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문학사의 젠더

        소영현 ( Young Hyun S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일은 무엇이며 또 어떻게 가능한가. 학계와 문단에 폭넓게 근대의 자명성에 대한 회의가 시작된 1990년대 이후로, 근대, 민족, 문학, 역사에 대한신화 깨기가 돌이킬 수 없는 방향성을 획득했다. 이에 따라 탈근대 담론의 영향 아래 문학사서술의 무용성이 의문의 여지없는 귀결로서 인식되었다. 그간의 문학사 서술의 실질을 돌이켜 보건대, 이러한 추론은 역설적으로 문학사 서술의 완전무결성과 실현가능성을 상정하고 있었다고 해야 한다. 문학사 서술의 불가능성이 문학사 서술의 무용성으로 오해된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는 문학사 기획이 내포한 불가능성과 그로 인한 반복적 재기술의 필요성을 세분해서 사유할 필요를 요청한다.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일이자 그 일환으로서의 ‘여성’ 문학사의 재기술 가능성을 논의하는 작업은 우선적으로 그간 어떻게 ‘여성문학’ 연구가 게토화되었는가에 대한 재검토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작업이 갖는 탈근대적 비판으로서의 성격이 그것의 역설적 불가능성을 입증하게 하는 정체성론에 기반해 있음을 짚어봄으로써 ‘여성문학사’ 기술과 ‘여성문학’ 연구가 갖는 방법론적 딜레마를 단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문학과 정치를 가로지르려는 시도가 직면하는 난점과도 다르지 않은 이 딜레마를 해소하기 위해 ‘여성문학’ 연구는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로 통합되어 들어가는 한편, 여성문학에 대한 관심 자체의 저하와 함께 왜소화되고 게토화된 경향이 있다. 여성문학 연구의 왜소화는 현실사회의 ‘여성’의 재배치로부터 야기된 것이다. 이는 여성문학 연구의 게토화가 곧바로 여성문학 연구에의 요청을 무효화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더구나 2000년 이후로 글로벌리즘의 전면화와 함께 가족주의에 함몰된 ‘엄마’의 출현을 야기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보자면 모순의 배리 속에서도 여전한 여성연구의 필요성이 역설된다. 여성문학 연구는 한편으로 새로운 문학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모색을 전진시켜 나아가는 동시에 글로벌리즘과 결합한 가부장제의 역습으로 대표되는 현실사회의 불평등과 부조리에 비판적으로 대항하기 위해 여성문학 연구를 지속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자면 여성문학 연구의 유의미성은 여성문학 연구 방법론이 불러오는 ‘차이/ 보편’의 배리의 정치학에서 분출되는 것이라 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요컨대 여성 문학사를 포함한 복수의 문학사 서술 기획이 반복적으로 요청되어야 하는 것은 여성문학 연구가 문학에 대한 관점의 재조정, 문학에 대한 가치와 독해법을 둘러싼 새로운 발견, 나아가 소수자/ 타자라는 키워드로 불거진 현실사회의 시스템의 재고를 겨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What is the gender of literary history and what does it gendering the literary history? It has started to doubt self-evidence of modernity and myth of modernity, nation, literature, history in the field of academia and literary world since 1990’s. Then, It was decided that no need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under the post-modernity discourse in the field of academia and literary world. I argue that there has been a misunderstanding about the uselessness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t has been recognized the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s the uselessness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nd then, it has been needed to the deep consideration what is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t needs to rethink the meaning of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 think that it means the necessity of re-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repeatedly. For gendering the literary history and re-description ‘women’ literary history, it needs to review what does it make the ‘women literature’ studies minimized at first. I examined that there was a methodological dilemma of description ‘women’ literary history and ‘women literature’ in terms to theory of identity. For resolving that dilemma, ‘women literature’ studies have been changed the field into that of gender / sexuality studies and in other hand, ‘women literature’ studies has been minimized within decreasing the interest of women literature. Paradoxically, it reveals that minimizing of ‘women literature’ studies did not mean the un-necessity of ‘women literature’ studies. Moreover, we also meet represented ‘mama’ in relation to patriarchy in literature within the force of globalism since 2000’s.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women / women literature’ studies to making the new methodology for criticize the literature and to criticize inequality and absurd of women’s real world / everyday life under the complexity of globalism and patriarchy.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women literature studies would occur in politics of ‘difference / universe’ which made methodology of ‘women literature’ studies work. Eventually, I argue that ‘re-writing the literary history’ including the women literary history can be needed the reason why developing the ‘women literature’ studies means that readjusting the viewpoint of literature, rediscovering the value and evaluation of literature, and rethinking the minority’s real world and that system.

