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통죄 위헌결정에 대한 연구: 집단적 법감정의 변화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설시를 중심으로

        김종현 ( Jong Hyun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5 법과 사회 Vol.0 No.50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Article 241 (Adultery) in Criminal Act infringes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secret and right of privacy and violates the Constitution. This decision has affected our society very deeply, and pros and cons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Also, in this decision, the justices provided a concrete instruction about various positions related to legal emotions of the public on adultery. Thus, this study summarized preceding studies of the decision of this case and looked into the main poi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oncerning legal emo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was found: First, the justices very specifically instructed a variety of awareness of legal emotions of the public regarding adultery; second,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contained incompatible details about legal emotions of the public regarding adultery; and third, the supportive opinions on adultery law’s unconstitutionality including the majority opinion did not present corroborative evidence that could support changes in the legal consciousness of our society. In the decision of this case, the supportive opinions on adultery law’s unconstitutionality mentioned changes in the legal emotions without presenting empirical corroborative evidence as a result of the following interrelated reasons: Most of the empirical data like the results of the surveys were not favorable to the abolition of adultery, the Constitutional Court had made a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ity of adultery over four times, the decision was closely related to legal emotions and ethical beliefs of the public, and in particular, it was an issue regarding punishmen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had attached importance to whether there were changes in legal emotion about adultery since before. Since collective legal emotion has a character as a fact which can be found empirically and experientially by majority rule, there is a concern for the likelihood that the discord shown by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supportive opinion on unconstitutionality concerning legal emotions of our society concerning adultery may weaken trust in the written decis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ollowing facts comprehensively, in the decision of this case: The supportive opinions on adult law’s unconstitutionality presented sufficient grounds for an argument; the essence of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is, rather than conformity to the majority’s legal emotion, the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which should not be infringed even by that; and the justices that have more information about laws than the general public do should present a different opinion depending on the issue, it is not considered that supportive opinions on adultery law’s unconstitutionality should have considered changes in the legal emotions of the public regarding adultery. Also, supportive opinions on adultery law’s unconstitutionality would have been more persuasive if it had presented empirical data as complementary evidences rather than predicating entire change of legal emotions without corroborative evidence.

      • KCI등재후보

        법감정(法感情)의 인식론적 가능성 연구

        전해정(Jun, Hae Jeo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26 No.2

        20세기 이후 세계적으로 감정에 대한 철학적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법철학 분야에서는 감정연구가 싹트기 어려웠다. 그것은 감정에 따른 판결이 자의적이고 객관성, 타당성, 합리성이 없는 것으로 치부되었기 때문이다. 이성의 우월성을 근거로 하는 법실증주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법추론자는 법적 의사결정과정에서 감정을 배제하도록 교육받는다. 이성에 따른 판결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라는 신화는 현실과 괴리된 판결을 정당화시키곤 한다. 또한 추론과정에서 추론자의 감정을 배제하다보니 법감정이라고 하면 통상 국민의 법감정을 일컫게 되었다. 기존의 법철학 분야에서 법감정을 비합리적인 것으로 본 것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기초로 하는 인지주의 감정론에 따르면 법감정에는 인식적 요소가 있다. 이러한 법감정의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 흄, 아담 스미스, 누스바움 등의 연구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재구성된다. 이 글은 인지주의 감정론에 따라 법감정을 새롭게 정의한 후, 도덕감정으로부터 도출된 법감정의 합리성을 법추론자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이는 여성의 경험을 인식의 근거로 삼는 맥락추론(여성주의 실천적 추론)의 합리성을 증명하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While in 20th century philosophical works on emotions have been expanded in the world, legal philosophical works on emotions not in Korea because the rulings derived from emotions have been considered as not only arbitrary but also unreasonable and illegitimate. Korean law professors have educated students to use their reason, not their emotion in legal decision-making such as legal reasoning or argumentation. As the result of exclusion of legal emotions, the legal emotions, in general, have been regarded as emotions of people rather than of decision-makers. In search of both a role of legal emotion and its universality to secure reasonability, this paper is re-visiting legal emotions based on cognitive theories of emotions in a critical view of legal positivism which values the reason over the emotion. In addition, this paper tries to provide foundations for contextual reasoning, an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법적 추론에서 정(情)의 적용 양상과 그 함의 분석 -『전발무사(剪跋蕪詞)』를 중심으로-

