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문 한국사 개설서의 한국고대사 서술 내용 검토

        박현숙(Park, Hyun-Sook)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본고는 세계와 공유하는 한국사 교육을 위해 더 나은 한국사 교재들이 마련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근래에 영미권 대학의 한국사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교재 두 권(Michael Seth 교수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와 Keith Pratt 교수의 『Everlasting Flower』)을 분석하였다. Michael Seth 교수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는 근현대사가 중심이 되고 있으며, 동아시아사 속에서 한국사를 보려고 한 장점이 보인다. 그러나 한국사 전공자의 영문판 한국사 개설서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한국 고대사 서술에 있어서 오리엔탈리즘과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사 인식을 드러내고 있었다. 책들은 기존 연구들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과 같이, 단군조선과 삼국 초기의 역사에 대한 부정, 한국의 가교역할 강조 등 한국사 연구 동향과 동떨어진 학설이 정설로 자리 잡고 있었으며, 한국의 연구 성과를 거의 인용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서양사 일본사 중국사와의 비교가 자주 등장하면서 한국사를 아류적인 역사로 이해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서술의 오류나 관점의 문제는 있지만, 기존의 영문 한국사 개설서에 비해서 점차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Keith Pratt 교수의 『Everlasting Flower』는 문화사 중심의 친절한 해석이나 동아시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사를 이해하려 한 서술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한국사 개설서를 서술할 때에는 한국 학자의 입장이 아닌 외국 독자의 관심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다. 또한 한국사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 않은 점이나 사실의 오류를 지적하기에 앞서서 한국사 연구 환경이 글로벌화 될 필요가 있다. 우리도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서 외국의 학자들이 수긍할 수 있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사 연구를 진행하고 외국에 있는 한국사 연구자들과 교류의 場을 확대하여 소통해야 한다. 한국사 연구자들의 시각과 연구 성과가 반영된 영문판 한국사 개설서가 서술 될 수 있는 환경을 먼저 만들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외국 독자의 수준에 맞는 영문 한국사 개설서를 마련한다면, 세계와 공유할 수 있는 한국사를 서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In order to build a foundation towards a worldwide shared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its textbooks, this paper analyzed the two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A Concise History of Korea』 by Michael Seth and 『Everlasting Flower』 by Keith Pratt, which are mostly well-known and used as the main textbook at university level in recent years. Michael Seth wrote 『A Concise History of Korea』 and its narrative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emporary history and it has described Korean history within the frame of East Asian history. However, these textbooks strongly reflect orientalism and sinocentrism that some may even doubt if these are written by the scholars who majored Korean history. Just like other previous researches has already pointed ou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has its own mainstream and its research trend is far apart from the one in Korea. Also, the research achievements that were made by Korean history scholar in Korea are barely used. In addition, the comparativ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with other history such as Western history, Japanese history, and Chinese history causes the problem of miss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as a minor history and this issue is still frequently appears and has not improved yet. Although the textbooks have the problems regard to its perspectives and narratives, it has put up some new various attempts compare to previous textbooks. Keith Pratt’s 『Everlasting Flower』 shows tendency to try interprets and explains Korean history with cultural history centered perspectives and also understands Korean history within the East Asian history as its macro frame. Also, this textbook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foreign readers and understanding their interest when scholars is writing a Korean history textbook. Furthermore, the condition of Korean history research needs to be globalized before criticizing the simple errors of textbooks and complain about the lack of referenc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Korean scholars. It is important to avoid ethnocentrism and able to interpret and understand Korea history in the broader perspective so that Korean scholar’s research achievement may share on international level and expand scholar exchanges and communications. In sum, it is important to make an appropriate research condition first in order to publish Korean history textbook that reflects Korean scholar’s research achievements and perspectives. Based on this research con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more new attempts to consider foreign readers and publish better and widely shared Korean history textbook.