      • KCI등재

        조선족문학의 민족 정체성과 『연변문예』 매체사

        김성수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Joseon people’s identity during the period of the “Anti-Rightist Struggle”(1957~59) and the Cultural Revolution(1974~79) in Chinese literary field through media analysis of the Yŏnbyŏn munye(Yanbian Korean literary magazine). Founded in 1951, the Yonnby̆n Munye became the material foundation of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people in Yanbian. This magazine was published in the Arirang, Yeonbyeon Literature, and Yeonbyeon, but was clos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magazine was published with the aim of spreading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policy and the idea of “supporting North Korea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protecting the country.” Through this magazine, ethnic cultural heritage and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who are ethnic minorities in China, were distributed to ensure their national identity. However, the Korean identity of Arirang, a literary magazine where very rich creation and criticism were unfolded, was damaged by “Anti-Rightist Struggle.” In addition, due to the Cultural Revolution, the national literature written in Korean by the Chinese ethnic Koreans was defined as revisionism, localism, and pedigree, and was rejected and devastated. Even the Yŏnbyŏn munye(1974~76), which was republished in 1974, was only a propaganda site of the “Birim Bi Gong Movement” in the second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However, in the period of “Reform and Opening”, the identity of the Chinese ethnic Korean Literature, which was almost destroyed by the Cultural Revolution through the theoretical struggle of Yŏnbyŏn munye(1977~78), has been restored. It is confirmed that the historical trend of the Chinese ethnic Korean Literature see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media history of Yanbian Korean Literature has secured a certain degree of literary independence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Chinese ethnic Korean after many twists and turns.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to interpret this as a focus on the nationalistic identity of the Korean diaspora literary culture. This is because it is also only a Seoul-centered and cultural imperialist sub-acquisition. 이 글에서는 연변 조선족의 한글 문예지 연변문예 의 매체 분석을 통해, 조선족의 정체성이 중국문학장의 ‘반우파 투쟁’(1957~59)과 문화혁명 전후(1974~79)에 어떠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는지 살펴보았다. 연변 조선족문학의 물적 기반이었던 문예지 연변문예 는 1951년 창간되어 아리랑 (1957~58), 연변문학 (1959~61), 연변 (1961~66)으로 이어지다가 문화혁명으로 폐간되었다. 연변문예 는 소수민족 문자인 한글로 표기되어 중공 당 정책과 ‘항미원조(抗美援朝), 보가위국(保家衛國)’ 사상을 전파한다는 목적으로 창간되었다. 조선족문학의 민족적 정체성을 기준으로 볼 때, 그들의 민족문화유산과 문학적 정체성을 일정 정도 확보한 측면도 중요하다. 하지만 창작의 백화제방과 비평의 백가쟁명이 펼쳐졌던 아리랑 (1957~58)지의 조선족 정체성은 반우파 투쟁으로 훼손되었다. 게다가 문화혁명(1966~76)으로 조선족의 한글 민족문학은 수정주의, 지방주의, 혈통주의로 규정되어 황폐화되었다. 1974년 복간된 연변문예 (1974~76)지조차 문화혁명 2기의 비림비공운동의 선전지에 불과했다. 그러나 개혁개방기 연변문예 (1977~78)의 이론 투쟁을 통해 문화혁명으로 궤멸되다시피 했던 조선족 민족문학의 정체성은 상당 부분 회복되었다. 연변 한글 문예지의 통시적 매체사 분석을 통해 본 조선족문학의 역사적 흐름은, 중국 당국의 정책 선전지로 출발하여 우여곡절 끝에 조선족의 문학적 독자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일정 정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이를 두고 코리언 디아스포라 문학 문화의 민족주의적 정체성 위주로 해석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그 또한 서울중심주의와 문화제국주의적 아전인수일 뿐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이창래의 Native Speaker의 한글번역본 비교연구 : 번역가의 두 가지 다른 시선

