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 분야 법체계 개선방안 연구

        이부하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6 IT와 법 연구 Vol.0 No.1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review of the legal systems across ICT sectors; to identify conflicting and overlapping ICT statutes enacted and amended over the year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legal systems to ensure efficient and systemic operation of ICT policies; and to propose detailed phased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s across ICT sectors. This Research seeks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review of the legal systems across ICT sectors and draw out improvements for ICT sector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target, scope, and purpose of each statute to ensure the efficient and systemic operation of ICT policies. The Research is also aimed at establishing detailed phased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s across ICT sectors, which will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CT legal systems. Phase 1: Restructure the overall system of ICT laws, and carry out a demand survey for ICT law improvement. Phase 2: Restructure the system of regulation laws. Phase 3: Restructure the system of promotion laws. Phase 4: Restructure the system of ICT convergence laws. To improve ICT legal systems, 1) the “Framework Act on ICT Convergence” needs to be enacted to identify and systematize ICTs. 2) ICT-related authorities currently distributed across various organizations need to be integrated. 3) The regulatory system under ICT laws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negative regulatory system.

      • KCI등재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를 고려한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 방향

        임형섭 법무부 2023 統一과 法律 Vol.- No.56

        UN은 2015년 ‘지속가능발전의제(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를 채택하고, 2030년까지 빈곤 종식 등 지속가능한 발전의 실현을 위해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 목표를 제시하였다. 북한도 이에 호응하여 ‘사회주의 강국 건설을 위한 경제발전 5개년 전략(2016-2020)’ 달성을 위해 UN SDGs를 북한의 국가 발전 목표와 연계시켜 ‘우리식 SDGs’를 표방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VNR 보고서를 통해 SDGs 17개 목표별 북한의 이행 현황 및 주요 문제점, 2030년까지 SDGs 달성을 위한 추진 성과와 도전과제, 우선순위 등을 제시하면서 UN SDGs 이행을 위해 북한 환경법제를 정비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을 제정하여 이를 시행하고, 2040년을 목표로 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UN SDGs에 맞추어 대한민국 환경법제를 정비하고 있다. 이처럼 UN SDGs는 대한민국과 북한 모두의 환경법제 변화를 이끌어내는 공통의 기준이 되고 있는 점, 환경분야는 비정치적인 분야로서 비교적 남북 간에 합의하기 쉬운 분야이자, 공통의 이해관계가 있는 분야라는 점 등을 감안할 때 UN-SDGs를 고려한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 방향으로 먼저,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법제 통합 방향이라는 본질적·내재적 한계와 통일정책 방향성이 있다는 점을 유의하면서 협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존재하는 국제질서의 현실을 감안하여, 남북한 환경분야 법제 통합도 ① 북한의 비핵화조치 이전 단계, ②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돌입 단계, ③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단계 등에 맞추어 단계적 접근법을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작업은 전반적인 남북한 법제 통합의 맥락에서 추진되어야 하기 때문에 남북한 법제 통합의 주무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법무부를 주축으로 하여 법제처, 환경부와 통일부 등이 참여하고, 민간 분야에서는 남북법제 통합전문가, 환경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구조로 통합작업의 추진 체계를 수립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The United Nations adopte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2015 and proposed 17 goals and 169 targets to realize sustainable development, including ending poverty by 2030. In response, North Korea has been advocating for “North Korean-style SDGs” by linking the UN SDGs to North Korea’s national development goals to achieve the Five-Year Strategy for Economic Development to Build a Socialist Power (2016-2020). In particular, North Korea is revamping its environmental legislation to implement the UN SDGs through the VNR report, which presents North Korea’s implementation status and major problems for each of the 17 SDGs, as well as progress, challenges, and priorities for achieving the SDGs by 2030. The Republic of Korea has also enacted the “Basic Act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mplemented it, as well as established a Sustainable Development Framework Plan for 2040, to align its environmental legislation with the UN SDGs. Given that the UN SDGs have become a common standard to guide changes in environmental legislation in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that environment is a non-political field that is relatively easy to agree 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a field with common interests, it is important to set a direction for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legislation in North and South Korea that takes into account the UN-SDGs. First, it is necessary to negotiate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environmental legislation integration while keeping in mind the inherent limitations and unification policy direction of the ROK, which is based on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In addition, given the reality of the international order with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laws between the two Koreas should be conducted in a phased approach, including (1) the phase before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measures, (2) the phase of North Korea’s substantial denuclearization, and (3) the phase of North Korea’s complete denuclearization. Finally, since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laws between the two Koreas should be promoted in the context of overall inter-Korean legal integra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Ministry of Justice, which is the lead agency for inter-Korean legal integration, establish a structure to promote the integra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Legal Affairs Divisi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experts in inter-Korean legal integration and environmental experts.

