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규직 이해와 한국교회의 비정규직 선교의 과제

        황홍렬(Hong Eyoul Hwang)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우리나라는 임금노동자의 30%-50%(600만-1,000만)이 비정규직 노동자이지만 사회복지 체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는 상황에서 실업의 공포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는 극심한 차별 속에서도 비정규직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겪는 고통, 아픔, 좌절은 상상을 초월하지만 한국교회는 비정규직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우선 비정규직에 대한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비정규직에 대한 다양한 정의, 비정규직의 규모에 대한 정부 통계와 민간연구소가 추정하는 규모의 차이와 이유, 비정규직이 발생하는 배경을 케인스주의로부터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로의 경제패러다임의 변화에서 찾고, 비정규직의 현황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비정규직의 문제는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조건, 불안정한 일자리이 다. 그리고 비정규직의 제도적 문제로는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노조에 가입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 비정규직의 사회적 문제 로는 계층 구조의 양극화와 사회적 양극화로 인간 사회 분위기의 악화를 들 수 있다. 비정규직의 대안으로 정책적 측면에서 신자유주의 경제정 책으로부터 경제민주화로의 정책의 변화, 기업 중심 노동유연화 정책으 로부터 노동자 중심의 노동시장 정책으로의 전환, 정규직 중심의 사회 보장 정책으로부터 비정규직과 실업자 중심의 사회보장 정책으로 전환 해야 한다. 근로기준법이 비정규직을 포함하도록 개정하고, 법 적용을 엄격하게 해야 하며, 노동자와 그 가족을 위한 심리치유센터를 만들고, 노동자와 비정규직에 대한 시민의식이 개선되도록 학교교육과 시민교 육에 노동자와 비정규직을 포함해야 한다. 그런데 기업이 비정규직을 선호하는 것은 저성장기 자본의 축적논리의 일환으로 대자본의 핵심 산업 이외에는 거의 전부 외주화, 비정규직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업에 대한 국가의 규제가 필수적이다. 비정규직은 노동조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정규직 노조는 비정규직과 함께 노조를 만들어 운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비정규직에 대한 선교를 위해서 깔뱅은 인간의 회복과 사회회복의 밀접한 관계, 물질적 삶과 영적 삶의 긴밀한 관계, 부자와 가난한 자사이의 영적 유대를 바탕으로 한 재화의 순환, 인간 본질로서의 안식과 그로 인한 해방적, 창조적 노동, 재화의 순환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국가의 책임, 하나님의 선물로서의 임금 등을 제시하고 있다. 비정규직을 위한 교회의 선교과제로서 노동자에 대한 올바른 성서적 신학적 이해와 기독교교육에 적용해야 하고, 교회가 재화를 가난한 자에게로 흘러가도록 미소금융이나 협동조합 등의 활동을 전개해야 하고, 고난당하는 노동자들을 위한 기도회, 예배, 교회가 노동자의 교육 공간, 상담 공간, 치유공간이 되어 주님 안에서 안식을 통해 자기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회복하고 치유 받은 치유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부터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고, 최저임금을 준수하고, 생활임금을 지급하며, 이웃종교인들과 시민사 회단체들과 함께 국가의 불의한 법을 개정하고 제도와 의식을 개혁하고 비정규직과 실업자를 중심에 두는 사회보장제도와 경제민주화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 There are about six million to ten million irregular workers out of eighteen million wageworkers in South Korea. The lack of social security systems force those irregular workers to accept such discriminated jobs in terms of payment and labour conditions. Their pain and despair are beyond imagination. Most of Korean churches, however, do not concern even do not know about the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help Korean churches to understand them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irregular workers, the scope of irregular workers, the background of a birth of irregular jobs, their current situation and their problems and alternatives and to recognize their missionary tasks for irregular workers. Problems of irregular jobs include low-wage, social instability, the exclusion from the protection by the labour law and the labour union, social bi-polarity and the increase of social conflicts as its result. To solve problems of irregular jobs needs transitions from neoliberal economic policy to economic democratization, from the policy of flexibility of labour to the labour-centered labour market policy, from the regular worker-centered social security policy to the irregular worker-centered social security policy. Complementary measures to these ones are the Labour Standard Act revision, the establishment of counseling center for irregular workers, and the inclusion of labour issues in church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John Calvin,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toration of men and that of society, a material life and a spiritual life, and a spiritual link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resulting in a circulation of wealth. He regarded the rest before God as a human essence so that only such a labour can be liberative and creative. He taught us that the ministry of a deacon is to support the circulation of wealth. He insisted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circulation of wealth was up to the state. The wage is a sign of God’s grace to both of workers and owners. The paper also deals with issues such as economy, globalization and capitalism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 The writer suggests as missionary tasks of Korean churches for irregular workers: bibl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labour and workers, the inclusion of labour issues in church education and theological education, prayer meeting and worship for suffering irregular workers, churches’ participation in the social economy such as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 and micro credit, the use of worship place for a counseling center and labour education, the transformation of irregular workers of church into regular workers, and churches’ effort to change in the Labour Standard Act and in social security system with religious leaders and NGOs.

