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고려 구원군 파병의 진위 문제

        박순교(Park Soon Kyo)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8 No.-

        927년 정월~8월 왕건은 경애왕과 합동으로 경북 내륙 일대를 점령했다. 그럼에도 이후 여덟 달에 걸쳐 당대의 무신(武神) 견훤은 침묵을 지켰다. 견훤의 침묵은 불안한 평화, 전쟁이 예견된 폭풍전야의 시간이었다. 그럴수록 고려에서 후백제로 파견된 세작(細作)의 활동이 없었을 리 없고, 탐마(探馬)가 없었을 리 없다. 주적(主敵) 견훤의 일거수일투족은 필시 왕건에게 보고되었고, 왕건은 삼국의 정황을 누구 보다 면밀히 꿰뚫었다고 여겨진다. 우려했던 견훤의 보복은 927년 9월부터 개시되었다. 견훤은, 왕건이 앞서 점령한 지역 일대를 겨냥했다. 즉 치열한 교전이 동일 전역(戰域)에서 시간상 교차(927년)한 셈이다. 한데 견훤의 반격이 개시된, 초미의 상황에서 신라의 구원 요청이 있기까지 왕건은 선제적 대응을 취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 심지어 기록에선 왕건이 견훤의 침습정보를 아예 인지하지 못한 듯 묘사되고 있다. 심지어 왕건은 경애왕의 구원 요청이 있은 후에조차 즉각 친정하지 않았다. 대신 뚜렷한 군공이나 무용조차 알려지지 않은 공훤을 주장(主將)으로 삼아 출정하게한 것이 대응이라면 대응의 전부였다. 한데 공훤이 거느리고 출병했다던 ‘경병(頸兵) 1(만)萬의 구원군’마저 경애왕 죽음의 순간까지 서라벌에 이르지 않았다. 출발은 있었으되, 도착이 없는 셈이다. 구원군의 궤적 등도 죄다 미궁에 빠져 있다. 일련의 사실들은 흔히 있을 수 없는 일로서, 저간의 의혹을 증폭시키기에 마땅하다. 기록상, 신라 왕도의 위기를 구하려 한 고려의 시도(파병)는 세 차례였다. 한데, 가장 출병 규모가 컸음에도, 유독 공훤이 통솔한 ‘경병 1만’만이 실패했다. 936년 신검과의 최후 회전(會戰)에서 공훤은 3군의 원병, 보급 역할을 맡았을 뿐 실제 전투에조차 투입되지 않았다. 당시 고려군 편제에서 확인되는 37명의 장수(견훤 제외) 중 공훤은 35번째로 거명되고 있다. 또 휘하의 기병 역시 불과 300이었을 뿐이다. 주장 공훤의 여러 전력을 살펴볼 때, 그는 위기를 타파하고 적선(敵線)을 허물며 돌격할 성정(性情)의 인물이 아니었다. 결국 왕건은 선택할 여러 경우의 수, 최적의 인물들 가운데 가장 묘연한 인물(공훤)을 택했다. 요컨대 경애왕 죽음의 일인(一因)에는 왕건의 방관, 심지어는 방조가 엿보인다. 왕건은 경애왕의 위기를 적극적으로 구하지 않았다. 외려 교묘한 방법으로 방관, 조장하였다. 이에는 1) 견훤에 대비(對比)한 군사의 열세, 2) 경애왕과의 미묘한 정치, 외교적 갈등, 3) 경애왕과 신라의 부흥에 대한 견제와 차단 4) 견훤에 의해 경애왕이 시해되었을 경우 이뤄질 민심의 극적 반전과 자신에게 떨어질 현실적 이득, 5) 새로 옹립될 신라왕의 정통성 한계를 이용한, 신라 지역 내귀부와 병합의 가속화 등 현실적 셈법이 작용하였다고 헤아려진다. Silla king Kyungae(景哀王) and Koryo WangKeun(王建) together occupied inland areas Kyungpook(慶北)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August 927. Nevertheless, god of war, Kyeonhwon(甄萱) kept silent. Kyeonhwon(甄萱)"s silence was the time of the night before the wind storm, where anxiety, uneasy peace, war were foreseen. From the consideration, there must have been activities of moles, fixed agent whom WangKeun(王建) had sent.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all movements of Kyeonhwon(甄萱) had been reported to WangKeun(王建). WangKeun(王建) pierced the situation of the Three Kingdoms more closely than anyone else. Kyeonhwon(甄萱)"s retaliation was begun in September, 927. And Kyeonhwon(甄萱) aimed at the area that WangKeun(王建) had previously occupied. That is, intense battle crossed over time in the same war zone (927 years). The moment that Kyeonhwon(甄萱)"s counterattack was initiated, WangKeun(王建) drew time without taking preemptive action until Silla"s request for relief was received in a bogus situation. Furthermore, in the record, it appears as if WangKeun(王建) had not recognized the invasion information of Kyeonhwon(甄萱) from the beginning. the rescue army of the 1st cavalry did not reach Sorabol, until the moment of king Kyungae(景哀王)"s death. The traces of the relief forces have fallen into the labyrinth, and it is only natural to increase the suspicion of allegation, because a series of facts is unavoidable. Three attempts (soldier) were tried to help the crisis of the Silla Kings on record. One point, even though the size of the dispatch soldier was the largest, only “Ironside of ten thousand soldiers” that Konghwon(公萱) had led, failed. In the final battle in 936, Konghwon(公萱) underwrote only the supply role of the 3 groups, and was not put into actual battle. Of the 37 longevity (excluding Kyeonhwon(甄萱)) who was confirmed by the Koryo(高麗) military organization at that time, Konghwon(公萱) was listed as 35th. Also, there were only 300 cavalry members. Konghwon(公萱) was not a person which could breaks down the crisis, breaches the enemy line and assaults. In the end, WangKeun(王建) chose the most mysterious person, Konghwon(公萱) as commander-in-chief(總帥), of multiple cases of choice, among the best people. This can only be seen as WangKeun(王建)"s serious onlooking equanimity in the death of king Kyungae(景哀王).

      • KCI등재

        신라 경애왕(景哀王)의 ‘포석정 유행(遊幸)과 죽음’에 관한 시비(是非) - 일연의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박순교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8

        Samkuksaki(『三國史記』) testifies that king Kyungae(景哀王) went to the Poseokjeong in the winter of 927, and got stuck into the booze, also and that king Kyungae(景哀王) met a tragic end by Kyeonhwon(甄萱) who had broken into Silla's capitol. But, there are the differences, confusions among all the records of Samkuksaki(『三國史記』). In relation to Silla king Kyungae’s death, there are many questions including, that is, type of death, murder subject, time of death, specific place of death, and so on, As a result, currently many questions on whether king Kyungae(景哀王) got stuck into the booze to imperil himself for dangerous time or not, have been raised. In the letter of Kyeonhwon(甄萱) and Wangkeun(王建)(near to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main culprits of murder vari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In short, Silla king Kyungae’s death, interpretations concerning king Kyungae(eg, Kyeonhwon(甄萱)’s assassination of king, K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leave room for questions, the scope of a radical review. 『삼국사기』는 927년 한겨울 경애왕이 포석정에 유행하여 주흥에 빠졌고, 때마침 신라에 침입한 견훤에게 체포되어 비극적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당시 견훤은 경애왕을 죽인 것은 물론 경애왕의 왕비를 강간했으며 군사들을 풀어 궁중의 비빈마저 집단 강간하는 등 일대 난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한데 『삼국사기』의 기록에선 경애왕 사인과 시해 주체, 죽음의 장소, 죽음의 시기 등이 특정되지 않는 등, 기록의 상이, 혼선이 나타난다. 최근 일각에서는, 포석정에 포석사(鮑石祠), 충렬묘(忠烈廟) 등이 있었던 점과 『화랑세기』, 『각간선생실기』 등 문헌 등을 전거로, 『삼국사기』 기록과 달리 927년 경애왕은 포석정에서 주연을 연 것이 아니라, 전몰장병 추모와 관련이 있는 팔관회, 남산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 일련의 불계(祓禊), 혹은 제천행사를 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왕건에게 누차 독전(督戰)의 서한까지 보내는 등 적극적 행적을 보인 경애왕이, 소극적인 자세로 제사를 지내며 신의 가호만 빌었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신라에서 진혼은 전쟁이 종료되고 행해진 점, 282년 동안 신라에선 아예 팔관회 자체가 개최된 전력이 없는 점, 전몰자의 진혼을 목적으로 한 행사는 주로 사찰이 중심이었으며, 주관자는 승려였던 점 등에서 모순을 드러낸다. 실제 927년 포석정 현장을 전한 기록에선 단 한 명의 승려도 보이지 않는다. 『삼국사기』를 저본으로 했으면서도 『삼국유사』에서 가감한 대목, 곧 일연의 해석은 눈여겨 볼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일연의 지적에 의하면, 경애왕이 포석정에 유행한 시점은 견훤이 고울부(영천)를 떠나 월성의 지근인 시림(始林)에 쇄도한 직후였다. 경애왕은 생사의 위기에서 포석정에 유행한 것이었다. 결국 포석정 유행은 왕의 파천(播遷), 안위를 도모한 피신일지언정, 평화로운 시기에나 있을 주흥, 제례로 해석할 수 없다.