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0년의 한국사회학

        양영진(Yang Young Jin)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5

        2010년 현재 한국 사회학이 처해있는 상황은 겉보기는 화려한 듯 하나 내부의 실상은 많이 힘들고 위축되어 학문과 학과의 앞날을 낙관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즉, 사회학을 전공하려는 학부학생들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폐과’나 ‘정원감축’이 거론되기도 하며, 대학원 석사?박사 이상 수준에서의 ‘학문후속세대’들을 지속적으로 양성해 내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위기상황을 초래한 원인이라면; 1) ‘종합학문?기초학문’이라는 사회학의 학문적 특성, 2)사회학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비판적 성향’, 3) 1995년부터 실시된 학부제 중심의 대학교육개혁정책, 4)급변하는 전세계적 사회 변동에 유연하게 적응?대처하지 못한 교과과정 등을 들 수 있겠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 사회학의 위상을 다시금 제고시키기 위해 필자는 교육?연구?학회 등 세가지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씩의 아주 구체적인 노력들을 경주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첫째, 교육분야의 경우; 1)사회학의 ‘기초학문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활용 할 것, 2) ‘사회비판적 성향’을 적극적으로 활용 할 것, 3)튼튼한 ‘교육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기 위해 (1)『한국사회학사전』,『한국사회학개론』과함께 분야별 교과서를 편찬하고, (2) ‘지역적 특성화’와 (3) 사회학의 ‘대중화’ 노력을 확산시켜 나갈 것 등을 제안한다. 둘째, 연구분야의 경우; 1) ‘한국사회학 자료실’을 설치?운영 할 것, 2)전통적 연구분야를 제대로 지켜내며, 3)새로운 연구분야들을 지속적으로 발굴?개척해 낼 것, 4)국제적 연결고리를 확대시켜 나갈 것 등을 제안한다. 셋째, 학회차원에서는; 1) ‘교육연구위원회’ 설치를 통한 장기 사업의 구상과 실행, 2) ‘국제교류위원회’ 설치를 통한 세계화 사업의 체계적 도모, 3) ‘재정위원회’ 설치를 통한 학회 운영의 안정적 물적토대 구축 등을 제안한다. 이러한 구체적 제안들이 주저없이 하나하나 차근차근 실행되어 나갈 때, 한국사회학은 밝은 미래를 향해 힘차게 뻗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An outward appearance of Korean sociology in 2010 is splended. But unfortunately, she has a lot of problems in the bottom of her heart, i. e. constantly decreasing number of sociology majoring students and researchers at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 The writer argues following four factors are the main causes of the decline ; 1) the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as 'fundamental' social science, 2) sociology's preference of 'criticism' toward everything existing in the society, 3) educational reform policies which forces universities to pursue non-educational goals for more than 15 years since 1995, 4) sociology's failure to adapt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Since 'crisis' is the very opportunity to develop, the writer proposes concrete ideas for enhancing relevance of Korean sociology to current environment. Firstly, in the field of education, following 4 tips are suggested for overcoming current crisis of sociology ; 1) use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sociology positively in various lectures, 2) use sociology's ability of social criticism positively in training students' writing ability, 3) edit and publish A Dictionary of Korean Sociology, An Introduction to Korean Sociology as soon as possible, 4) increase the effort to 'localize' all the departments as much as possible, 5) expand the effort to 'popularize' sociology to the general public as broadly as possible. Secondly, in the field of research, following 4 tips are suggested to enhancing the pertinence of Korean Sociology to Korean society ; 1) build and operate the 'Korean Sociology archive', 2) preserve the traditional research areas of Korean sociology such as population studies, sociology of the family, rural (urban) sociology, social survey research method, etc. 3) try to find and develop new field of research as many as possible dealing such areas as environment, medicine, social welfare, sex and gender, unif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4) exp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Japan, China, India, South America, I. S. A., I. I. S. etc.. Finally,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of K. S. A. itself, building three independent special committee i. e. 'Educatio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Financial Affairs', suggested for the long term, systematic development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The future of Korean Sociology and K. S. A. is bright, once all these concrete and easy-to-fulfill proposals are performed sooner or later.