        이재복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5 No.-

        이 연구는 정약용이 『전발무사(剪跋蕪詞)』에서 정(情) 개념을 정상(情狀)과 감정(感情) 등의 뜻으로 사용했으며, 그것을 자신의 법이론을 구성하는 법률용어로 다뤘음을 밝힌다. 정상으로서의 정은 특정한 범죄와 관련된 일체의 사정을 뜻하며, 감정으로서의 정은 어떤 사건과 관련하여 일어난 마음 혹은 심리 상태를 가리킨다. 법률용어로서의 정은 법(法), 리(理)와 함께 법적 추론에서 고려해야 하는 요소로 서술된다. 이어서 이 연구는 법적 추론에서 정을 고려하는 일에 크게 세 가지 의미가 있음을 논한다. 첫째, 정상으로서의 정은 범죄 사실의 성립 여부, 수범(首犯)과 종범(從犯)의 분별, 범죄의 유형을 결정하는 문제 등에 중요한 근거가 된다. 둘째, 감정으로서의 정은 행위의 진실성을 판단하는 근거로서, 정약용은 감정에 근거한 행위도 충분히 신뢰할 만한 합리성을 지닌다고 생각했다. 셋째, 법률용어로서의 정은 ‘법적 추론이란 법과 정이 긴장을 이루는 가운데 적절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라는 정약용의 법이론을 구성한다. 이러한 법이론은 오늘날 감정의 개입이 법적 추론의 합리성을 저해한다는 일반적 견해와 대비를 이룬다. This study reveals that Jeong Yak-yong used the concept of jeong[情] in Jeonbalmusa to refer to circumstance[情狀] and to indicate legal emotion. Also, it is used as a legal term that constitutes a legal theory. Jeong as circumstance refers to all relevant situations related to a specific crime, and jeong as legal emotion refers to a state of mind related to crime. As a legal term, jeong is described as a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egal reasoning process, along with law[法] and principle[理]. This paper points out that considering jeong in legal reasoning has three main implications. First of all, jeong as circumstance is an important basis for whether to determine an incident as legal or illegal, distinguishing between main and minor offenders, and categorizing the crime. Jeong as legal emotion serves as a basis for judging the truthfulness of an act, the scholar believed that an act based on emotion is rational enough to be trusted. Lastly, jeong as a legal term constitutes Jeong’s legal theory that states ‘Legal reasoning is to draw appropriate conclusions while law and jeong creates tension’. This legal theory contrasts with the common view today that the involvement of emotions undermines the rationality of legal reasoning.

      • KCI등재

        사법적 감정에 관한 일고찰 ―테리 마로니(Terry A. Maroney)의 감정 조절 모델―

        송윤진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3

        Since the mid-1990s, research related to law and emot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The reflection gained through early law and emotion studies was that it was neither realistically possible nor normatively correct to exclude emotion from legal analysis. Further, the study of jurisprudence had the task of explaining and demonstrating how the law accommodates the role of emotion. Of course, the early studies still have their limitations in terms of the descriptive aspects of law and emotion research, but they show reflections rich enough to at least prompt academic interest in the field of law and emotion. If the initial goal of the study of law and emotion was to overcome the dichotomy between reason and emotion, later research subjects begin to explore in the ‘question on the nature of emotion’ and ‘the role of emotion in law’. In this research trend, this paper intends to deal with the issue of ‘judicial emotion’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major studies of Terry A. Maroney, who is leading the study of law and emotion in the United States. Judicial emotion is a subject that has not been explored more than any other subject in legal research, and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has been suppressed and concealed in legal decision-making. Breaking the collective silence about the influence of emotions on judgment and transparently identifying the role of emotions in judicial judgment will ultimately be an important way to gain judicial credibility. In this respect, this paper consists of following parts. Chapter II critically reviews the cultural script of ‘judicial dispassion’ that has been in the law for a long time, and what new script can replace this, and furthermore, what are the tasks for theoretical construction of judicial emotions? Chapter III explores ways to utilize emotions for better judicial judgment through the emotional participation model proposed by Terry A. Maroney. Finally, in Chapter IV,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judicial emotions and future tasks is pointed out.

