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해석방법의 우선순위에 대한 시론적 고찰

        오세혁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4

        문언적 해석(문리해석), 체계적 해석, 역사적 해석, 목적론적 해석 등 해석방법들 사이에 확립된 우선순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떤 해석방법을 선택하는지에 따라서 상이한 결론이 나올 수 있다. 해석방법은 사안에 따라 올바른 결론을 찾아가기 위하여 활용하는 관점이라는 점에서 방법다원주의는 불가피한 것처럼 보인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안과 무관하게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차원에서 해석방법들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것은 쓸모없다는 결론에 이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아마도 기술적(descriptive) 법학방법론의 차원에서 보면 현실의 법해석 과정을 적확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규범적(normative) 법학방법론의 차원에서 해석방법의 우선순위를 부정하는 것이 정당화되는지의 문제는 별개의 문제이다. 오늘날의 판례에서도 종종 드러나곤 하는 해석의 자의성에 비추어 보면 법관의 법령해석권에 대한 규범적 통제의 필요성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마찬가지로, 방법통합주의 내지 서열 무용론은 법 전문가의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실제의 법해석과정과 부합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는 법 문외한의 관점에서 일반 시민들이 이해하는 법 해석 과정과는 동떨어진 것이다. 법해석방법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도 법 문외한의 관점을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된다. 법해석방법의 우선순위에 대한 규칙을 ‘일응의 기준으로 작동하는 잠정적인 지침’ 내지 ‘약한 의미의 방법론적 메타규칙’ 정도로 이해한다면 굳이 해석방법의 우선순위를 거부할 이유는 없다. 지나친 도식화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제안하면, 법 해석자들이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해석방법의 잠정적인 우선순위에 대한 시론적 모델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 문언적 해석의 관점에서 법령의 해석에서는 법규정의 문언, 즉 법문이 해석의 출발점이 된다. 법문의 통상적 의미에 따라 해석한 결과가 정의를 비롯한 법이념에 명백히 반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문언적 해석의 결과에 따른다. [제2단계] 문언의 통상적 의미에 따라 해석한 결과가 정의를 비롯한 법이념에 명백히 반하는 경우에는 논리-체계적 해석의 관점에서 관련 법규정 또는 법령, 나아가 전체 법질서와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해석한다. 그러나 논리-체계적 해석의 결과가 문리 해석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거나 일치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법문의 ‘가능한 의미’ 내에서 논리-체계적 해석 결과와도 일치되는 대안적 해석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대안적 해석이 없으면 최종적으로 문언적 해석의 결과에 따른다. [제3단계] 법문의 ‘가능한 의미’ 내에서 법이념에 반하지 않고 논리-체계적 해석과 일치될 수 있는 대안적 해석이 역사적 해석의 관점에서 역사적 입법자의 최초 의사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논리-체계적 해석 및 역사적 해석에 따른다. 그러나 법문의 가능한 의미 내의 대안적 해석이 역사적 입법자의 의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문언적 해석 및 역사적 해석에 따른다. [제4단계] 법문의 가능한 의미 내의 대안적 해석이 역사적 입법자의 의도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불분명하지만 목적론적 해석의 관점에서 입법목적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논리-체계적 해석 및 목적론적 해석에 따른다. 그러나 문언의 가능한 의미 내의 대안적 해석이 역사적 입법자의 의도와 일치하는지... If there are no established priorities between methods of statutory interpretation, such as linguistic, systemic, historical, and teleological, different conclusions can be drawn depending on which method of legal interpretation is chosen. Methodological pluralism seems inevitable in that the methods of statutory interpretation are the perspectives used to find the correct conclusion case by case. One might go further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useless to prioritize methods of interpretation on an abstract and general level. This explanation probably seems to describe the legal process of interpretation in reality in terms of analytic legal methodology. However,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justified to deny the priority between methods of interpretation at the level of normative legal methodology is a separate matter. It is difficult to deny the necessity of normative control over the judge's authority to interpret the legitimacy that often appears in today's case. Similarly, methodological pluralism or hierarchy-scepticism may be consistent with the actual process of legal interpretation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viewpoint of a legal expert. However, this is far from the process of legal interpretation understood by ordinary citizens. There is no reason to deny the precedence of interpretation methods if one understands the rules on the priority between methods of legal interpretation as "prima facie guidelines that operate on a consistent basis" or "methodological meta-rules with weak meanings." Proposing at the risk of over-schematics, the theoretical model for the prima facie priorities between methods of legal interpretation that interpreters can use practically is as follows. [Step 1]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ute is the word of the statute, that is, the text of the law. If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dinary meaning of the text does not clearly contradict the legal ideals including justice, the result of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is finally followed. [Step 2] If the results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ordinary meaning of the words are clearly contrary to the legal ideals including justice, they shall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ed legal regulations or statutes and even the relations with the whole legal order in terms of logical-systemic interpretation. However, if the results of the logical-systemic interpretation do not coincide with or are in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ute, it is examined whether there i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a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logical-systemic interpretation within the 'possible meaning' of the text. If there is no interpretation, it is finally followed by the result of the linguitic interpretation. [Step 3] In the 'possible meaning' of the text, if the alternative interpretation, which is not contrary to the legal ideals and can be consistent with the logical-systemic interpretation, i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historical legislator in terms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follow the systematic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However, where alternative interpretations within the possible meaning of the text do not agree with the intentions of the historical legislators, they are finally followed by linguistic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s. [Step 4] It is unclear whether the alternative interpretation within the possible meaning of the text is consistent with the intention of the historical legislator, but if it is consistent with the ratio legi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urpose of the legislative interpretation, the logical-systemic interpretation and the teleological interpretation are finally followed. However, if it is unclear whether the alternative interpretation within the possible meaning of the word is consistent with the intention of the historical legislator, and if ...