      • 우리나라 현행 노동입법의 과제

        정이근 ( Yi Keun Jeong ) 청주대학교 법학과 2010 法學論集 Vol.32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현행 노동입법 체계가 성립되기까지의 중요한 노동법제 변화과정을 개관하고, 특히 현행 법제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몇 가지 사안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경제적 상황의 변화와 시장화 세계화라는 거대한 물결의 중심에 서 있는 우리나라 노동입법이 해결해 나가야 할 몇 가지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은 외환위기라는 상황을 격어면서 노사관계의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러한 상황에 적합한 입법제도 수립을 위하여 국민적 노력이 진행되기 하였지만, 신자유주의적 시장경제 논리에 의한 노동환경 등의 영향으로, 비록 보호입법이 존재한다고는 하지만 비정규직근로자의 양적 증대 등은 근로자의 법적 지위를 과거에 비하여 더욱 불안하게 하고 있다. 비정규직근로자 뿐만 아니라 외국인근로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것인데, 이들 근로자에 대한 임금을 비롯한 근로관계상의 처우는 그 담당업무나 신분상의 특성으로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헌법상의 평등원칙의 견지와 근로기준법 등의 균등대우에 관한 것이라 할 것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 헌법 제10조가 정하고 있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보호 및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판단기준으로써 당사자 사이의 이해관계를 조절하는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 노동권을 근로자가 적당한 시간 일하면서 적절한 노동조건 아래 놓여 있어서 인간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국가에 대하여 요청하는 권리로 이해한다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헌법이 정하고 있는 노동보호의 원칙을 구현할 수 있는 노동입법의 확립이라 생각된다. This thesis focus on the evaluation of labour laws, especially through developing process of labour laws, and review related problems of current labour law system, and suggest some proposal for evolution of Korean labour laws in the situation that stand on the huge waves of the change of economical, free market trends and globalism. In the labour law aspect, through the monetary crisis of 1970`s, it confronted new changes of sit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and owner, and notwithstanding project nationwide exerts for establish appropriate legislation system, but because the affection of new free market idealism, even though there exist some protection legislation for workers, recently the phenomenon of increased irregular workers threat worker`s legal status more than former days. And, salary or other treats for work, not only irregular workers but also foreign workers, can be adjust for the working station or working status of worker. But in the time that determine the condition of treat for wor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the Constitution and equal treat principle in the basic law for the standards of labour. Moreover in the adjust of interests between each related parties, legislative authorities and related state organs must adopt or consider the standards that protection of human being`s dignity and the right to pursuit happiness in the Constitution Art. 10. If we interpretate the labour rights into that rights, i. e. workers can require the State guarantee proper working time and working condition for worker, guarantee human being`s substantial life, in this situation, most important thing is establish the labour law system which realize the principles of labour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 KCI등재

