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실시간 원격 화상 한국어 어휘론 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KF 글로벌 e-스쿨 인도네시아 UPI대를 중심으로

        이영희(Lee, Young-Hee),데위 실비아 리아디나(Sylvia Riadina Dewi)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9 No.1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UPI대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시간 원격 화상 ‘한국어 어휘론’ 교육에 대한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 만족도 및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 만족도 조사 결과, 화상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강의 전 기대를 충족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특히 강의 내용과 평가, 강의 자료, 강의 언어 등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불안정한 인터넷 연결 등이 가장 큰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강의 전 기대 충족도는 여러 변인과 가장 많은 관계를 보였으며 강의 자료에 있는 현지어 번역은 통계적으로 매우 중요한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원격 화상 ‘한국어 어휘론’의 효율적인 수업 운영을 위해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은 강의실 접속형이면서 개인 데스크톱과전체 학습자를 볼 수 있는 카메라가 있는 형태의 교육 환경이 효과적이다. 강의실 전면에강의 영상과 자료가 보이고, 학습자마다 데스크톱으로 동일한 자료를 볼 수 있도록 하고헤드폰으로 좋은 음질을 확보하여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없애야 한다. 둘째, 교수실재감을 높이면서 교수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LMS의 구축, 온라인 도구의 적극적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실시간 화상 원격 교육용 ‘한국어 어휘론’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 교재는 일반 강의 교재보다 느슨한 교수요목과 구성이 필요하며 강의 개요와 강의 목표를 명료히 제시하고 연습 문제와 시각자료, 번역, 주요 용어 풀이 목록 등을수록하여 해외 한국어학 전공자의 한국어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troduce the case study of real-time online class ‘Korean Lexicology’ for UPI University, analyze class satisfaction, the variable correlation, and make suggestion for the class. As a result of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overall the result shows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ecture contents, evaluation, materials, and language. The result also showed unstable internet connection was found to be the biggest difficult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expectations before lectures started had the most correlation with various variables, and the local language translation in materials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online class ‘Korean Lexicology’. First, decent equipment such as personal desktop, a camera, and headphone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effectivity of the class. Second, the LMS preparation should be well prepared. Thir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Korean Lexicology’ textbook for the online class.

      • KCI등재

        語彙研究の現状と展望

        姜炅完(강경완)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2017년-2018년 2년간 한국의 일본어학계에서 공표된 어휘연구에 관한 논문에 관하여 그 성과를 개관하였다. 어의, 어형(어구성, 어종, 위상), 어휘체계, 통시적 어휘연구, 사회문화적 어휘연구의 7개의 범주로 나누어 각 분야에 있어서의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전체적으로 유의어를 중심으로 한 어휘체계의 연구가 활발하였고 어의와 어휘조사에 관한 연구도 늘었으나 어구성, 어종, 위상에 관한 연구는 전기(지난 2년간)에 비해 줄어들었다. 어지(語誌), 유의어나 오노매토피어의 의미변화에 관한 통시적 연구, 문화를 반영하는 어휘와 미디어를 경유하여 사회적 가치관을 형성하는 어휘의 모습에 관한 사회문화적 연구, 유의어의 구별법과 콜로케이션 추출법, 멀티미디어코퍼스의 일본어교육에의 응용 등의 코퍼스 어휘연구가 활황을 띤 것이 금기 2년간의 어휘연구의 특징이었다.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역사언어학적 어휘연구, 사회언어학적 어휘연구, 대조언어학적 어휘연구, 코퍼스 어휘연구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한국의 어휘연구에는 斎藤・石井(2011)에 정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휘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어휘론을 뛰어넘어 방언학, 문헌학, 민속학, 페미니즘, 정보학, 심리학 등 실로 다양한 학문을 횡단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outlines the results of articles on lexicalogical research published in the Japanese academic community in Korea for two years from 2017 to 2018. The research trends in each field are summarized into seven categories: word meaning, word form (word composition, word type, social styles), structure of lexicon, lexical survey, and socio-cultural lexicology. In general, research on structure of lexicon centered on synonyms has been active, and research on word meaning and lexical survey has increased, but research on word composition, word type, and social styles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two years. A study on the change of meanings of synonyms and onomatopoeia, a socio-cultural study on the lexicology that forms social values through vocabulary and media reflecting culture, and the corpus lexicology researches which are the method of collocation extraction, the application of multimedia corpus to Japanese education were booming. In the later Korean vocabulary research, there is a study on vocabulary research as well as recent history linguistic vocabulary research, sociolinguistic vocabulary research, comparative linguistic vocabulary study, and corpus vocabulary research as well as Saito and Ishii (2011) It is hoped that cross-disciplinary studies such as dialectology, philology, folklore, feminism, information science, and psychology are expected.