      • KCI등재후보

        법령해석요청주체 및 법령해석대상 확대가능성에 관한 검토

        정준현 ( Jun Hyeon Jeong ) 단국대학교법학연구소 2009 법학논총 Vol.33 No.1

        It belongs to each ministry`s authority under the overall control of the prime minister to interpretate the administrative Acts and their subordinate statue on the condition of judicial review. By reason of the above,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has special legal effects(for example; authentication power or default-free validity, self-enforcement power), different from legal act such as contracts between private persons, or private person and public subject. Anyway, I may come to conclusion on the following ground that the final and authoritative legal interpretation power within the government is exercised by the legislative agency under the name of prime minister, and that the power may be expended to the administrative Acts and their subordinate statue under the minister of justice, and the mandated regulations of local government. 1. The legal interpretation by legislative agency as a final-authoritative interpretation within government is similar to the legal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court. 2. Most citizen pay high trust and respect to the legal interpretation by legislative agency and they believe that it has quasi legal power based on §4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3. The legal interpretation by legislative agency has a de facto effective power within the government and over the citizen, until the court judge it as false or against the based law. In addition, the commission on the legal interpretation shall be endowed with legal status and in the point of mutual respect between the national powers it shall be prescribed that the court may follow the legal interpretation by legislative agency without substantial evidence to prove the defect of it.

