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LSRP; 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타당화 연구: ESEM과 RSM를 중심으로

        박소향,서종한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2 경찰학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LSRP), gender difference, item’s discrimination, and differential item function(DIF). First,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ESEM), the factor structure of LSRP was searched. As a result, the four-factor model consisting of ‘materialism’, ‘egocentrism’, ‘callousness’, and ‘impulsivity’ was finally selected. Second, multi-group(male vs. fem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finally configural invariance and metric invariance identity of the LSRP four-factor model were identified. Third, a rating scale model(Rasch) was performed, and unidimensionality for the four LSRP factors was also found as well as the four-point Likert scale was appropriate. In the item×persons map, LSRP's items generally responded appropriately to the person's ability level, but could not reflect persons with a very low ability level. In addition, by exploring the suitability of the items, one item with an inappropriate coherence index was identified, and the validity of LSRP was verified through the search for the separation index and reliability search. Finally,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DIF) was not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This study significantly showed that LSRP has a robust evidence-based measurement that could be used regardless of gender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의 타당화이다. 이를 위해 요인구조, 측정동일성, 문항난이도, 차별기능문항을 탐색하였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탐색적 구조방정식 모형을 기반으로 LSRP의 요인구조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물질만능주의’, ‘이기주의’. ‘냉담성’, ‘충동성’으로 4요인 구조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남성 vs. 여성)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LSRP 4요인 구조에 대한 형태동일성과 부분측정단위동일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Rasch 모형을 적용한 결과 일차원성과 4점 리커트 척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피험자x문항 분포 탐색 결과 LSRP의 각 문항은 전반적으로 피험자의 능력수준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능력수준이 매우 낮은 피험자는 측정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항적합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2개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의 적합도 지수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리지수 및 신뢰도 또한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외에서 사용 중인 LSRP를 다양한 방법으로 타당화하여 엄격한 수준의 요인구조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LSRP가 국내에서 성별과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사이코패시 측정도구로써 활용되기에 적절함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LSRP; 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의 타당화 : 한국 수용자를 대상으로

        이유경,박소향,서종한 아시아교정포럼 2021 교정담론 Vol.15 No.2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LSRP; Levenson Self- Report Psychopathy scale)는 레빈슨 등(Levenson et al)의 연 구자에 의해 개발된 사이코패시의 행동 및 성격 특성을 평가하 기 위한 도구이다. 국내에서도 연구가 이뤄진 바가 있으나 비수 감자 집단에 한정되어있으며 수감자 집단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수감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탐색적 요 인분석을 실시하고 국내 수감자에게 적합한 LSRP의 요인구조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한국 수감자 집단을 대상으 로 하여 LSRP를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전 국 단위 교도소에서 300명의 수감자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목표회전, 모형 수정을 통해서 도출했으며 2, 3, 11, 18, 21, 23 문항을 삭제하여 총 20개의 문항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4개의 요인으로 ‘물질만능적 사고방식’, ‘조종적인’, ‘자기중심적인’, ‘비계획적인 생 활태도’의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남성 수감자를 대상으로 LSRP의 타당화를 과학적으로 증명하였 으며 LSRP의 경우 국외와는 달리 국내에서 다른 요인구조를 보 임을 밝혀 특정 문화를 반영하여 개발된 측정도구를 국내에 도 입할 경우 서로 다른 문화의 특수성을 구성요소에 반영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which is developed by Levenson, Kiel and Fitzpatrick, is a scale that can evaluate psychopath’s behavioral and personality trai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but they are limited to noninstitutionalized groups and was not suitable for domestic inmat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factor analysis on a inmate groups and demonstrate LSRP’s factor structure suitable for inmates. The samples consisted of ~ inmates. The result was examin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argeted rotation, and model modifications and question number 2, 3, 11, 18, 21, 23 was deleted in the process. Afte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cess,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4 factor model was fit to the data. This study validated LSRP with the domestic inmate groups and revealed that LSRP has a different factor structure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This result shows that a scale developed to reflect a particular culture need to consider cultural differencies to be used in Korea.

      • KCI등재

        확장판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E–LSRP)타당화 연구

        이수빈,서종한 대한범죄학회 2022 한국범죄학 Vol.16 No.3

        The Expanded–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E-LSRP) is a psychopathy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Christian & Selbom in 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E-LSRP for Koreans. To this e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ed from 504 ordinary Koreans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After that,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factor structure deriv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s appropriat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540 ordinary Koreans. Finally, 9 items were deleted, and for a total of 27 items, the four-factor structure of ‘egocentrism’, ‘materialism’, ‘callousness’, and ‘impulsivity’ was found to be suitabl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it was confirmed that each item was a subscale that wa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sychopathy measurement tools LSRP and SD4, confirming the convergence valid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LSRP was validated for the general public in Korea through EFA and CFA procedures and presented a different factor structure from the previous one, and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확장판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Expanded–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E-LSRP)는 Christian & Sellbom이 2016년에 개발한 사이코패시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E-LSRP를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 일반인50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구조를 탐색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구조가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일반인 54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9개의 문항을 삭제한 총27개의 문항에 대하여 ‘자기중심성’, ‘물질만능주의’, ‘냉담성’, ‘충동성’의 4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각 문항들이 서로 변별되는 하위척도임을 확인하였고, 사이코패시 측정도구 LSRP 및 SD4와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EFA 및 CFA 절차를 통해 국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E-LSRP를 타당화하고 기존과는 차이가 있는 요인구조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이러한 결과에 더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LSRP) 비교문화연구 : 한국과 미국의 일반인 및 수감자를 대상으로

        박소향,서종한 한국보호관찰학회 2023 보호관찰 Vol.23 No.2

        본 연구는 비교문화관점을 바탕으로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에 대한 타 당화 연구를 실시하여 문화권에 따른 LSRP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두 국가의 일반인 및 수감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측정동일 성 검증을 통해 LSRP가 사이코패시 측정도구로써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탐 색하였다. 그리고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한국과 미국에서 나타나는 하위요인 간의 차 이점을 확인하였고, 차별기능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에 따른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 집단에서는 형태동일성과 부분측정단위동일성이 확립되었으며, 수감자 집단에서는 형태동일성과 측정단위동일성이 확립되었다. 잠재평균분석결과, 표본의 집단과 관계없이 이기주의 요인과 냉담성 요인은 한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반사회성 요인은 한국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 기능문항을 탐색한 결과, 이기주의 요인과 반사회성 요인의 일부 문항이 차별기능문 항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냉담성 요인에서는 차별기능문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문화관점을 바탕으로 LSRP를 타당화함으로써, LSRP의 측정 동일성을 검증한 국내 첫 번째 연구로써 큰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SRP according to culture by conducting a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based on the cross-cultural point of view. To this end, data on the general public and inmates in two countrie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used. Through measurement equivalence, we explored whether LSRP can be commonly used as a psychopathic measurement tool.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factors appearing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as confirmed through the latent mean analysis,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tems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ial function items. As a result, configural invariance and partial metric invariance were established in the general public group, and configural invariance and partial metric invariance were established in the inmates group. As a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egocentricity and callous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 regardless of the group of samples. However, the antisocial fact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Korea.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differential functional items,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items of egocentricity and antisocial were differential functional items, but there were no differential functional items in the callousness factor.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a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verify the measurement equivalence of LSRP by validating LSRP through cross-cultural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