      • KCI등재

        영건의 궤영건의궤류의 차자 표기 연구 -표기법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김연주 ( Yeon Ju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04 韓民族語文學 Vol.45 No.-

        This study aims to enlarge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Lexicology`, by studying special charateristics of borrowed characters in Yeonggeon Uigwe that is published lively in the age of Modern Korean. Uigwe is a documentary literature of the whole process In the national rites, In which the masters, persons, goods and expense etc. that is mobilized In the events are described in detail. This literature is very useful materials, social and cultural, economical aspects at that time to study, Especially, one can search rich linguistic materials In the persons and sorts of stuffs, receptacles which is utilized in the events, All the terms shown in Uigwe were recorded in Chinese, but most of them represent substantially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Accordingly, the study of this words in Uigwe may contribute to enlargement of the Korean and support to understand an instituitions and customs In the past.

      • KCI등재

        전문용어의 체계와 관계에 대한 탐색

        엄태경(Eom, Tae Kyoung)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이 글은 전문용어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그 범위와 범주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전문용어의 체계와 관계를 어휘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전문용어를 어휘의 범주에 포함하여 어휘의 팽창 혹은 어휘의 변이로 다루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전문용어가 어휘에 포함된다기보다 서로 구분되지만 교집합적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2장에서 어휘와 전문용어는 일반 언어와 전문 언어의 구성 요소이며, 개별 단어와 개별 용어들의 집합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전문용어는 연구자들이 어느 부분에 중점을 두고 정의하느냐에 따라 유연하게 바뀔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어휘론의 연구 방법에 따라 전문용어를 분석하였다. 일반 어휘와 전문용어는 형태·통사적 결합 관계 중, 합성, 파생, 혼성에서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통사 구성 관계에서 전문용어는 일반 어휘의 관용구에 비해 의미적으로 투명한 차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어휘론의 의미적 계열 관계는 동의, 반의, 상하, 부분 관계로 나눌 수 있다. 전문용어 역시 이와 같은 관계로 나눌 수 있지만, 총칭 관계와 포함 관계로 나누어 살피는 것이 전문용어론의 방식이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 of terminology and discuss its boundaries and categories. An examination is provided of the system and relationship of terminology from a lexicological point of view, 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re explored. Previous studies considered terminology within the boundaries of lexicon and discussed lexicon expansion and lexicon variation. Howev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meanings of the two different words terminology and vocabulary have intersection of sets, rather than on simply considering terminology from within the boundaries of lexicon. Chapter 2 defines terminology and lexicon as components of both general language and special language, and sees them as a pair of individual words and individual terms. It has been found that terminology can be flexibly used depending on a researcher’s own definition and focus. Chapter 3 analyzes terminology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s of lexicology. Among the syntagmatic relations of lexicon and terminology, compounding, derivation, and blending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from a syntagmatic perspective, terminology has a seman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idioms in general lexicon. Next, the semantic paradigmatic relations of lexicology can be divided into synonymous, antonymous, hypernymous/hyponymous, and meronymous relations. Terminology can be divided into the same categories, but this shows that the methodology of terminology is based on dividing into generic and partitive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Взаимоотношения исторической лепксикологии и исторической стилистик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김진규 한국러시아문학회 2004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16 No.-

