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애 마지막 단계에서 공유된 의사결정을 통한 연명의료결정 모델 연구

        권경은(Kwon kyeung eu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9 생명윤리 Vol.20 No.1

        2018년 2월 4일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의료현장에서는 연명의료결정법이 생기기 전후 모두 가족에 의한 결정이 주를 이루고 있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죽음은 한사람의 고유한 사건이면서 가족과 사회의 공동체적 사건으로 의사와 환자 그리고 가족의 공동 숙고과정을 거쳐 준비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공유된 의사결정을 통한 연명의료결정모델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생애 마지막 연명의료 결정은 의사의 충분한 설명하에 환자의 의향과 가치관을 존중하여 가족과 충분한 대화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의식이 있을 때 결정하도록 연명의료계획서 시기를 앞당기고 공유된 의사결정 수가마련과 함께 생애 마지막 단계의 경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연명의료 교육전문가 양성을 통해 가족에게 필요한 죽음교육 및 현장 의료인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On February 4, 2018, the Act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 for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and dying process was implemented. In the medical field, decisions are made by family members both before and after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 law, and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decision-making process in respect of patients" self-determination. Death is a unique event, a family event and a community event that needs to be prepared together with a process of meditation by doctors, patients, and families. This study is a study that suggests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 model through shared decision mak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End of life medical care decisions should be made with full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intentions and values and sufficient dialogue with the family, with the doctor"s full explanation. In order to support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accelerate the period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medical plan and decide on the consciousness. And death education and on-the-job training for the family should be activated through nurturing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시대의 세대 간 소통 증감 인식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기호(Kiho Park)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17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24 No.1

        Due to development of smart and network technologies,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become popular in daily life. With increasing use of SNS, the scope of communication has been widened. Lots of activities can be easily shared daily on SNS. Differing with opinions about more activated communication on SNSs, some people have viewpoints that, in some cases, communications may be decreased among SNS users.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may be th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in the social network age. Major concern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age related to the decrease of communica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related to the increase of communication. Two research steps have been adopted that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was to understand. Defining actual communication status was the first step, and an empirical approach, a survey to verify hypotheses, was performed as the second step.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at older generations perceived communication has been decreased.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SNS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사회적 매체(Social Media)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 증감에 미치는 영향 : 정보교환양의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기호(Park Kiho)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1 경영과 사례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매체(실시간 대화앱과 생활공유서비스) 시대에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와 정보교환량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동기 및 의문점으로는 첫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정보교환의 양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정보교환의 양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보교환의 양이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인가? 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단계는 탐색적으로 의사소통 실태에 대해 정성조사 기법인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고, 2단계는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 조사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 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정보교환의 양은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온라인 의사소통은 증가하였으나 오프라인 의사소통과는 무관하였다. 사회적 매체의 정보교환양은 사용빈도와 온라인 의사소통 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보였다. 사회적 매체 사용빈도가 정보교환양 변수보다 온라인 의사소통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매체의 사용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음으로 사회적 매체의 등장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부정적 혹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긴 어렵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affects quantity of communic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interchange in the age of social media.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terchange was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Also, as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communication activities were increased, but it was not related to offline communic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interchange in social media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frequency of use and communication increase.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had a greater impact on online communication than information interchange. In this study, the use of social media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offline communication, so it is hard to think that social media had a negative or positive effect on offline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academia and industry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