional measurement was not achieved. It should be changed to a content evaluation model, so that it can evaluate public interest and become easy to introduce a scientific method that determines effectiveness according to policy compliance.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public interest and profitability can be presented and reflected in the evalua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institution's establishment. Third, the lack of meta-evaluation and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er systematic evaluation model after evaluation in the public sector is the result of the horizontal compara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hort-term goal of Korea's annual performance evaluation. The validity of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model, methods or indicato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needs to be verified. 우리나라는 공공기관 평가가 지나치게 많고 광범위하며, 공식화 수준에 비해 공공부문의 효과성은 외국에 비해 낮은 편이다. 또한 성과평가가 통제적 수단으로 인식됨으로써, 평가결과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방공기업은 지방분권과 자율성, 정권의 변화로 부터 방파제 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써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지역주민을 위한 평가일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 의한 평가, 즉 지방분권의 차원에서 평가의 유연성과 자율성, 지역적 특성의 반영 없이 정권에 따라 목적 달성의 수단화 되는 평가방식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공기업은 지역주민을 위한 경영일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 의해 경영되고, 평가되는 방식의 접목이 필요하다. 첫째, 공기업은 사기업이 아니며 공기업을 사기업처럼 능률성만 따지는 공기업의 ‘자발적 차이 지우기’가 지방공기업의 경영혁신은 아니다. 지방공기업의 경영방식과 성과평가는 본질적으로 지역주민에 의한 이해관계자 모델로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지방공기업의 경우 과정(P・D・S)모형으로 계획과 집행, 성과를 단년도에 평가로 결정하면서 상급기관의 정책필요성에 따라 공익성 지표를 추가함으로써 지역이나 기관의 측성에 맞는 공익성과 수익성의 파레토 최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내용평가 모형으로 변화되어야 공공성을 평가하고, 정책준수에 따른 효과성을 판단하는 과학적 방법의 도입이 용이하다. 특히 기관의 설립목적에 따라 공익성과 수익성의 비중이 제시되고 평가에 반영될 수 있다. 셋째, 평가방식에 공공부문의 평가 이후에 제대로 된 체계적인 평가모형의 효율성과 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그리고 평가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가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가 매년 성과평가를 시행하면서 단기적 목표에 따라 수평적 비교평가를 한 결과이다. 지방공기업 평가의 목적 타당성, 평가모형, 방법이나 지표의 적합성, 평가의 효과성 등이 검증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건설관련 지방공기업(도시개발공사와 기타공사)과 민간건설기업의 발생액 질에 관한 비교연구