        이형진 ( Hyung Jin Lee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6 No.-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two translators, reflected into the two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 of Native Speaker (1995), the first novel written by the Korean-American novelist Chang-rae Lee. As literary translation is a product of another form of the translator`s personal reading of the text,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often indicate different perspectives of translators toward the original text, and these differences becom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work, more than endless debates regarding mistranslation of the text. Hyun`s Korean translation of 1995 attempts to situate Lee`s novel under the umbrella of Korean literature, considering the theme of the novel as Korean immigrants` nostalgia for Korean culture and identity. This perspective leads to more natural translation with the frequent use of Korean cultural equivalents, trying to remind Korean readers of cultural connection to the author. However, Chung`s translation of 2003 views Lee`s novel as part of contemporary American literature which deals with the alienated life of immigra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America in which these immigrants are required to create a new kind of hybrid identity. This perspective is reflected in Chung`s careful attention to word choice, sentence structure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ten found in poetry translation. However, this difference does not exclusively derive from the translators` personal views on the novel. Rather, it has been critically influenced by the elevated status of the writer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ntemporary American writer, not anymore Korean-American writer. Also, more careful attention in Chung`s translation to the writer`s style and literary identity leads to the translator`s efforts to keep Lee`s linguistic elegance and literary style intact in the translation, often creating poetic effect. Literary translation is never a form of perfect and omniscient reading of the text by a translator, and, in this sense, analyzing translators` perspectives reflected in the translations of the same novel provides a valuable tool to understanding the tex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신화의 문학교육적 의미

        이강엽 ( Lee Kang-yeop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글은 신화의 문학교육적 의미에 대해 탐구한 것으로, 먼저 신화를 보는 시각에 대해 살핀 후, 문학교육에서 유의할 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신화를 보는 시각은 대체로 역사적 접근, 제의적 접근, 구조적 접근, 심리적 접근으로 나뉘어졌으며, 그에 따라 신화의 문학교육적 의미로 상징적 해석 능력 확장, 정체성 찾기, 서사구조의 학습 등이 도출되었다. 첫째, 신화를 상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신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언어의 내적 의미를 파악해야만 한다. 흔히 신화에서 인격체나 자연현상, 동식물로 나타나는 많은 것들이 특수한 신성 체험과 관련되는 것들이다. 이런 상징적인 해석능력을 키우이 위해서는 설명을 시도하기보다는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탐구해보도록 유도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이다. 둘째, 신화 주인공은 신비 체험을 거친 후 완전히 거듭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과업을 깨닫는데 그것이 바로 정체성 확인이다. 학습자가 먼저 신화 내용을 잘 파악한 후, 신화 주인공에 동일시하고 자신의 삶을 가다듬도록 한다면 특히 성장기의 학생들에게 주는 교육적 의미가 크다. 이 정체성은 성적(性的) 정체성이나 집단적 정체성까지 확장될 수 있다. 셋째, 신화 역시 서사문학이라는 점과 특히 유사한 내용의 작품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사구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신화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신화가 현세에 없는 질서를 희구하고 그 질서가 처음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핵심적 내용을 지식으로 일러주기보다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깨닫도록 유도하는 편이 효과적이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meaning of myth from a standpoint of the literary education. To achieve the aim, first of all, I investigated the point of view about myth. The viewpoints of myth were classified into history approach, ritual approach, structural approach and psychological approach. It leaded the meanings of myth in literary education, i.e. expansion of ability through symbolic interpretation, inquiry of identity and the studying of narrative structure. First, in order to interpret myth by symbol, we must grasp inner meaning of the language which appears frequently in myth. The many things appearing with personality body, natural phenomena and the animal and plant in myth are related with the special sacredness. So as to raise that ability, it is important to guide students in reaching subjective study, compared to the studying sleeping. Second, mythical hero after mysterious experience is completely newborn, and he recognizes what is his task. This process rightly is true identity characteristic confirmation. After grasping a myth, if students could identified oneself in the mythical hero and in order to set in good order the life of oneself, specially education meaning which it gives to the students of growth period is big. This can be expanded to sexual identity and group identity. Third, from the point which myth is a narrative literature, students are able to study a narrative structure more efficiently. Through process students studied myths, it will be able to verify that myth desires the order of an ideal land, and it shows the process which that order comes to make initially. But, it is effective to make students recognize the kernel of myth by various study activity more than teaching directly.