      • KCI등재후보

        Legal Interpretation in Korea

        오수근,송희종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論集 Vol.12 No.2

        ‘무엇이 법인가?’ 라는 물음은 실제로 법치주의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부딪히지 않을 수 없다. 법령해석을 통하여 결국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법’이 무엇인지 의미를 가지게 된다. 한국에서의 법령해석은 법치주의 및 사법권의 독립을 기초로 여러 법령해석기관에 의하여 행해진다. ‘법’에는 헌법, 법률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법령이 존재하는데 여러 법령들간 위계질서가 법령해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법령해석은 다양하게 구별할 수 있는데 해석의 대상의 관점에서는 헌법해석과 법령해석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해석의 방법의 관점에서는 입법해석, 행정해석, 사법해석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유권적 해석방법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법령해석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헌법해석의 예로는 신행정수도건설에관한특별조치법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례를 살펴보았으며 및 법률해석의 예로 위법건축물 시정명령 취소소송에서 법원 및 행정부간 동일한 건축법 규정을 어떻게 다르게 해석하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의 법령해석제도는 입법제도의 발전상 법치주의의 발전을 통하여 볼 수 있다. 법치주의 및 법령해석은 양적, 질적으로 많은 발전이 있었다. 헌법재판소의 설립, 행정처분에 대한 사법심사의 확대는 지난 몇 십 년간 발전을 일부 반영한다. The first question when applying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is “what is law?” not in an abstract sense but in a concrete sense. Law, in a more practical and concrete sense, is the product of leg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legal interpretation in Korea is conducted by a number of institutions. Since, the term ‘law’ encompasses various forms of legislation from the Constitution to statutes enacted by governmental agencies in a hierarchical order, we shall look to how the hierarchy effects legal interpretation upon which we will be able to reveal the distinction between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nd statutory interpretation. Another distinction that will we cover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r rather the mode of interpretation is the distinction among legislative interpretation,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 and judicial interpretation; all which are commonly referred to as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The advance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legal interpretation in Korea can be inferred from the advance of the rule of law within the litigation system. The 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increase in judicial reviews on administrative decisions denote how the dominance of the rule of law and the positive role of legal interpretation has improved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 KCI등재

        Limitations on the Legal Interpretation of Japanese Tax Laws

        Yasuyuki Kawabata 한국국제조세협회 2014 조세학술논집 Vol.30 No.2

        Japanese legal interpretation of tax statutes and administrative ordinances thereunder has some unique legal characteristics when compared with the interpretative methodologies of other countries. In this article, some of these traditional and new methodologies are analyzed with reference to the main Japanese academic views in this field. The following is a list of possible legal sources for tax law interpretation: (1) the Constitution, (2) tax statutes themselves, in which tax wordings that are also used under statutes of other legal fields should follow the legal interpretation in those other fields, (3) judicial decisions and legal doctrines derived from judicial decisions including decisions in non-tax cases, (4) administrative interpretative circulars, although these have limited binding power only within administrations, (5) determinations of the National Tax Tribunal, for national tax matters, and (6) academic/theoretical doctrines and principles, as academic observations of tax laws sometimes influence legal interpretation. In this article, there are methodologies for the interpretation of some subject, like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al validity,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r statutory interpretat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relevance to the Korean legal system. Japanese methodology for tax law interpretation follows basic methodologies for the legal interpretation of other laws. However, to control tax avoidance and abusive tax shelter issues, certain levels of discussion of substance over form are accepted by the courts, although there is an unclear line of limitation for the application of such judicial doctrine in tax practice.

      • KCI등재

        군형법 추행죄 판결(2019도3047)에 대한 법학방법론적 비판

        안준홍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가천법학 Vol.16 No.2

        The Supreme Court's decision (2019 Do 3047) on the crime of indecent act under Article 92-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in April 2022 contains various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methodology. In this decision, the majority opinion, separate opinions and dissenting opinion presented different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four methods of traditional jurisprudence methodology: text, system, history, and purpose. They also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legal interpretation and legal formation, unacceptable legal formation,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nd the general theory of legal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the disputes among the Supreme Court justices on whether the majority opinion encroaches on the authority of the National Assembly or the Constitutional Court by exceeding the court's authority to interpret the law attracted interests on the limitation of the court’s authority in interpretation of law.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is decision in terms of legal methodology as follows. 1. In terms of literal interpretation, ‘anal intercourse’, which is an exemplary component of the crime of indecent act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means not an ordinary one that can be used between opposite sexes, but a kind of technical term indicating an act between men to fit the historical context including the legislative intention. Unlike this, the majority opinion of this decision interpreted the word in an everyday meaning, thus eliminating the meaning as an exemplary component of the crime of indecent act and creating a negative component. This teleologically reduced interpretation must undergo a rigorous validity exam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for legal binding of a judgement in a democratic rule of law state. 2. In terms of systematic and teleological interpretation, the majority opinion that includes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to military discipline as a protected legal interest in this article does not fit the system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and Criminal Act. 3. In terms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majority opinion excessively underestimated the legislator's intention. 4. The legitimacy of interpretation or formation of law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legislator may be allowed only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Otherwise, it will violate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by encroaching on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Constitutional Court's authority to adjudicate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The legal formation of the majority opinion of this decision is not supported by the standard of exceptional circumstances. 5.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should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democratic rule of law's request for respect for the separation of powers as well as the basic rights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e majority opinion of this decision is not appropriate as a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since it does not satisfy such request. In conclusion, the majority opinion and separate opinions in this case are not legitimate as they violate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Constitutional Court's right to adjudicate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which must be resp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democratic rule of law.

