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전래동화에 대한 사용자 인식 조사 연구

        김은영 ( Kim Euny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재에 나타난 전래동화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학교육과 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한국어교재 편찬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재에 수록된 전래동화는 언어교육은 물론 문화교육이나 문학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자료임에 틀림없지만 전래동화가 수록된 한국어 교재가 실제 사용현장에서 문학교재, 문화교재 등의 역할로 적합한지 점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교재에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흥미, 만족도, 적합성 면에서 부정적인 인식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자국의 전래동화와 비슷하다는 의견과 유치하다는 의견 등으로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고 실제 한국어수업에서 전래동화를 통해 문화교육이나 문학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사 또한 전래동화를 언어자료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아서 언어학습에 치중하고 있었다. 따라서 문화자료 또는 문학 자료로 전래동화의 역할과 가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한국어 교재에서는 전래동화의 선정 및 양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며 더불어 학습목표나 언어교육 중심적인 활동에서 문화와 문학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변화가 필요하다. 한국어 교사의 입장에서는 전래동화를 통한 문화교육과 문학교육을 위한 재교육을 통해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자료의 성격에 맞는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n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on Korean folk tales in Korean textbooks, suggesting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nd to help compile Korean textbooks. Korean folk tales in Korean textbooks should be good materials in that students can get culture education or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language education from them.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is material is suitable for users as language textbooks, literary textbooks, and cultural textbooks. The survey, conducted with native language learners and teachers as well, revealed negative perceptions in terms of interest, satisfaction, and suitability.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not interested in Korean folk tales. In fact, Korean language classes also showed that there was not enough cultural education or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Korean folk tales. Korean language teachers also tended to recognize Korean folk tales as language material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anguage learning aside from their literary values. In order to convey the role and value of literature education or cultural education, the selection and quantity of Korean folk tales should be fully and thoroughly considered. Korean folk tales should also be presented that correspond to the learner's interests and educational levels. For Korean teachers, a change in perception should be needed. Changes in perception could be made through re-education for cultural and literary education. Then, integrated classes should be conducted by devising educational plans and education methods suitable for Korean folk tales.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제재로서 전래동화가 가지는 이점에 대하여

        안부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Korea society has changed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very rapidly, so it has to be develop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multi-cultural family. And it is very different that making the reason of multicaltural family. Therefore it must be classify according to how parents speaking Korean in fluency. The necessity of educating Korean culture helps the foreign learners to have more interest and understanding which cultivates intercultural. At the same time, it heads for the higher levels of communicating skill. This study propose that it is usefu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using Korean folk tale. It has four reasons that teach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using Korean folk tale. first, Korean folk tale is similar with folk tale in other country. Second, it used to sentence repeatly. Third, a onomatopoeic word and a mimetic word used in Korean folk tale frequently. The last, multi-cultural children can easi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values, and understandings reading Korean folk tale.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에 접어 들어감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해졌다. 그런데 흔히 ‘다문화 가정’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를 전개해 나가지만, 실제로 다문화 가정 은 형성된 배경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교육적 처치를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부모 및 자녀의 한국어 유창성 정도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미숙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시켜 나가고자 한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우리 문화나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한국어의 습득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인데 이는 단지 한국어를 유창하게 잘 하지 못해서만은 아니다. 언어는 사회의 반영물이므로, 언어를 유창하게 잘 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 대한 이해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한국 문화를 낯설어 한다. 한국 문화를 입문하는 좋은 제재로서 본고에서는 ‘전래동화’를 제시하였다. 전래동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오는 옛이야기로, 그 원형이 분명치는 않으나, 다른 나라의 전래동화와 공통적인 화소가 많아 유사한 경우가 많다. 또한 이야기 구조나 문형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의성어와 의태어가 이야기 주인공의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제시되는 점, 한국 문화를 나타내는 표현이나 어휘들이 많이 사용되는 점 등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국어가 유창하지 못한 부모를 둔 다문화 가정 자녀에게는 좋은 한국어 교육 제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민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양민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2 No.4