      • KCI등재

        Qualitative Meta-analysis of College Students' Reflection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ir Identities through Literary Therapy

        김명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Vol.13 No.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use qualitative meta-analysis to investigate the introspection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engaged in literary therapy to fin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y in th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college students' identities. Based on the methods of Na Jang-Ham(2008)'s qualitative meta-analysis research approach, a total of 8 KCI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 in this research. As a major result of this, first, technical topics from a personal perspective were 'Facing a New Me', 'Self-Negativity Due to Other Sensitivity', 'Enlightenment through Self-Reflection', 'Improving Self-Positivity and Self-Esteem', and 'Inner Discovery through Reflection', and 'Inner Healing through Reflection' as comprehensive topics. Technical topics from a social perspective were 'Life without a Goal', 'Life where I am the Main Body in My Life', 'Elifeter with Me and You', and 'Pursuing an Other-Oranented Life'. Comprehensive topics include 'Other Oriented Attitudes through Reflection' and 'Practicing Other Orientation through Reflection'. Personal and societal aspects were used to generate a total of 8 technical themes and 4 comprehensive topics. The following are thorough interpretations and conclusions based on technical and comprehensive topics: The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in literary therapy was found to be extremely beneficial in the development of a healthy sense of identity in college students' personal and social lives. Therefore, literary therapy based on self-reflection and other art treatments will be developed, and ongoing research will be required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build a healthy sense of self.

      • KCI등재

        <온달설화>의 서사적 구조를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문학치료 방안 탐색

        김영순,황해영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This study attempted literary therapy approach to establish a healthy identity of Korean married immigrant women by using <Ondal narrative>. The research suggests the difficulties of forming a healthy identity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of Korean marriage imm6igrants to international marriage, and suggests a literary therapeutic alternative us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Ondal tales. In this study, we used the proven narrative, classical literature, to help the marriage migrant women to develop healthy self - narration, an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reestablishing a healthy identity is centered on their human relations. The research suggests that self-narratives can provide a confidence that a happy life can be managed by providing a literary therapeutic alternative to establish a healthy identity.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itively pointed out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can utilize classical literature in their programs for establishing a healthy identity and that they can have an expected effect o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Korean language ability. 본 연구는 <온달설화>를 활용하여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한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학치료적 접근을 시도했다.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한국문화 적응과정에서 건강한 정체성형성의 어려움에 대하여 제시하고 온달설화의 서사적 구조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검증된 서사인 고전문학을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건강한 자기서사를 이끌어 낼 수 있게 도와주며 나아가 건강한 정체성 재확립에 대한 가능성을 그들의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에서는 자기서사를 통하여 건강한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학치료적 대안을 마련함으로써 그들이 행복한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을 건강한 정체성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구성에서 고전문학을 활용하여 그들의 한국문화 이해 그리고 한국어능력 향상까지 기대효과를 걸 수 있다는 것이 긍정적인 부분으로 부각시킬수 있었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 <곰이 되고 싶어요> 속 작은 곰의 자아정체성 형성과정과 그 의미 -동화 『곰이 되고 싶어요』와의 비교를 통하여-