      • KCI등재

        한국영화사에서 ‘1980년대’가 지니는 의미

        박유희(PARK Yuhee)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7

        본고는 한국영화사에서 1980년대가 지니는 의미에 대한 역사적 고찰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1980년대 한국영화의 역사, 나아가 한국영화사를 재구성하기 위한 탐색이기도 하다. 1980년대는 해방과 한국전쟁, 4.19 혁명과 5.16 쿠데타에 이어 한국 역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전환점이었다. 이는 한국영화사의 변곡 내지 변환에도 직결되는 격동이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영화사에서 1980년대는 현재 한국영화의 패러다임으로 이행하는 시발점으로서 주목할 만한 의의를 지닌다. 이에 이 글에서는 기존 한국영화사에서 1980년대의 역사를 서술하는 방법과 내용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1980년대 영화 사료에 대한 분석과 재구성을 통해 1980년대가 지니는 ‘전환’의 함의를 천착하고자 했다. 1980년대 한국영화는 다각적인 변화의 국면에 처해 있었다. 그래서 한마디로 술어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선조적으로 서술하기 어려운 난맥을 보여준다. 또한 1980년대 안에서의 변화 또한 다기하기에 ‘한국영화사를 1980년대라는 단위로 보는 것이 유효한가?’라는 의문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1980 년대 한국영화사’를 총체적으로 서술한다는 것이 왜 어려운지를 생각해보는 가운데 1980년대 한국영화가 처했던 맥락과 그것을 바라보는 기존 영화사 서술의 시각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영화사에서 1980년대가 지니는 의미를 점검하면서 1980년대 한국영화의 역사, 나아가 한국영화사를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부분들을 밝혔다. 이는 기본적으로 ‘1980년대 한국영화의 역사를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라는 질문과 궤를 함께 하며 궁극적으로 그 해법에 대한 고민을 심화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기존 한국영화사에서 1980년대를 ‘전환’ 내지 ‘이행’의 시기로 보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이는 1980년대에 이르러 괄목할 만하게 변수가 많아지고 맥락이 다원화되는 것과 직결된다. 첫째, 경제성장이 가속화되면서 미디어의 확산과 다원화 또한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 대중문화와 함께 성장한 전후(戰後) 베이비부머 세대가 정치뿐만 아니라 문화의 주도층이 되어갔다. 둘째, 박정희 정권이 영화법을 제정한 이래 영화정책에 속박되어왔던 영화 장르가 통제로부터 벗어나며 시장경쟁 속에서 재편성되었다. 셋째, 자본주의의 세계화에 따른 자유화에 동승하게 되면서 이분법으로는 제어할 수도 해명할 수도 없는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전환의 맥락에 놓여있는 1980년대 한국영화사를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을 것인가? 우선 시대 구분 면에서 볼 때 1980년대는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전반기는 1970년대와 후반기는 1990년대와 묶어 논의하는 것이 보다 적실하다. 둘째, 총체적인 역사 서술을 논하기에 앞서 다양한 갈래 별 주제 별 통사가 활발하게 연구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른 매체와의 관계사를 통해 영화를 둘러싼 다기한 맥락과 변수들이 다각도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1980년대 한국영화의 역사를 서술한다는 것은 결국 한국영화사를 서술한다는 것이다. 현 시점에서 이영일의 한국영화전사와 같은 통사는 서술되기도 어렵거니와 새로운 역사 서술이 되기도 힘들다. 한국영화전사가 이영일 일인의 성과이기에 앞서 이영일에 의해 집필된 당시 한국영화사 사료와 역량의 총화였듯이, 한국영화사는 다양한 연구 성과의 축적을 통해 구성되어 가는 것이다. 1980년대 영화사 또한 1980년대 영화에 대한 복수(複數)의 서술을 통해 한국영화사를 구성하는 복수(複數)의 일환으로 축적되며 새롭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1980’s in Korean Film History. It is also an exploratory study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through the 1980s. In the 1980s, South Korean film faced a situation of multifaceted chang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um up in a predicate and describe it sequentially. In addition, its changes within the time frame of the 1980s were various, which raises a question, "Is it valid to look at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as a unit of the 1980s?" Thinking of the difficulties of describing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in the 1980s" in an overall manner,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ontext in which South Korean movies were in the 1980s and their viewpoints in the existing descriptions about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anings of the 1980s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and identify what would be needed to reorganize the history of the 1980s and further throughout the time. This is an attempt to trace the same orbit of "how to describe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in the 1980s," ultimately reinforcing contemplations over its answers. There are no differing opinions about viewing the 1980s as a period of "transition" or "shift"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siderable increase of variables and diversification of context during the period. First, the acceleration of economic growth enabled the fast expansion and pluralization of media, in the middle of which the post-war baby boom generation, who grew with the popular culture of South Korea, became the leading force in culture as well as in politics. Secondly, the film genre, which had been bound to movie policies since the Film Act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was emancipated from control and reorganized for market competition. Thirdly, there were fundamental changes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or explained with dichotomy in the South Korean film as it rode along with liberalization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of capitalism. Then how can one reorganize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in the 1980s under this context of transition? First, it would be proper to divide the period into the former and latter half and discuss them with the 1970s and the 1990s, respectively. Secondly, there should be active research on syntax according to various parts and topics before discussing the overall descriptions of the history. Thirdly, there is a need to discuss various types of context and variables surrounding movies in many different angles through the history of its relationship with other media. Describing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in the 1980s is to describe the entir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At this point, such syntax as Lee Yeong-il’s Whol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is difficult to be described and has become a new description of history. It was a combin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and capabilities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during those days compiled by him before an individual’s personal achievement. It demonstrates that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is organized by the accumulation of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The film history of the 1980s can also be organized anew, being accumulated as part of multiple descriptions comprising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ilm through multiple descriptions about the movies during the period.

