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建昌의 작품에 대한 呂圭亨의 書後 고찰

        김종민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Born in the mid-19th century and lived until Japanese colonial era, a writer named Yeo Kyu-hyung(1848〜1921) was not noticed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research compared to his writing and contemporary status due to his pro-Japanese activities. However, he was a writer who had already been recognized for his writing to the extent that he was mentioned with Lee Kun-chang at that time, and also sought the secret of his composition from Lee Kun-chang, who was younger than him. Yeo Gyu-hyung's Hajeongjip contains three books on Lee Kun-chang's work. In this paper,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we considered the meaning of Yeo Kyu-hyung's work. The facts newly revealed through this paper ar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In the beginning of An Appreciation Record for a critique of Sonmuja Epilogue by Yeo Kyu-hyung, he affirmed, “a critique of Sonmuja is the sentence that Kang Wi thinks is the most liked masterpiece, and a critique of Sonmuja Epilogue is the sentence that Lee Kun-chang put most elaborate effort.” This was possible because he was a person who could witness the conversation between Kang Wi and Lee Kun-chang and a writer who read Lee Kun-chang's writings as an ideal sentence. Yeo Gyu-hyung referred to Lee Kun-chang's 「Chusujajeon」 as 「Uichunjajeon」. This information is found only in Yeo Kyu-hyung's comments. Regarding Lee Keun-soo's death, he expressed the view that he was a political victim because he was a strong, upright, and hated evil, but that the court did not try to remove him. As for Song Baek-ok, who compiled the Dongmunjipsung, Yeo Kyu-hyung judged that he had died because of his narrow mind and stubborn knowledge, and expressed regret for him. The newly identified facts through Yeo Kyu-hyung's comments are of great material value not only to help Lee Kun-chang's in-depth understanding of his works, but also to deepen the study of the major three texts in 19th century literary history.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is point and examined the meaning of Yeo Kyu-hyung's work. 19세기 중반에 태어나 일제강점기까지 살았던 문인 呂圭亨(1848~1921)은 친일 행적으로 인해 그의 文翰과 당대적 위상에 비해 현대의 한문학연구에서 주목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는 당대에 이미 李建昌과 함께 운위될 정도의 문필을 인정받았고, 그 자신보다 연하의 이건창에게 작문의 비결을 구하기도 하였던 문장가였다. 여규형의 荷亭集 에는 이건창의 작품에 대한 書後가 세 편 저록되어 있다. 본고를 통해 새롭게 밝혀낸 사실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여규형은 「書甯齋姜古懽批評孫武子跋後」의 서두에서 批評孫武子 는 姜瑋가 가장 마음에 들게 지었다고 여기는 문장이고 「姜古歡批評孫武子跋」은 이건창이 가장 마음을 쏟아 지은 글이라고 단언하였다. 이는 그가 강위와 이건창의 대화를 목격한 사람이었고 이건창의 글을 典範으로 삼아 숙독한 작가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李根洙를 입전한 작품인 이건창의 「秋水子傳」을 여규형은 ‘義川子傳’이라고 지칭하였다. 이것은 여규형의 서후에서만 발견되는 정보이다. 이근수의 죽음에 대해 그가 강직하고 꼿꼿하며 악을 미워하는 성격의 소유자였던 탓에 정치적인 희생물이 되었던 것이지 조정에서 그를 제거하려 한 것은 아니었다는 시각을 내비췄다. 東文集成 의 편자 宋伯玉에 대해서는 그의 협소한 도량과 완고한 식견 때문에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고 판단하면서도 안타까워하는 심정을 드러내었다. 여규형의 서후를 통해 새롭게 파악된 사실들은 이건창의 작품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것은 물론, 19세기 문학사의 주요한 세 문인 姜瑋․李根洙․宋伯玉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는 데에도 큰 자료적 가치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점에 주목하여 여규형의 작품이 지닌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 KCI등재

        李建昌의 「李卓吾贊」에 대하여

        김용태(Kim Yang-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6 No.-

          본고는 이희목 교수에 의해 십수년 전에 보고되었으나, 그 사이 학계에서 ‘잊혀진’ 자료였던 이건창의 「이탁오찬」이란 글의 존재를 학계에 환기하고, 그 내용과 의의를 검토하여 이건창 문학을 새롭게 이해하는 시각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이탁오찬」은 陽明左派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李贄를 칭송하는 내용을 담은 글이기에, 최근 들어 그 열기가 더해지고 있는 양명좌파와 公安派의 수용에 대한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아닐 수 없다.<BR>  「이탁오찬」은 이건창이 20대에 지은 글인데, 이 당시 내면적으로 울분상태에 있던 이건창은 양명좌파 및 공안파를 접하면서 많은 위안을 받을 수 있었다. 이후 이건창은 양명좌파 및 공안파와 일정한 거리를 두게 되지만, 양명좌파 및 공안파의 사유를 자신의 문학적 목표와 실천의 자양분으로 적절히 활용하였다. 이러한 점은 이건창 문학을 주로 ‘古文’적 관점에서 접근 하였던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실상 이건창 문학이 위대한 까닭은 양명좌파, 공안파, 동성파 등등의 외부적 요인을 주체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색깔로 재창조했다는 점에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양명좌파와 공안파의 수용에 있어 ‘주체’의 측면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는 최근의 연구경향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The material, 「lee tak oh chan(李卓吾贊)」, was reported approximately a dozen years ago by a Professor Lee, Hee-mok. But this material has been "forgotten" in the academic society. This abstract has been created with an aim to propose a new point of view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of Lee, Kun-chang(李建昌) by reviewing the 「lee tak oh chan」. 「lee tak oh chan」 contains materials that look up to Li zh? who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Radical Yang-ming school, which cannot be a crucial material in the sense that recently its academic heat has been increasing toward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BR>  「Lee tak oh chan」 was made by Lee, Kun-chang in his twenties. At the time, Lee, Kun-chang who was in depression of his days had been consoled much by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Since then, he placed a certain distance to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however he applied appropriately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to sources of nutrition of literary object and performance. These points were something that at-the-time research hardly took notice of having the viewpoint to access to Lee, Kun-chang literature based upon "Guwen(Classical literary Style 古文)". In fact, the reason, we have to understand, that the greatness of Lee, Kun-chang literature is that it recreated outer factors of Radical Yang-ming school, Gong-an School, Dong-sung School, etc subjectively in its unique color.<BR>  And, in this respect, it suggests us a lot in the sense that even recent research trend tends to hardly focus upon "subjectivity" in the absorbtion of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