        조영주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7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4 No.-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narrative distance of two works, the animation The Boy who wanted to be a Bear and the fairy tale The Boy who wanted to be a Bear recreated on the basis of the animation and its meani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a personin both works, and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making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in the works and the process which a little bear forms the ego identity through the viewpoint of literarytherapy. Section 2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imation and the fairy tale around the features of characters in the works. In the animation, the good parenting attitude of a mother bear was highlighted and the encounter with a little bear girl, the girl friend, was described as the important element. Meanwhile, in the fairy tale, the mother bear recognized the limit as the parent in the process caring a little bear, the son of a human being, and depended on the crow’s assist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parents and a son was emphasized.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narrative distance was made between both works may be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the author recreating the animation into the fairy tale to follow the narrative logic of the original work pointing out that ‘a mother bear can raise a good human child.’ Section 3 examined the aspects that the little bear, the main character, built the relationship with characters in the works along the narrative line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therapy. The problem of a little bear who came back to his biological mom while have been raised by a bear was that he didn’t accurately establish his ego identity whether he was a bear or a human being and that he didn’t recognize the life that he really wanted. The animation described a mother bear that kidnapped and cared a little bear as the exemplary existence who raised a good boy who could be independent and find out the ego identity. Then, the animation emphasized the process that a little bear who successfully completed separation – individuation, recognized his own wish and formed the narrative of a man and a woman beyond the narrative of a child through the process making relationship with a little bear girl. Unlike the animation, the fairy tale emphasized that the mother bear recognized the limit in caring a human boy and the little bear recognized his identity as a bear through the help of other characters. The process which characters made the relationship was different because of such difference in the narrative structure. Accordingly, the fairy tale The Boy who wanted to be a Bear failed to show the process which a little bear established the ego identity by himself unlike the original animation work. 본고에서는 작품에 나타난 인물들의 특성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곰이 되고 싶어요>와 이를 동화로 재창작한 『곰이 되고 싶어요』의 대비적 고찰을 통해 두 작품의 서사적 거리와 그 의미를 밝히고,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작품에 나타난 인물들의 관계 맺기 양상과 그에 따라 작은 곰이 자아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절에서는 작품 속 인물들의 특징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과 동화의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엄마 곰의 훌륭한 양육태도가 돋보이며, 이성 친구인 소녀 곰과의 만남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동화에서는 엄마 곰이 사람의 자식인 작은 곰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부모로서의 한계를 자각하고 까마귀의 도움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며, 생부모와 아이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더 부각된다. 이처럼 두 작품 사이에 서사적 거리가 발생하게 된 이유는, 애니메이션을 동화로 재창작한 작가가 ‘인간의 아이를 엄마 곰이 훌륭하게 길러낼 수 있다’는 원작의 서사논리를 따라가기 어려웠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3절에서는 서사의 흐름에 따라 주인공 작은 곰이 성장해가면서 등장인물들과 맺는 관계양상을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곰에 의해 양육되다가 생모에게 돌아오게 된 작은 곰이 갖고 있던 문제점은 자신이 곰인지 사람인지에 대해 정확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본인이 진정으로 원하는 삶이 어떤 것인지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작은 곰을 납치하여 기른 엄마 곰이, 결과적으로는 소년이 독립하여 자아정체성을 찾을 수 있도록 훌륭하게 양육하는 존재로 그려졌다. 그리하여 부모로부터 분리개별화에 성공한 작은 곰이 자신의 소망을 자각하고, 소녀 곰과의 관계 맺기를 통해 자녀서사를 넘어서서 남녀서사를 구축하기까지의 과정이 강조되었다. 이와 달리 동화에서는 엄마 곰이 인간 아이를 양육하며 한계를 느끼는 모습이 부각되면서, 작은 곰이 다른 등장인물들의 도움에 의해서 곰이라는 정체성을 부여받게 되는 과정이 강조된다. 이러한 서사 구성상의 차이로 인해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 맺기 양상이 달라지면서, 원작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동화 『곰이 되고 싶어요』는 작은 곰이 스스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실패하게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 KCI등재