        This study investigates on a culture education approach through folk tale which is one of narration story types. Folk tale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useful and interesting text for the foreign learners of Korean to learn traditional Korean culture, ideas, an world view of Korean people, etc.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tale as a genre and the advantage of practical application of it. By analyzing three works of folk tale: ‘Can live with my luck', 'Ureong wife', and 'Snake bridegroom', the study presents cultural elements revealed in Korean folk tale. The following elements are found in the research: (1) positive and people-oriented world view, (2) will and power of execution, (3) the people's wish fulfillment, (4) wisdom of women and the wife's assistant, and (5) strong married love and familism.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efficient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pplication of folk tal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not only to Korean culture education but also to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leads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설화 장르의 하나인 민담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제시에 초점을 두었다. 민담은 외국인 학습자에게 먼저 한국문학을 소개하는 동시에 한국문화의 전통과 한국인의 사상, 세계관, 정신 등을 습득하게 하는 유익하고 흥미로운 동기 유발의 텍스트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담의 장르적 특성을 살펴 보았고, 한국어 문화교육에 있어서 민담 활용의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작품으로는 광포설화인 <내 복에 산다>형, <우렁각시>형, <뱀신랑>형 민담 등 세 유형을 각각 분석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민담에 나타난 한국문화적 요소를 고찰하였다. 크게 다섯 가지로 추출된바, 첫째, 긍정적, 인간중심적 세계관, 둘째, 의지와 실천력의 현실과, 셋째, 민중의 소망 성취, 넷째, 여성의 지혜, 내조관, 다섯째, 견고한 부부애, 가족주의 등이다. 이러한 논의를 집약하여 민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은 물론, 고급단계의 수준높은 한국어 구사능력의 향상이라는 통합적 교육 방안에 일정 정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 연구 -설화 및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사동훼,정소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3

        본고는 그간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만 편중된 연구사에 주목하여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 고전문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 는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와 달리 중국인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대상이 제한적이고 명확하다. 또한 중국은 중세문학사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기 때문에 현재는 한국의 고전문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염두하며 논의를 진행하다. Ⅱ장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재 4종을 대상으로 한국 고전문학의 수용 양상을 개관하다.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교재에는 고급 단계가 많지 않지만, 고급 교재가 있더라도 한국 고전문학은 중급 단계에 편중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설화나 설화 관련 작품이 가장 많이 실린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을 Ⅲ장 에서 자세히 검토하다. 그 결과, 한국 고전문학 못지않게 중국의 설화를 나란히 두거나, 때로는 중국의 설화 를 주된 본문 텍스트로 삼기까지 하는 등 한국어 교재라고 해도 실제 교수자나 학습자가 중국인인 점을 감안 하여 중국의 문학을 한국어로 바꾸거나 표현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 제기한 바,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 그리고 중세문학사에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깊었던 만큼 고전문학을 현대문학보다 더 쉽게 여기고 중급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다룬다는 점을 밝혔다. 무엇보다 한 국의 고전문학이 본문에 제시만 될 뿐이고 연습문제의 내용으로까지는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고, 그에 비한다 면 중국의 고전문학이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다루어진다는 점,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중국의 세계화의 일환으 로서 중국 내에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confronts the predominant research bias with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historically centered on teaching materials originating from South Korea. We shift our focus to investigate how classical literature is introduced in Chinese-published Korean textbooks. Unlike Korean-published materials, Chinese-published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designed exclusively for Chinese students. And discussed how China,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medieval literature, perceiv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Chapter II,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percep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four kinds of widely-u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lthough there are not many advanced textbooks edited and published by China itself, it can be seen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textbooks. Furthermore, we observe that traditional stories and related works a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delve into this in Chapter III. The results indicate that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receive same level attention a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roduced in these materials. Some units are using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as the main content. Given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primarily Chinese, there is a notable interest in presenting Chinese literature in their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as raised in the introduction, we have examined the rece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Chinese publish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not been specifically addressed so far; Secondly, we elucidate that due to the strong historic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medieval literary history, classical literature is emphasized as more accessible and commonly included at intermediate language learning levels comparing to modern literature; Lastly, we note that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is only presented in the text and is rarely covered in exercises, whereas classical literature in China holds a considerable proportion. In conclusion, as a part of China’s globaliz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xperiencing essential growth within China.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김소월 시에 나타난 이별의 ‘정서’ 교육 방안 - <진달래꽃>, <초혼>, <접동새>를 중심으로 -