      • KCI우수등재

        2000년 이후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 변동과 과제

        한준 한국사회학회 2022 韓國社會學 Vol.56 No.1

        Sociology of sociology aims to either criticize mainstream sociology or respond to the crisis of sociology.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Korean sociology since 2000 to discover future agendas of Korean sociology. Compared to other social sciences or sociology in other countries, the size of its student and scholar body in Korean sociology is relatively small-scale. The number of sociology departments and faculties has declined since 2000.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creased during the 2000s; however, the trend reversed during the 2010s. The relative standing of graduate programs in sociology is getting smaller in size. Gender parity and diversity of alma mater kept improving among newly appointed sociology faculties.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institution, sub-field associations and academic journal flourished during the 2000s but stagnated afterwards. Korean sociology is becoming unique and independent from global academia for its subjects and discourse. Korean sociology needs to figure out how to deal with increasing demand from society with shrinking resources and population. 사회학의 사회학은 주로 사회학에 대한 비판 혹은 위기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한다. 2000년 이후 한국 사회학이 겪은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사회학이 당면한 과제를 살펴본다. 사회학은 사회과학 다른 학문이나 외국의 사회학에 비해 인구적으로 현저히 규모가 작다. 또한 사회학은 2000년 이후 학과와 전임교수 모두 감소해 왔다. 학부생은 2000년대 늘었지만 2010년 이후 줄어들고 있고, 대학원생은 일정한 추세가 없지만 상대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사회학의 연구자들은 성별과 출신 학교 모두 다양해지고 있다. 사회학의 분과학회 및 학술지는 2000년대 늘었지만 2010년 이후 정체해 있다. 한국의 사회학은 21세기 들어 20세기와 다른 글로벌화, 디지털화, 민주화의 경험을 반영하며 해외 학계와 구별되는 독자적 주제와 담론구조를 갖추어가고 있다. 한국 사회학은 줄어든 규모로 늘어난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변화가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한국 비판사회학의 자율성 문제에 관한 논의-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현우식,이태영 비판사회학회 2024 경제와 사회 Vol.- No.143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학의 자율성 문제를 보다 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해석적 프레임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비판사회학의 자율성 문제에 관한 논쟁을 재활성화하는 것이다. 자율성 문제는 한국 사회학이 외부의 대상에 종속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대표적으로 서구의 지식체계에 대한 종속 문제와 자본과 국가 권력에 대한 종속 문제를 들 수 있다. 그동안 전자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는 주로 한국적·토착적 사회학이, 후자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는 민중적·비판적 사회학이 제시되었다. 한국 비판사회학은 앞의 두 가지 흐름에 영향을 받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 한편으로 사회학자 김경만을 중심으로 한국적·토착적 사회학과 민중적·비판적 사회학, 그리고 동시대 한국 비판사회학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이 제기되었다. 김경만의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과 이를 둘러싼 논쟁은 김경만의 비판과 이를 둘러싼 비판사회학계 내·외부의 논쟁이 어떤 구도에서 전개되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그러나 『글로벌』 논쟁은 글로벌 지식장 대 로컬 지식장, 학술장 외부의 사회적 요구에 응답 대 거부라는 배타적 구도에서 지속적이고 생산적으로 전개되지 못했다. 이 연구는 기존 논쟁의 이분법적 프레임에서 벗어나 자율성 문제를 보다 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해석적 프레임을 제시하고, 자율성 문제에 대한 서로 다른 주장을 상호보완적으로 이해할 방안을 제시한다. 이상의 분석으로부터 이 연구는 한국비판사회학계에 『글로벌』 논쟁이 남긴 물음들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ctivate the debate on the issue of autonomy in critical sociology in Korea by presenting an interpretive frame that can more complexly understand the issue of autonomy in sociology. The issue of autonomy begins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Korean sociology is subordinated to external objects. Representatively, there are the problems of subordination to the Western knowledge system and the problems of subordination to capital and state power. Until now, Korean and indigenous sociology has been mainly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former problem, and ‘minjung’ and critical sociology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latter problem. Critical sociology in Korea has formed its own identity by being influenced by the above two trends. On the one hand, fundamental criticism of Korean and indigenous sociology, ‘minjung’ and critical sociology, and contemporary Korean critical sociology was raised, centering on sociologist Kim Kyung-man. Kim Kyung-man’s Global Intellectual Field and Symbolic Violence an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it are examples of the structure in which Kim Kyung-man’s criticism and internal and external debates surrounding critical sociology developed. However, the Global debate did not develop continuously and productively in the exclusive structure of responding to and rejecting social demands outside the global knowledge field versus the local knowledge field, and the academic field. This study presents an interpretive frame that can more complexly understand the autonomy problem beyond the dichotomous frame of the existing debate, and a plan to complementarily understand different arguments on the autonomy problem. From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how to respond to the questions left by the Global debate in the critical sociology of Korea.