        주윤창,최수영,정창훈 (사)한국정부회계학회 2017 정부회계연구 Vol.15 No.2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accrual betwee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which engages construction businesses and private sector construction company. Based on previous studies arguing that the quality of disclosure information of public enterprises lag behind than that of private sector construction company, this study assumes that the quality of accrual of local public enterprises might inferior to private construction company which engages in similar business. While private companies are pressured to produce and disclose quality information, public enterprises do not need to do so since local public enterprises are not subject to close monitoring by its investors. Nevertheless, since local public enterprises also are subject of annual performance evaluation by central government, they are also tempted to distort information of their performance.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quality of accrual betwee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that engage in similar businesses. This study finds that the quality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s inferior to private sector construction companies. When the quality of accrual is lower, there is an increase of uncertainty and internal risk, and this leads to unsustain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companie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examine the quality of accrual when it undertakes annual performance evalu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도시개발공사와 기타개발공사)과 민간기업 중 건설업을 주 업종으로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양자간의 발생액의 질을 비교 분석한다. 배진철 등(2017)은 도시개발공사의 회계 기본변수가 민간건설사에 비해 미래 이익예측의 정보성이 떨어진다고 보고하였다. 기본변수의 미래이익 예측 정보가 낮다는 것은 경영자가 이익조정행위를 하는 것을 내포한다. 이러한 경영자의 이익조정행위는 회계이익의 질을 낮추며, 발생액의 질 또한 낮을 것이라 예상된다. 수익성이 최우선인 민간기업과 달리 지방공기업의 사업은 수익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민간기업과 달리 재무건전성이 다소 좋지 않더라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지 않았다. 반면, 최근 들어 지방공기업의 재정건전성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를 실시하였다. 지방공기업은 경영평가에 등급에 따라 긍정적으로는 인센티브를 받으며 부정적으로는 등급이 낮을 경우 청산명령을 받기도 한다. 따라서 경영평가 등급은 지방공기업 경영자에게 큰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지방공기업 경영자가 경영평가로부터의 압력이 심해지면 경영평가 등급을 위해 보고되는 회계이익을 조정할 여지가 높고 이러한 행위는 지방공기업 회계정보의 질을 떨어뜨린다. 본 연구는 첫째, 지방공기업(특・광역시 도시개발공사와 일반 시・군의 기타공사)의 회계품질이 민간 건설기업에 비해 낮은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특・광역시의 도시개발공사와 규모가 작은 일반 시・군의 기타공사의 발생액 질을 비교하여 회계정보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공기업(도시개발공사와 기타공사)의 발생액 질은 민간건설기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액의 질이 낮으면 불확실성과 내재적 위험이 증가하고 이익지속성과 미래예측력은 떨어진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지방공기업은 민간건설기업보다 회계이익의 질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둘째, 지방공기업을 규모가 큰 특・광역시의 도시개발공사와 규모가 작은 일반 시・군의 기타공사로 분류하여 발생액의 질을 비교해본 결과 양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지방공기업의 평가대상인 재무건전도는 보고이익에 기초하여 산출되는데, 이러한 보고이익은 경영자의 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보고이익만을 기초로 경영평가를 진행하면 기업 가치와 회계이익의 질을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효율성과 목적성을 강화하기 위해 보고되는 성과뿐만 아니라 회계이익의 질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 사회적 기업의 실태와 과제: 조례와 인증을 중심으로

        정태일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3

        The law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enacted on January 13, 2007 and performed on July 01, 2007. Local governments enacted regulations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Large-Unit Local Self-Government made Regulations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which were enacted two of 16 in 2008(12.5%), 13 of 16 in 2009(81.25%), one of 16 in 2010(6.25%). Elementary Local Self-Government made regulations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which were enacted two of 228 in 2008(0.88%), 15 of 228 in 2009(6.585%), 19 of 228 in 2010(39.91%), 6 of 228 in 2011(2.63%). So, it was enacted 50 percent, 50 percent were not enacted. Looking at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1,062 were applying for certification. 514 were certified organizations. Later on, social enterprises with closures, certification revocation, certification Return were 13. In fact, 501 is operating. Social enterprises in Korea have not been helpful to the disadvantaged which was not adapted the public sector and market segment. As a resul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ve to play the part of the leader. Of course, they have to overcome various the limitations and challenges with Social enterprises in Korea. 한국 정부는 사회적 기업을 제도화하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2007년 1월 13일에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제정하고, 2007년 7월 1일에 시행하였다.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 시행된 이후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였다. 광역자치단체의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조례는 2008년에 광역자치단체 16개 중 2개(12.5%), 2009년에는 16개 중 13개(81.25%), 2010년에는 16개 중 1개(6.25%)가 제정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기초자치단체는 2008년에 2개(0.88%), 2009년도 15개(6.58%), 2010년도에 91개(39.91%), 2011년도에 6개(2.63%)로 기초자치단체 228개 중 114개(50%)가 제정하였고, 114개(50%)가 조례를 제정하지 않았다. 사회적 기업 인증 현황을 보면, 신청 기관 1,062개 중에서 신청기간이나 검토기간 중 인증신청을 철회한 기관을 제외하고 999개를 대상으로 심의를 거쳐 514개를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하였다. 하지만 인증 이후 폐업, 인증취소, 인증반납 기업에 13개소로 실제 활동 중인 사회적 기업은 501개로 볼 수 있다. 사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데에는 기존의 사회적 기업이 공공부문과 시장부문에서 취약계층에 도움을 주는데 실패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지금의 사회적 기업 인증을 통해 정부와 지역이 협력하여 취약계층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모색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 관한 지원방식에는 다양한 한계와 과제가 노정될 것이 분명함으로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한국에서 사회적 기업이 성공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