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공기업 부채 절감방안에 관한 소고

        정성호,정창훈 한국지방재정학회 2011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6 No.2

        With the rise of the needs and demands of local residents,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increasing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corporation) to cope with such needs and demands. As long as local public enterprises perform their proper roles, the rising trends in the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s not alarming. Unfortunately, however, one of the primary reasons why the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their roles are rapidly expanding is to cover budget deficit in general and special accounts of the general government. Although part of the causes of local debt increases is associated with fiscal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it lies more with the structure and governance system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stitutional limits, and moral hazard on the part of local government and public enterprises. To address such problem, we recommend that proper rules and regulations be instituted when considering an establishment of new public enterprises. Second, an effort must be made to enhance local governance capacity to cope with governance and collaboration problem. Third, local public enterprises must do every effort to run their entity in an efficient and effective manner so that they can control their budget deficit. Overall, we believe that an enhancement of local governance capacity along with institution of proper rules and regulation must follow to cope with mounting debt i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 KCI등재

        정부업무평가와 지방공기업평가에 대한 연구

        여영현,김선자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22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8 No.1

        Korea is excessively and extensively evalua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ublic sector is lower than that of foreign countries compared to the level of formalization. In addition, as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ceived as a control means, evaluation results are not properly utilized. In particular, local public enterprises shoul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hey perform the function of local decentralization, autonomy and breakwater from changes in governmen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evaluation method, which is not only an evaluation for local residents, but also an evaluation by local residents, that is, in terms of regional decentralization, the evaluation method that is becoming a means of achieving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government without evaluation flexibility and autonomy, and without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ocal public enterprises need not only management for local residents but also incorporation of methods managed and evaluated by local residents First, public enterprises are not private enterprises, and the 'voluntary clearance of differences' of public enterprises that only consider efficiency like private enterprises is not management innovation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The management method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should essentially be changed to a stakeholder model by local residents. Second, in the case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e process (P・D・S) model, planning, execution, and performance were decided as evaluations of a year, and the public interest index was added according to the policy necessity of the higher authorities, so that the pareto optimum of public interest and profitability suitable for the local or institutional measurement was not achieved. It should be changed to a content evaluation model, so that it can evaluate public interest and become easy to introduce a scientific method that determines effectiveness according to policy compliance.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public interest and profitability can be presented and reflected in the evalua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institution's establishment. Third, the lack of meta-evaluation and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er systematic evaluation model after evaluation in the public sector is the result of the horizontal compara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hort-term goal of Korea's annual performance evaluation. The validity of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model, methods or indicato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needs to be verified. 우리나라는 공공기관 평가가 지나치게 많고 광범위하며, 공식화 수준에 비해 공공부문의 효과성은 외국에 비해 낮은 편이다. 또한 성과평가가 통제적 수단으로 인식됨으로써, 평가결과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방공기업은 지방분권과 자율성, 정권의 변화로 부터 방파제 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써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지역주민을 위한 평가일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 의한 평가, 즉 지방분권의 차원에서 평가의 유연성과 자율성, 지역적 특성의 반영 없이 정권에 따라 목적 달성의 수단화 되는 평가방식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공기업은 지역주민을 위한 경영일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 의해 경영되고, 평가되는 방식의 접목이 필요하다. 첫째, 공기업은 사기업이 아니며 공기업을 사기업처럼 능률성만 따지는 공기업의 ‘자발적 차이 지우기’가 지방공기업의 경영혁신은 아니다. 지방공기업의 경영방식과 성과평가는 본질적으로 지역주민에 의한 이해관계자 모델로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지방공기업의 경우 과정(P・D・S)모형으로 계획과 집행, 성과를 단년도에 평가로 결정하면서 상급기관의 정책필요성에 따라 공익성 지표를 추가함으로써 지역이나 기관의 측성에 맞는 공익성과 수익성의 파레토 최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내용평가 모형으로 변화되어야 공공성을 평가하고, 정책준수에 따른 효과성을 판단하는 과학적 방법의 도입이 용이하다. 특히 기관의 설립목적에 따라 공익성과 수익성의 비중이 제시되고 평가에 반영될 수 있다. 셋째, 평가방식에 공공부문의 평가 이후에 제대로 된 체계적인 평가모형의 효율성과 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그리고 평가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가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가 매년 성과평가를 시행하면서 단기적 목표에 따라 수평적 비교평가를 한 결과이다. 지방공기업 평가의 목적 타당성, 평가모형, 방법이나 지표의 적합성, 평가의 효과성 등이 검증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정부 및 지자체 업무대행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