      • KCI등재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

        박재묵 ( Jae Mook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1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향후 한국 환경사회학의 전개 방향을 예측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먼저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적 확립 과정을 고찰하였다. 여기에서는 연구자 단체의 조직화와 환경사회학 및 그 관련 과목의 정규 교육과정 진입을 주로 다루었다. 다음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단행본과 함께 한국환경사회학회의 학술지「환경사회학연구」(ECO)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원자력·위험·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의식·환경행동’, ‘환경문제·기후변화’, ‘환경운동·환경갈등’, ‘환경정치’ 등이었다. 또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으로는 환경문제의 중시, 질적 자료의 활용,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등이 지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의 과제로서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 KCI등재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

        정수복(Soo Bok Cheong)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4

        1946년 이상백에 의해 서울대학교에 사회학과가 설립되면서 제도화된 한국사회학은 6.25전쟁 이후 미국사회학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 미국에서 유학한 김경동과 한완상 등 2세대 사회학자들에 의하여 그 갈래를 잡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에 귀국한 2세대 사회학자들 가운데 김경동은 전문적 강단사회학의 입장을 대변했고 한완상은 비판적 공공사회학의 줄기를 마련했다. 이 글에서는 김경동의 사회학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 학문적 성과를 분석하고 자리매김을 시도한다. 김경동은 이론적으로는 인간주의 사회학을 내세웠고 연구 방법은 주로 양적 분석을 활용하면서 과학적 사회학을 추구했다. 그의 연구 관심은 사회발전, 사회변동, 근대화 등의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학의 거의 전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김경동의 사회학은 이상백에서 이만갑을 거쳐 형성된 과학적 사회학을 계승하면서 한국사회학의 주류를 형성했다. 김경동의 사회학에는 우리다운 문제의식이 없다는 강신표의 비판 이후 김경동은 음양이론 등 동아시아 사상을 활용하면서 한국적 또는 동아시아적 사회발전론을 개척했다. 김경동이 이룩한 학문적 성과의 내용과 이념적 입장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김경동은 풍성한 저서와 논문, 사회적 활동을 통해 한국 아카데믹 사회학의 주류를 형성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ology, Kim Kyong-Dong symbolizes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sociology. We dare to say that he is the intellectual heir of Lee Man-Gap who is the principal architect of modern ’scientific’ sociology in Korea. By his prolific publication of books and articles, Kim contributed to the constitution of the main current in Korean sociology which emphasizes empirical research method and quantitative analysis. His renown gained by both his publications and the title of professorship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llowed him to take a lead role in the academic field of sociology in Korea. His central research wa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social development, social change and modernization. Though he proclaimed himself as a ’humanist’ sociologist, his intellectual activity had been played inside the ivory tower of academia during the period of the authoritarian rule. Responding to the critique that his sociology is nothing but an imported American sociology, he tried to develop his own Korean or East Asian perspective in the sociological account of modernization in East Asia. Besides his sociological writings, he published poems and novels which express his repressed discontents in societal context. But he could not create his own research method which might synthesize his humanist concern and his literary talent. In the concluding remark, this article suggests to compare the professional and academic sociology of Kim Kyong-Dong with the sociology of Han Wan-Sang, his rival and initiator of critical and public sociology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ology.