        여자들의 공간과 자본:지구화시대 한국사회의 여성적 빈곤과 공간적 대응

        고갑희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and the female space to reconsider the female poverty. The female pover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nd the ‘globalization of poverty', is being reproduc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global age, Korean society is also not free from the effect of globalization. Capital is reproducing the female poverty by spatializing women in the globalized space of the movement of product, capital, and labour. Capital's way of spatialization is through gendering and sexualizing, and it reproduces and restructures the previous gendered and sexualized space of women. The way to reproduce the gendered and sexualized space is through the space-division of home, sex-service places, and working places and through the labor-division of domestic labour, sex-service labour and irregular labour. These divisions are restructured by the division of nation and race. The idealization of the domestic labour and the prostitution of the sex-service labour are related to the gendering and sexualizing of the women's labour in the wage labour space. Women, taking the so-called ‘female job', become the subject of capital by becoming a low-paid worker and hour-paid worker. Women, through capital's classification, hierarchy and differentiation, are placed and replaced in different social spaces: domestic labour space, sex-service space,. irregular female job space, and migrant labour space. The reason to analyse the capital's spatialization of women is to seek the way to be out of the female poverty formed by the conspiracy or collaboration of capital and patriarchy. Thus women is structured into the space, however, women in individual level or in collective level can become agents of choosing space, too. Women can be agents to come out of the divided female spaces and create alternative spaces. To come out from the structured space is not easy, but recognizing the division and differentiation, women can start to think about the patriarchal capital's conspiracy and to attempt to create a new space. So far, the alternative spaces created by the women's activism have presented good examples. Bu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omen's activism requires a different apporach to the creation of the alternative spaces: spaces crossing the female division and spaces crossing the boundaries of nation, race, and class by refusing the capital's way of gendering and sexualizing. 지구화시대 한국사회에서 여성적 빈곤은 재생산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빈곤의 세계화와 빈곤의 여성화하고는 다른 개념으로 사용하는 여성적 빈곤의 문제를 여자들 이 글에서는 여자와 여성을 구분하여 쓴다. 여자는 개인의 차원에서 쓰고, 여성은 여자의 어떤 특성을 설명하는 용어로 구분해서 쓴다. ‘여성적 빈곤’이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구분이다. 의 공간과 자본의 관계를 통해 살피는 것이다. 지구화시대 한국사회도 지구화가 불러온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상품, 자본, 노동력의 이동이 일어나는 현장인 한국사회에서 자본은 여자들을 공간화함으로써 여자들의 빈곤을 재생산한다. 여자들을 공간화하는 방식은 성별화(젠더화)와 성화(섹슈얼리티화)로 나누어지고, 이것을 기반으로 자본은 기존 성별화된 공간과 성화된 공간을 재생산하고 재구조화한다. 기존 성별화/성화된 공간이 재생산되는 양상은 가사노동, 성적 서비스 노동, 비정규직 노동으로의 노동 분절과 공간 분절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분절은 국가, 민족, 인종의 분절로 재구조화된다. 그리고 가사노동의 이상화와 성적서비스노동의 매춘화는 임노동 공간의 여성노동을 성별화 혹은 성화하는 방식으로 또 다시 작동된다. 임노동 공간의 여성노동은 성별화와 성화로 분류되고 특징지워지는 경향이 있다. 소위 말하는 여성 직종은 젠더화와 섹슈얼리티화를 통해 자본에 복속하는 저임금노동, 시간제노동으로 화한다. 여자들은 자본의 서열화와 차등화를 특색으로 하는 공간화를 거치면서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 혹은 재배치된다. 지구화시대 한국사회 여성들의 공간과 공간화를 보는 이유는 자본과 가부장제의 공모로 인한 여성적 빈곤을 벗어날 길을 모색할 대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여자들은 공간에 배치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공간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의 서열화를 여자들이 스스로 보고, 그 공간에 대한 주체적 인식을 하게 됨으로써 불연속적인 것으로 보이고 불연속성으로 갈라진 공간들을 나와 대안적 공간을 실천하는 행위자가 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대안적 공간에 대한 사유를 해 보기 위한 전초 작업이다.