      • KCI등재

        역사교육의 전지구적 전환 II : 글로벌히스토리의 실천

        김원수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연구 Vol.- No.17

        In this study, I try to connect the Korean problem with the cause of Russo-Japanese War based on the global historical standpoint. I especially refocus on the Yalu Crisis in the Korean peninsula in 1903. These include the competition for the concession righ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eoul- iju Railway; the lease of Yongampo; and the opening of iju and Yongampo in the Yalu frontier. The rivalry which emerged over control of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began with the issue of securing concession righ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eoul- iju Railway but expanded to include the Yongampo incident and the opening of iju and Yongampo, does not represent a simple episode which originated between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Japan. The fact that these events led directly to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eventually resulted in providing Japan with the opportunity not only to annex Korea but also penetrate Manchuria, means that they should be perceived as important historical incidents on a scale similar to the Moroccan Crisis which eventually resulted in the advent of World War I. Moreover, Yalu Crisis can be perceived as the direct precursors of the eventual crisis which engulfed East Asia. This is the reason why the ‘Korean problem’was important enough to result in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which has been referred to as a mini-World War, and why the Yalu Crisis which emerged on the Korean peninsula 100 years ago should be reanalyzed not only at the Korean history level but at the level of Global history. As mentioned above, I am of the mindset that the limitations of the arguments put forward by previous Japanese and Russian researchers with regards to the cause of the war can be overcome when further emphasis is placed on the Korean problem, especially the Yalu Issues. The reason why is that the Yalu Crisis holds the Key to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In order to do so, Studies on the Russo-Japanese War should be carried out from diverse standpoints that include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corporate the global policies which emerg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20th century. This kind of approach is needed to develop a global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To achieve this, first of all, more efforts should be put into uncovering the actual nature of the Yalu crisis which unfolded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surrounding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새로운 세계사들의 활용에 있어서는 보다 신중하고 유의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필자는 前篇의논문,‘역사교육의 전지구적 전환’을 통해 밝힌바 있다. 본 연구는 그 속편격으로, 세계사들 중에서도 특히, 글로벌히스토리에 한정하여, 그것과 한국사와의 연계를 시도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필자의 관심 영역인 국제관계사를 활용하여, 용암포사건, 러일전쟁 및 제 1차 세계대전을 연계해, 용암포사건과 러일전쟁의 글로벌히스토리를 구상해 보았다. 1903년 압록강 위기를 둘러싼 한 러 일간의 각축전은 러일개전 직전에 한반도에서 벌어진 러일전쟁의 제1라운드(전초전) 格이었다. 특히 경의철도부설권 및 압록강삼림채벌권에서 비롯된용암포사건은 압록강 위기의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이 압록강 위기를 빌미로 닫혀진 한반도 북부를 선점하려는 이권쟁탈전은 단순히 러일간의 대립과정에서 유발된 하나의 에피소드가 아니었다. 이 위기는 러일전쟁에 직접적인 계기가 되고, 일본의 한국병합의 결정적인 전기가 되었다는점에서 제 1차 세계대전의 동인이 된 모로코위기에 견줄만한 ‘아시아판 모로코위기’인 동시에,만주와 한반도의 경계지역에서 제국주의 이권쟁탈을 둘러싸고 일어난 세계사적 사건이었다. 1세기 전, 왜 압록강위기로 대변되는 한반도 문제가 소위 제0차 세계대전이라 명명하는 러일전쟁을유발할 만큼 중요했으며, 왜 100여년 전 한반도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건을 한국사뿐만 아니라세계사적 차원에서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글로벌한 전망에서 역사 다시읽기는 한반도라는 작은 공간의 사건일지라도, 국가의 경계를 넘어 동북아시아와 구미 지역과의 연계가 불가결하다는 탈지역화 인식에 기초한 것이다. 아울러 그것의 시간틀을 청일전쟁부터 1차 세계대전 나아가 한국전쟁까지 확장하여 장기적인 변화가운데에 개별사건을 위치케하는 방법인 것이다. 바로 이것이 한국사의 새로운 세계사적 맥락화 구상인것이다.