        조수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어 교육 Vol.24 No.2

        This article asserted the necessity of the emotional education with main study objective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emphasize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itself in the literature works. And it spread the discussion on the emotional study on the literature work representing the mental culture shared by the group with drawing attention on the emotion of ‘departure’ which is appeared on entire poem of So Wol Kim out of many emotions. The literature text in the education site of Korean language is an essential study material to the foreign students and overseas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who wish to command nice Korean language. The emphasizing the mental culture inspired into the background of the literature works and ‘emotion’ education of the literature itself will be the fundamental suggestion for the direction of th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 and it will be a help to refresh the fundamental purport of the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foreigners by the teachers and researchers at the work-sit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한국전래동화의 독서치료적 가치 연구 - 다문화가정을 위한 상황설정 및 상황분석을 중심으로 -

        김수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3

        This study aims to extract and analyze the bibliotherapeutic values/situations of Korean folk-tal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By analyzing 27 stories in the Korean folk-tale picture book written in two languages(Korean & English), we can find out 5 kinds of situational analysis as follows: (1) There are more men than women by the biological sex factor, whereas there are more adults than younger persons by the biological age discrimination. (2) For the space concept, there are a lot of socially related stories in their surroundings. (3)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there are more conflict elements than in the horizontal one. (4) There are more helpers from the outside than in the inside circle for the solution of their problems. (5) As a story theme, greed, wisdom, belief and family component elements are greatly involved in the stories. Among their beliefs, there are a lot of wisdom and greed themes, while piety and royalty to parents and conflict against stepmothers are among the family components. All of these would be an archetype of Korean culture,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to understand Korean lifestyle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to learn and practice bibliotherapeutic values. 이 연구는 한국전래동화에 의한 독서치료적 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과 한국에 현존하는 이중언어(한국-영어)로 된 27편의 한국전래동화 내용을 분석하여 5가지 상황적 요소로 나누었다. 생물학적(성별/연령), 공간적(가정, 또래, 사회), 관계적(수평, 수직, 단독, 기타)요소들과, 사건해결방식(자력, 조력, 자연, 미해결)과 8개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는 (1) 한국전래동화 내용에는 생물학적 요소에서 남자 주인공이 많으며, 연령별로는 어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고, (2) 공간적 요소로는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많았으며, (3) 수직적 관계 요소에서 갈등을 많이 보였고, (4) 문제해결 요소에서는 외부의 조력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5) 주제 요소에서는 신념과 가족구성을 다룬 것이 많았는데, 신념 중에는 욕심과 지혜 등의 주제를 많이 다루고 있었고, 가족구성 중에는 효성과 계모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었다. 이런 것들은 한국문화의 원형적인 가치들이며 다문화 가족과 한국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독서치료적 가치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 속 아동의 모습에 관한 고찰

        허정경 ( Jung Kyoung Hu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전래 동화 속 아동을 과거의 산물로 바라보기만 할 것이 아니라, 다가 올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아동상을 예측할 수 있게 재조명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래동화의 범위가 워낙 넓으므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주인공인 아동의 모습이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전래동화 35편을 선별한 뒤, 줄거리의 핵심 모티브에 따라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가진 아동’, ‘효자, 효녀 아동’, ‘계모에게 구박받는 아동’, ‘운명을 이겨내는 모험의 아동’으로 분류하여 전래동화 속 아동의 모습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에, 전래동화 속 주인공인 아동은 사회적 약자를 상징하고 강자를 이겨내는 모습을 통해 민중의 사회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고,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형성된 남녀 성차별적인 요소가 여자 아이가 겪는 시련을 통해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전래동화 속 주인공인 아동은 어른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고난과 시련이라는 통과의례를 거쳐 자아 정체감과 현실 인식을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책을 읽는 아동 스스로가 포괄적인 주제로서의 권선징악을 탈피하여 다양한 주제를 찾아 낼 수 있도록 부모, 교사들이 이를 지지해 주어야 한다. Folk fairy tales often encounter deep-seated prejudice that they stress moral and ethical aspects. As a result, interpretation or understanding of folk fairy tales is insufficient and limited although such stories are for children. In that sense, this thesis attempted to redefine Korean folk fairy tales through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approach excluding any bias against objects or phenomena. Considering the expanse of folk fairy tales, the present study selected stories where heroes and heroines are children to determine what those main characters could imply to us. So, children in stori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wise children who solve difficult problems’, ‘dutiful sons and daughters’, ‘abused children by their stepmothers’, and ‘children defeating fate and bad luck.’ Conclusively, the current study fou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folk fairy tales: First, children who are main characters in fairy tales represent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reveal popular criticism against society by defeating the strong. Second, female children in folk fairy tales are tried, which implies the gender discrimination formed in the confucian patriarchal society. Finally, children in folk fairy tales go through a rite of passage including hardships and adversity in the course of becoming grown-ups before they acquire ego identity and perceive reality.