      • KCI등재

        ‘공감역학(共感力學)’의 장(場), 조선후기 판례집의 내러티브

        강혜종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7 No.-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옥안과 판부의 서술 양상에 나타난 감성적 공감의 표상과 작동 방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조선후기 대표적인 판례집인 『추관지』, 『심리록』,『흠흠신서』와 함께, 전통시기 형정 인식과 법감정의 문제를 고찰할 수 있는 문집 및 왕조실록 등의 고전적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특히 옥안과 판부의 내러티브의 표면과 이면의 요소들로 형성되어 작동하는 ‘공감역학’을 감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공공의 장에서 용인․배제․위계화 되고, 상상되거나 강요되는 감정의 양상과 공감의 성격, 공감의 표상화와 공감 표상의 작동 방식 등을 압축적으로 살피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형정체제가 정비되는 과정에서 옥안 작성법의 개선 움직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제점이 인지되고 있었던 당시의 옥안과 판부의 서술 양상 중 공감의 내러티브와 법감정 관찰에 유효한 사례로 『흠흠신서』에 수록된 <원수 갚음에 대한 용서[復雪之原]> 조목의 사례들을 『심리록』에 수록된 관련 사례들과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적인 검험과 법 추론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아 논쟁점들이 부각되는 지점에서, 정황을 재구성하는 사건 재현의 내러티브들이 확장되고, 감성에 호소하며 공감을 촉구하는 문예적 글쓰기의 특징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법리적 해석과 법집행에 관여하는 위계화 된 관리들과 피고인 등이 사건해석을 둘러싼 공감 경합을 벌이는 과정에서, ‘五刑’의 적용보다 ‘五品’이 우선시 되는 禮治가 반영된 옥안과 판부의 서사가 구성되는 가운데, 지배 규범적 가치 하에서 용인되지 않는 특수한 감정이 공감되기는 힘들었던 맥락을 규명하였다. 즉, 규범화/계급화 된 표상으로서의 감정이 공감되고, 규범적 가치에 반하는 감정이 배제되거나, 타자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형정의 집행과 옥안과 판부의 서술이 지배층, 즉, ‘유가적 가치관을 실현시키려는 남성 관리들’이라는 특정 집단에 의해서만 작성될 수 있었다는 점 등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있었으며, 被治者들에게는 ‘유가적 가치의 감정적 표출’이 감형을 위해 관리들의 공감을 유도하는 전략이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金允植(1835-1922)의 글에서는, 유가적 윤리 규범의 실현을 위한/실현으로서의 법이, 적극적으로 습득해야 할 지식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법리 적용에 핵심 기준이었던 강상윤리가 보편적 도덕으로 대체되는 과정에서, 전통적 법감정의 요소가 공감에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지고, 이전 시기와는 다른 법감정이 형성될 변화의 기미를 예측해볼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s of emotional empathy and how they have been operated in narratives of legal writings-Ok’an 獄案 and P’anpu 判付 of Chosŏn dynasty. The representative books of juridical precedents, Ch’ugwanji 秋官志, Simnirok 審理錄, and Hǔmhǔmsinsǒ 欽欽新書 published in late Chosŏn, not only show how Korean legalization or legal imagination has existed, but also a realistic portrayal and narrative of the age. Also, they deeply reflects the awareness of reality and figuration of the times as well as the discursive practices. However, during late Chosŏn, the way of legal writing by officials were regarded as an one of the serious problems which should be improved for a penal system. Considering these aspects, this paper deals with diverse materials related to aforementioned books, such as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of literati and the Annals of Chosŏn dynasty. This work is especially done to contemplate language itself as a critical factors as a representation of cultural convention with the other factors having been formed behind language in and out of legal documents written by penal administrators and also written judgements by a King. Especially, focusing on the emotional empathy in narrative of legal writings which have been approved, excluded, being hierarchically arranged, imagined or forced, this research elucidates the feature of empathy and the operation of empathetic representation in public sphere compressively. As suitable cases to contemplate empathetic narratives, the five precedents of <Forgiveness to avenging[復雪之原]> from Hǔmhǔmsinsǒ were analyzed with Simnirok’s cases together focusing on where the argument and controversy were magnified. It also focuses on parts of the texts in which abundant emotional expressions were applied rather than scientific inquest and legal reasoning. In this context, specific emotions which were not accepted as ‘Confucian emotion’ were excluded and seldom won the empathy. This was direct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legal writings such as Ok’an and P’anpu could be written only by male officials who pursuit to enhance the orthodoxy and ideology of Confucian society. Also, when empathy competition was generated between hierarchic literati in charge of juridical interpretation and the accused, or among the literati themselves, the indoctrinated Confucian norms were put before than other factors. This was why the ruled appealed the fact they were realizing Confucian values through exposure of emotion which was a strategy for inducing empathy to receive reduced sentence. The last part of this research suggests the trend of change in perspective on law through Kim Yun-sik 金允植(1835-1922)’s writing. In his writing, the law as a tool for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norms was regarded as a knowledge which must be acquired by all the people. This means that Confucian moral principles 綱常倫理 which functioned as critical standard for jurisprudential application started to be replaced to other one and this change also affected the change of legal emotion.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의 법적 활동과 법 감정으로서의 ‘원(寃)’: 김지수, 『정의의 감정들』, 너머북스, 2020