        고대러시아어의 어휘와 텍스트 연구가 전통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분야는 역사어휘론이다. 하지만 최근에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언어해석학(깜차뜨노프)이나 역사문체론(따를라노프, 꼴레소프)은 기존의 연구방법에서는 놓칠 수밖에 없었던 고대러시아 텍스트의 언어 및 문체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결과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본 논문은 러시아어 변천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한 텍스트(고대러시아 번역필사본 “꿀벌”)를 중심으로 이러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한 시도이다. 러시아어의 전통적인 어결합의 핵심어로서 문화적으로 비중이 높은 몇몇 개념어들을 원전의 그리스어 대응어휘와 세밀하게 비교하고 문맥에 따라 의미-문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고대러시아어의 어휘 자체뿐만이 아니라 이를 통한 고대인들의 세계관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고대러시아의 번역텍스트가 지니는 러시아어사에서의 의미와 역할을 번역기법의 차원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언어적 변이형들을 각각 어휘적 변이형, 의미적 변이형, 문체적 변이형으로 분류하여 텍스트의 문맥과 기능에 따른 미세한 의미적 분화를 추적하여 보았고 (благо - добро, истина - правда, радость - веселие, гневъ - ярость, хытрость - художьство, животъ - житие - жизнь, лаяти - поносити - поругати - хулити), 결과적으로 이 세 가지 유형의 경계구분을 정확하게 할 수는 없지만 대략 해당 그리스어 원전의 어휘와의 대응관계를 통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의 장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많은 경우에 이들 어휘-의미적 변이형들은 문체적 변이형으로 점진적으로 발전하면서 고대러시아 시기에는 현대적 의미의 문체가 존재하기 어렵다는 일반적 통념에도 불구하고 어휘의미의 다양한 문체적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대러시아어 번역텍스트는 러시아 민족문학어의 형성과정에서 귀중한 의미를 지니는 언어자료를 많이 제시하며, 역사어휘론과 역사문체론적인 연구방법의 공통된 지향점은 각각 출발지점은 다르지만 어휘와 텍스트의 집중적인 연구를 통해서 고대러시아인의 언어세계관을 규명하는데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震檀學報』와 국어학에서의 어휘론과 방언학의 정립

        이상신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9

        본고는 『震檀學報』 1호(1934년)부터 48호(1979년)까지에 실린 국어학 논문 중 어휘론과 방언학 분야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사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2장에서는 어휘론과 방언학에 해당하는 논문을 확정한 뒤에 어휘 혹은 방언 분야와 부분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논문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 3장에서는 李崇寧(1966)과 金完鎭(1973)을 대상으로 하여 어휘론에서의 연구사적 의의를 알아보았고, 4장에서는 李翊燮(1972ㄴ, 1976ㄱ, 1979)와 李秉根(1973)을 대상으로 하여 방언학에서의 연구사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진단학보』가 우리 국어학의 성립에 공헌한 역할을 어휘론과 방언학의 측면에서 관찰할 수 있었는데, 어휘론 분야의 경우에는 『震檀學報』 2호의 「魚名雜攷」를 필두로 하여(이 논문은 방언학 분야에 속하기도 함) 통계적 관점의 연구(「詩歌에 나타난 植物名의 語彙論的 考察」)와 통시적 관점의 연구(「國語語彙磨滅의 硏究」) 등이 있었고, 방언학 분야의 경우에는 역시 「魚名雜攷」를 필두로 하여 지역방언 논문(「江陵 方言의 形態音素論的 考察」, 「東海岸方言의 二重母音에 대하여」)과 사회방언 논문(「韓國 漁村 言語의 社會言語學的 考察」) 등이 있었다. 국어학에서의 어휘론과 방언학의 성립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이들 논문을 통해 국어학 성립기의 연구가 후대 국어학의 전개와 발전에 미친 영향을 엿볼 수 있었다. 그 영향을 한마디로 정리하는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지만, 관견(管見)을 무릅쓰면 그것은 체계화를 통한 어휘론과 방언학의 정립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 KCI등재

        Theory and Practice of Lexicographic Definition

        Igor Mel’čuk,Alain Polguère 서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2018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19 No.4

        The paper offers a rigorous characterization of the notion of lexicographic definition: a minimal paraphrase formulated in the same language as the word defined and satisfying six lexicographic principles, which are formulated and discussed. The major types of semantic components in a lexicographic definition are identified and described: firstly, central vs. peripheral components, semantic-class marking components, presuppositional components, actant-specification components, weak components, and metaphor-marking components; secondly, conjunctive and disjunctive components. Three additional topics are introduced: the roles that the definition plays in a lexical entry (accounting for the semantic, syntactic and lexically restricted cooccurrence of the headword); lexical units whose definition is problematic; lexical connotations and semantic labels. Though the perspective offered on lexicographic definition is theory-oriented – within the framework of Explanatory Combinatorial Lexicology (ECL) –, a strong emphasis is put on the writing of actual definitions, a couple dozen of which is proposed and analyzed.

