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글로벌시대 초국가 기업의 장소마케팅이 지방도시의 로컬리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수정(Kim, Su-Jeong),신지연(Shin, Ji-Ye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4

        본 연구는 글로벌화 시대에 초국적 기업이 세계 각국에서 로컬화 전략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로컬리티에 관하여 비판적 고찰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스타벅스 코리아의 지역 마케팅이 이용자의 행동양식과 장소감 형성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커피 전문점이란 음료를 즐기는 공간인 동시에 서구사회로부터 유입된 신문물을 향유하기 위한 장소자산의 기능을 수행해왔으며, 1990년대 이후 초국적 기업의 한국 커피전문점 시장에의 진출로 이러한 기능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스타벅스로 대표되는 커피전문점은 커피를 문화상품화하여 이미지와 장소자산을 판매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글로컬라이제이션의 흐름에 발맞춘 장소마케팅이다. 스타벅스코리아에서는 국내 각지의 경관과 문화적 요소를 마케팅에 도입하였는데, 커피관련 상품으로서는 지역 한정 텀블러, 머그컵, 선불 카드 등을 판매하였고, 2015년부터는 스탬프 투어 이벤트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타벅스의 장소마케팅은 개인적 스케일에서는 소비문화가 중심이 된 허무한 장소감만을 형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역적 스케일에서는 지역 주민이나 지자체와의 협력구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상상의 지리로만 구성된 마케팅이 된다는 점에서 비판의 소지가 있다. 또한 글로벌 스케일에서도, 지역의 로컬리티를 이용하여 획득한 수입이 그 지역으로 환원되지 않고, 선진국의 초국적 기업의 본사로 흡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지역과의 상생은 기대할 수 없는, 진정성이 결여된 장소감과 로컬리티와 장소감만이 남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The formation of neo-liberal economic structure and the transformation into post-Fordism expanded demand for the products and places to satisfy emotional desires. Many enterprises attempt to utilize culture-place code in their merchandises and services.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ity-based local marketing by a multinational corporation in the glocalized era, investigate the influence to the sense of place of customers, and criticize the locality made by modern capitalist economy.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Starbucks Korea” launching various place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city-limited merchandises and a stamp tour campaign. In-depth interviews and discourse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arketing, customers’ sense of place into target areas of marketing,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1)Although individuals who are participating in place marketing try to feel satisfied to think that they actively seek and enjoy hip cultural contents which other people cannot recognize yet, they are just buying an image symbolized cursorily by Starbucks, and obtaining shallow sense of place to understand the locality with superficial images on the locals, 2) Since members of marketing team in charge of producing local marketing are limited to a few staffs within big companies and not from the locals they deal with, the imagery geography and imagery place images that leads to the superficiality and uniformity of the locality by a multinational company are sold, and 3) The linkage between local communities and company does not exist because profits from local marketing are immersed into the headquarter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rather than returned to the locals. The global trends of capitalist economy are still expected to expand the domestic flow of multinational companies that have huge capital. In terms of companies, the business strategies which reflect the localities of regions and make connections with local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long-term coexistence with the locals.