        홍진옥 민족문학사연구소 2023 민족문학사연구 Vol.82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cent Korean studies publication, “Emotions of Justice,” which has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domestic academic community. The book meticulously explores how women in the late Joseon period achieved their objectives by centering their legal activities around the emotion of injustice. Furthermore, it connects this emotion with the reinforcement of royal authority in Joseon society, investigating how justice was realized. Unlike previous analyses of this book from the perspectives of historians, Oriental philosophers, and legal scholars, this paper, from a classical literature scholar’s standpoint, delves into the author’s key concepts, such as the meaning of legal performance, the analysis of the ‘grief’ narrative, and the view of women as legal subjects. A notable point in the book is its conceptualization of grievance actions as legal performances. If a play is viewed as expressing a scripted message with spontaneous gestures in a formal setting, then a grievance act can indeed be seen as a theatrical performance. This concept gains significance when considering that it consists of both the script-like intentions and the performance-like protests. Moreover, the book expands on how a single performance bridges ‘individuals and society’ and establishes ‘institutions and culture,’ ultimately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Joseon state. The author emphasizes the narrative of empathy in women’s grievances, suggesting that women effectively achieved their goals by presenting their pain as vulnerable and dependent entit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nuances, such as whether the emotion of injustice can be hierarchically distinguished or separated from emotions like anger and pain, and whether the same empathetic narrative is also used in petitions by elite men to the king. Furthermore, there is a debate on whether the book over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women’s legal actions, possibly portraying lower-class women excessively as ‘agentive individuals.’ Lastly, despite being a historical study, the book extends the emotion theory commonly used in Korean classical novel analysis to the grievance literature genre in Chinese classics, offering insights for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late Joseon society. This point adds significant value to literary research as well.

      • KCI등재

        숙의민주주의 원리의 관점에서 본 양형기준- 공적숙의와 양형재량의 조화를 중심으로 -

        김선화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89

        In this article, I focus both on the creation and application process of the sentencing guideline to discover the fact that the sentencing guideline actually operates in a way to achieve the two goals of sentencing: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Several cases indicate that the principle of deliberative democracy is achieved through the antagonism between the two goals. The sentencing guideline plays a dual role as it translates the legal emotion into reasonable legal language used in trials, while it prevents indiscriminate flow of legal emotion into the trial process. In this regard, the sentencing guideline shows how deliberative democracy is achieved by means of public deliberation, as well as assisting the adequate exercise of sentencing discretion. Deliberative democracy through sentencing practice works not only in circumstances when a judge accepts dominant legal emotion in sentencing, but also when s/he makes decisions contrary to the social emotion. In this case, the judge can carry on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by explaining his or her perspective for reaching a conclusion, and keep participate in the deliberation procedure. Thus, deliberative democracy in reality seems to be a continual process, in which the coincidence and discordance intercross and interact each other. 이 글에서는 양형기준이 설정되는 과정과 법관이 양형기준을 적용하는 과정이라는 두 가지 국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양형기준이 양형의 균질성과 양형의 구체적 타당성이라는 양방향의 목표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고, 실제로 그렇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양형기준의 설정 및 적용과 관련하여 위 2개의 과제가 상호 조화를 이루며 길항작용하는 과정에서 집합적인 결정은 그 결정에 의하여 지배되는 평등한 사람들 간의 자유로운 공적 토론을 거쳐 나타난 견해에 의하여 지지된다는 숙의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 원리가 구현되고 있음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논의한다. 양형기준 설정과정에서 법관공동체 이외의 다양한 사회적 목소리가 양형인자의 내용에 반영될 수 있고, 이것이 실제로 재판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때로는 법관은 여론의 방향과 상반되는 양형을 해야 하고 양형기준은 여론과 상반되는 양형재량 역시 보장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즉, 양형기준은 사회의 법감정을 합리적인 법의 언어로 번역하여 재판에 반영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러한 법감정이 여과 없이 재판에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중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양형기준은 공적 숙의를 통해 숙의민주주의가 발현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그 구체적인 적용국면에서는 법관의 양형재량이 적정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양형실무를 통해 구현되는 숙의민주주의의 모델은 법관이 지배적인 법감정을 수용하여 양형을 하는 경우는 물론, 법관과 사회공동체의 법감정이 상충하여 상이한 판단을 하는 경우에도 작동한다. 법관은 양형재량의 행사를 통한 새로운 관점을 판결문의 양형이유를 통해 논증하고 이를 통해 대화적 소통을 이어가면서 계속 숙의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즉, 현실 속의 숙의민주주의는 단발적인 의사의 합치가 아닌, 관점의 합치와 분리가 서로 상호작용하고 교차하면서 지속되는 연속적인 과정이라고 이해된다. 이처럼 이 글에서는 양형위원회와 양형실무라는 모델을 통해 현실에서의 숙의민주주의가 한층 더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대화적 소통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 KCI등재

