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과 <언문철자법>(1912) -조선어 학습 방침과 규범 통제를 중심으로-

        이상혁 ( Sang Hyeok Lee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6 No.-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에 반영된 조선어 학습 방침과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과 연관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과거나 현재를 막론하고 국어 교과서는 그 성격상 불가피하게 규범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일제의 식민지 조선어 교육과정에서 1910년 이후 처음 출간된 교과서를 그 대상으로 삼았다. 논문을 통해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의 편찬과 개정에 대한 경과를 수정하여 제시해 보았고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이 교과서에 미친 영향이 ``경성어``의 도입를 통한 규범 통제의 양상이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의 체제가 그 이전과 이후의 다른 조선어 교과서와 다르다는 점을 논의하면서 세 가지 점에 주목하였다. 그 첫째는 교과서 서언(일러두기)에 투영된 조선어 교육 방침과 언어 의식에 대한 것이었는데 교과서를 통해서 관통하는 거시적인 언어관의 일면을 엿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의 자모 제시와 규범 반영 방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전통적인 자모 제시와는 달랐던 이 교과서의 규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마지막으로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 본문이 일제강점기에 유일한 한문 학습 연계 교과서의 체계를 가지고 있는 점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당시 규범을 제정한 의도는 표준화라는 언어정책적 측면과 조선어 교과서를 통한 통치 효율성에 그 기반을 둔 것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총독부가 직접 관여하여 규범 통제를 최초로 구현한 교과서가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이었음을 강조하고자 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revealed in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publish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junction with Spelling Conventions(1912). Korean textbooks were influenced by spelling conventions historically. I dealt with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since 1910 because it is literal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wo fold widely. First, it proposes to modify the progress of the compilation and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Second, it pointed out that The enactment of Spelling Conventions(1912) was the aspects of constraints to introduce standard language as ``Gyeongseongeo(seoul dialect at that time)`` in this textbook. it examines with emphasis on three points microscopically, while discussing the structure of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and other diffe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First, there ar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language consciousness in that introductory textbooks. I observed through entire textbooks the aspect of macroscopic language consciousness. Second, I argued the system of Korean alphabet presentat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1915), it was different with the traditional method and like Japanese style. Third, in this article it is to research the only body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which i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Chinese learning by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 the Japanese Empire was based on intention to standardize Korean language and spelling convention as the language policy aspects and on the efficiency of the colonial rule. A result in the first implementation of Spelling Conventions(1912) constraints was down to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재의 개발 현황 및 개발 방향

        김선정 ( Seon Jun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지금까지 개발된 한국어 교사 교육 교재의 현황을 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교사 교육 교재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는 달리 한국어 교사 교육의 역사는 그다지 길지 못하다.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기 전에 먼저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이 실시되었다. 따라서 초기의 한국어 교육은 한국어 교사로서 제대로 훈련을 받지 못한 교사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러다가 2005년 국어기본법이 시행된 후에야 외국어 2005로서의 한국어 교사를 양육하기 위한 교육과 정이 어느 정도 통일되고 표준화 되었다. 그러나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별도로 개발된 교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재 개발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은 과목부터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한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연구 경력과 교육 경력이 풍부한 사람들 간의 협력 하에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대상이 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하되 타 언어와의 비교·대조적 관점에서 집필해야 한다. 외국어 교수법의 경우에는 단지 외국어 교수법을 소개하는 데에 그칠 것이 아니라 외국어 교수법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담은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한국의 학기제 운영에 맞는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한국어 학습자용 교재를 분석해본 후에 학습자 교육에서 필요한 내용에 무게를 둔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한국어 교육 또는 언어 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제가 조화롭게 담겨 있는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교실 사용을 전제로 한 교수학습용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current situations of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education developed so far, and to propose new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educati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education is not that long compared to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before Korean language teacher`s education. This mean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originally done by teachers who were not properly educated as a Korean language teacher. Only after Korean Language fundamental law was enforced, the curriculum for foste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has been unified and standardized to some extent. However, textbooks for the program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education have not seen enough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education are as follows: Textbooks must be developed for the subjects that have not been published in significant amount. Textbooks must be develop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scholars having rich research experience and scholars having ample teaching experience. The target language, Korean, must be central, but textbooks must be written from the comparative and contrastive viewpoints of other languages. Teaching methodologies for foreign languages must not only be introduced, but also extended to how to apply them to Korean language teaching. Textbooks with great depth must also be developed to be used in graduate programs. Textbooks which are suitable for 15 or 16 week long use and matched to the operation of academic affairs of colleges must be developed. It is a good way to develop textbooks after analys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ers. Textbooks must cover both the theories an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y must be teaching-learning type textbooks developed based upon a premise that are used in classrooms, not research reports or a kind of dictionary.