      • KCI등재후보

        로컬 콘텐츠의 가능성 탐구를 위한 연구

        정상윤(Sang-Yune Chu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4

        지역방송 콘텐츠의 경쟁력을 논의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촌스럽다’는 지적이다. 지역방송이 지역사회의 소재를 대상으로 하는 한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역방송에서 제작한 일부 프로그램들이 주목받고 있다. 프로그램의 재미뿐만 아니라 완성도나 실험성 등에 있어서 지역사회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전국화 가능성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산MBC에서 2004년 4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5년 8개월간 제작?방송한 <얍! 활력천국>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로컬 콘텐츠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작진들을 심층면접하여 프로그램의 기획의도, 구성 및 포맷, 성공요인과 시청자 반응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지역방송 콘텐츠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방송사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 제작진의 창의적인 기획과 열의가 합해질 때, 지역밀착적인 주제와 소재를 가지고도 얼마든지 성공가능성이 높은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시청자 규모나 광고수익이 제한적인 지역방송 환경에서 프로그램 제작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법?제도?정책적인 지원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When we talk about “competitiveness” of local broadcasting contents, “unsophisticated” is the word that we come up with first in our mind. Because it is hard to overcome the limit of restricted contents focused on local community. But now, some of good qualified local programs are getting attention from people. These programs are dragging huge support from local audiences by fulfilling the necessary conditions of having ‘interests’, ‘completeness’ and ‘experimental method.’ Also this state is making local programs more nationwide in Korea. This study is investigating possibility of local contents by studying <yap! hwallyokchunguk>, produced by Masan MBC,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04 to December, 2009. For this study, I interviewed producers in depth and analyzed ‘intention,’ ‘composition with format,’ ‘success factor’ of the program including with ‘audience reaction.’ After this, I suggested strategic plans for promoting the growth of local contents. As a result, I discovered programs with local-focused contents can also be successful and nationwide with some of crucial conditions: huge support from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creative producing method based on enthusiasm of producers, and constant interests of public. In addition to this result, I emphasized that we should establish more active policy plans to help local programs directly to overcome the local-restricted producing environment with a small scale of local audiences and limited local commercial profit.

      • KCI등재

        한국의 지역사회와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인천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윤상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39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theory of local communications in order to restore the communicative meaning of local places, and examine preliminarily the present conditions of local-participatory media policies focusing on the case of Incheon city. 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of local communication focusing on ‘space media', and examined the past five years's activities of two organizations, Incheon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IFAC] and Juan Community Access Media Factory[CAMF]. The point will b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local communications in Incheon, especially 'space media' as place of local communications began to be transformed about the late 2000s. Two cases, in which CAMF was establishing ties with local tiny library and undertaking media literacy, and in which IFAC was establishing ties with Su-Bong Public Library and Yeong-Jong Library and undertaking operation of cultural public library, shows how public library serves adequately as social space for interaction through social relations of local community. Also, local festivals of Incheon served mainly as place for communicating between local residents in that most of participants was local residents of Incheon. Secondly, IFAC carried out policy of arts and culture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relations between artists and various stratum of local residents, and carried forward Urban Renaissance Project and Public Art Project. These activities of IFAC built up a stable basis of local communications, facilitating participation in cultural events. Thirdly, CAMF built up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such as community centres, and carried out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various stratum of local residents. These activities of CAMF tried to find a way connecting between 'space media' and 'information media' within local society. 본 논문에서는 지역장소의 의미를 복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지역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논의하고, 그 틀에 기반하여 인천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참여적 미디어 정책의 현황을 시론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고는 지역장소의 의미를 복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에 대한 모색으로서, 확장된 미디어 개념에 입각해 참가형의 지역커뮤니케이션은 도시공간의 토지성을 매개로 한 다양한 ‘스페이스 미디어’에 의존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본고는 스페이스 미디어를 중심으로 인천광역시의 지역커뮤니케이션 현황을 살펴보는 한편,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에 개입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시도되었던 지난 5년간의 참여적 미디어정책 현황을 인천문화재단과 주안영상미디어센터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의 지역커뮤니케이션 구조, 특히 지역커뮤니케이션 활성화의 장소적 거점으로서 스페이스 미디어는 대체로 2000년대 말 무렵부터 변화의 징후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영상미디어교육을 지역의 작은도서관과 연계해서 추진하는 주안영상미디어센터의 사례나 수봉도서관과 영종도서관을 지역과 화합을 이루는 문화적 공공도서관으로 운영하고자 한 인천문화재단의 사례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정보센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09년 이후 인천의 지역축제는 참가자가 주로 지역민이었다는 점에서 지역민 간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인천문화재단은 일반 지역주민, 교사, 이주노동자, 새터민, 장애우학생 등과 같은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을 문화예술인과 관계 맺도록 하는 참여적 문화예술정책을 펴는 한편, 문화적 활력을 잃어버린 구도심 지역의 도시재생사업과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장소에 벌어지는 다양한 문화활동에 대한 지역민의 참여를 통해 지역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주안영상미디어센터는 협동조합, 주민센터, 마을도서관 등과 같은 다양한 지역공동체와의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이주민여성, 노인층, 장애우 등과 같은 지역사회 내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정보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스페이스 미디어와 정보미디어 간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천승세 희곡에서 로컬리티의 문제