        정재현(Jung Jae Hy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4

        지방공기업의 무분별한 외연확대와 방만한 경영, 비효율성 등의 문제가 대두되자 행정자치부에서는 2010년부터 지방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라 지방공기업에 대한 강력한 구조조정을 시행하였다. 주로 통폐합 등의 경영개선명령을 통하여 지방공기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의 결과 일부 지방공사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대행사업에 대하여 부가가치세 면제 규정을 적용받지 못하게 되어 지방재정에 더 많은 부담을 주게 되었으며, 부가가치세 세부담이 가중되어 재분리를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논란의 쟁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공단과 지방공사의 대행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차별과세가 문제될 수 있다. 지방공단과 지방공사가 동일하게 지방자치단체 등의 업무를 대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법령에서 지방공단에 대하여만 부가가치세 면제 규정을 둔 것은 차별적인 과세라는 주장이다. 둘째,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의 범위가 문제될 수 있다. 대행용역의 대가를 이윤을 포함한 위탁관리비 전체로 볼 것인지, 이윤 부분만 용역의 대가로 보아 과세표준으로 볼 것인지가 쟁점이다. 셋째, 지방공사가 「부가가치세법」상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기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넷째, 정부의 지방공기업 선진화 방안을 성실히 이행한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통합 후 설립기관의 체제가 바뀌었다는 이유로 부가가치세 면세로 수행하던 동일한 업무를 과세로 전환하는 것은 불합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통합 지방공사의 부가가치세 과세 논란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개정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지방공기업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 논란에 대하여 관련 법령 및 규정과 현황을 정리하고 쟁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정된 시행령의 미비점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에 대한 부가가치세 논란을 최초로 연구하였다. Plenty of problems have been raised since the authority to establish local public companies was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in Korea such as reckless expansion, loose management and inefficiency. To tackle such problems, the Ministry of Interior has implemented strong overhauling of local public enterprises since 2010 in line with the measures for the advancement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e Ministry mainly tried to improve the business administrative practices via merger, etc. of local public enterprises performing overlapping transactions within single local governments. However, unlike local government agencies, merged local public companies were excluded from the VAT exemption for their local government business agency service. As local public companies are required to pay the VAT, greater burden was posed to local finance. Under the additional burden of VAT, some local public companies actually sought to split back again. Such a discussion has the following several issues; First, discriminatory VAT imposition on large-scale project by local government agencies and public companies could be problematic. Even though local public companies and government agencies equally perform the agency service for local governments, etc., the present laws and regulations exempt only the local government agencies from VAT payment. Second, the scope of VAT tax base could be problematic. The issue is whether to regard the payment for agency service as the whole entrustment management expenses including profit or to take only the profit as the payment for service subject to tax base. Third issue is to see whether a local public company is one of the ‘other organizations seeking public interest’ subject to VAT exemption in the VAT law. Local public companies may be regarded as one of the organizations seeking the public interest of local community people’s welfare improvement. Forth, for a local government that sincerely implemented the local public enterprise advancement plan of the central government, it could be illogical to impose VAT on the same work that was previously tax free after merger for a reason that the post-merger organizational structure changed. Fifth, enforcement decree can be amended to help ease the financial burden of local public companies in poor situation. Moreover, it is also deemed positive to make amendment consistently with the policy goals of the existing local public company advancement plan by the Ministry. Still, there exist some administrative flaws. It seems necessary to change the provision of [Annex 10] to include the merger case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improvement order to a provision of Article 22-2.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 고찰