      • KCI등재

        몽(蒙) · 한(韓) 구비문학에서 말[馬]이 지니는 의미와 상징

        ( D. Otgonttsetse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3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ymbolic images of ‘Horse’ by the Mongolians & Koreans. It is a study about the kind of roles the ‘horse’ played in the life style & history and the space it holds in the livelihood of both Mongolians & Koreans. In this context, it is a comparison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 dissimilarities between the images of horse in the two countries. The research outcomes point out a good amount of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As one of the examples of the similarities, we can find, in both the Mongolian & Korean oral literature, horse has an image of a spiritually divine creature, conceiving the unity with heaven Both the races consider horse as a truly divine creature, an animal with miraculous skills and is always being served as one of the object of veneration. This paper present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for the Mongolian students with the 객plication of oral literary works with the focus on the symbolic image of ‘Horse’ as a method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 한국전래동화로 배우는 어린이 영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Ⅰ

        오은순 공주문화대학 1999 공주문화대학·논문집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 materials for korean folk tale-adapted children's English education. Nowadays our children are living in a global world,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own identity and also have ability to use foreign language in the global world. The folk tales has the believes, the devotion, the filial piety and friendship of that nation and that culture. And language is the vehicle that helps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the widened experience. Culture may be defined as ways of life which are shared and transmitted by society members, and language is recognised to be the most typical and the most representative factor for every culture. Nowadays korean children who will live in the 21c have two tasks. One is they must 'know who they are. The other is to master a foreign language, expecially English which is world-wide language. This study gives a trial for korean folk tale-adapted children's English education. So it must keep on studding of textbooks and instructive method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early English teaching.

      • KCI등재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 편찬 『조선교육옛이야기[新日本敎育昔噺]』(1917)의 서지와 해학의 미학

        권혁래(Kwon, Hyeok-rae),조은애(Cho, Eun-a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일본 신화학자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1876-1922)는 1910년대 초부터 조선의 옛이야기들을 조사하였고, 52편의 작품을 선집하여 1917년 『조선교육옛이야기[新日本敎育昔噺]』를 간행하였다. 다카기는 1910년대 내내 ‘동화’ 연구와 함께 일본의 고전서사를 근대 동화로 재편 · 간행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같은 문제의식과 방법을 조선 문학에 적용해 문헌설화 및 구비설화작품을 선별하고 조선옛이야기선집을 간행하였다. 다카기는 ‘재미’와 ‘유익’이라는 기준으로 조선의 옛이야기 수록작품들을 선별하였다. 다카기는 『조선교육옛이야기』에 소담(笑談) 유형을 많이 수록하였고, 골탕 먹이는 이야기, 어리석은 자의 실패 이야기 등에서 고지식함을 비웃고 지혜 및 꾀를 강조하는 한편, ‘해학의 미학’을 보여주었다. 조선 옛이야기의 특성을 ‘해학’에서 찾으려 했던 다카기의 시도는 근대 한국 설화 · 동화연구사에서 매우 흥미 있고 중요한 결과물로 평가될 것이다. Japanese mythologist Toshio Takagi(1876-1922) investigated the old stories of Joseon from the early 1910s and picked up the 52 works and published An anthology of Korean educational old stories in 1917. He recorded many types of sodam (laughs), and he showed `aesthetics of humor` in the way of ridicule, comedy, satire, etc. Takagi tries to emphasize the educational and instructional character of the old story of Joseon while adding the qualification of `education`, but the works are not educational or doctrinal. Takagi published the old story of Joseon (Mukashibanashi) in terms of `laughter` and `fun` rather than `educational` factors. Takagi Toshio`s attempt to find the nature or essence of the old story of Joseon in `Haehak (humor)` will be evaluated as a very interesting and important result in modern Korean folk tales and fairy t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