      • KCI등재

        여자들의 공간과 자본

        고정갑희(Ko Gaphee)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3

        지구화시대 한국사회에서 여성적 빈곤은 재생산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빈곤의 세계화와 빈곤의 여성화하고는 다른 개념으로 사용하는 여성적 빈곤의 문제를 여자들1)의 공간과 자본의 관계를 통해 살피는 것이다. 지구화시대 한국사회도 지구화가 불러온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상품, 자본, 노동력의 이동이 일어나는 현장인 한국사회에서 자본은 여자들을 공간화함으로써 여자들의 빈곤을 재생산한다. 여자들을 공간화하는 방식은 성별화(젠더화)와 성화(섹슈얼리티화)로 나누어지고, 이것을 기반으로 자본은 기존 성별화된 공간과 성화된 공간을 재생산하고 재구조화한다. 기존 성별화/성화된 공간이 재생산되는 양상은 가사노동, 성적 서비스 노동, 비정규직 노동으로의 노동 분절과 공간 분절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분절은 국가, 민족, 인종의 분절로 재구조화된다. 그리고 가사노동의 이상화와 성적서비스노동의 매춘화는 임노동 공간의 여성노동을 성별화 혹은 성화하는 방식으로 또 다시 작동된다. 임노동 공간의 여성노동은 성별화와 성화로 분류되고 특징지워지는 경향이 있다. 소위 말하는 여성 직종은 젠더화와 섹슈얼리티화를 통해 자본에 복속하는 저임금노동, 시간제노동으로 화한다. 여자들은 자본의 서열화와 차등화를 특색으로 하는 공간화를 거치면서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 혹은 재배치된다. 지구화시대 한국사회 여성들의 공간과 공간화를 보는 이유는 자본과 가부장제의 공모로 인한 여성적 빈곤을 벗어날 길을 모색할 대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여자들은 공간에 배치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공간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의 서열화를 여자들이 스스로 보고, 그 공간에 대한 주체적 인식을 하게 됨으로써 불연속적인 것으로 보이고 불연 속성으로 갈라진 공간들을 나와 대안적 공간을 실천하는 행위자가 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대안적 공간에 대한 사유를 해 보기 위한 전초 작업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and the female space to reconsider the female poverty. The female pover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nd the ‘globalization of poverty', is being reproduc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global age, Korean society is also not free from the effect of globalization. Capital is reproducing the female poverty by spatializing women in the globalized space of the movement of product, capital, and labour. Capital's way of spatialization is through gendering and sexualizing, and it reproduces and restructures the previous gendered and sexualized space of women. The way to reproduce the gendered and sexualized space is through the space-division of home, sex-service places, and working places and through the labor-division of domestic labour, sex-service labour and irregular labour. These divisions are restructured by the division of nation and race. The idealization of the domestic labour and the prostitution of the sex-service labour are related to the gendering and sexualizing of the women's labour in the wage labour space. Women, taking the so-called ‘female job', become the subject of capital by becoming a low-paid worker and hour-paid worker. Women, through capital's classification, hierarchy and differentiation, are placed and replaced in different social spaces: domestic labour space, sex-service space,. irregular female job space, and migrant labour space. The reason to analyse the capital's spatialization of women is to seek the way to be out of the female poverty formed by the conspiracy or collaboration of capital and patriarchy. Thus women is structured into the space, however, women in individual level or in collective level can become agents of choosing space, too. Women can be agents to come out of the divided female spaces and create alternative spaces. To come out from the structured space is not easy, but recognizing the division and differentiation, women can start to think about the patriarchal capital's conspiracy and to attempt to create a new space. So far, the alternative spaces created by the women's activism have presented good examples. Bu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omen's activism requires a different apporach to the creation of the alternative spaces: spaces crossing the female division and spaces crossing the boundaries of nation, race, and class by refusing the capital's way of gendering and sexualizing.