      • KCI등재

        日本語語彙教育における法学的思考の接近

        中村伊知郎 (Nakamura ichiro)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6

        This research referred to the definition of the basic vocabulary that Japanese learner studies as their first textbook. When it appears as a legal terminology phase word, it describes different meaning from the dictionary. An inquiry has given to Japanese teachers in Pusan, S. Korea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words. As a result, it became obvious that many of them do not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words accurately when the basic vocabulary appears as legal terminology. However, in Japan, more than 40 percent of the inter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re majoring in the social science field such as law,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percentage is the highest among every major that could understand the basic vocabulary more accurately as a legal terminology. Japanese vocabulary teaching is demanding the cooperation with the special majors. Moreover, it is asking to consider the demand of enterprises when the international student finds employment in Japan. In this aspect, there might be a limit in today's Japanese education that is persistent only in the human science major. It can be said that studying with other majors and practical educations are indispensable. It may be pointed that the lack of the amount of the sample data is a weak point of this research. However, it is convinced that it is sufficient to suggest a present problem of Japanese education and its preferable future direction.

      • KCI등재

        무엇이 상담 효과를 산출하는가?: 상담의 효과성에 관한 경험적 증거의 함의

        김동민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5

        상담 및 심리치료 등 여러 처치의 효과에 관한 Smith와 Glass(1977)의 메타분석 이래, 상담과 심리치료는 매우 큰 효과를 갖는 처치로 인정받고 있다. 이 논의에서는 첫째, 모든 상담 및 심리치료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요인이 상담 및 심리치료의 효과를 산출한다는 관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경험적 증거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둘째, 공통요인이 상담 및 심리치료의 효과를 발생하게 되는 경로를 설명하는 두 모델, 즉 국면모델 및 관계-기반 모델을 소개하였다. 셋째, ‘증거기반 실무’와 ‘실무기반 증거’라는 현재의 실무 및 연구 흐름을 소개하고, 국내의 성과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논의의 결론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가 심리학 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성격의 활동이라기보다는 상담사의 대인관계 역량을 체계적으로 발휘하는 활동이라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심리학회의 심리서비스법안에서 제기되는 한 가지 쟁점 즉, 심리학 학위 소지자에게 면허 취득 자격을 ‘배타적’으로 부여하는 안의 적절성을 논의하였다. Since the first meta-analysis by Smith & Glass(1977) on outcome of various psychological treatments,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have been known as remarkably efficacious and effective treatments. In this discussion, first, based on evidence from meta-analyses and individual outcome studies, it was argued that common factors(e. g., explanation on symptoms and rituals consistent with the explanation) were responsible for outcom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Second, two models, namely the phase model and the relationship-based model, explaining how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roduce it’s benefit were presented. In those models, counselor interpersonal competence in mobilizing common factors is critical in outcom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hich is the most critical point of this discussion. Third, a recent movement in research and practice, i. e., evidence- based practice and practice-based evidence, was described briefly. Accordingly, suggestions for future outcome study in Korea were proposed. Finally, an implication regarding newly proposed legal regulation on delivering psychological services by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articularly granting license-application right exclusively to the graduates of psychology department was presented.