        최상민 ( Sang Min Choi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41

        This paper is studying the Problem of ‘locality’ as examples Chun Seung Se’s drama work < The Irrigation Gate >, < Sluice Has Opened >, < A Ship Filled With Fish >in Korean Drama works. The ultimate purpose i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locality is not restore ``the Center`` narration. Instead, locality discourse raises a question constantly on dichotomous relation of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how does the relation breakup. The reason why Chun Seung Se’s drama work in this study get a problem is following two things. First, it is because his work will be able to discuss about the problem ‘the Periphery`` of ``the Center``, or ``the Center`` of ``the Periphery`` through the Keyword provinces/job/sex. Next, his work will be able to discuss about productive discuss in relation to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r the problem of combination. Study was made by upsetting for ‘human’ of local existence. The result revealing through this is as following. First, local/locality is horizontal in drama work of Chun Seung Se``s drama work. It is often violating modern identity ideology. This provides a new eyesight at the strategy of local/locality. Second, awareness of a reality direction showing Chun Sung Se is not the desire of ``the Periphery`` for ‘the Center’, but imagery of new locality. His direction is not the copy of ``the center narration``, and ‘recapture’ the center. This can be named of ‘Alternative locality’. 이 연구는 한국 희곡작품 가운데 천승세의 희곡작품 < 물꼬 > < 봇물은 터졌어라우 > < 滿船 > 등을 예시자료로 삼아 ‘로컬리티(locality)’의 문제를 살핀 것이다. 로컬리티의 문학적 재현에서 궁극의 목적은 중심의 서사를 복원하는 데에 있지 않다. 대신 로컬리티 담론은 중심과 주변의 이분법적 관계에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하고, 그 관계를 여하히 해체할 것인가에 모아진다. 본 연구에서 특별히 천승세의 희곡작품을 문제 삼은 이유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먼저, 그의 작품이 지역/직업/성별 등의 키워드를 통하여 ‘중심의 주변,혹은 주변의 중심’ 문제에 대한 논의가 가능케 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그의 작품이 개발시대 도시와 농촌관계의 공간구획에서 재현된 차별과 배제, 혹은 통합의 문제와 관련하여 어떤 생산적인 논의를 가능케 하리라고 믿은 때문이다. 연구는 로컬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천착을 통해 이뤄졌다. 이를 통해 드러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승세 희곡작품에서 인물을 통해 드러내는 로컬/로컬리티는 수평적이며, 종종 근대 동일성 이데올로기를 위반하는 것이다. 이는 로컬/로컬리티의 배치 전략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둘째, 작가 천승세가 보여준 현실인식의 지향이 중심에 대한 주변의 열망이라기보다 새로운 로컬리티의 형상화하는 데 있다. 그의 지향은 대타항으로서의 중심의 서사를 ‘모방’하고 나아가 중심을 ‘탈환’하는 데에 있지 않다. 이를 ‘대안적 로컬리티’라 일컬을 수 있다.