      • 한국 방송산업의 계급구성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6mm 디지털 카메라의 정치학-

        김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1 東西言路 Vol.30 No.-

        노동과정 내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도입은 생산성의 향상이나 노동의 절 약과 같은 명분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글에서는 테크놀로지의 도입 을 기존의 까다로운 노동계급의 저항에서 벗어나 새로운 임노동관계를 재 구성하려는 자본의 ‘도주’ 전략 중 하나로 파악한다. 특히 한국 방송산업 의 경우, 1997년 공황을 전후로 도입된 6mm 디지털 카메라와 편집 시스 템은 자본이 되기 위해 갖춰야 했던 새로운 임노동관계의 형성에 있어 중 요한 성찰의 지점을 제공해 준다. 이는 테크놀로지 도입이란 노동의 질적 저하와 탈숙련을 가져온다는 기존의 논의를 넘어, 비정규직과 같은 새로 운 임노동관계와 방송산업구조의 유연화라는 노동-자본 간 세력관계의 관 점에서 바라보아야 함을 뜻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진행되어 온 한국사회 내 노동-자본의 세력관계 변동을 전제로 하고, 그 구체적인 표출로서의 방송산업 내 비정규직 노동계급의 구성을 역사적 맥 락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무엇보다 사회적 서비스로의 방송 산업이 자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취해야만 하는 임노동관계의 형성 과정 에 대한 고찰뿐 아니라, 역으로 자본으로서의 방송이 어떠한 취약함을 보 여주는지를 드러내는 비판의 작업이기도 하다. Broadcasting industry is not so much a particular sector of new economy as an instance of the circuit of capital in a society. In other words, broadcasting as a public service could be a new place for capital that is at stake. The capital’s flight to broadcasting sector have to need new wage-labour class because capital is not a thing such as money but an economic ‘form’ that historically specific capitalist class relation assumes. After 1990s, the expansion of Korea broadcasting industry means not only flexible production of programme contents but the explosive increase of irregular employment. The flexiblization and irregular employment in Korea broadcasting industry could be read in context of class struggle, as it were, the recomposition of class relation in Korea society. Digital media technology that had been introduced in mid-1990s was a very important apparatus to recompose the class relation in broadcasting industry. Most importantly, ‘digital 6mm camera’ that had come into wide use after economic crisis in Korea in 1997 caused great changes in the role and relationship between irregular labourer and regular labourer in production system. Due to low production cost, decrease in number of labourers resulted in intensifying labour and providing a chance of upskilling for irregular labourers.

      • KCI등재

        2000년대 일본 비정규노동운동의 전개양상

        이진경 ( Jinkyung Yi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92

        이 논문에서 필자는 2000년대 이후 일본의 비정규노동조합의 조직과 운동, 그리 고 문화적 측면에 대해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한다. 비정규노동자의 노동조건이나 생활조건의 변화로 인해 노동조합은 상호부조적인 성격을 요구받게 된다. 이를 위해 ‘중간지대적’인 조직과 중첩되거나 스스로가 공동체적 성격의 조직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담을 비롯해 노동조합의 활동은 이전의 전통적 노동조합운동에서 벗어나 ‘사회운동’적인 것이 되어야 했다. 마지막으로 1970년대 에 취업한 세대와의 문화적 차이와 ‘자기책임론’으로 인해, ‘사운드데모’로 표상되는 즐겁고 가벼운 스타일과 종종 세대간 적대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는 분노가 공존하는 특이한 문화적 스타일을 만들어왔다.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recherche some characteristic aspects of Japanese ‘Freeter’ movement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eep-interview. The changes of conditions of work and life requires the Trade Unions to be a mutual aid organization. For this reason, Japanese freeter unions have a tendency to superpose a ‘intermediate’ organization to itself, or to make itself a communal organization. And the activities of trade union, including the labour-counselling, had to deterritorialise itself from traditional labour movement to a ‘social movement’. Lastly, owing the cultural generation gap between the elder generation and ‘Lost Generation’, and cause of reproach of the one in the form of ‘self-responsibility’, they have made a singular cultural style of freeter movement, that takes a paradoxical form which the light and joyful demonstration style represented by ‘sound-demo’ coexists with the younger’s wrath which sometimes takes antagonistic shape.