      • KCI등재

        한국어 초급 통합 교재의 문화 교육 항목 분석 연구

        김주연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4 외국학연구 Vol.0 No.67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s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y selecting three types of integrated Korean-language textbooks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items reflected by unit and textbook. The regular curriculum textbooks produced and published by Yonsei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ave practicality as integrated textbooks that independently organize culture into units. They contain four language functions, language items, and culture in one volume. In total, 12 textbooks were analyzed, including Yonsei Korean, Korea University Korean,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s Korean Student's Book.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in these integrated Korean-language textbooks came from the framework (large classification-medium classification-small classification-example) that details the cultural categories and education items of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based on the target and content skills for each level in the ‘2nd phase of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model for Korean-language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results on each unit in the Korean beginner's integrated textbooks. First, the cultural categories at the beginner level should be properly arranged. In the three types of Korean beginner's integrated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select cultural categories by excluding cultural education items that are not appropriate for the stage considering the cultural grade by level. Second, various cultural education items should be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ree types of cultural education items dealing with different aspects of Korean culture. Third, cultural education items should be organically connected to expand the scope of cultural activities in an integrated manner in terms of phased expansion and indepth activities. This should be done to ensure the cumulative effect of daily life experiences through learning cultural education items. Fourth, cultural education item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s and foreigners must be presented even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items by unit and textbook for three types of integrated Korean-language textbooks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cultural education that can be reflected in Korean-language textbooks in the future. A full-scale discussion should take place to develop textbooks that contain more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items to increase the number of foreign Korean-language learners.

      • KCI등재

        일제시대(日帝時代) 조선총독부발행(朝鮮總督府發行) 한국아동용어학독본(韓國兒童用語學讀本)에 나타난 한자어(漢字語)와 한문(漢文)

        심경호 ( Kyung Ho S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one hand nationalistic intellectuals endeavored to teach children Korean language, but on the other hand Joseon Government-general mainly taught children `the national language` and secondarily taught Korean language and Chinese writing.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hinese writing execut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was aimed at reinvigorating the educ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not at advancing Korean language. Their most important purpose of teaching Korean language was to make children loyal to Japanese Imperialism. Then, these language educational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was related to the organized moral education through publishing the `Sooshinseo(修身書)`. This study is on how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used sino-Korean and Chinese writing in the elementary school Language textbooks.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have some effect on Korean language and sino-Korean as follows. (1)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emphasized the relations between Chinese character, Chinese writing, sino-Korean and Korean language. And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taught children both Chinese writing and sino-Korean, to advanced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the basis of these points, we can watch the formation process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2) However,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entioned very difficult sino-Korean vocabulary, as if it had been written for intellectual people. In additional, classical Chinese usage - `卽하야, 因하야, ~하는 樣이, 如何, 勿論, 可謂` - remained in the Korean textbook[朝鮮語讀本]. So, we lost the chance to purify Korean language. (3)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officially recognized the sino-Korean vocabulary that had been hastily mad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 and widely taught children it. So, the organization of Korean language vocabulary was very complicated. (4)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selected some Chinese writings as the text, those were mostly about loyalty, filial piety, moral training and social assimilation. So Korean student couldn`t enhance their nationalism and their will to revolt gainst authority. Hereafter, it requires that we research how sino-Korean Vocabulary and Chinese Writing in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ffected the formation of sino-Korean and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Korea. And it need to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the policy of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olicy of the Taiwan Government-general.