        윤승규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가천법학 Vol.8 No.1

        지방공기업은 지방자치 실시 이후에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확대 및 자율권 등에 기인하여 규모와 역할 범위 뿐 아니라 그 수에 있어서도 2014년 6월 현재 396개로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방공기업들이 이와 같은 양적인 증가에 상응하는 거시적 성과를 창출하지 못하였고, 경영 및 관리의 책임소재 또한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결과 많은 수의 지방공기업이 부실 경영으로 인한 부채 증가로 인해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지방공기업의 사장(이사장 및 관리자) 등의 전문성 부족과 통제 및 감사기구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을 하나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즉, 지방공기업의 지배구조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방공기업의 지배구조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고찰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지방직영기업의 관리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인사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들은 일정부분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종속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따라서 관리자를 임명할 때 지방의회의 추천을 받아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임명하는 구조로 바꾸고, 아울러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만을 관리자로 임명할 수 있었던 것을 전문성을 갖추고 경험이 풍부한 민간인도 관리자로 임명할 수 있게 하여 관리자의 독립성을 보장해주고, 지방직영기업의 경영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공사·지방공단의 이사회의 구성에 있어서 현행 제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사장(이사장)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사회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장(이사장)을 포함한 상임이사, 비상임이사의 정수를 100분의 50 미만으로 사외이사의 비율을 100분의 50 이상으로 한다”로 개정하여 사외이사의 비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임원추천위원회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2명 추천할 수 있었던 규정을 삭제하고, 의회와 이사회의 추천 권한을 각각 1명씩 늘리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사회의 평가 결과를 지방공기업의 주인이라 할 수 있는 지역주민들이 알 수 있도록 공개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감사제도에 있어서는 감사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국을 17개의 광역자치단체권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광역자치단체에 속해 있는 모든 지방공기업에 대해 감사를 할 수 있도록 외부감사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자산규모가 2조원 이상인 대규모 지방공기업의 경우는「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 운영하는 바와 같이 감사위원회의 설치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the scale and role of local public enterprises have been expanded due to the increased roles and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Accordingly, the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has sharply increased up to 396, as of June, 2014. However, most local public enterprises fail to produce macroscopic outcomes that are correspondent to their quantitative increase and to clarify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management. As a result, a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face the increase of debt due to poor management, putting more fiscal burden to local governments. Reasons for poor management are the shortage of specialty of the president (chief director or manager) of a local public enterprise and the control or audit organizations’ failure to play their role. That shortage and failure results from poor corporate governance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deals with such problems and how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First, the manager of a local public enterprise is appointed by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so the manager is subordinated to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in part. To improve such organizational structure, a manager should be appointed by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on the recommendation of a local council. The independence of a manager should be protected, by appointing a civilian with abundant expertise and experience. This will contribute to normalizing the management of a local government-directly operated enterprise. Second, the current system is not free from the impact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and the president of a local public enterprise when composing the board of directors of a local government public corporation or local government invested public corpor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should be extended by amending relevant laws. The ratio of executive directors, including the president and non-executive directors, should be less than 50/100 and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should be at least 50/100. Furthermore,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the committee for recommending executives, the provisions concerning the authority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to recommend two executives are required to be amended to impose more authority to the local council and the board of directo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lose the outcomes of the evaluation conducted by the board of directors to local residents. Third,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auditing, it is required to introduce outside audit system to conduct audit to all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by dividing the country into 17 metropolitan areas. For large-scale local public enterprises with assets of at least two trillion won, the audit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s prescribed in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 KCI등재