      •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지평과 과제

        민문홍(Min Moon-Ho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06 문화와 사회 Vol.1 No.-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사회학자들에 의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에 대한 연구 현황을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검토해봄으로써,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 연구에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찾아보고, 이러한 평가를 기준으로 향후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이론 연구가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에 적실성을 가지고 가르치고 연구될 수 있도록 성찰의 기회를 마련해보는 것이다. 이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필자는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과 관련해서 한국 사회학 공동체의 주목을 가장 크게 받은 알렉산더(Jeffrey Alexander)의 저서를 중심으로, 그가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을 강조하게 된 지적 배경과 그가 분류한 뒤르케임 전통의 학문적 후계자들(벨라, 실즈,기 어츠, 우드나우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의 계승을 검토해보았다. 둘째는, 프랑스 사회학 공동체가 주목하는 뒤르케임의 전통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마르셀 모스, 마르셀 그라네, 모리스 알박스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을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특히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이들이 그의 스승인 뒤르케임의 이론적, 방법론적 문제의식을 어떻게 혁신하고 계승해서 현대 문화와 타 문화권에 대한 새로운 문화사회학적 연구 전통을 성공적으로 확립해나갔는가를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학자들이 해온 뒤르케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조감하고, 그 특징을 몇 가지 유형별로 기술한 후에 이러한 지적 자원을 가지고 한국에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 전통을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더 적실성있게 계발하려면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전략이 필요한가를 탐색해보았다. This article purports to draw some sociological less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on the basis of study in durkhemian tradion’s sociological studies by korean sociologists. For this purpose, it delves in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some more detailed academic projects of diverse efforts of korean sociologists in this domain. This article composes of three parts. First part examines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analyses the detailed academic programs of korean sociologists’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Within this work, author also includes the academic efforts of translation of major works of french second generation’s (Marcel Mauss, Marcel Granet, Maurice Halbwachs) durkhemian sociology. Second part makes typologies of these works and evaluates the academic activities of korean sociolgists in this domain. On the basis of this work, author suggests some future tasks of korean sociologists i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These tasks are as follows: We must more clarify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post-phase Durkhemian sociology and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tion’s sociology on this basis. We need to explore the second generation durkhemian school’s works. Third part suggests some sociological lessons from the above mentioned analyse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durkhemian and neo-durkhemian cultural sociolog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y. And for this purpose, we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ition’s cultural sociology around the themes of civil religion, new community value system, trust building works through new social movements.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학회와 사회학연구,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 발표 논문의 연구분야별 내용분석

        설동훈,고재훈,유승환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1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KSA) 1964- 2017, and identifies the topic trend in the research areas of sociology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full text of all the available research papers published/presented at the KSA and analyzed those by dividing into three categories of time spans: 1964-1979, 1980-1999, and 2000-2017. The areas of sociology in Korea are divided into sixte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Academic Research Area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Panels in Annual Meeting of the KSA. We conducted the analyses in two steps. First, using classical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e classified the total of 4,317 papers into one of the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found the changing pattern of research areas. Second, we also applied computer-assisted content analysis‒Structural Topic Model(STM)‒to the text corpus of 4,317 papers, which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texts. The results of the STM show that the number of topics is 71 in 1964-1979, 65 in 1980-1999, and 74 in 2000-2017. We presented each topic with three key words by each area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ext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one-mode networks among topics in each area of sociology for each of the three eras, we presented links among the topic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lots of cases in which a certain topic at a specific era appears simultaneously in several research areas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wo-mode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two-mode networks among areas of sociology and topics, we found that specific clusters are composed of several areas of sociology in each era. This paper shows the growth, continuity and decline of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the changes in research focus in each area of sociology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64-2017. 이 연구는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에서 출판·발표된 모든 논문의 전문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사회학의 연구분야 변동의 양상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 대상 시기는 1964- 1979년, 1980-1999년, 2000-2017년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사회학의 세부 연구분야는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 분류 표’와 ‘한국사회학대회 정기사회학대회 세션 분류’ 등을 참조하여 16개로 나누었다. ‘고전적 계량 내용분석’에 의해 4,317편의 논문을 16개 연구분야 중 하나로 분류하여,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체 논문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모델’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산출된 토픽의 개수는 1964-1979년 71개, 1980-1999년 65개, 2000- 2017년 74개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토픽들을 세 개의 핵심단어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분야별 토픽의 시기에 따른 변동 분석을 통해,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의 방향을 확인하고, 각 분야에서 연구초점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설명하였다. 연구분야별·시기별로 토픽들의 일원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토픽들 간의 연결 방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특정 시기의 어느 한 토픽이 여러 연구분야에 등장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므로, 시기별로 ‘연구분야와 토픽 간 이원연결망’ 분석을 아울러 수행하였다. 이원연결망 분석을 통해, 공통의 토픽을 가진 연구분야들의 집락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사회학의 16개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와 더불어, 각 분야에서 연구 초점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 사회학의 개척자 김현준의 재발견