      • KCI등재후보

        법률해석과 헌법재판 : 법원의 규범통제와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

        김하열(Kim Ha-Yurl) 한국법학원 2008 저스티스 Vol.- No.108

        한정위헌결정과 한정위헌청구를 둘러싼 법원과 헌법재판소 간의 논란은 근본적으로 법률과 법률해석의 관계, 법률해석권한의 귀속, 법률해석과 헌법재판의 관계에 관한 문제에서 비롯된다. 이와 관련하여, 법률 자체와 법률해석은 구분되고, 법률해석은 헌법해석과는 달리 헌법재판소가 아니라 법원의 소관사항이라는 두 개의 견고한 명제가 있다. 그러나 법률 자체와 법률해석은 분리된 별개의 것이 아니어서, 규범통제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혹은 상당 부분은 규범해석통제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법원은 ‘법률해석’이라는 이름으로 실질적인 의미에서 헌법재판작용(규범통제)을 하고, 헌법재판소는 법률해석의 방식으로 ‘헌법재판’을 행하기도 하는데. 헌법해석이 상충하는 경우에는 헌법재판소의 해석이 우위를 가지고, 법률해석이 상충하는 경우에는 양 기관의 해석이 병존하는 경우도 있고,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이 우위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헌법과 기본권의 전방위적 기능과 효력으로 인해 헌법으로부터 격리된 일반 법률질서의 독자적 영역이란 것은 인정될 여지가 좁고, 헌법질서와 법률질서의 관계는 시간과 관여자의 참여적 행위에 따라 동태적으로 파악되며 과정과 절차를 통해 법률질서에 헌법이 개입하고 이로써 법률질서가 새로이 수정ㆍ확인된다. 다만, 재판소 원이 금지되므로 헌법문제화 되기 이전 단계의 일반 법률해석, 구체적 사건에의 적용과 포섭, 사실인정과 같은 법원의 고유한 재판영역에 개입하지 않아야 한다는 데에 규범해석통제의 한계가 있다. 덧붙여 헌법재판소의 규범통제권한의 범위와 한계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몇 가지 기능법적 관점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The controversies over the decision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and the 'request for the decision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between the ordinary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re rooted in three problems: Relationship between law(here: Constitution excluded) and its interpretation, allocation of interpretative power, and the connection between legal interpretation and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n relation to this matter, there has been two firm propositions : ⓐ Law itself is distinguished from its interpretation. ⓑ Ordinary courts have exclusive power over legal interpretation. However, a law cannot be separated from its interpretation, and therefore constitutional review is essentially or considerably an interpretative control. The ordinary courts exercis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n the name of 'legal interpretation',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performs 'constitutional adjudication' by the method of legal interpretation. Providing that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s conflict, the Constitutional Court's interpretation is superior to another's. In case of legal interpretations conflicting, they may coexist or the Constitutional Court's interpretation is superior to another's. As our Constitution and basic rights have omnidirectional function and effect, legal order hardly has its own realm separate from that of constitutional order. The relationship between legal order and constitutional order should be dynamically understood varying with time and participation. The constitution intervenes in legal order in the judicial process and procedure, thus newly modifying or confirming the legal order. As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judical judgements is not allowed, constitutional review should not intervene in ordinary courts' own jurisdiction like legal interpretation without constitutional problems, the application of a law subsuming a concrete case, and fact-finding. In establishing the scope and limit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power of constitutional review, some functional points of view need to be taken complementarily.