        중국 재정분권개혁의 효과와 지방정부-국유기업 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이상빈,김연철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na's fiscal decentralization reform and changes of the relation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local state owned enterprises(SOEs) in Chengdu Municipality in Sichuan Province. In the case of this study, local government during first phase of the reform era resorted to multiple instruments to support local state owned enterprises and thus strengthen their revenue base. These instruments included collusion with firms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protectionist policies. By the mid-1990s, the tax-sharing reform had begun to drastically reshape the relation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state owned enterprises. Broadly speaking, two major factors-growing competition, tax and fiscal reforms, combined to decrease the benefits of government ownership of enterprises. Local government had few incentives to predate because they were the shareholders of local enterprises. Whereas Chinese local governments had little formal budget autonomy, they have enjoyed much informal fiscal autonomy vis-á-vis the central government. But Chinese local governments also continue to face pressure to generate extra-budgetary funds in spite of repeated central government efforts to include some extra-budget funds into the budget. This study has underscored how changes in fiscal incentives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local government behavior, especially with the fiscal and tax reforms introduced in 1994. Through this analysis, if the local government does not grasp a reasonable source of revenue, recent fiscal decentralization system is not enough to change the unreasonable entrepreneurial behavior of local government. 본 연구는 중국의 재정분권체제의 개혁과정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행위패턴의 변화를 국유기업과의 관계변화를 통해 살펴보고, 사천성(四川省) 성도시(成都市) 지방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정세수체계와 관련된 지방정부와 관할 국유기업간의 이해관계, 그리고 재정수입을 확대시키고자하는 지방정부행위의 재정논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지방분권 개혁의 결과 지방정부는 실질적으로 개혁개방정책은 물론 규정 및 법률에 대한 협상과 집행, 향후 발전방향과 선택에 있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재정분권개혁의 초기 지방정부의 경제적 이익과 재정수입은 많은 부분에서 지방기업에서부터 창출되기 때문에 지방정부는 각각의 기업에 대한 각종 세수제도를 통하여 재정수입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1994년 분세제(分稅制) 실시 이후로는 훨씬 강화된 지방정부의 자기-의존적 세수체계는 이 지역의 지방정부의 기능과 기업의 경쟁력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성도시의 사례에서, 시관할 국유기업에 대해서는 거시통제적인 조절수단으로 기업관리 역할의 변화를 시도하면서, 성도시정부는 재정수입의 증가에 있어 도시경영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의 분세제 개혁은 수입증가 및 지출절약에 대한 압박 또한 증가시켜 지방정부는 토지자원의 운영을 통한 도시경영 및 지방정부채권 전환대출이라는 새로운 수단과 새로운 재정수입원을 찾게 되었다. 지방재정과 관련된 지방정부의 자유재량권의 팽창은 지방정부의 경제운용에 대한 기업가적 행위나 사회적 특권층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지방분권체계를 통한 지역정부의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재정수입원적 없이 단선적인 경제적 자유화 혹은 민영화의 촉진은 향후 성공적인 경제개혁을 지속적으로 이끌어내는데 불충분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 연구논문 > : 공공기관의 국제회계기준 도입 현황과 향후 방향

        고윤성 ( Yun Sung Koh ),이현아(교신저자) ( Hyun Ah Lee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2

        우리나라는 상장기업 뿐 아니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각각 2011년과 2013년도부터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함에 따라 공공부문에서도 회계투명성과 경영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공공기관이란 정부의 출연·출자 또는 정부의 재정지원 등으로 설립·운영되는 기관이다. 이러한 공공성을 가지는 공공기관의 국제회계기준 도입 효과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가 부족한 현 시점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국제회계기준 적용 효과와 영향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서 공공부문의 국제회계기준 적용 타당성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총 30개의 공기업과 층화추출법에 따라 30개의 준정부기관을 선별하여 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연도의 재무상황과 경영성과의 변화, 연결재무제표 작성 현황, 공정가치 실시여부 및 그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공기관의 회계담당자를 대상으로 국제회계기준 도입과 관련된 비용과 영향 및 문제점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기업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국제회계기준 적용 후 재무상황 및 경영성과에 변화가 있었으며 규모가 큰 공기업이 연결재무제표 작성과 공정가치 적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부분의 준정부기관의 경우에는 재무상황 및 경영성과의 변화가 미비하고 연결재무제표 작성과 공정가치 적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기업에 비해 준정부기관의 경우 국제회계기준에 대한 준비비용과 이해도가 낮고 국제회계기준 적용으로 인한 회계투명성과 정보비대칭 등의 개선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2016년 도입 예정인 지방공기업에 대한 국제회계기준 적용 효과를 사전적으로 검토한 결과, 일부 지방공사를 제외하고는 준정부기관과 유사하게 그 효과가 미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공공부문의 투명성 및 경영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입된 국제회계기준의 적용효과가 공기업과 소수 준정부기관에 국한되고 실무 상 적용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회계기준을 재검토하고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특성에 맞는 회계기준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지방공기업에 대한 국제회계기준 적용에 대해서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FRS on Public institutions and conducts advance review on the validity of IFRS adoption on local public enterprises. In specific, we analyze changes in financial posi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period of IFRS adoption, status on preparation of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status on application of fair value for all of 30 public enterprises and 30 out of 87 quasi-government entities se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method. Furthermore, we conduct a survey among accounting executives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entities to investigate budgetary allocation, positive effect, and problems related to the adoption of IFR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nancial posi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s are generally affected by the adoption of IFRS. Also, preparation of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pplication of fair values are shown in a number of large public enterprises. On the other hand, financial posi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for most of the quasi-government entities do not show material change after the adoption of IFRS. These entities hardly prepar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apply fair market values in the similar context. The survey result also indicates that quasi-government entities have less budgetary allocation and lower level of understanding with regard to adoption of IFRS compared to public enterprises and that accounting transparency and information asymmetry rarely improve for quasi-government entities after adoption of IFRS. on IFRS adoption is lower than that of public enterpris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n IFRS education that the survey respondents pointed out are as follows. The specific traits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entities are not adequately reflected in the content of education. The education is focused on theoretical aspects rather than introducing the detailed techniques on application of accounting standards to practices. Therefore, the education needs to be improved and revised in the context of unique traits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entities. Moreover, it needs to focus on the application of accounting standards to practice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IFRS and enhancement on transparency and adequacy of accounting treatments. In sum, we find that the main issues with regards to the adoption of IFRS to public institutions are the preparation of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pplication of fair market value, implementation of retirement payment to small-sized quasi-government entities, deterioration of comparability between institutions adopting IFRS and institutions without adopting IFRS, and insufficiency of supplementary employment and infra-structure for the settlement of IFRS. The advance review on the validity of IFRS adoption to local public enterprises estimates that the effects of the adoption is expected to be limited to only a few local public enterprises similar to the case of quasi-government ent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improvement of accounting transparency and management efficiency are shown in only a limited number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entities although IFRS is adopted in hopes of achieving such improve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IFRS needs to be reexamined in the light of developing accounting principles that are customized for specific traits of the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entities and that application of IFRS to local public enterprises needs to be preceded by extensive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such application.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to the previous literature. First,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conducted on adoption of IFRS to listed private companies, however such studies on public and quasi-government entities are relatively scarce. Specifically,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realistic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on IFRS adoption by not only analyzing the effects of IFRS adoption on the financial statements but also conducting a survey among accounting executives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entities. Second, this study preliminary review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IFRS adoption by analyzing the financial statement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 KCI등재