      • KCI등재

        미술사와 민족국가주의

        이인범 미술사학연구회 2008 美術史學報 Vol.- No.31

        This essay purports to be in the relationship of art history and nationalism, especially a methodology for carrying out researches on writing Korean art history in order to submit an agenda for the theme <Art History and ‘Here Now’> of the Korean Society of Art History that commemorates the 20th anniversary. An aesthetician Arthur Danto indicates the declining of the nationalist tendency as remarked that nationalism vanished completely though it had the practical aims and the art world that has a multiplicity of centers seems to be one nation that has its own a sovereignty. As the recent art theory becomes more complex as well as the many different fields to globalize is necessary. But a major topic in Korea art history is still linked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ideological nationalism. We can easily find a superiority complex in the words such as ‘national’, ‘people’, ‘native’, ‘autogenous’, ‘self-conceit’, and ‘self-respect’ used in many writings for giving an account of Korean art history. Nationalism had an affirmative role in the antagonized discourse for making a strong stand against the colonialism. On the one hand ‘nationalism’ or ‘state’ was the basic concept of the effective modality in order to spread out a realization of modern art and art history. Obviously the realization of modern art, art history, and modern state have the same root genetically. However, ideological nationalism in a point of today's view is irrelevant for learning that must be the pursuit of universal validity. In this sense a criticism for nationalism is required in writing Korean art history. Yet we still can inquire a possibility and limit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history and independent state in writing Korean art history. If we can extricate Korean art history from the domain of the religion of a people do then and not till then we will succeed in placing Korean art history on the universal state of art.