        정약용의 사칠설(四七說)과 법감정(法感情)

        이재복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7

        Jeong Yak-yong suggested his own theory of four-seven based on the existing four-seven discussion, by commenting on it. This study examines how Jeong's theory of four-seven and his theory of human nature as moral inclination can be applied in practice. The former is an extension of Seongho School's theory of seven public feelings and the latter is discussion on the cognitive judgment of moral emotions. Subsequently, the paper looks into cases in which the court gave reduced punishment based on moral emotions and discusses Jeong's view on tension between moral emotions and law. It moves on to analyzing the precedents about which Jeong stated that the law should be bending when judging and discussing what his theory of emotions practically implies. The findings provide the basis in seeking the interface between Jeong's philosophy and theories of emotions discussed i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정약용은 기존의 사칠논변(四七論辨)에 대한 그의 견해를 밝혀 간접적으로 자신의 사칠설(四七說)을 드러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정약용의 사칠설이 그의 성기호설(性嗜好說)과 함께 어떻게 실천적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지 고찰한다. 그 과정에서 정약용의 사칠설은 성호학파(星湖學派)의 공칠정(公七情) 논변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그의 성기호설은 도덕 감정의 인지적 판단에 관한 논의임을 검토한다. 이어서 정리(情理)를 적용하여 처벌을 감면한 판결에 대한 정약용의 견해를 살펴 그가 제시한 감정과 법의 긴장 문제를 논한다. 특히 정약용이 법을 굽혀[屈法] 판결해야 한다고 말한 판례를 분석하고, 그의 감정설이 실천의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확인한다. 그로부터 정약용의 철학과 현대적 감정이론의 접점을 모색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 사회정의론, 합리성 ―롤즈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기초연구―