      • KCI등재

        비정규근로의 ‘사회적 신분’ 해당성 여부 — 동일노동 동일임금원칙 적용과 관련하여 —

        이세호 한국사회법학회 2017 社會法硏究 Vol.0 No.31

        최근의 고용절벽에 따른 취업난은 비정규 근로자를 대량 양산하면서, 생계유지를 위한 중장년층의 비정규 근로를 증가시키고 있다. 게다가 최근 통계에 의하면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 근로자의 임금 격차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매년 임금격차가 심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세가 단기간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아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 근로자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적용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하급심 판례는 근로기준법 제6조의 ‘사회적 신분’에 무기계약직 근로자를 포섭해 정규 근로자와의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적용한 사례도 있다. 이는 정규직 근로자를 무기계약직 근로자의 비교대상으로 삼아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적용의 토대가 된 부분에서 일단 고무적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판례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비정규 근로의 ‘사회적 신분’ 포섭 가능성과 동일노동 동일임금 적용을 위한 입법적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recent, so-called, unemployment problems of permanent position on account of employment crisis made irregular labour in quantity, and furthermore, it is on the increase that spontaneous irregular labour of the elderly person, who has an intention of maintenance of livelihood. But it is that the wage differentials between regular labour and irregular labour according to the recent statistics, in spite of the increase of irregular labour, don't decrease. The wage differential in case of the worker by the hour all the more is deepening as years go by. It come to the fore hereto the necessity for application of ‘Equal pay for equal work’ between regular labour and irregular labour in that this tendency won't be anticipate to improve within short time. It is creation basis of the case that include irregular labour in social status and apply ‘Equal pay for equal work’, for all the imperfection of legislation. Above all, it is inspiring that ‘Equal pay for equal work’ by the case would be applied between regular labour and irregular labour, even though the case naturally can be change in Supreme Court. It appraises validity of the case and seek the legislative alternative in order to apply for ‘Equal pay for equal work’ between regular labour and irregular labour through this writing.

      • KCI등재

        병원의 비정규직 실태조사

        문영전 ( Young Jeon Moon ),안인환 ( In Whan Ahn ),이용균 ( Yong Kyoon Lee ) 한국병원경영학회 2007 병원경영학회지 Vol.12 No.3

        In 1997, in the course of overcoming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shortage of foreign currency there was a significant phenomenon, the irregularization of human labour resources. There was no exception in hospital, either. Most hospitals put a lot of thought to solve the problem about irregular workers.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has been raised as a main topic of al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spect the actual state of irregular workers and to understand the positive effect of protecting irregular workers, recently established and revised, o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hospitals. After enacting irregular labours protection acts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labour rules of hospitals would be changed.(56.7%) The plan to solve irregular worker`s wage issues would be carried out step by step, but some hospitals have not examined the plan yet.(81.9%) Many hospitals had a plan that irregular worker`s wage would be actualized in two or three years.(78.3%) The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are as follows; 1) the introduction of functional wage system, 2) the convert from automatic rising wage system to annual wage system, 3) the incentive grade system according to management result, 4) lower functional group wage system, 5) non-term contract wage system. From the point of the opening medical market and securing competitive power of hospitals, it is prospected that irregular workers would be increased also in future. So to manage irregular workers effectively would be essential in maintain hospital`s competitive power and improve medical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hospital, the ratio of irregular workers in hospitals was lower than that of all irregular workers in Korea. (2) In hospital, the wage level of irregular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irregular workers in Korea. (3) In hospital, the social insurance application ratio of irregular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all workers in Korea. (4) In hospital, there seems to be no appropriate and active measures to improve labour condition of irregular workers, yet. (5) In many hospitals, the policy of irregular workers would be expected to revised for the law standards. In this study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irregular workers were proposed and it was expected to contribute decisions-making in hospital management, especially when using human resources.