      • KCI등재

        서양미술사, 왜 다시 읽어야 하는가? ‘동원된 서양미술사’의 신화(神話)와 한국현대미술사의 세 지점

        심상용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29

        본 논문은 해방공간 이후 현재까지 한국미술의 다양한 분야들, 창작과이론, 비평, 교육, 전시기획 등의 전문화된 영역에서 서양미술사가 그러한 신화로, 지역을 뛰어넘는 보편적 내러티브 기제로 작용해 왔으며, 그 결과 우리가 우리 미술을 바라보고, 해석하고, 성찰하는 인식의 토대가 왜곡되어 왔고,그 여파가 오늘날의 동시대미술까지 미쳐 여전히 가볍지 않은 대가를 지불하고 있다는 것이 또한 그것이다. 서양미술사의 전망과 관점이 우리의 인식과 판단에 ‘신화적 거울’로 작동하는 동안, 그것에 반사된-맥락화된- 해석을 통해서만 우리 미술을 설명하고 스스로에게 설득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것은 독자성과 자율적 판단, 의구심을 통제하는 검열기제로 작용했고, 이로부터 원류에 의해 상대화된 자각,아류의식, 대국(大國)에의 자발적인 예속, 선진적인 것을 따르는 추종자의 감성이 양산되었다. 서양미술사 내러티브가 신화적 거울로 작동하는 배후에 늘 일정한 정치적 자장이 작동해왔다. 때로는 완강한 정치적 분위기 조성이나 보상기제의 활용을 통한 동기부여 안에서 ‘서양’이 유일한 선택지로서 권장되거나 촉구되었고, 미술 장은 서양미술사의 내러티브를 적극적으로 차용, 편승함으로써 그러한 정치적 노선에 직, 간접적으로 부응했다. 그러므로 서양미술사를 다시 읽는 이 논의에는 서양미술사 내러티브에의 동조, 편승이 정치적 정당화기제로활용되도록 해온 예술의 정치화, 또는 정치예술의 맥락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내포되어 있다. 논의는 또한 ‘동원된 서양미술사 내러티브’의 신화화된 기제안에서 스스로를 인식해온 한국현대미술의 타자성의 문제와 부득불 결부될수밖에 없다. 즉, 서양미술사 다시읽기의 궁극적인 취지는 오히려 ‘동원되고특권화된 서양미술사 내러티브’와 그것의 중요한 배후로서 정치적 선전기제라는 두 축에 의해 지지되어 온 한국현대미술을 난맥상을 짚어보는 데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현대미술의 연대기적 세 지점, 곧 1950년대의 앵포르멜, 1970년대 한국적 모노크롬 또는 단색조 회화, 그리고 1990년대의 글로벌미술화의 기점이 이 논의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져야 했다. 이 각각의 세 지점은 신화화된 서양미술사 내러티브와 정치적 선전기제의 제휴가 매우 긴밀하고 관찰 가능한 형태로 발현되었던 시기이고, (아마도 그 결과이겠지만)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 확립에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이룬 시점들로 이해되어 온 곳들이기 때문이다. 1950년대 이승만 정부가 반공이데올로기로 분위기를 몰아갈 때,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와 유럽의 앵포르멜을 추종하는 노선이야말로실로 훈장을 수여받을만한 화답이었다. 1972년 10월 박정희 대통령이 이끌었던 제3공화국에 의해 선포된 유신체제가 한국의 정치체제를 서구의 민주주의와 다른 것으로 만들고자 했을 때, 같은 추상이로되 ‘한국적 추상’을 주창한‘한국적 모노크롬’이나 단색조 회화는 결과적으로 체제의 노선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쪽으로 작용했다. 1993년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고, 1995년을 세계화의원년으로 삼았을 때, 한국미술은 21세기 초일류국가에 걸맞는 세계화된 미술을 위해 글로벌 무대에 가담하는 소통행위, 블록버스터 전시와 행사들,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경제적 부(富)에 편승하기 시작했다. 글로벌 세계미술론, 아시아 맹주론 등으로 스스로를 고무시키면서, ... Western art history’s prospect and perspective worked as ‘a mythic mirror’ toour perception and judgement, and only the reconstituted interpretationorganized by its projection is possible to explain and persuade Korean art. The projective interpretation worked as a kind of inspective mechanismsupervising and controlling identity, autonomic judgement and suspicion,which resulted in mass production of perception relativized by the originaltext, imitator consciousness following headstream, voluntary subordination togreat powers and follower’s emotion toward the advanced. Like this, there has been always a extremely political magnetic field operatingin the background that made Western art history mobilized and operated as amythic mirror. That is to say, it is to create a series of political mood thatencourages ‘Western’ as the privileged choice securing compensation andpositively mobilize motivation mechanisms, of which contemporary art fieldaccommodate or atune to the political mainstream in the form of aggressivelyborrowing Western art history’s narrative.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ree chronological points of Koreancontemporary art. The first point of them is the time when Syngman Rheegovernment drove the atmosphere with anticommunist ideology. Linesfollowing american abstract expressionism and European Informalism were accommodation and response to that political line. The second point is thetime when in October 1972,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declared by theThird Republic led by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tried to make Koreanpolitical system different from the Western democracy, including a presidentialsystem of leading status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nation. At thattime, Korean monochrome or monotone painting advocating ‘the Koreanabstraction’, although it belonged to the same abstraction, worked in thedirection giving the system line justification consequentially. In the third point that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ook office in 1993, thatmade the year 1995 as the first year for globalization, and that Korea joinedOECD in 1996, Korean art stepped on the path of the globalized artrepresented by Venice, Basel and Miami matching one of the top country inthe 21st century again, turning against its own experience. Beginning in thispoint, Korean art started to be measured by communication behavior joiningglobal stage, events decorated by blockbuster exhibitions and overseascelebrities, and economic wealth facilitating it. Encouraging itself with theoriesof global art, Asian leader, etc., Korean art lost critical and interpretationalabilities and was rapidly buried under the values of utopia and exchange. In retrospect, Korean art should ask itself whether it had a moment thatstarted from the independent critical mind, coming from experience of ourlives and anguish, and whether it had a moment that led to find its ownstyle, from the Americanization for subsistence in the 50s, through Koreanmodernism in the 70s, to the global art discourse in the 90s. In this context,our modern art history may be abstracted that it has repeated the samepattern by interaction of politics and myth, interlocked by an axis, whichpolitics and policy motivated beforehand or created atmosphere and the artpassively matched it and received a series of systematic compensation for it,with another axis of the structured practice, which it directly importedadvanced Western art history that risk bearing of trial and error was removedin advance and changed it as a myth of universality. Korean art will be able to get rid of this framework, only whenstraightforward gaze and strong criticism about stereotypical and structured intellectual subordination removing risk beforehand with political fomentation,accommodation and response to the system and myth-dependent thoughtappear.