        전해정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John Rawls’ theory of justice is a theory of social justice, which has influenced social welfare policy. He says, “The good is the satisfaction of rational desire.” Each person has his or her own plan of life - what is good may vary. Right is set down in the social contract, the same for everyone, influenced by the “veil of ignorance.” Rawls specializes the concept of something's being right as it being fair. He insists that reasonableness is different from rationality in the theory. In order to investigate epistemological errors this paper deals critically with the rationality in the theory of J. Rawls, using both Hayek’s concept of two forms of rationality, constructivistic rationalism and evolutionary rationalism and feminist perspective against the dualism of reason and emotion. J. Rawls’ theory is on constructivistic rationalism based on tradition of French Enlightenment. The constructivistic rationalism with an unshakeable belief in human reason recognizes only the explicit knowledges and disregards the implicit knowledges, which makes great efforts to build human society artificially in various ways. However, the constructivistic viewpoints are fatal errors because most part of knowledges are subject to spontaneous order, which are implicit by their nature. J. Rawls’ theory is based on the dualism of reason and emotion, which means reason with men’s character is superior to emotion with women’s. He regards men as representatives of society in original position. For example, heads of families or representatives of families are husbands. Rawls assumes that families are just and has paid no attention at all to the internal justice of the family. Even though family justice must be of central importance for social justice, family is to a large extent ignored in the rest of the theory and wives go completely unrepresented in the original position. He fails entirely to address the justice of the gender system. His theory, including justice as fairness, original position and veil of ignorance lacks rationality in terms of neutrality, objectivity, universality, and so on. However, we should thoroughly examine the theory before searching new paradigm of rationality because for example, his original position and veil of ignorance are powerful concept to help women as the vulnerable. 현대 사회복지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존 롤즈의 정의론은 합리성에 바탕을 둔 사회정의론이다. 사회정의는 사회복지의 중요한 가치로서 이에 대한 연구는 이론적․규범적 연구와 경험적․기술적 연구로 구분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서양철학사에서 합리성의 본질은 이성을 참다운 인식의 원천으로 삼는 이성론(혹은 합리론)과 감각적인 경험을 인식의 원천으로 삼는 경험론에서 발견된다. 그런데 경제학계에서 분배문제와 관련된 합리론은 인식론적 관점에 따라 구성주의적 합리론과 생태적․진화론적 합리론으로 구별된다. 롤즈의 정의론은 구성주의적 합리론에 근거한다. 이성의 절대성을 비판하고 감정의 가치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생태적․진화론적 합리론은 여성주의의 주장과 유사하나, 감정의 합리성을 주장하는 여성주의 합리성은 이성이 남성적인 것으로서 우월하고 감정이 여성적인 것으로서 열등하다는 성차별적 신화에 대한 비판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맥락을 중시하는 감정의 합리성과 관련하여 감정노동은 사회복지 실무에서 사회복지의 중요가치인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사례로서 규범적이고 이론적인 정의론의 사회복지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글은 정의론의 합리성에 대한 생태적․진화론적 합리론의 비판과 여성주의 진영의 비판을 골자로 정의론에서 상정하고 있는 공정으로서의 정의,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 인간관, 도구적 합리성과 실천이성적 합당성 등이 인식론적 관점에서 중립성, 객관성, 보편성, 합리성을 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롤즈의 정의론이 여러 결함을 지니고 있을지라도 정의론의 장점을 고려하여 역사적 지평 속에서 새로운 합리적 세계관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불합리한 개인주의가 팽배해 있으므로 “옳음”의 바탕 위에서 “옳음”과 “좋음”을 중용적 관점에서 조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롤즈가 가족을 포함한 사회 전체 체제 내에서 젠더의 사회정의를 다루지 못하였으나 롤즈의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은 최소수혜자들을 고려한 장치라는 점에서 여성주의자들에게 활용가치가 크다. 나아가 계층적이며 결과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이성(남성)중심의 복지패러다임은 수평적인 의사결정 방식에 따라 국민의 행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법적 상상력과 법시학: 정의의 기획들