      • KCI등재

        북한의 지방문화의 획일화와 지방공동체의 해체

        박소영 ( So Young Park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0 북한학연구 Vol.6 No.2

        Local community can form people`s historical experience and inter-external relations, Local traditional culture significant role of maintained and strengthen of people`s local community, Therefore, local community dissolved during the local council was subordinated by central government, Central government compelled local people to follow there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central government had changed reinstate place name and reorganiza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e to change people`s consciousness, Moreover, they severly limited that it was strengthen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unity, local people`s popular belief and a village fte. Local culture and old custom was to be a clear subject, It was called ``inconvenience``, ``unsanitary`` , ``irrational`` and ``unproductive``, During the process, local`s characteristic rapidly disappeared and dissolved local`s community and identity.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홍순권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6

        The concerns about the local culture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local autocracy system began in the early 1990s in Korea. As a reflection of such a phenomenon, the concept of the glocalization or glocalism has widely spreaded so far recently in the academical society of Korea. The ‘glocalization’ is a newly-coined word which was combined with both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means that the today's world has inclination to develop both the glob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and contradicted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was used as a business terminology at least before 1990, but it is used now also as a cultural or sociological concept explaining the new phenomenon which happens between the regions(local communities) nowadays. The ‘Hanlyu’(the spread of the Korean styles) is often incited as one of examples which support such a view. The glocalization does not mean the parallel phenomenon of both the globalizaion and localization. It expresses a will to make the new form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word, it could be translated into the inter-local re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 It is generalized more and more rapidly in a few decades. It is a cultural-social phenomenon internationally, bu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cutural imperialism. Today the great concern about the glocalism demands the new recognition on the local culture. That is, we have to study and interpretate the local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calism. Because the local culture is not the sub-culture subjective to the national or global culture, but it belongs to its independent category of the local culture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In short, the space of glocal cuture explained as a local space and a global space at same time. This explanation of cutural space, so-called ‘the culture glocalism’ is supported by the culture theorist such as Ramond Williams and other theorists on cultural scienc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explain the glocal phenomenon of culture in the past pre-modern society as well as in modern or post-modern society. Through all the times the best example of the glocal cultural space is the city. As we know, the city has been and is now the symbolic spa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ill be good examples of the research if we want to study the urban culture as a local culture at this time from the view of the glocalism. So, I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culture, history, and the other social sciences about the 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more deeply the phenomenon of the cultural glocalism in the 21th century. 최근 학계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글로칼적인’ 세계화의 중요한 특징은 교류의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지역단위 또는 개별 생산단위 주체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확대된다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자립’과 ‘지역과 지역간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차원 수평적 관계의 새로운 공동체간 관계의 형성이라는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다. 오늘날 글로컬리즘에 대한 관심의 고조 현상은 세계화에 대응한 지역(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도 조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지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산업화의 관점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은 ‘글로컬리즘’ 시대에 걸맞은 지역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로컬리즘에 의한 지역문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글로컬리제이젼을 문화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면, ‘글로컬리즘’이란 인간적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화가 생산되는 공동체로서의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개념이 된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동시에 자국적인[지역적인] 공간’이 ’글로벌-로컬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의 발전이 바로 ’글로컬리즘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 공간을 해석하는 문화이론이 곧 ’문화-글로컬리즘‘이다. 지역문화는 중앙과의 관계 속에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생산과 소비, 그 양자를 매개하는 유통의 문화공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즉,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는 민족문화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자립화와 국제간 교류(세계화)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민족문화의 범주를 뛰어넘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도시문화의 실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도시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 또는 글로컬리즘 시대의 도시화, 즉 지역문화의 이상적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오늘날 도시문화의 특징적 현상인 이주문화, 다문화 또한 글로컬리즘의 해석이 요구되는 지역문화 연구의 주요한 과제이다.