        캐나다 코리안 이민사회의 형성과정과 문학의식 - 문예잡지 『캐나다문학』의 소설을 중심으로 -

        김환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4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Canadian Korean immigration society and the community of the representative cultural art field and reviewing the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iterary journal/ work collection (focusing on the novels of Canadian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 of Canadian Korean immigration society is deeply related to missionaries, miners/ nurses dispatched to Germany, technicians dispatched to Vietnam, livestock husbandry trainees, and remigrants via South America, and the communities such as ‘Korean School/ Hangul School’ as well as ‘Korean Association’ were activated. Particularly, The representative community in cultural art field was ‘Canadian Korean Literary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77, and it is remarkable that the bulletin literary journal Saeul (later Canadian Literature) was published firstly in North America.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works included in the representative journal Canadian Literature is summarized as ‘Symbol of hometown (homeland) and return consciousness’, ‘The ‘wall’ in reality and stranger's consciousness, and challenging spirit’, ‘National identity’, ‘Life of miners and nurses dispatched to Germany’, ‘Natural environment of the continent and local history and culture’, ‘Daily life of immigration society and surrounding stories’, etc. Such literary subject consciousness can be said to symbolically show the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phenomenon along with historical stream of Korean immigrants/ immigration society who settled down in Canada. However, there are lots of tasks to be settled in their literature such as originality and independence of immigration literature, guarantee of quality level, cultivation of next generation, and coexistence of Korean works and English works, etc. Nevertheless, a work to search the history and culture related to Korea and the texts related to literature one by one dispersed on the whole world including Canadian Korean literature texts is valuable. Because such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texts related to immigrants/ immigration society is a way to preserve the immigration history of diaspora,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and succeed their independence and identity. 본고는 캐나다의 코리안 이민사회의 형성과정과 대표적인 문화예술분야의 커뮤니티를 짚어보고 문예잡지/작품집『캐나다문학』의 소설 중심으로)에 나타난 주제의식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캐나다의 코리안 이민사회의 특징은 선교사, 파독 광원/간호사, 월남파병 기술자들, 축산연수생, 남미를 경유한 재이주자들과 관련이 깊고, ‘한인회’를 비롯해 ‘한국학교/한글학교’ 등의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어 있다. 특히 문화예술분야에는 1977년 출범한 ‘캐나다한국문인협회’가 대표적이고 기관지인 문예잡지 『새울』(후일 『캐나다문학』)을 북미지역 최초로 발간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표적인 잡지 『캐나다문학』에 수록된 작품의 주제의식을 살펴보면 ‘고향(조국) 표상과 회귀의식’, ‘현실의 ‘벽’과 이방인 의식, 그리고 도전정신’, ‘민족적 아이덴티티’, ‘파독 광부와 간호사의 인생역정’, ‘대륙의 자연환경과 현지의 역사문화’, ‘이민사회의 일상과 주변이야기’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문학적 주제의식은 캐나다에 정착한 코리안 이민자/이민사회의 역사적 흐름과 함께 사회문화적 변용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문학에서는 이민문학의 독창성과 주체성, 질적 수준의 담보, 후속세대 양성, 한국어작품과 영어작품의 공존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캐나다의 코리안 문학텍스트를 비롯해서 전지구촌에 흩어진 코리안 관련 역사, 문화, 문학 관련 텍스트를 일일이 찾아내고 검토 분석하는 작업은 소중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이민자/이민사회 관련 텍스트 조사와 연구가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이민역사를 기록으로 남기는 일이고 동시에 그들의 주체성과 아이덴티티를 유지계승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설화 <하룻밤 인연의 아버지 찾은 아들>과 애니메이션 <니코>에 나타난 아버지 부재와 자녀의 정체성 탐색 양상

        김혜미 ( Kim Hye-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7 No.-

        설화 <하룻밤 인연의 아버지 찾은 아들>과 애니메이션 <니코>의 서사적 상동성을 밝히고, 여기에서 나타나는 자녀의 정체성 탐색에 대한 의미를 밝혔다. 두 이야기의 서사적 구조는 세 단계로 동일하게 나타난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가 인연을 맺게 되는 부분, 둘째, 아이가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고 난 후 아버지를 찾기 위해 길을 떠나는 부분, 셋째, 아들이 아버지를 찾고 행복하게 사는 부분이다. 이렇게 두 이야기의 각 단계가 조응된다고 볼 때, 첫 번째 부분은 자녀가 자신의 존재의 근원이 결핍된 부분을 찾아내는 것으로 보았다. 두 번째 이러한 결핍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웅형 아버지를 찾아내어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한다. 이는 자녀가 자신은 특별한 사람이라고 인식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녀는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정체성을 찾은 후 두 가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는 바로 `가족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을 선택하거나, `자신이 독자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곳`을 찾아 나가는 선택을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tructual homology between the folklore < Finding father > and the animation < Niko >, and the literary works analyzed with focusing on the identity of the child. The literary work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mother and father have sex once. Second, leaves to find the child`s father. third, Child live happily. Correspond to each stage of a two-story. The first step, child seek fundamental deficiency. The second step, he child is searching for the identity. And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the hero-father. The third step goes in two directions. They are `pursuit of stability in family`, `finding a place to own activity`.