      • KCI등재

        日帝時代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에 나타난 漢字語와 漢文

        심경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일제의 강점 시기에는 민족주의 지식인들이 아동들을 위한 조선어 교육에 부심하는 한편, 일제의 朝鮮總督府는 아동들에게 ‘국어’를 교육하고 부수적으로 조선어와 한문을 가르쳤다. 조선총독부의 조선어 및 한문 교육은 ‘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편이었지, 조선어 자체의 발전이나 한문 지식의 확대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국어, 조선어, 한문 교육은 모두 식민지의 아동을 ‘忠良한 國民’으로 形成시키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언어 교육은 조선총독부가 修身書를 편찬하여 아동의 정신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 것과 상호 연관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어 혹은 ‘국어’를 교육하기 위해 편찬한 普通學校 語學讀本에서 한자어와 한문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일별하였다.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이 韓國人의 韓國語와 漢文에 끼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고 개괄할 수 있다. (1)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은 한국어와 한자, 한자어, 한문의 관련성에 주목하고 식민지 아동에게 민족어인 한국어를 일정한 정도로 교육하기 위해 한자, 한자어, 한문의 교육을 병행했다. 이 점은 한국어 형성의 역사를 고찰하고 한국어 발전의 방향을 가늠하고자 할 때 한 가지 주요한 관점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2) 하지만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은 한자와 한문에 대해 素養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삼기라도 한 듯, 어려운 漢字와 漢字語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했다. 또한 朝鮮語讀本은 ‘卽하야, 因하야, ∼하는 樣이’ 등 「漢字+한글어미」의 語法이나 ‘如何, 勿論, 可謂’ 등 한문어투의 표현을 溫存시키고 敎範으로 삼음으로써 韓國語의 自己醇化의 기회를 빼앗았다. (3) 開化期以後 日帝時代에 걸쳐 急造되거나 輸入된 한자어들을 사실상 標準語로 公認하고 널리 교육시킴으로써 韓國語 語彙의 구성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4) 漢文의 교육은 개인의 修身(孝, 交友 등 포함)과 사회적 同和를 강조하는 원문들을 주로 선별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민족주의의 저항 의식과 반봉건의 진취적 정신을 고양시킬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의 한자, 한자어, 한문의 응용이 이후 한국의 한문 소양 형성과 한문 교육 방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향후 고찰이 필요하다. 또한 朝鮮總督府의 한문 교육 방향이나 내용이 臺灣總督府의 한문 교육정책이나 일본 文部省의 교육 방침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해서도 종합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one hand nationalistic intellectuals endeavored to teach children Korean language, but on the other hand Joseon Government-general mainly taught children ‘the national language’ and secondarily taught Korean language and Chinese writing.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hinese writing execut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was aimed at reinvigorating the educ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not at advancing Korean language. Their most important purpose of teaching Korean language was to make children loyal to Japanese Imperialism. Then, these language educational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was related to the organized moral education through publishing the ‘Sooshinseo(修身書)’. This study is on how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used sino-Korean and Chinese writing in the elementary school Language textbooks.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have some effect on Korean language and sino-Korean as follows. (1)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emphasized the relations between Chinese character, Chinese writing, sino-Korean and Korean language. And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taught children both Chinese writing and sino-Korean, to advanced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the basis of these points, we can watch the formation process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2) However,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entioned very difficult sino-Korean vocabulary, as if it had been written for intellectual people. In additional, classical Chinese usage - ‘卽하야, 因하야, ~하는 樣이, 如何, 勿論, 可謂’ - remained in the Korean textbook[朝鮮語讀本]. So, we lost the chance to purify Korean language. (3)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officially recognized the sino-Korean vocabulary that had been hastily mad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 and widely taught children it. So, the organization of Korean language vocabulary was very complicated. (4)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selected some Chinese writings as the text, those were mostly about loyalty, filial piety, moral training and social assimilation. So Korean student couldn’t enhance their nationalism and their will to revolt gainst authority. Hereafter, it requires that we research how sino-Korean Vocabulary and Chinese Writing in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ffected the formation of sino-Korean and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Korea. And it need to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the policy of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olicy of the Taiwan Government-general.

      • 한국어 교재의 변천사 연구

        최은규 ( Choi Eun Kyu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0 先淸語文 Vol.47 No.-

        This paper aims at describing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textbooks to explain the history of the textbooks and find a plan for development of the Korean textbooks as a part of the study on the theory of Korean textbooks. For the purpose, the Korean textbooks as a foreign language developed at a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a domestic university that took lead from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cours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m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Korean textbooks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to examine the development situ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from the late 19<sup>th</sup> century to the present. It has been found with this analysis that the Korean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reflecting the teaching theories of each period fully in the field of the type of the textbook, visual design, translations, relevant contents, entire composition, development purpose, unit composition, unit name, study content, and study activity.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 following study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Firstly, a teacher tutorial which includes the principle of textbook development, the intent of writing, and the proper way of use should be developed. Secondl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aterials which reflect the changes in digital technology is required. Thirdly, a consideration on making a textbook with a variable system which takes selective learning, the sele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use of various programs into account. Finally, there should be a compilation of “A Series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Data,“ named tentatively, in the form of a book or digital data to implement the first role of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study.