      • KCI등재

        마케도니아어 표준어 생성과정에서 불가리아어의 영향 연구

        김원회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y and the diversity between Macedonian and Bulgarian lexicon. As it is well known, Macedonian and Bulgarian have the same mother tongue, Pro-Slavic, Common Slavic and Old Church Slavic Language. That’s why two languages have similar Slavic language features in their lexicons. On the other hand, in spite of this historical background, contemporary Macedonian and Bulgarian have many different linguistic features. This diversity comes from social linguistic factors and their language contacts with other Balkan languages. These features are outstanding also in their lexicons. In this paper was analyzed the lexicon of these two languages with the help of Macedonian-Bulgarian dictionary(as a low data material). This paper consists from following 3 main chapters. They are chapter 2, Macedonian, Bulgarian and Serbo-croatian, chapter 3, Similarity and diversity between Macedonian and Bulgarian lexicon and chapter Appendix, Similarity and diversity between Macedonian and Bulgarian modal adverbs. In the chapter 2, I will compare the Macedonian language with Bulgarian and Serbo-croatian from general linguistic view points. In the chapter 3, I compare the lexicons that were selected from the Macedonian and Bulgarian dictionary. I classify the results and make 5 sub-groups (AA type, AA’ type, AB type and ABC, ABD type). In the appendix, I compare the Macedonian modal adverbs (for place, time, manner and degree) with Bulgarian modal adverbs.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는 동일한 모태언어인 공통슬라브어와 고대교회슬라브어 시기를 공유하는 언어들이다. 동일 모태어의 영향으로 두 언어의 언어구조는 매우 유사하다. 명사류에서 격변화의 상실, 고대 지시대명사의 후치정관사적 이용, 인칭대명사 단 어미 형태의 빈번한 사용 등에서 동일한 언어적 특징을 보여준다. 동사류에서는 고대어의 영향을 그대로 간직한 다양한 종류의 과거시제 형태가 대표적인 공유자질이다. 반면, 근세이후 사회적-정치적 격변에 의한 분석적 언어구조 도입과 어휘적 다양성 출현은 두 언어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보여준다. 두 언어에서 보여 지는 분석적 언어구조는, 현재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발칸언어학적 특성으로 간주되며 주변의 루마니아어, 터키어, 그리스어 등의 영향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어휘적 다양성과 차이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마케도니아어가 구 유고 연방에 속해있던 기간 동안 많은 수의 세르비아어 어휘를 주로 채용하게 되면서 야기된 비교적 최근의 언어적 현상이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마지막에 기술된 표준어 생성 당시와 그 이후 마케도니아어에서 나타나는 어휘적 다양성과 불가리아 어휘와의 차이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1단계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를 섭렵하고,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 세르비아어의 대표적 언어특징을 비교, 기술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마케도니아어를 표제어로 하여 불가리아어 어휘와의 비교 작업을 진행하였고, 그 유사성과 상이성의 정도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두 언어 사이에 상이한 어휘적 특성이 나타나는 경우 그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특히 3단계에서는 추가적으로 공간과 시간, 방법, 양상 등을 표시하는 부사어구들을 분석해보고 Appendix로 실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마케도니아어의 표준어 형성 과정에서 불가리아어의 영향은 슬라브 언어적 기반 위에서 이루어졌으며, 어휘적 영향력은 대단하였다. 그러나 마케도니아어 자체적인 음성-음운적 변이도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이 경우 세르비아어의 영향은 상당한 수준이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국어 어휘론의 연구 대상으로서 어휘 범주와 어휘 범주 분류의 체계화

        박동근 ( Park Dong-geun ) 한말연구학회 2021 한말연구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list of lexical categories in Korean and to systematize them. Ultimately, it is to establish the status of as a sub-field of Korean linguistics. For this resarch, 『Korean linguistics Yearbook(2001-2014) was used. And then the following new classification system was proposed. ㆍ lexical categories associated with meaning - lexical categories denoting names - lexical categories representing awareness - lexical categories representing values ㆍ lexical categories irrelevant to meaning - lexical categories according to register - lexical categories irrelevant to register ㆍ lexical categories of out-of-system This classification system can cover the existing Korean lexical categories. And it can also contain new lexical categories. The same subcategories have common properties and share similar methods when conducting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