      • KCI등재

        재정분권의 선결조건으로서 지방재정법의 개선과제

        전주열 한국법제연구원 2020 법제연구 Vol.- No.58

        By substituting the proposition “Suum cuique” into fiscal decentralization, we can say that it is giving local finances to the provinces. It is fiscal decentralization that allows locals to receive local finances and do local work without external interference. In the 「Local Finance Act」, similar contents are stipulated in principle. It is stipulated that the cost of self-governing affairs is pai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at the state must provide expenses for national affairs. However, this principle is not observed. Facts cannot be observed. As used in the actual law, 'local finance' does not refer to local financial resources. Refers to the total amount of finances operated locally. On the other hand, in some areas, the division of office expenses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is strictly institutionalized. This is the area of the National Treasury Grants under the 「Subsidy Act」. In this area, the cost sharing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is explicitly set. In addition, each execution history is classified and accounted for. In order to secure local finances in the provinces, local finances must be separated from other local finances. This distinction is possible as a separate accounting process. To do this, the role of the province must first be clear. Office distribution is a prerequisite for fiscal distribution. The question of whether to give more roles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is a matter for the people to judge. It is a matter of national choice between national equity and regional diversity. However, in order for fiscal decentralization to be legally feasible, a fiscal legal system corresponding to the dual status of the province must be in place. “각자에게 각자의 것을”(Suum cuique)이라는 명제를 재정분권에 대입해 보면, 지방에게 지방의 재정을 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방이 지방의 재정을 가지고 외부 간섭을 덜 받으면서 지방의 일을 할 수 있다면 재정분권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지방재정법」에 서도 비슷한 내용을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자치사무의 경비는 지방이 부담하고, 국가사무의 경비는 국가가 제공하여야 한다는 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원칙이 지켜지는지 여부를 알기 어렵다. 지방의 집행하는 어떤 사무에 일정한 재정이 투입될 때, 그 재원이 지방의 것인지 국가의 것인지 현행 법제도에서는 명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정법상 ‘지방재정’은 지방의 재원을 일컫는 것이 아니다. 지방에서 운용되는 재정 전체를 일컫는다. 사무유형에 따른 경비 분담 원칙 뿐 아니라 대부분의 지방재정 관련 법제가 지방에서 집행되는 재정 전체를 전제로 설계되어 있다. 반면, 국가와 지방 간 사무 경비 분담을 엄격히 제도화하고 있는 영역도 있다. 「보조금법」에 따른 국고보조금은 어떤 사무에 국가와 지방이 각각 얼마의 비용을 분담할지 명시적으로 정하고 각각의 집행 내역이 구분되어 회계처리된다. 지방에 지방의 재정을 확보해 주려면 지방의 자체 재정이 다른 지방재정으로부터 구분되어 회계처리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의 역할 즉 자치사무가 다른 사무와 구분되어야 한다. 사무분권은 재정분권의 선결조건이다. 국가와 지방 간 어느 쪽에 더 많은 역할을 줄 것인지는 국가적 형평성과 지역적 다양성 간에 주권자가 선택할 문제이다. 그러나 분권의 양(量)과 별개로 재정분권이 법제도적으로 가능하려면 지방의 이중적 지위에 상응하는 재정법적 제도가갖추어져야 한다.