        지역 공공거버넌스의 구축과 지방공기업 관리체계의 개선

        배용수,조택 한국비교정부학회 2010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4 No.2

        The degree and shape of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 differs to the country's socio-political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 view of public governance. Public governance model might cope with market failure, voluntary failure, and government failure, and fulfill management function of policy problems. In Korea, local public enterprises has 134 indirect management firms and 37 mixed management firms, and they are fulfilling their own roles about government intervention and/or public governance. The effect of public governance on local public enterprises is detected usually in purpose, management, and control. This paper proposes, eventually, several alternatives for further improvement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hey are connected with existence significance, efficiency in management, and managerial accountability. Alleviation of the central control and solidification of public-private collaboration would play the role of the construction of local public governance.

      • KCI등재

        지방정부 부채와 지역경제성장 연구

        김일태,최지혜 한국지역경제학회 2017 韓國地域經濟硏究 Vol.15 No.3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 deb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during 2002-2015. The debt of local public enterprises operated as an independent accounting system is not included in the local debt. In this paper,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debt, which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is included in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is paper shows that the local government debt in the current period has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e next period. On the other hand, after two years, this paper confirms that local debt has a nega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addition,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 debt on economic growth is the same result in all models including exogenous and endogenous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case of municipal bonds, the portion of long-term debt is high, an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SOC projects are carried out during a long period. Thus, debt is often prolonged in local public sector and economic growth will be slow down. This implies that local governments require comprehensive debt management including local public deb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y are pursuing inefficient projects to fulfill the pledge of local governments. 본 논문은 2002-2015년 한국의 지방정부 부채와 지역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있다. 본 논문의 자료는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는 지방공기업의 부채가 지방 채무에 포함되지 않고 있지만 최근 빠른 속도로 증가한 지방공기업 채무를 지방정부 부채에 포함하였다. 본 논문은 현재기에 발생한 지방정부 부채가 다음기의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2년이 지난 뒤에는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명변수의 외생성과 내생성을 가정한 모든 모형에서도 지방정부 부채의 경제성장에 대한 효과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지방채의 경우 장기채무의 비중이 높고, SOC 사업 등 지역개발사업은 장기에 걸쳐 이뤄지기 때문에 지방공기업 부채도 장기화되는 경우가 많다. 지방정부는 지방정부 부채가 장기화되는 경우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지방공기업 부채를 포함하여 통합적인 부채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개발사업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의 공약과 맞물려서 비효율적인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 사회적 기업의 실태와 과제: 조례와 인증을 중심으로