        김연미 한국법철학회 2016 법철학연구 Vol.19 No.2

        Law is the project of justice. It is the plan for legal humanities to carry out the equal mind. Firstly, in the tradition of western thought, emotion and imagination have been excluded from ‘reason-centered’ legal system. There is the Cartesian tradition that the body is separated from the mind. Emotion is the inadequate object controlled by reason. “No-emotion legal these” was the main theory in Jurisprudence. So as to overcome this these, this paper depends upon M. Nussbaum's emotion theory and poetic justice, and M. Johnson's embodied cognition and ethics. Secondly, Law belongs to humanities. The genre of humanities reveals how justice and equal mind express the emotion as human animality. Humanities rather than other discipline is gotten in touch with emotion deeply. To observe emotion in genre such as novel or poetry is connected with and trains legal imagination in the respect of the conflict of values. Thirdly, in particular, emotion plays the role of ‘appraisal’ as social norm. Poetry embedded with emotion shows a kind of measure (Metrik in German). Poetry among a few genres of humanities can be the good model to understand and represent the equal mind in processes towards democracy. Poetry is ‘thinking’ which shows the realm beyond language or words. Both law-makers and judges have to decide the human affairs in relation to the conflict of value even when no words prescribe their solution into actual legal sources. Fourthly, this paper goes through with “no-reason legal theory.” I name this theory, legal poetics. Legal poetics is the new perspective of legal philosophy in light of legal interpretation by means of metaphorical mapping. Finding metaphor is mostly caused by imagination. Poetic judge before plan of justice is taken roundly to task about new meaning. Lastly, according to the later philosophy of M. Heidegger, Poiesis is a revealing process. Poetic events are the responsible acts of unconcealment (aletheia). In jurisprudence, poetic thinking is a kind of metaphor closely related to revealing justice so as to resolve human affairs connected with the conflict of value. Legal imagination invites “no-science legal these.” Law is not the language of information. These terms, such as nous, excellence, equality, human right and liberty etc., are the language of justice and the realm of thinking which explain ‘realm beyond the sayable’. 법은 정의의 기획이다. 그것도 평등한 마음을 실행하려는 인문학적 기획이다. 이 글은 마음속의 몸의 평등성을 토대로 몸의 취약성(fragility)이 감정과 상상력을 통해 어떻게 불완전하게 세상에 발현되고 법적 평가에 시달리는가를 몇 가지 테제로 생각해 본다. 첫째, 법은 전통적으로 감정과 상상력을 배제해 왔다. 마음은 몸과 분리되고, 감정은 이성에 의해 통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성은 감정과 분리된 것이었다. 이른바 “비-감성적 법적 테제”(no-emotion legal these)가 법학의 지배적인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법적 판단은 정의라는 형량(balancing)의 무게를 재는 사유의 과정이라고 본다. 형량의 적정성은 수학적 경제학적 계산 결과가 아니라 균형잡힌 감정의 발현과정에서 숙고되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감정적 결핍과 자기충족성의 부족을 지니며 살아간다. 따라서 감정이 합리성을 갖추기 위한 규범적 노력을 피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성이 기능하기 전에 우리에게 감정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법학에서 감정에 대한 이해가 이성보다 선행적으로 요구된다. 감정 역시 대상에 대한 판단과 믿음의 형식을 지닌다. 둘째, 법은 인문학의 영역에도 속해 있다. 이 글은 인간의 감정을 고스란히 전달해 주는 문학적 장르를 통해 정의와 평등한 마음이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본다. 특히 감정이 가치의 충돌과 관련하여 어떤 결말로 치닫는가를 보여주는 것이 서양 철학의 시작부터 있었다는 것이 여러 저자들(예를 들어 니체, 누스바움 등)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가치충돌의 결과는 법적 판단에서 비극적 결말로 끝날 수도 있다. 고대 그리스의 비극 장르가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반면에 헤겔은 그 반대의 편에서 가치충돌의 화해를 모색하였다. 문학적 상상력은 가치충돌의 현장에서 평등한 마음을 고취시키는 좋은 교육의 장이다. 독자는 분별력있는 관찰자로서, 시인의 숙고는 평등한 민주주의의 마음을 이해하는 좋은 모델로서 본보기가 될 수 있다. 셋째, 이 글에서는 마사 누스바움과 마크 존슨, 하이데거의 시철학에 대한 독해를 감행한다. 인간의 감성을 본격적으로 법적 연구에 반영하는 이론을 나는 “비-이성적 법이론”(no-reason legal theory)이라고 부른다. 마음속의 몸에 대한 연구는 인간을 대부분 동물적 감성을 가진 존재로 규정한다. 마크 존슨의 은유와 상상력의 구조에 대한 통찰은 철학적 사유가 객관주의적 대응(correspondence)의 방식이 아니라, 은유적 사상(mapping)의 구조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하이데거의 철학에서는 존재와 사유가 시문학에서 예술적 탈은폐(aletheia)의 현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법적 언어는 부분적으로 과학과 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의 성격을 가진다. 그러나 거기에 머물지 않고 법적 언어는 정보의 실행을 요구하는 적극적인 성격을 가진다. 법적 언어가 평가규범적 성격과 행위지시의 성격을 가지는 것도 그 이유 때문이다. 법적 언어는 말할 수 없는 곳에서 침묵하지 못한다. 법적 언어는 수치로 계산되는 언어가 아니다. 또 통계수치나 도표가 법적 판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도 아니다. 법적 언어는 언제나 의미의 형성에 닦달을 당하는 언어이다. 법적 언어는 현실의 사물의 의미를 계속해서 불러낸다는 점에서 과학이나 경제학적 언어의 기능과 같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문학적 언어의 성격과 비슷하다. 나는 이를 “비-과학적 법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