      • KCI등재

        법해석에 있어서 정치철학의 투입점―진지한 법준수 의무와 규범의 층위―

        이민열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1

        What role can political philosophy play in legal interpretation? To put in other words, at what stage and through which entrance point and in what process the use of political philosophical propositions in legal interpretation should be made? Unlike ‘What role can political philosophy play in legislation?’ or ‘What role can mathematical or scientific propositions play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 this question is very interesting and difficult.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uses the concept of genuine duty to comply law as a leverage. The normative force of a law for subjects who are not mere observes but participants, exists only if at least legal officials ―typically judges― have political moral obligation to apply the law to the individuals involved. In addition, in order to fulfill the political moral obligation to apply the law to the individuals involved, legal officials must follow the interpretative principle of law considering the genuine duty to comply norms. The genuine duty to comply norms differs from the duty to obey law. The duty to obey law is the duty of people to obey something because it is law. It is an obligation independent of the content of the law in that the mere fact that something is a law gives at least one reason to follow it. If there is an duty to obey the law,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the law, considerable normative power might have already been secured only in its form, and political philosophy might not find its entrance point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However, the absolute duty to obey the law is unjust, and the prima facie or presumptive duty to obey the law is difficult to establish as universal one. Even if there is the prima facie or presumptive duty to obey the law, it has such a minor weight that it cannot play a substantial role in the question of whether a particular law has all-things-considered normative power. The genuine duty to comply law is the duty to abide by the law when compliance with the law is consistent with the all-things-considered ought, considering the contents and qualifications of the law. The cases for which the genuine duty to comply norms obtains are different between ordinary individuals and judges. It is because they are in different situations in relation to violations of legitimate expectations formed by legal norms. The realm of judges’ political moral obligations coincides with the realm permitted to judges by political morality. When a judge violates his/her duties, the state to which the judge’s actions are attributed commits a performative contradiction as the entity issuing the legal norm.