        김필동,최태관 한국사회사학회 2019 사회와 역사 Vol.0 No.122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Kim Heun-chun (金賢準, 1898-1949) who was a pioneer of Korean sociology, but has been nearly forgotten until now. Born in 1898 in Naju, Jeollanam-do, he studied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at Toyo College (東洋大學) in Tokyo, Japan in 1918-1922. Then he went to Germany in 1922, to study sociology, journalism and statistics at the University of Leipzig. In 1928, he submitted what is considered Korean’s first Ph.D. dissertation in Journalism to the University, entitled “The Formats of Modern Newspapers in East Asia (Japan, China and Korea),” which was also on the basis of sociolog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After returning to Korea in 1928, he began writing books and papers based on his study experiences in Germany. He also served as a lecturer at Bosung College (1929-1932), an editorial writer at the Chosun-Ilbo (1932-1933) and a lecturer at the Central Buddhist College (1933-1935). In this period, he introduced German sociology to colonial Korea through his book called Modern Sociology (1930), the first Korean textbook on the sociology. Furthermore he wrote many academic essays and enlightening articles using theoretical perspectives, critical analysis and foreign cultural experiences, while giving public lectures of sociology and social problems. This led him to become a pioneer of Korean sociology during the period of modern academic acculturati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is exploratory work is mainly focused on Kim Heun-chun’s life until 1936. Hopefully this work leads to more in-depth studies of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academic circumstances of the time in which he lived. 1898년 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난 김현준(金賢準, 1898~1949)은 나주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에 유학하여 1912~1916년 휘문의숙을 다녔다. 이후 그는 대지주이자 사업가이며, 지역사회 활동가였던 부친 김병두(金炳斗, 1883~1942)의 지원을 받아 1918~1922년 일본 도요대학(東洋大學)에서 동·서양의 철학을 공부한뒤, 1922년 독일에 유학하였다. 그는 라이프치히대학 철학부에서 사회학과 신문학·경제학·통계학 등을 두루 공부했으며, 1928년 2월 이 대학에서 「동아시아(일본·중국·한국) 근대 신문의 체재(體裁) 비교」란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했다. 이 논문은 한국 최초의 신문학 분야 박사학위논문인 동시에 사회학적 관점과문제의식이 투영된 논문으로서, 당시 식민지였던 한국의 신문을 일본·중국의 신문과 함께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있다. 귀국 직후부터 독일에서의 공부를 바탕으로 책과 논문의 집필에 들어갔던 김현준은 1929~1935년 기간에 보성전문학교 강사와 조선일보의 논설반 위원, 중앙불교전문학교 강사 등을 역임했으며, 사회학을 강의하는 동시에 집필 활동에 몰두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학 저술이자 교과서인 『근대사회학』(1930)을통해 독일 사회학을 본격적으로 소개했고, 당대의 사회문제를 이론적 전문성과 실천적 문제의식을 갖고 분석한 논문들을 다수 발표했으며, 폭넓은 사회과학적 안목과 외국 체험에 바탕을 둔 계몽적인 기고문들을 다수 발표했다. 따라서 그는 일제식민지 지배 하의 근대 학문 수용기에 사회학의 연구와 교육에 누구보다 앞장서서노력한 선구자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그의 전 생애 중에서 1936년까지의 시기를 다룬 것이다. 그동안 사회학자 김현준의 진면목이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 연구를 통해 그 전체상이 조명됨으로써, 그를 한국 사회학을 개척한 인물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이 연구가 마중물이 되어, 그의 학문적 업적은 물론 그가 살았던 시기의학문 상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최문환과 한국 사회학의 문제틀

