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연속 숫자음 기반의 화자인식

        반재미,권영헌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9 이학기술논문지 Vol.13 No.-

        한국어 연속 숫자음을 DB로 사용하는 화자인식기를 구성하여 그 성능을 살펴보았다. 특징벡터는 각각의 음성에서 구한 39차의 MFCC를 이용하였고 인식기는 CHMM을 이용하였다. 훈련숫자에 따른 인식률 변화를 알아보았고 또한 mixture 증가에 따른 인식률 변화를 알아보았다. We studied speaker recognition system using Korean connected digits. After extracting 39 order feature coefficient of MFCC from DB of Korean connected digits, we perform training and recognition using CHMM.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speech recognition rate according to numbers of mixture.

      • 트리 구조 어휘 사전을 이용한 연결 숫자음 인식 시스템의 구현

        윤영선,채의근,Yun Young-Sun,Chae Yi-Geun 대한음성학회 2004 말소리 Vol.50 No.-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implementation of connected digit recognition system using tree structured lexicon model. To implement efficiently the fixed or variable length digit recognition system, finite state network (FSN) is required. We merge the word network algorithm that implements the FSN with lexical tree search algorithm that is used for general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fast search and large vocabulary systems. To find the efficient modeling of digit recognition system, we investigate some performance changes when the lexical tree search is applied.

      • KCI우수등재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에서 디지털 인문학 시대로 - 한국문학에서 본 디지털 인문학 연구

        이재연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This paper aims to briefly trace the history of incorporating digital humanitie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ry studies in Korea. “Humanities in the digital age,” often seen in books published in the late 1990s and early 2000s, featured in various pieces of research that pertained to the rise of digital media. It also delved into its impact on textual composition, narrative structure, and ways of reading. Digital archiving, informatics, and analyses of hyper- texts and computer games emerged separately in different academic domains. Yet, those individual outcomes started being merged and rearranged under the banner of digital humanities around 2014 to 2016 and onward, with both the new development and re-adaptation of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network analysis, text-mining, distant reading, and more.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major figures and academic institutions that led such a digital turn in Korea and examine their toils and struggles. It also propose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ll-fledged development of a new academic field in the future. This attempt, I hope, reveals an underexplored history in the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more than anything, the history of receiving digital methods in humanities in general. 이 글은 2000년대 초반에서 현재까지 한국현대문학 분야에서 디지털 인문학을 수용한 연구를 간략하게 살핀 글이다. 디지털 매체의 보급이 텍스트의 물질적 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서사전개나 독서의 방식이 달라짐을 논의한 연구들은 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하였다. 당시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과 같은 제목의 연구서에서는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대한 인문학적 대응을 하이퍼텍스트, 컴퓨터게임, 인문정보학 등 개별영역에서 다루었다. 그러한 개별적 전개는 2014년에서 2016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학제 안으로 들어와 디지털 아카이빙, 네트워크 분석, 텍스트 마이닝과 같은 새로운 연구들과 함께 재편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현대문학과 인접학문분야에서 디지털 인문학으로의 전회를 주도한 인물과 그들의 성과 및 한계를 짚어보고, 본격적인 디지털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위해 해결해야 할 현안에 관해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문학 연구사에서 본격적으로 탐색되지 않았던 하나의 학문적 흐름이 드러나기를, 또한 그 흐름 속에서 디지털 인문학 수용에 관한 일반적 경향의 구체적 함의가 나타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연결 숫자음 인식 시스템의 구현과 성능 변화

        윤영선,박윤상,채의근,Yun Young-Sun,Park Yoon-Sang,Chae Yi-Geun 대한음성학회 2003 말소리 Vol.45 No.-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implementation of connected digit recognition system and the several approaches to improve its performance. To implement efficiently the fixed or variable length digit recognition system, finite state network (FSN) is required. We merge the word network algorithm that implements the FSN with one pass dynamic programming search algorithm that is used for general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fast search. To find the efficient modeling of digit recognition system, we perform some experiments along the various conditions to affect the performance and summarize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