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that must be followed to avoid this performative contradiction are as follows: The principle of legal interpretation considering the genuine duty to comply norms: As long as the fair notice principle and institutionalized communication principle are not violated, any given law should be interpreted in such ways that subjects can have genuine duty to comply. And in cases where the principle of fair notice and the principle of institutionalized communication prevent such an interpretation, the opportunity to raise reasonable communicative complains to the law should be explicitly given. The judges of the highest adjudicating bodies who make decisions on such complain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shall interpret the Constitution so that judges do not violate their political moral obligations by applying the law to subjects. According to these principles, the use of arguments from political philosophy in legal interpretation should meet the following requirements. First, it should not undermine legitimate expectations associated with the joint enterprise of institutional communication using the law for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Second, it must be justified in such a way that the legal system is not seen as denying the fundamental normative s... 법해석에서 정치철학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이것은 달리 표현하자면정치철학적 명제를 법해석에서 활용하는 일은 어느 단계와 지점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야 하는가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은 ‘입법에서 정치철학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나 ‘법의 해석·적용에서 수학명제나 과학명제는 어떤역할을 할 수 있는가?’와 달리 대단히 흥미롭고 까다로운 질문이다. 본 논문은이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진지한 수범의무라는 개념을 통로로 삼는다. 한낱 관찰자가 아닌 참여자에게 법의 규범력은 적어도 (대표적으로) 판사와같은 법 공무원이 그 법을 관련된 개인에게 적용되게 할 정치도덕적 의무가 있는 경우에만 존재한다. 그리고 법을 관련된 개인에게 적용되게 할 정치도덕적의무를 이행하려면 진지한 수범의무(진지한 법 준수 의무)를 고려한 법해석 원칙을 따라야 한다. 진지한 수범의무는 법 복종 의무와는 다른 것이다. 법 복종의무란 어떤 것이 법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것에 복종할 의무이다. 어떤 것이법이라는 사실만으로 그것을 따라야 할 적어도 하나의 이유를 준다는 점에서그것은 법의 내용과 독립적인 의무이다. 만일 법 복종 의무가 있다면 법의 내용과 상관없이 이미 그 형식만으로 상당한 규범력이 이미 확보되어 있을 것이며, 정치철학은 법해석과 적용에서는 그 투입지점을 찾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절대적 법 복종 의무는 부당하며, 잠정적 법 복종 의무와 추정적 법 복종 의무는보편적인 것으로서 성립하기 어렵다. 설사 잠정적·추정적 법 복종 의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구체적인 법을 모든 것을 고려할 때 따라야 하는지 문제에서는 아무런 실질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 법을 준수할 진지한 의무, 즉 진지한 수범의무는, 법의 내용과 자격을 고려하여 그 법을 준수하는 것이 모든 것을 고려한 당위와 일치할 때 법을 준수할 의무이다. 일반 국민과 법관은 법규범이 형성한 정당한 기대 위반과 관련하여 처해있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진지한 수범의무가 성립하는 사안은 다르다. 법관의 정치도덕적 의무의 영역은 법관에게 정치도덕적으로 허용된 영역과 일치한다. 법관이 정치도덕적 의무를 위배하는 경우 법관의 행위가 귀속되는 국가는법규범을 발령하는 주체로서 수행적 모순을 범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 준수해야 하는 해석원칙은 다음과 같다. 진지한 수범의무를 고려한 법해석의 원칙: 공정한 고지 원칙과 제도화된의사소통 원칙을 위반하지 않는 한 해석의 대상이 되는 법은 그 법의 해석에적용될 수 있는 헌법규범을 매개하여 수범자인 국민이 진지한 수범의무를질 수 있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공정한 고지 원칙과 제도화된 의사소통 원칙때문에 그렇게 해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문제의 법에 대한 합리적 의사소통적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회를 명확하게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의에대하여 헌법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최고심판기관의 재판관은 법관이 그 법을 국민에게 적용함으로써 정치도덕적 의무를 위반하지 않도록 헌법을 해석해야 한다. 이러한 원칙에 따르면, 법해석에 있어서 정치철학의 논증 활용은 다음과 같은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공존과 공영을 위한 법을 매체로 하는 제도적 의사소통의 공동기획과 결부된 정당한 기대를 훼손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그 때문에 정치철학적 논의는 다른 법해석의 방법들을 통합적으...