      • KCI등재

        대안 이야기 탐색을 위한 서사 결합에 대한 연구 -<여우구슬> 설화를 중심으로-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4 No.-

        이 논문의 목표는 설화와 설화 간의 결합이 갖는 치료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우구슬>이라는 설화 유형이 어떤 설화들과 주로 결합해 왔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결합 양상별 치료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이야기치료의 대안 이야기 개념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야기치료에서는 사람과 문제를 분리시키고 문제의 원인을 내담자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있는 지배이야기에서 찾는다. 이것은 문학치료학에서 인생살이의 근원적 원인을 자기서사에 있다고 보는 것과 같다. 또 이야기치료에서 이야기를 지배 이야기와 대안 이야기로 구별하고 병의 원인과 치료의 출발로 삼는 것처럼 문학치료에서도 고착된 자기서사와 개선된 자기서사를 구분하고 자기서사의 개선은 고착된 자기서사에 대한 거리두기에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를 동일한 서사로 다루는 문학치료의 이론에서 보자면 작품서사가 형성되어 가는 양상으로부터 자기서사에 대한 거리두기의 모습들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단일 설화가 서로 결합하면서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 과정은 문학치료에서 자기서사에 대한 거리두기와 함께 대안이 되는 자기서사로의 이동 과정에 해당한다. 분기점에서 다른 설화와 결합하는 것은 지금까지 배제해 왔던 서사의 길을 복원하는 것으로 기존 설화 흐름에서 누락했던 문제에 대한 재검토와 관련되며 그것은 자기서사에 대한 거리두기와 연결된다. 배제한 서사의 복원은 다른 유형의 설화 결합을 추동하는 바, 서사의 결합은 기존 설화의 정체성을 변화시켜 새로운 지향을 지닌 설화로 거듭나게 할 수 있는 치료적 기능을 담보하고 있다. 따라서 서사 간 결합은 작품서사의 생산 원리인 동시에 그와 유사한 내용을 자기서사로 전유하는 내담자들의 서사적 성장 및 인간적 성숙을 가능케 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therapeutic meaning of combining two or more story types. For this reason, this paper analyzed the aspect of the types of narrativ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story “Fox Jewel.” Furthermore, in order to explain therapeutic meaning, we used the concept of “Alternative Story: which attracts attention in narrative therapy. The results are as follows. Narrative therapy separates the problems from the people. Narrative therapy can identify the cause of the problem, which is the story of control that defines the client`s identity. This is similar to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a lifestyle is related to the concepts of “self-epic” from literary therapeutics. Treatment with narrative therapy also starts with dismantling the story of control and discovering alternatives. Likewise, literary therapeutics think that improvements in self-epic begin with putting a fixed self-epic distance. However, the epic theory espoused by literary therapeutics treats the concepts of self-epic and work-epic as the same . The process by which the story type changes the orientation and identity through Story Binding is very important. It is a key indicator that can guide the client especially when placing a distance to his or her self-epic. Through comparison with < Fox Jewel > combined with other story, we realize another possibility of < Fox Jewel > hiding. Every story has a branch point that can connect with other stories. If there is a connection with other types of stories at such a branch point, the specific type of story will change its grand identity. The changing of the identity of a story by combining with other stories means that reviews are being reexamined on issues that have been missing from a story type. In conclusion, the material on connection between stories is important. It provides a good model for the client`s self-epic to gr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