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포석정의 문제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박순교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As a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Silla's 55th king was separated, 'Poseokjeong' is a place of interest, along with 'Shirim'. Poseokjeong is said in two places of 『Samguksagi』 and four places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which is not mentioned in 『Samguksagi』, are as follows: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As a result, 『Samguksagi』 originally deleted these facts; 1) 'Poseokjeong = the most holy place since the Silla's King, HunKang' reign, and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n the case of 『Samguksagi』, "Poseokjeong is consistently recognized only as the place of a banquet. In short, the reason for the extinction of 『Samguksagi』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the most famous place since the time of King HunKang" was inevitable procedure, specifically to reveal ②'Poseokjeong =the place of a banquet,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fact that ① King HunKang = Kyeongae's maternal grandfather. The fact that King HunKang promulgated Poseokjeong as an inner sanctuary, and the fact that his grandson, Kyeongae drank alcohol at the sanctuary, are difficult arrangements and paradoxes. The reason why 『Samguksagi』omitted (2)"that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s due to ①the fact that Hyojong is Kimbu(金傅)'s father, as well, a series of screamy intention to hide ②'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outpost), pure and simple. 3)These actions must be a part of the effort to conceal the main fact that Poseokjeong, the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is separated, is the power base of the Kimbu's family. Ilyeon refers to Hyojong's powers as Poseokjeong~ Samwhaejyeong. The main carcass of King Kyeongae was also dealt with within the territory of Hyojong, that is, Hyemok Mountain. As such,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ast of King Kyeongae' and 'the powers of the Kimbu family (Poseokjeong, Samhwhaejong, and Hyemok Mountain') are clearly connected and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last of King Kyeongae'. As a result, Kyeongae died in the power territory of the Kimbu family, 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Kimbu was inducted into Silla's extraordinary king by Kyeonhwon(甄萱)'s full support. 신라 55대 경애왕의 운명을 가른 장소로서, '포석정'은 '시림'과 더불어 주목되는 곳이다. 포석정은 『삼국사기』에 2곳, 삼국유사에는 4곳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삼국유사』에 추가되어 있는 셈인데,『삼국유사』의 내용은 1)‘포석정=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삼국사기』는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원천적으로 산삭한 셈이다.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포석정=경애왕 주흥의 장소’로만 일관되게 파악된다. 『삼국사기』가,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라는 대목을 민멸한 까닭은 ①헌강왕=경애왕의 외조라는 사실을 감안, ②‘포석정=주흥의 장소’라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외조인 헌강왕이 포석정을 지성소로 공포한 사실과, 헌강왕의 외손인 경애왕이 지성소에서 술을 퍼마셨다는 사실은 성립하기 힘든 배치, 역설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가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생략한 까닭은 ①효종= 김부의 아비인 점을 감안, ②‘포석정=효종랑의 세력권’이라는 일련의 사실을 감추어, 3)경애왕 운명을 가른 장소(포석정)=김부 일가와의 연결을 덮으려는 노력의 일단이 아닌가 보인다. 일연은 효종의 동선(세력권)이 포석정~삼화령까지라 언급하고 있다. 경애왕의 주검 또한 효종의 세력권 내(해목령)에서 처리됐다. 이처럼, ‘경애왕의 최후’와 ‘김부 일가의 세력권(포석정, 삼화령, 해목령)’이 뚜렷이 연결, 해석된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결국 견훤과 김부가 연대하여 경애왕 제거 시나리오를 가동하였던 결과, 경애왕은 김부 일가의 세력권에서 죽었으며, 그 논공행상의 대가로 김부는 견훤에 의해 신라의 권지국사로 옹립되기에 이르렀다.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포석정의 문제-『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Park Soon-kyo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신라 55대 경애왕의 운명을 가른 장소로서, `포석정`은 `시림`과 더불어 주목되는 곳이다. 