      • 의식의 공간으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정치

        배윤기(Bae Yoon-G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이 글은 자기 준거적인 재현과 대안적인 정신적-물질적 경관을 위하여 ‘의식의 공간’을 둘러싼 경합과 갈등에의 개입을 기획하는 (신)식민 사회의 탈식민화 노력들과 나란히 로컬 연구의 자리를 정초해보고자 하는 한 시도이다. 이런 기획의 전개를 위해 나는 로컬을 위로부터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로컬화가 일어나고 있었던 의식의 공간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서구적 근대성의 지배 하의 지구화 시대에는 위로부터의 로컬화가 그 군사적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제국의 영토 뿐만 아니라 식민지에서도 절대적으로 만연한다. 나는 의식의 공간이 어떤 사회의 ‘지식의 통치’로 수립되는 정신적-물질적 경관에 의해 대체로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또한 다른 위치에서 봤을 때, 그 의식을 성찰할 공간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여기서 탈식민화는 로컬 현실들로서 시작될 수 있다. 초월적 개념이 아니라 상이한 로컬화를 위한 의식들 사이의 경합과 갈등의 과정적 개념으로서 로컬은 생성 로컬리티를 창출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서구와 토착 엘리트에 의해 부과되는 이식 로컬리티에 저항적인 아래로부터의 로컬화는 자기 땅과 사람들과 로컬 현실들과 관련하여 자기의식적 성찰과 실천적 연대로부터 생성된다. 그것은 비판이론으로서의 로컬리티로 향하는 길을 윤곽지어 줄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base a position of 'local studies' on a place beside the positions of de-colonial attempts in neo-colonial societies. It is a project that is to intervene in the terrain of the contest and conflict among social forces over 'space of (social) consciousness' for a self-referential representation and an alternative mental and material landscape within localities. To develop the project, I suppose that a local be space of consciousness where localization from above and below could have been occurring. But in the globalizing era under the western modernity, localization from above exclusively prevails the territory not only of the empire but the colony on the basis of its military and technological advantages. Robert P. Marzec shows us the enclosure movements in England as a typical model that had made the ideology of imperialism a material reality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knowledge' in a global scale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with enclosures creating a new ploblematic that formed a nexus between the growing colonial cultural order, the domestication of foreign lands and peoples, monopoly capital,' and the related master narratives. I think that space of consciousness is in most part determined by the mental and material landscape established by the administration of knowledge in a society, but is also could be space of reflection upon the consciousness on a different position. From here, de-colonization could begin with local realities. This paper examines the arguments of two scholars, Kim, Young-Min and Cho, Hee-Yeon, to critically explore and reflectingly construct indigenous localization against localization from above, recently named the neo-liberalist globalization. Local, not as transcendental concept but as a process of contest and conflict among consciousnesses of different localizations, opens possibilities of probing a path to create generative locality beyond the border of naturalized locality. Localization from below against naturalized locality imposed by the West and the indigenous elite is generated from self-conscious reflection and practical solidarity with reference to their own land, peoples, and local realities. It will reasonably connect the dots the way to generative locality as a critical theory which, I think, should be projected by the humanities of locality.

      • KCI등재

        로컬 지배 카르텔과 로컬 정체성 형성의 주체 투쟁 - 강원남부 폐광지 사북을 중심으로 -

        조명기,배윤기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硏究 Vol.- No.6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nstructing patterns of the relations among contesting subjects over a local identity and the representing mechanisms of localization. Our exploring tries to study Sabuk, Gangwon-Do as a case. We also try to find the competing relations between local subjects and class subjects as resistant subjects in a locality. Sabuk at the present is a locality in which a village of coal mine and a city of casino as symbolic systems are conflicted and contested, and simultaneously an inter-instrumental relationship has been established between those. The relationship has had two faces, because the symbolic systems are based on the same localization mechanism through the metonymic-metaphor as a way of representation. Various groups in Sabuk apply this mechanism to the way of selecting and explaining the events in the history of Sabuk. 3ㆍ3 Struggle in 1995 succeeded to unite the locality as a mytonymic space in a metaphoric order. For gaining an initiative in Sabuk, the groups have now excluded the heterogeniety and class identity in the present symbolic system as a village of coal mine calling up not Sabuk Uprising in 1980 as a metaphoric space but 3ㆍ3 Struggle. They are willing to sustain or depend on the synecdoche transformed as a powerful logic of domination. The selective articulations of the metonymic-metaphor and the synecdoche have made the way to define the present symbolic system as the local identity. This mechanism has removed differences in the locality. As a result, it has naturalized the present relationship constructed by localization from above and blocked the paths for creative participations from below(the minor) having been alienated from the local processes in the locality. 본 논문의 목적은, 강원도 사북을 사례로 삼아, 로컬 정체성을 둘러싼 주체들의 관계 양상을 살피고 로컬화의 메커니즘을 살피는 데 있다. 나아가 저항 주체로서 로컬과 계급의 길항관계를 살피고자 하였다. 현재의 사북은 탄광촌과 카지노라는 두 상징체계가 갈등ㆍ경합하는 동시에 상호도구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장이다. 이 양면적 관계는 두 상징체계가 환유적 은유라는 동일상 로컬화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메커니즘은 탄광촌이라는 상징체계를 전면화하는 사북의 각종 단체들이 사북의 역사를 선택하고 설명하는 방식에도 적용된다. 은유의 세계였던 사북사건보다 환유의 세계를 은유의 질서로 규합하는 데 성공했던 3ㆍ3 투쟁을 적극 소환함으로써 탄광촌이라는 현재의 상징체계에서 이질성ㆍ계급성은 배제된다. 그리고 강력한 지배논리로 전환된 제유를 유지하거나 그것에 적극 의지한다. 환유적 은유와 제유의 선택적 결합은 탄광촌이라는 상징체계를 로컬 정체성으로 규정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이 메커니즘은 로컬 내의 각종 이질성을 삭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위로부터 기획된 현재의 관계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고, 각종 권력에서 소외되었던 소수자들의 창조적 참여를 봉쇄하는 결과를 빚기도 한다.