      • KCI등재

        법률해석과 죄형법정주의 :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진찰” 해석을 중심으로

        박혜림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19 No.4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Korean Supreme Court have had different views about legal interpret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refers to "directly examining patients" as "face-to-face medical treatment.”By contrast, the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suggested that "directly examining patients" does not refer to the manner of examining but to the issuing of prescription. Both courts used "the possible meaning of the law" and similar legal interpretive methods, but they still gave different conclusions. This case shows the limitation of leg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vagueness of legal language and the perspective of legal interpretation. A legal interpretation is regarded as the discovery of preexisting semantic concepts in law by judges. However, the meaning of legal language comes from the common understanding and rule in using legal language. The range of word meaning should be specified ,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law and a practical case should be determined to specify the legal interpretation. As the legal interpretation of "directly examining patients" involves "face-to-face medical treatment" and medical treatment is equivalent to a face-to-face encounter, then the similarity among practical cases that include "medical treatment that is equivalent face to face" should be determined. Moreover, whether the prescription through medical treatment equivalent ace to face injures the function of proving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should also be elucidated. In considering "medical treatment by a call" as an issue i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Korean Supreme Court, assessing whether the function of proving patients' condition through "call treatment" is harmed is necessary. The manner of examining patients is not important. 법관은 궁극적으로 구체적인 사안을 법률에 적용시킬지를 결정하여, 판단을 내려야 한다. 이러한 법 적용과정에서 가장 먼저 선제되어야 할 일이 법률 텍스트의 해석이다. 법률 해석은 특히 범죄의 구성요건과 벌칙을 규정하고 있는 형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법률의 해석에 따라 어떤 행위가 범죄이고 어떤 처벌을 받게 될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의적인 법해석을 막고 일반인들의 예측가능성을 도모하여 자유와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죄형법정주의의 파생원칙인 명확성 원칙과 유추금지원칙이 법률의 해석에 있어서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은 의료법 제17조 제1항 진단서 발급 조항의 “직접 진찰”이라는 구문을 해석함에 있어서, 전혀 다른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결론은 법률 텍스트가 가지는 언어의 모호성을 인정하지 않고 법률해석 전에 확정되어 있는 의미를 법관이 발견한다는 실증주의 사고를 드러낸 사례라고 보여진다. 본 논문은 법률해석의 본질과 더불어 기존의 법률해석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법률해석의 구체화 및 실질적 기준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비트겐슈타인의 사고를 통해 관념과 사실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법률 해석에 있어서 언어가 의미하는 개념(관념)이 전제되어 있고 이를 법관이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법률 언어를 쓰는 사용자들 사이의 공통의 이해와 규칙(사실)을 통해 비로소 그 언어가 가지는 의미(관념)가 도출된다는 전환이 필요하다. 그리고 법률언어의 모호성을 인정하고 법률언어가 가지는 의미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세분화는 구체적인 사안과 규범사이의 구조적 유사성을 판단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명확성 원칙과 유추금지원칙 등이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구체화된 법률해석을 통해 본 사안인 “직접 진찰”을 해석하면 대면진료인가라는 진료의 방법 및 양태보다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증명하는 기능이 훼손되었는가가 “직접 진찰”의 기준이 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 KCI등재

        법적 안정성과 해석

        양천수(Chun-Soo Ya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28 No.2

        법적 안정성은 합목적성 및 구체적 타당성과 함께 법체계의 중요한 이념이자 가치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법적 안정성은 법체계의 작동 전체와 관련을 맺는다. 예를 들어, 법학방법이나 입법 그리고 해석 모두 법적 안정성과 관련을 맺는다. 이러한 법적 안정성은 형식적 합리화가 낳은 법이념이자 법체계가 자기생산적 체계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데 기여한다. 이 글은 이 중에서 법적 안정성이 법해석과 어떻게 관련을 획득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른바 ‘아름다운 판결’로 널리 알려진 대전고등법원 판결과 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분석한다. ‘아름다운 판결’에서는 구 임대주택법이 규정한 임차인 개념이 문제가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형식적 의미의 임차인뿐만 아니라, 실질적 의미의 임차인 개념을 인정할 수 있을지가 문제되었다. 이 글의 분석에 따르면, 대전고등법원은 구체적 타당성을 기초로 하여 실질적 의미의 임차인 개념을 인정하였다. 이와 달리 대법원은 법적 안정성을 토대로 하여 실질적 의미의 임차인 개념을 부정하였다. 또한 대전고등법원은 구체적 타당성에 입각하여 목적론적 해석방법을 사용한 반면, 대법원은 법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하여 문법적 해석과 체계적ㆍ논리적 해석을 우선시 하였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법적 안정성이 선이해의 일종으로서 해석방법을 선택하고 해석결과를 결정하는 데 기여를 하였음을 논증하였다. 요컨대, 법규범을 해석하는 작업은 해석학적 구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다. The legal certainty functions as one of important ideas and values of the legal system with the purposiveness of law and the concrete validity. The legal certainty bears a relation to the entire operation of the legal system. For example, all of legal method, legislation and legal interpretation are related to the legal certainty. It is one of legal ideas resulted from the formal rationalization of the modernization and contributes to the operation of the legal system as an autopoietic system. Among them, this article deals with the question of how the legal certainty is related to the legal interpretati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not only the so-called ‘beautiful decision’ of the High Court of Daejeon, but also the ruling of the Korean Supreme Court on that. The main problem in the ‘beautiful decision’ was the concept of a tenant in the Korean Housing Rent Act. To be specific, it was controversy if the concept of a tenant in the Korean Housing Rent Act includes not only a formal tenant, but also material tena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article, the High Court of Daejeon recognized the concept of the material tenant on the basis of the concrete validity. In contrast, the Korean Supreme Court denied it based upon the legal certainty. While the High Court of Daejeon was also using a tele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basis of the concrete validity, the Korean Supreme Court was using grammatical, logical and systemic interpretations in based upon the legal certainty. For those reason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egal certainty as one of preunderstandings contributed to selecting an interpretation method and deci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a tenant in the Korean Housing Rent Act. In shor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nterpretation of legal norms cannot be free from the hermeneutic structure.