포석정은 『삼국사기』에 2곳, 삼국유사에는 4곳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삼국유사』에 추가되어 있는 셈인데,『삼국유사』의 내용은 1)`포석정=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삼국사기』는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원천적으로 산삭한 셈이다.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포석정=경애왕 주흥의 장소`로만 일관되게 파악된다. 『삼국사기』가,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라는 대목을 민멸한 까닭은 ①헌강왕=경애왕의 외조라는 사실을 감안, ②`포석정=주흥의 장소`라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외조인 헌강왕이 포석정을 지성소로 공포한 사실과, 헌강왕의 외손인 경애왕이 지성소에서 술을 퍼마셨다는 사실은 성립하기 힘든 배치, 역설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가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생략한 까닭은 ①효종=김부의 아비인 점을 감안, ②`포석정=효종랑의 세력권`이라는 일련의 사실을 감추어, 3)경애왕 운명을 가른 장소(포석정)=김부 일가와의 연결을 덮으려는 노력의 일단이 아닌가 보인다. 일연은 효종의 동선(세력권)이 포석정~삼화령까지라 언급하고 있다. 경애왕의 주검 또한 효종의 세력권 내(해목령)에서 처리됐다. 이처럼, `경애왕의 최후`와 `김부 일가의 세력권(포석정, 삼화령, 해목령)`이 뚜렷이 연결, 해석된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결국 견훤과 김부가 연대하여 경애왕 제거 시나리오를 가동하였던 결과, 경애왕은 김부 일가의 세력권에서 죽었으며, 그 논공행상의 대가로 김부는 견훤에 의해 신라의 권지국사로 옹립되기에 이르렀다. As a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Silla`s 55th king was separated, `Poseokjeong` is a place of interest, along with `Shirim`. Poseokjeong is said in two places of 『Samguksagi』 and four places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which is not mentioned in 『Samguksagi』, are as follows: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As a result, 『Samguksagi』 originally deleted these facts; 1) `Poseokjeong = the most holy place since the Silla`s King, HunKang` reign, and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n the case of 『Samguksagi』, "Poseokjeong is consistently recognized only as the place of a banquet. In short, the reason for the extinction of 『Samguksagi』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the most famous place since the time of King HunKang" was inevitable procedure, specifically to reveal ②`Poseokjeong =the place of a banquet,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fact that ① King HunKang = Kyeongae`s maternal grandfather. The fact that King HunKang promulgated Poseokjeong as an inner sanctuary, and the fact that his grandson, Kyeongae drank alcohol at the sanctuary, are difficult arrangements and paradoxes. The reason why 『Samguksagi』omitted (2)"that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s due to ①the fact that Hyojong is Kimbu (金傅)`s father, as well, a series of screamy intention to hide ②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outpost), pure and simple. 3)These actions must be a part of the effort to conceal the main fact that Poseokjeong, the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is separated, is the power base of the Kimbu`s family. Ilyeon refers to Hyojong`s powers as Poseokjeong~ Samwhaejyeong. The main carcass of King Kyeongae was also dealt with within the territory of Hyojong, that is, Hyemok Mountain. As such,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ast of King Kyeongae` and `the powers of the Kimbu family (Poseokjeong, Samhwhaejong, and Hyemok Mountain`) are clearly connected and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last of King Kyeongae`. As a result, Kyeongae died in the power territory of the Kimbu family, 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Kimbu was inducted into Silla`s extraordinary king by Kyeonhwon(甄萱)`s full support.