      • KCI등재

        한국어교재의 편찬 동향 분석

        고경민 ( Ko Kyoung-min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71

        이 연구는 2000년 이후에 편찬된 1600여권의 한국어교재를 분석하여 한국어교재의 편찬 동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교재의 변화는 지난200년보다 최근의 20년에서 그 변화의 모습을 더 쉽게 포착할 수 있다. 최근의 20년 동안 한국어교재는 수적인 증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수법의 반영, 교육과정 및 커리큘럼의 구체화, 학습자의 수요조사 반영 등 다채로운 변화와 발전의 단계를 거쳐 왔다. 이러한 괄목할만한 성장과 변화의 뒤에는 한국어교육분야의 전체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제도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한국어` 자체에 대한 관심과 기대의 증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렇게 변화된 교재의 모습을 포착하고, 앞으로의 교재 개발에 반영하고자 2000년부터 2016년 5월까지 간행된 교재를 교재의 유형과 수준, 언어를 중심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계량화하였다. 한국어교재는 근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교재로서의 역할과 가치를 확보할 수 있었고, 80년대와 90년대를 거치면서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담고 있는 기관 학습용 교재로 성장·발전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2000년 이후는 한국어교재가 처음 개발된 시점부터 2000년 이전을 합친 것 이상의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며, 교재의 목적, 유형, 내용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완성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확한 교재의 편찬 상황과 편찬 유형을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논의의 결과는 향후 교재 선정과 개발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cation trends by analyzing nearly 1,600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The chang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more easily found in the last 20 years than in the past 200 years. For the last 20 years,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went through diverse changes and developments like reflec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s, materialization of educational courses and curriculums and reflection of research on learners` demands, in addition to the numerical increase. It is supposed that this eye-opening progress and transition has been influenced by the overall growth and stable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rom a more macroscopic perspective, it`s been caused by the increase of interest in and expectation for `Korean language`. This study classified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by May 2016 from 2000 into some categories and quantified them in order to catch the changes of textbooks and apply the progress to future textbooks. The analysis is focused on the types and levels of textbooks, targets and language and the researcher`s view on textbook publication and improvement is suggested along with the analysis result. It is anticipated that analyzing the textbook publication trend would help learners and teachers select and develop better textbooks.

      • KCI등재

        국어교과서 정책의 과제

        이성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교육과정의 개정 및 교과서 편찬 제도의 변화, 국어교육학의 발전, 그리고 무엇보다 국어교과서 중심의 국어 수업 등으로 인해 국어교과서에 대한 관심이 커졌을 뿐 아니라, 국어교과서 정책 또한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편찬된 국어교과서는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다양하고 질 높은 국어교과서가 편찬되지 못하고 있는 까닭은 국어교과서 정책에 국어교육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국어교육은 경험과 텍스트를 중심으로 교육 활동이 일어난다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살려서 구성과 제재 측면에서 다양성을 지닐 수 있도록 국어교과서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국어교육의 특성이 국어교과서에 반영되지 못한 까닭은 열린 교과서관이 제도화되어 있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교과서를 다양하게 편찬할 수 있고, 국어교사가 교과서를 재구성하거나 외부 자료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 국어교육의 특성을 살리는 열린 국어교과서 정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거버넌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수평적인 협치가 그 핵심 개념으로서, 민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 결정 방식이다. Because of curriculum revision, changes of textbook compilation policie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centered Korean language classwork, concerns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growing and polici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have changed affirmatively. However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ompiled recently are not satisfying at all. The reason why we can't compile various and good Korean language textbooks is that specificit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not reflected to policies.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ccomplished around language experiences and texts, policies should support variety of compiling system and tex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ason why specificit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not reflected to policies is that an open viewpoint on textbook is not established as regulations. Therefore, we have to improve systems in order to compile various textbooks and to use trade books freely. In order to accomplish open policies on textbook, we have to construct a good governance system. A good governance system is cooperative policy formation system through network and it pursuits democracy and efficiency.

      • KCI등재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 연구 -설화 및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사동훼,정소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3