      • KCI등재

        사법통역 관련 입법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박광동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3 法과 政策 Vol.29 No.1

        Under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there are no unified or explicit regulations on what judicial interpreting is. However, the narrowest judicial interpretation means an interpretation related to criminal proceedings, the narrowest judicial interpretation means a court interpretation, and the broadest judicial interpretation means a legal interpretation or a judicial interpretation. Among the judicial interpretations in this narrow sense, the judicial interpretation related to criminal proceedings is the judicial interpretation in the narrowest sense. There are specific regulations in the Regulations on Interpretation, Translation, and Handling Foreign Cases (Jail 2004-5) for judicial interpretation in the narrowest sense of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Recently, the importance of judicial interpretation has been widely recogniz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s an important system that allows foreigners to be guaranteed clear understanding and legitimate rights related to courts and law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legislative model for judicial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law for judicial interpreta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judicial interpreter’s ability-securing and remuneration system, the reform of the compensation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judicial interpreter’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fee calculation table, and educational pla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legal grounds for multiple participation of judicial interpreters, obligation to explain judicial interpreters in advance in courts, and interpretation by relay devices such as videos. Regarding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legislative model related to judicial interpretation, judicial interpretation can devise a plan to enact the Law on the Promotion and Management of Legal Interpretation Technology and the Law on Judicial Interpreters in a narrow sense. However, regarding judicial interpretation in the narrowest sens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Executive Rules for Translation, Translation, and Foreign Case Handling” and provide a legal basis for interpretation by relay devices such as videos. 현행 법령상 사법통역(judiciary interpreting)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통일적이거나, 명시적인 규정이 존재하지 않다. 다만, 사법통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해서 정리하여 보면, 가장 좁은 의미의 사법통역은 형사소송에 관련된 통역이고, 좁은 의미의 사법통역은 법정 통역 또는 법원 통역이며, 넓은 의미의 사법통역은 법 통역 또는 사법 통역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좁은 의미의 사법통역 중에서도 형사소송에 관련된 사법통역은 가장 좁은 의미의 사법통역으로서 우리나라 현행 법령에서는 가장 좁은 의미의 사법통역에 대하여 「통역・번역 및 외국인 사건 처리 예규(재일 2004-5)」에서 구체적인 규정을 가지고 있다. 최근 사법통역은 국내외적으로 그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어 있고, 외국인이 법정 및 법과 관련된 명확한 이해와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제도로서 사법통역에 대한 입법 모델 구축의 방향성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법통역의 법제 개선에 대해서는 우선 사법통역인의 능력 확보 제도와 보수 제도와 관련하여, 사법통역인의 통역 능력별 등급 부여 및 보상체계 개편의 추진과 사법통역인의 통역・번역료 산정표의 도입, 교육 방안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사법통역의 질제고 방안과 관련하여 사법통역인의 복수 참여 및 법원 등에서의 사법통역인에 대한 사전 설명의무 부여, 비디오 등 중계장치 등에 의한 통역 등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법통역 관련 입법 모델 구축의 방향성과 관련하여서는 넓은 의미의 사법통역은 「법통역기술의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과 좁은 의미의 사법통역과 관련하여서는 「사법통역 및 사법통역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을 구상할 수 있다. 다만, 가장 좁은 의미의 사법통역과 관련하여서는 「통역・번역 및 외국인 사건 처리 예규」를 유지하고 비디오 등 중계 장치 등에 의한 통역에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