      • 후삼국시대 신라의 동향과 멸망에 대한 일고찰 -『삼국유사』 기이편 김부대왕조의 검토를 중심으로-

        전덕재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7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original text of the Kimbudaewang Article in the Kiee Section of Samgukyusa, the background of Kyeonhwon's invasion of Shilla in 927 and the rationale behind King Gyeongsun's voluntary surrender in October 935. Ilyeon used the records of Samguksagi Sillabongi as original texts. He rewrote some expressions and deleted some contents of them when he was writing the Kimbudaewang Article. Furthermore, some records were added to the Kimbudaewang Article with reference to other sources. In 927, Koryeo massively attacked Later Baekje with the help of Shilla. To turn the tables on Koryeo, Kyeonhwon invaded Shilla's Royal Capital. He planned to fulfill his purpose by getting Shilla's King Kyeongae, who had pursued a hostile policy against Later Baekje, unthroned and establishing a pro-Later Baekjae regime in Shilla. Kyeonhwon entered Shilla's Royal Capital and removed King Kyeongae. Subsequently, he enthroned Kimbu(King Kyeongsun) because the fact that he was a grandson of the King Hyogong could prevent his succession from creating Jingol aristocrats' dissatisfaction and Royal Capital residents' resentment. After the Later Baekje's invasion of Shilla's Royal Capital, the military force of Shilla was completely neutralized, and since 931 Koryeo even had to station a military force in the Royal Capital to guard the nation. Moreover, in the 930s, Shilla had difficulty in securing the food supply for Royal Capital residents since the number of residents amounted to 180,000 and Shilla could exercise sovereign power over only Kyeongju city and some northern parts of Ulsan. So it is understood that King Kyeongsun decided to voluntarily surrender to Koryeo in October 935 when the economic hardship of the Royal Capital residents could not be resolved, with no military force to defend the nation.

      • KCI등재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발견 舍利莊嚴具에 대한 硏究

        조원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9 百濟硏究 Vol.49 No.-

        본 연구에서는 1965년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이하 왕궁리탑)을 수리하는 도중 발견된 사리장엄구의 연대와 제작·발원의 주체(공양자)를 다루었다. 왕궁리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는 사리함, 사리병, 金剛經, 금강경을 담은 불경함, 불상, 유리 구슬, 방울, 향목 등인데 필자는 유리 구슬과 방울을 제외한 사리장엄구는 약 900년경에 제작되었다고 본다. 이 제작 연대는 사리함의 문양과 기형, 불상의 양식, 금강경의 서체 등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이 연대 추정은 그동안 학계에서 밝힌 왕궁리탑 건립 연대 및 그 안에서 발견된 불상의 제작 연대와도 일치된다. 왕궁리탑 사리장엄구는 900년경을 전후로 하는 다른 사리장엄구와도 관련되는 면이 있지만 특히 주목되는 바는 다른 사리장엄구와 달리 백제의 전통이 완연하게 담고 있다는 점이다. 이 백제의 전통은 통일신라시대에 금마(金馬 : 지금의 익산시 금마면 일대, 익산의 옛 지명)에 있었던 馬韓都督府와 報德國 특히 왕궁리탑 자리에 있었던 왕궁 혹은 사찰, 왕궁리탑 인근의 彌勒寺·帝釋寺 등이 중수·改塔되는 과정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계승·전파된 것으로 본다. 왕궁리탑 사리장엄구(특히 사리기 및 금강경)는 지금까지 발견된 900년경 사리장엄구 가운데 유례가 없을 만큼 높은 품격을 보여 준다. 많은 비용과 정성이 투입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제작·발원의 주체는 당시 국가 최고 세력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필자는 이 주체를 당시 패망 직전에 놓여 있던 통일신라는 결코 아니라고 본다. 그리고 泰封이나 高麗의 경우도 멀리 떨어진 이곳에 구태여 많은 비용과 정성을 투입하는 불사를 단행할 여유, 필요도 없었고 상황도 아니었다고 본다. 