        정태일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3

        The law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enacted on January 13, 2007 and performed on July 01, 2007. Local governments enacted regulations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Large-Unit Local Self-Government made Regulations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which were enacted two of 16 in 2008(12.5%), 13 of 16 in 2009(81.25%), one of 16 in 2010(6.25%). Elementary Local Self-Government made regulations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which were enacted two of 228 in 2008(0.88%), 15 of 228 in 2009(6.585%), 19 of 228 in 2010(39.91%), 6 of 228 in 2011(2.63%). So, it was enacted 50 percent, 50 percent were not enacted. Looking at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1,062 were applying for certification. 514 were certified organizations. Later on, social enterprises with closures, certification revocation, certification Return were 13. In fact, 501 is operating. Social enterprises in Korea have not been helpful to the disadvantaged which was not adapted the public sector and market segment. As a resul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ve to play the part of the leader. Of course, they have to overcome various the limitations and challenges with Social enterprises in Korea. 한국 정부는 사회적 기업을 제도화하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2007년 1월 13일에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제정하고, 2007년 7월 1일에 시행하였다.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 시행된 이후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였다. 광역자치단체의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조례는 2008년에 광역자치단체 16개 중 2개(12.5%), 2009년에는 16개 중 13개(81.25%), 2010년에는 16개 중 1개(6.25%)가 제정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기초자치단체는 2008년에 2개(0.88%), 2009년도 15개(6.58%), 2010년도에 91개(39.91%), 2011년도에 6개(2.63%)로 기초자치단체 228개 중 114개(50%)가 제정하였고, 114개(50%)가 조례를 제정하지 않았다. 사회적 기업 인증 현황을 보면, 신청 기관 1,062개 중에서 신청기간이나 검토기간 중 인증신청을 철회한 기관을 제외하고 999개를 대상으로 심의를 거쳐 514개를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하였다. 하지만 인증 이후 폐업, 인증취소, 인증반납 기업에 13개소로 실제 활동 중인 사회적 기업은 501개로 볼 수 있다. 사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데에는 기존의 사회적 기업이 공공부문과 시장부문에서 취약계층에 도움을 주는데 실패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지금의 사회적 기업 인증을 통해 정부와 지역이 협력하여 취약계층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모색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 관한 지원방식에는 다양한 한계와 과제가 노정될 것이 분명함으로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한국에서 사회적 기업이 성공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자력화와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송 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학 Vol.13 No.2

        이 논문은 광주광역시와 자치구의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적 기업의 자력화에 대한 지방정부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했다. 정부의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이 중앙정부 주도형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지방정부의 역할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지방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제도적 지원 및 행·재정 지원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이 확인되었다. 광주광역시와 일선 자치구는 인증단계별 지원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앙정부의 사회적 기업 지원 정책을 집행하거나 재정지원의 전달자 역할에 그치고 있었다. 지방정부는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데 있어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차원의 지속가능성 즉 지속적인 재화생산과 서비스 판매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경제적 차원의 지속가능성에 역점을 둔 지원정책은 사회적 기업이 인큐베이팅 단계이기 때문에 불가피한 측면이 존재하지만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자율성과 사회적 차원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지원의 필요성도 점차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자력화를 위해 지방정부는 우선 지역사회의 특성에 기반한 지원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제고와 함께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적 기업의 성격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자력화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the empowerment of social enterprises by analyzing the supporting policy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its municipal districts, Since the enforcing body of promoting policy for social enterprises is changing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local governmen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s now standing on the center of public attention. However,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local government toward social enterprise is still staying in lower level than expected. Even though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its municipal districts are enforcing their own supporting policy according to each certification level, the roles of them have been limited only as a communicator of the financial support or an executor of supporting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Given this re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o enhance the empowerment of social enterprises, the local government shall expand the boundary of social enterprise so that it shall fit for the various characters of each local community. Further,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local government to organize Task Force Team in charge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 work scope of such Task Force Team shall be focused on the support to the social enterprises so that the social enterprises may contribute to improve the inherent value of social enterprises and create justifiable social capital by themselves. Lastly, this study will propose that the supporting policy of local government shall be executed in the point of view from procedural rationality and transparency through which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enterprises shall be eventually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