      • KCI등재

        실업급여 수급자 특성에 관한 연구: 삶의 기회와 노동 안정성 측면에서

        이준석,정주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2 No.4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benefit and life chance which can be defined as disparities in condition or chance one could get in accordance with his or her position in hierarchical structure of labour market.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life chance caused by whether one’s job is regular are also included because it can lead to alienation and exclusion not only in labour market but also in every day life.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t first, labour instability (non-regular work)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unemployment benefits. Secondly, the probability appeared to decrease as the total amount of labour income of households increases. At third, we tried to to check whether the probability increases when one’s occupational position decreases in hierarchy of labour market, but the result was not robust. At forth, the low robustness seemed to be caused by interaction which occupational position has with income or labour instability. 본 연구는 실업급여 수급 여부와 개개인의 삶의 기회 간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때 삶의 기회는 포괄적 개념이 아닌, (노동)시장에서의 위계적 위치에 따른 차등적이며 독점적인 조건과 기회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일터에서는 물론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소외와 배제 현상을 가져온다고 지적되는 노동 불안정성에 따른 기회 차이 역시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인의 실업급여 수급 확률을 설명하는 데 있어 노동 불안정성(비정규직 여부)이 가장 핵심적 요인이었다. 둘째, 가구의 노동소득 총액이 증가할수록 수급 확률은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노동시장 구조를 직업위치(occupational position)를 중심으로 위계적으로 표현한 후, 개인의 위치가 하향함에 따라 실업급여 수급 확률은 높아지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으나, 그 결과는 그리 견고하지 않았다. 넷째, 이러한 직업위치와 실업급여 수급 간 관계의 낮은 견고성은 직업위치가 불안정성이나 소득과 갖는 상호작용 때문이라고 볼 수 있었다

      • EU 노동법에 관한 연구

        노승민(Roh Seung-Min)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0 노동연구 Vol.20 No.-

        EU 노동법은 유럽연합이 제정한 노동법적 규정과 유럽법원이 그에 기초하여 판결한 관련 판례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특히 EU 노동법에서 입법지침은 유럽연합 회원국 간의 법질서를 조화하는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입법수단이다. 반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유럽통합과정에서 형성된 EU 노동법이 규율하는 대상은 개별적 영역과 집단적 영역을 아울러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EU 노동법에서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차별’이라는 키워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균등대우와 비정규근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EU는 일찍이 조약을 통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을 규율하였고, 유럽사법재판소의 판결을 통해 직접차별ㆍ간접차별의 판단기준을 정립해왔다. 최근에는 남녀차별 뿐만 아니라 인종과 민족 및 종교, 장애, 연령 등 다양한 분야로 차별의 판단기준을 확대시키고 있다. 또한 EU의 비정규관련 법률은 유럽의 노사단체가 사회적 대화를 통해 체결된 단시간ㆍ기간제ㆍ파견근로에 관한 협약이 지침으로 전환되었다는 데에 특징을 찾아 볼 수 있다. 한편, 2009년 한-EU FTA가 가서명되었고 이제 정식 비준만을 남겨두고 있다. 특히 노동분야와 관련하여, 이미 가서명된 협정문에는 무역과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장을 따로 두어, 노동협정문의 이행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만큼, 자유무역당사국으로써 그리고 세계 최대의 정치경제연합체로써 EU의 노동 관련법제 및 고용사회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EU labour law which has been formed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specially on equal treatment and irregular work. In Europe, a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for men and women to prevent wage dumping ha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single market. In recent years, the elements of discrimination has been expanded into various fields from gender to race, ethnicity, religion, disability and age. Meanwhile, the 'Social dialogue' is a unique feature of the EU labour law. Collective agreements signed by social partners are transformed into the legislative. On account of this system, several Directives on irregular work has been enacted. It is noteworthy that EU accepts irregular work, such as part-time, fixed-term and temporary agency work, as one of the common forms of employment. At the same time, EU provides the complement system to prevent abuse of irregular works. When it comes to the KOR-EU FTA, it deals with the protection of labour rights and labour cooperation in the chapter of trad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regard, it is clear that deeper researches on EU labour law is inevitable at this point we are preparing for a global economy and an integrate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