        정일준(Il Joon Chung)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1

        최문환은 한국 사회학 건설기의 1세대 사회학자로서 1950년부터 1961년까지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제 3, 4대 한국 사회학회 회장도 역임했다. 이후 서울대 상대교수 및 학장(1961-1966)을 거쳐 제10대 서울대총장(1966-1970)을 지냈다. 그는 사회학자였지만 사회학자이지만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최문환의 일본 유학시절을 돌아보고, 월러스틴의 사회과학 분과와 연구영역에 대한 분류와 부라보이의 공공사회학 논의를 기반으로 그의 사회학을 자리매김한다. 둘째, 그의 사회학을 사회사상(민족주의)과 베버연구(자본주의)로 나누어 구체적 내용을 고찰한다. 셋째, 시기별로 대학안팎의 활동을 정리하면서 전문사회학자를 넘어서 비판사회학자, 정책사회학자 그리고 전통적 공공사회학자로서의 다양한 면모를 제시하고자 한다. 최문환이 한국 사회학에 끼친 가장 큰 공헌은 ‘한국’ 사회학의 문제틀을 제시한 것이다. 이상백이 분과학문으로서 사회학의 뿌리를 내렸다면, 최문환은 한국사회가 당면한 과제를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한국 사회학의 문제의식이라는 씨앗을 뿌렸다. 그는 베버를 통해 한국 사회를 조망하는 문제틀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리고 베버와 마찬가지로 자기에게 주어진 역사적, 사회적 과제를 피하지 않았다. 이 점이 그를 사회학자이면서 동시에 사회학을 넘어선 활동에 나서게 만들었다. Choe Mun-Whan, one of the leading 1<SUP>st</SUP> generation Korean sociologists, served as the professor in sociology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1950 to 1961. He served as the 3<SUP>rd</SUP> and 4<SUP>th</SUP> president of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s well. In 1961 he moved to economics department and became the dean of a College of Commerce from 1961 to 1966. And he also was appointed as the 10<SUP>th</SUP> president of SNU from 1966 to 1970. Dr. Choe was a distinguished sociologist in his era, but his role as an intellectual was not confined in a narrow disciplinary boundary. In this article, first, his academic careers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studies was reviewed, analyzing his sociological position. By charting the social areas and corresponding social science disciplines by Wallerstein and by classifying division of labor among four different sociologies including professional, policy, critical and public sociology identified by Burawoy, Choe’s unique career as a professor and intellectual could be understood. Secondly, his two major research topics were substantially reviewed. One is main trends of Western Social Thoughts mainly focusing on Nationalism, while the other is introducing the problematique of Max Weber into Korea. Thirdly, his activities in and out of academia during the 1950s and 1960s were recognizable as that of ‘the traditional public sociologist.’ Dr. Choe’s major contribution to Korean Sociology is that he raised ‘the problematic of Korean Sociology.’ If Lee Sang-Beck institutionalized sociology as a professional discipline in Korean social science discipline, Choe pioneered establishing the Sociology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al characteristics by confronting contemporary Korea through the eyes of Weber. Moreover, same as Weber, he never had avoided any social responsibility given to him so that his attitude drove him to fulfill professional as well as political functions as an intellectual.

      • KCI등재

        사회학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

        임현진(Lim, Hyun-Chin),정일준(Chung, Il-Jo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21세기 한국 사회학의 올바른 자리매김은 ‘홀로서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세계 학계와의 ‘관계맺기’를 위한 방법과 논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우리 현실을 바탕삼아 새로운 사회이론을 만들 수 있도록 한국 사회에 관한 문제틀, 메타이론,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 첫째, 사회과학의 분야별 영역주의를 타파하여 우리 사회에 독특한 주제에 관한 융합과 통섭의 총합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이때 학제적 연구를 넘어 초제적 또는 탈제적 접근을 추구해야한다. 사회과학 내부에 인위적으로 구획된 장벽을 낮춤으로서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사이의 대화를 촉진하여 보다 열린 지식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학은 역사학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 사회에 관한 부분사적ㆍ전체사적 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 사회에 대한 분석을 보다 심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연구가 외래 이론에 의해 계도된 사실분석이었다면, 앞으로는 한국 현실에 대한 ‘짙은 묘사’를 바탕으로 ‘제한된 일반화’를 시도함으로써 우리 이론을 만들고 바로 세우는 작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학은 다른 국가, 문화, 지역과의 비교연구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 연구의 국제화와 지역연구의 국내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지평에서의 논의도 평가할 수 있다. 우리의 문제를 우리의 시각에서 정립하고 또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때, 나아가 세계의 문제를 우리의 준거를 가지고 정의하거나 재해석 할수 있을 때, 한국학의 세계화가 가능하다. The right positioning of 21st century Korean Sociology lies on the one hand in ‘standing alone’ of Korean sociology, and on the other hand in ‘reaching out’ to global sociology. In order to develop Korean sociological theory based on our own experiences, we should elaborate problematique, meta-theory and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society. First, by dismantling disciplinary divisions, we should pursue comprehensive approaches in our unique research topics. Inter-disciplinary, trans-disciplinary, and post-disciplinary approaches are needed. We should promote dialogues among political science, economics and sociology within social science discipline thereby establishing more opened knowledge system. Second, sociology should strengthen its ties with history department. By using particular and total knowledges accumulated in history, we can delve into Korean society more intensively. So far the study of Korean society is mainly guided by the imported foreign theories, we can try ‘limited generalization’ based on ‘thick description’ of Korean realities. Third, we should lead comparative researches with other nation-states, cultures, and regions. In order to do that, globalizing national researches and nationalizing regional researches are precede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ies can be evaluat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grounds. We can globalize Korean studies only on these conditions: We could problematize our own problems upon our own perspectives and show solutions of our own making. Furthermore, we can define or interpret global problems from our own reference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