필자는 왕궁리탑과 그 사리장엄구의 제작·발원의 주체(공양자)는 900년경 왕궁리탑이 속하였던 나라이자 가까운 곳 全州에 都邑을 두었던 後百濟 왕실, 특히 백제가 金馬山에서 건국되어 600년을 지냈다고까지 말하며 건국의 뿌리를 마한·백제의 도읍인 금마에서 찾았고 백제 마지막 왕 義慈王의 원통함을 풀어준다며 나라를 세운 후백제의 국왕 甄萱(진훤)으로 본다. 진훤은 백제에 대한 懷古·復興·悔恨의 의지가 가장 강하게 남았을 금마에서 자신의 야망 성취의 방편으로서도 이 불사를 단행하였다고 본다. 이 과정에서 당시 최고의 품격과 기술, 특히 금마에 전승되었던 백제의 전통도 자연스럽게 수용되었으리라고 본다. 'It is confirmed by history and a legend that Guemma(金馬), which was the ancient name of Iksan city but now called as a part of Iksan, in Jeonbuk province is an ancient central city of Mahan(馬韓) and Baekje(百濟). Wanggungri(王宮里 A town of the King's palace) remains (Korean historical relics No. 408), the representative ones of Guemma remains are known as the old palace site of Mahan and Baekje, and their location is about 2km south of Guemma-myeun(金馬面) now. There is a fifth stone pagoda(五層石塔 as National Treasure No. 289) in Wanggungri, and a bunch of treasure to perish Sarira reliquary(舍利莊嚴具 Sarijangeomgu) were founded inside of the pagoda in 1965. A kind of case for Sari, bottle for Sari, Buddist cannon box with Diamond-Sutra (in item), including some Buddhist statue, some marble, and some bell, etc. I think that the other Sarira reliquary materials except the marble and the bell were made in A.D. about 900 years. The reason for that fixation of the years come from the investigations of the pattern and shape on the case for Sari, the style of Buddhist statue, and the calligraphic style of Diamond-Sutra. This inference is agreed with the infered years of the five-story stone tower by the academic world and the inferred ones on the years to produce the Buddhist statue in it by researching the style of the statue. The Sarira reliquary in the fifth stone pagoda has some relation with the other Sarira reliquaries in A.D. about 900, but the special point is that it shows some traditional quality of Baekje exceptionally to the other Sarira cases. This traditional one of Baekje was shown in the buildings of Mahandodokbu(馬韓都督府, a administrative office governed by Tang dynasty for a time) and Bodeoguk(報德國, a small country founded by Shilla for the royal family of Goguryeo), etc. located in Guemma, in the period of the starting time of the united peninsular by Shilla, and it had transmitted through the peninsula when they reconstruct or remodel palaces or temples in Wanggungri remains including nearby temples - Mireugsa(彌勒寺) and Jeseoksa(帝釋寺), etc. According to the offerer of the case for Sari, Baekje was founded in the Mt. Guemma and continued for about 600 years, including their opinion that Jinwhon(堅萱), the King of later Baekje(後百濟: 890-936年), is the direct offspring of the continuation in spirit. In short, Jinwhon, the King of later Baekje, seemed to held a Buddhist service to mourn for the King, Euija(義慈王), at the area near Jeonju(全州) which was the capital of the later Kingdom. Jinwhon seemed to express his will to fulfill his ambition by holding that service in the area of Geumma which had remaining spirits - like the birth from the sacred lotus - to restore the Kingdom, Baekje. And it seemed that the tradition of Baekje, especially the best quality and skill of the day transmiied to Guemma, had some natural adaption through a bunch of service and procedure over the neglected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