      • KCI등재

        中国体育彩票法律规制的起源、现状和发展趋势

        马宏俊,武珏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0 스포츠와 법 Vol.13 No.1

        中国政府对于体育彩票业的立法已逐步趋于完善,2009年颁布施行的《彩票管理条例》对中国彩票业的发展具有重要的意义。作者通过分析体育彩票法律规制的起源和现状,指明:增加体育彩票的种类、转变彩票业的发行机制、提高立法层级,是中国体育彩票业立法的发展趋势。 The regulation of sports lottery industry in China has been gradually improved. In 2009,the “Lottery Regulations” was promulgated, and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on China’s lottery industry. By analyzing the origin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legal regulation, the author indicates that the legislating trends of China’s sports lottery are enriching the types of the sports lottery, changing the mechanism and rising legislation level.

      • KCI등재

        형사입법에 대한 사전적 법적 심사기준 개선연구 - 합헌성 및 체계정합성 심사를 중심으로 -

        고명수(Myoung-su Ko)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3

        세계 각국은 부실·졸속입법으로 인한 폐해를 막고 ‘좋은 법’을 제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입법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입법의내용에 대한 실체적인 통제, 이른바 ‘올바른 법’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러나 ‘좋은 법’은 기본적으로 ‘올바른 법’을 전제하여야 한다. 이 요구는 형사입법 영역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형법은 행위규범을 부과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직접적으로 제한하고 이를 어길 시 형벌, 특히 자유형을 부과하여 국민에게 실로 엄청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범죄자가 되거나 자신이 저지른 행위불법보다 중한 형을 감수하여야 하는 국민의 불이익은 법률이 폐지·개정되더라도 실질적으로 만회되지 않는다. 따라서 형사 법률안은 입안 단계에서부터 신중하게 통제되어야 한다. 형법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형사입법을 위한 자체적이고 실질적인 심사기준을 마련하여야 하고 개별 구성요건의 당벌성을 실질적 불법개념에 따라 확인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고는 형사입법에 대한 사전적 법적 심사 도입의 필요성을 논증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우선 형사입법이 실체적으로 통제되어야 하는 이유를 당위론 차원에서 정리한다(Ⅱ.). 특히 형사입법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인 비례성 심사가 형사입법의 내용을 충분히 통제하지 못한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헌법적 원칙 외에도 형법상 기본원칙 준수 여부를 실질적으로 검토하여야 함을 확인·논증한다. 이를 바탕으로 형사 법률안을 입안 단계에서 사전적으로 법적 심사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체크 리스트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논증한다(Ⅲ.). 체크 리스트를 통한 검토는 입법의 형식면에서 기본적인 실수를 줄이고, 내용면에서도 기본적이고 체계적인 통제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은 입법영향평가의 일환으로 연방법무부가 법적 심사를 하는데 이때 구체적인 체크 리스트를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유사하게 체크 리스트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합헌성 및 체계정합성과 관련하여 제안된 체크리스트를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심사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Ⅳ.). 이 방안의 핵심은 행위책임원칙의 실질적인 요청을 반영하여 사전적 법적 심사 시 해당 구성요건의 보호법익, 범죄·행위유형을 검토하고 기준이 되는 기본범죄형태와 비교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검토만으로도 합헌성 및 체계정합성 측면에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대표적인 문제인 형사책임의 전치화, 보편적 법익을 대상으로 하는 구성요건 신설, 지나친 법정형 상향, 기존 체계와의 정합성 결여 문제를 유의미하게 통제할 수 있을 것이다. Many countries are interested in enacting "good laws" to prevent the harmful effects of poor and hasty legislation. And they carry out legislative evaluations. By the way, to be a "good law" it has to be a "right law".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area of criminal law, since criminal law directly restricts the fundamental rights - in particular the right to freedom - of the individual by imposing norms of behavior. Therefore, criminal legislation should be carefully controlled from the drafting st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own and substantial review criteria for the criminal legislation and to find out the justification for the punishment based on the substantial illegalit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situation in Germany in which legislative evaluations are carried out and analyzes the structure and limits of the control over criminal legislation. And then this suggests several review criteria, while respecting the legislature"s discretion as much as possible. These criteria could serve to reflect the substantial requirements of the principle of guilt, by examining the legal interests as well as the types of crimes and behaviors and comparing them with the basic form of crime. It is expected that criminal legislation could be properly controlled through this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