        본고는 그간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만 편중된 연구사에 주목하여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 고전문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 는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와 달리 중국인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대상이 제한적이고 명확하다. 또한 중국은 중세문학사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기 때문에 현재는 한국의 고전문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염두하며 논의를 진행하다. Ⅱ장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재 4종을 대상으로 한국 고전문학의 수용 양상을 개관하다.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교재에는 고급 단계가 많지 않지만, 고급 교재가 있더라도 한국 고전문학은 중급 단계에 편중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설화나 설화 관련 작품이 가장 많이 실린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을 Ⅲ장 에서 자세히 검토하다. 그 결과, 한국 고전문학 못지않게 중국의 설화를 나란히 두거나, 때로는 중국의 설화 를 주된 본문 텍스트로 삼기까지 하는 등 한국어 교재라고 해도 실제 교수자나 학습자가 중국인인 점을 감안 하여 중국의 문학을 한국어로 바꾸거나 표현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 제기한 바,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 그리고 중세문학사에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깊었던 만큼 고전문학을 현대문학보다 더 쉽게 여기고 중급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다룬다는 점을 밝혔다. 무엇보다 한 국의 고전문학이 본문에 제시만 될 뿐이고 연습문제의 내용으로까지는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고, 그에 비한다 면 중국의 고전문학이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다루어진다는 점,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중국의 세계화의 일환으 로서 중국 내에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confronts the predominant research bias with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historically centered on teaching materials originating from South Korea. We shift our focus to investigate how classical literature is introduced in Chinese-published Korean textbooks. Unlike Korean-published materials, Chinese-published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designed exclusively for Chinese students. And discussed how China,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medieval literature, perceiv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Chapter II,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percep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four kinds of widely-u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lthough there are not many advanced textbooks edited and published by China itself, it can be seen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textbooks. Furthermore, we observe that traditional stories and related works a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delve into this in Chapter III. The results indicate that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receive same level attention a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roduced in these materials. Some units are using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as the main content. Given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primarily Chinese, there is a notable interest in presenting Chinese literature in their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as raised in the introduction, we have examined the rece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Chinese publish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not been specifically addressed so far; Secondly, we elucidate that due to the strong historic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medieval literary history, classical literature is emphasized as more accessible and commonly included at intermediate language learning levels comparing to modern literature; Lastly, we note that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is only presented in the text and is rarely covered in exercises, whereas classical literature in China holds a considerable proportion. In conclusion, as a part of China’s globaliz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xperiencing essential growth within China.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중학교 문학교육 현황 고찰 - 『조선어문(新編, 2014~2016年)』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영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5

        The research aime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in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currently in use and to make constructiv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s. We first determined the requirements of the language curriculum, to identify the complex role of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The language curriculum aims to develop four major skills. The first is the development of language skills.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a socialist, moral character and patriotism. The third is to strengthen the national culture. The fourth is to acquire basic humanities skills by exploring the world’s best culture. Korean-Chinese Language is not only a language subject, but also a humanities subject. Next, we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new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 for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ly compiled textbook did not cut out the content of the Korean-Chinese language, but integrated it into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The method has shifted from the existing knowledge transfer class method to the learners-oriented class method, which values the learners’ thinking. Finally,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based on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and found the following features: Literature is a medium to confirm national identity; literature is a medium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is a method to promote world culture. As a minority in China, the Korean-Chinese literary education fully respect the Chinese literary tradition. The Korean people’s identity and tradition is upheld in China’s education policy. At the same time, education of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found a way of embracing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through integrating world literature. 이 연구는 현재 중국 조선족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선어문(新編, 2014~2016年)』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조선족 중학교 문학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문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 현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조선어문』 교과서의 복합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조선어문과정표준(朝鮮語文課程標準)’을 살펴보았다. ‘조선어문과정표준’에서는 『조선어문』 교육을 통해 크게 네 가지의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첫째는 언어 기능을 강조한 조선어문 사용 능력의 함양이고, 둘째는 사회주의 도덕 품성과 애국주의 사상 감정의 양성이며, 셋째는 민족문화를 이어가는 조선 민족의 일원이 되는 것이고, 넷째는 중국의 우수문화와 외국문화를 섭취하여 기본적인 인문적 소양을 갖추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어문』 교과는 조선어라는 모어이면서도 소수민족어, 계승어라는 정체성을 인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애국심을 심어주고 한민족 문화를 계승하며 세계의 우수문화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인문적 품성 교과의 역할도 지니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문』 교과서의 구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새로 편찬된 『조선어문』 교과서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종합성학습’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기존의 ‘지식 전달식 수업’ 방식에서 학습자의 생각을 중요시하는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 현황을 ‘국민적 정체성 확인으로서의 문학교육’, ‘한민족 문화 계승으로서의 문학교육’, ‘세계 문화 수용으로서의 문학교육’ 등 3개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은 중국의 교육정책 속에서 소수민족이라는 정체성을 인식하면서 중국의 문학 전통을 충분히 존중하고 남·북한 문학을 중개적(仲介的) 관점에서 수용하였으며 동시에 세계문학을 폭넓게 포용(包容)하려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은 조선족 청소년 학습자가 다양한 문학적 자양분을 섭취하여 문학 문식성 신장뿐만 아니라 건전한 인격을 형성하는 데까지 주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