      • 글로벌 시대의 로컬리티 인문학

        이창남(Lee Chang-N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

        본 논문은 로컬리티 인문학을 위한 시론적 글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개념과 그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의 과제를 글로벌한 시대적 과정과 더불어 고찰한다. 글로벌화는 역사적 과정이며, 그에 따라 로컬, 로컬리티의 모습도 변화한다. 따라서 논문은 로컬, 로컬리티의 개념을 글로벌과 연동하여 일종의 관계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연구 대상과 범주의 설정을 물리적 지역성 보다는,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글로벌-로컬의 관계, 기술적 변혁을 통한 지역의 탈경계화 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인문학적 의미의 로컬, 로컬리티 연구를 위하 여 방법론으로서 기존의 지역학과 문화학을 결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 한편 로컬리티 인문학의 실천적 과제들을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글로벌 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의 지점으로서 인문학적인 의미의 로컬 연구는 오늘날 발호하는 전 지구적 신식민주의에 대응하여 로컬에 강요된 왜곡된 표상들을 벗겨내고, 타자화된 로컬과 로컬인들의 가치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로컬과 로컬인들의 표상은 그러한 글로벌한 흐름 속에 끊임없이 왜곡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 극복은 다원적인 로컬과 로컬인들의 모습을 복원하기 위한 로컬리티 인문학의 궁극적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the setting of the concepts and targets of studies of locality and the local as a part of the humaniti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locus, the etymological origin of the word 'local' contains diverse meanings indicating placeness, social origin, spritual attitud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the local could be regarded as relational to the global. And the relational meaning of the local derived from its contrast to the concept of the global makes it possible to take into account many actual contemporary isseus, which override the traditional territorial borders of nation-states. Following Spivak it suggests also the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area studies and cultural studies as a methodological ground of the local and locality studies. The changed econom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we face force the academic study of the local and of localities to overcome, on the one hand, the paradigm of traditional area studies, which has been predominantly represented by the interests driving the cold war and which are now being revitalized in the aftermath of 9.11. On the other hand, studies of the local and locality within the humanities should try to escape from the orientation of humanities traditions in developed countries from the era of imperialism, which has concentrated on some of the main european languages and cultures. They should look, for example, for the so-called subaltern cultures in identifying their important issues. This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could be the main methods of the newly conceived humanistic inquiry into the local and locality. Thinking the Others and thinking of borders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era of the globalization. There should be a greater focus upon otherness and inbetweeness, which summarize the everyday experience in globalized cities and locals. If studies could avoid the danger of localism or traditionalism in the negative sense, they could address the challenge of global capitalism, which forces everything into the same exchange value system. Neo-colonialism has become dominant beyond the old territorial colonialism. If the value of humanity is forced to be subjected to this limiting economic and spiritual environment, the goals of local and locality studies as a part of the humanities should settle upon the protection of such local values from the undoing processes of globalization. In this sense the politic of difference and coalition within and between locals is proposed as the motto of humanistic inquiries into the local and locality in the era of the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