      • KCI등재

        글로벌 시대 한국 역사학의 해체와 재구성 :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 3분과 체제의 역사화를 위하여

        김기봉(KIM, Gi-Bong)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2

        한국 역사학은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의 3 분과 체제로 구성된다. 이 같은 3 분과 체제를 이식시킨 것은 일제 식민지배 권력이다. 따라서 식민사관으로부터 진정으로 탈피하기 위해서는 이 3 분과 체제를 해체하는 역사지식의 고고학을 통해 한국 역사학 체계를 재구성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일제 식민주의사관의 원류는 유럽중심주의다. 근대 역사학 자체가 유럽중심주의라는 기의를 내포하고 있는 ‘근대의 기호’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유럽중심주의 바깥에서 역사를 연구하고 서술한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수 있는가? 이 같은 딜레마를 극복할 목적으로 차크라바르티는 ‘유럽의 지방화’의 방법론을 제시했다. ‘유럽의 지방화’란 유럽이라는 장소성을 부각시켜서 유럽중심주의를 해체하는 전략이다. 유럽중심주의가 근대라는 거대담론으로 비유럽이 가진‘공간의 차이’를 말살했다면, ‘유럽의 지방화’는 공간의 차이를 복원하는 ‘공간적 전회’를 시도한다. 문명의 소통과 교류는 공간적 차이를 전제로 한 번역으로 이뤄진다. 르고프는 “문명은 무엇보다도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다스리느냐에 의해 정의된다.”고 말했다. 21세기 한국의 역사학은 글로벌 시대라는 시간과 다문화사회라는 공간을 다스릴 수 있는 문명의 새로운 문법을 만들어내야만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대륙 문명과 해양 문명이 난류와 한류처럼 만나는 한반도는 더 이상 세계사의 가장자리가 아니라 문명의 어장으로 부상할 수 있는 문명사적 장소에 위치해 있다. 한반도 통일은 단절된 대륙문명과 해양문명을 통합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한반도 통일 시대를 맞이하여 오늘의 한국 역사학은 대륙과 해양 문명의 허브로서 한반도의 ‘공간정신’을 구현하는 한국사의 ‘공간적 전회’를 해야 한다. 이 같은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선 한국 역사학은 먼저 식민사관 유산인 역사학 3 분과 체제부터 해체한 연후에, 문명의 교류와 융합을 주제로 해서 자국사와 세계사를 통합하여 재구성하는 황단적 역사 (traversal history)로서 ‘글로벌 한국사’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Korea is based upon the three-compartment system: National History, Oriental History and Western History. Such a classification of the historical studies in Korea was done on the foundation of Japanese colonialist legacy. In order to move on from Japanese colonialism, the historical studies in Korea should deconstruct the existing three-compartment system and reconstruct the historical studies corresponding to the global age. The Japanese colonialist view originated from Euro-centrism. With this relation in mind, we can ask the question: “how would it be possible to study history without Euro-centrism, if modern history presents itself as the 'symbol of modernity' signified by Euro-centrism?” As a way to overcome this dilemma, Dipesh Chakrabarty has presented “Provincializing Europe”, which is a method to go beyond Euro-centrism. "Provincializing Europe" is a strategy for deconstructing Euro-centrism by emphasizing Europe's locality. If Euro-centrism has exterminated “the difference of space” through the Modern as a grand narrative, “Provincializing Europe” attempts a "spatial turn” to restore “the difference of spac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civilizations has been achieved by cultural translation based upon spatial difference. Le Goff said, “civilization is defined, above all, by how man governs time and space. In the 21st century, Koreans are facing the task of creating a new grammar of civilization that can govern the global age as well as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Korean peninsula where continental civilization and maritime civilization intersect like warm currents and cold currents is no longer at the edge of civilization, but is located in the ideal historical place to become a fishery of world civilization. The reunification of Korea implies the integration of the divided continental civilization and maritime civilization. In the days of the upcoming reunification, Korean history should make a spatial turn that realizes the spatial spiri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located at the hub of the continental civilization and maritime civiliz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Korean historiography must, first of all, deconstruct the three-compartment system of history as a legacy of Japanese colonialism. Then, it must develop a 'Korean global history' model that traverses national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terms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al exchanges.

      • KCI등재후보

        민족통일운동의 제4 국면

        정영훈 고조선단군학회 2005 고조선단군학 Vol.13 No.-

        The idea of Global Korean Community is raising with the belief that the globally dispersed Korean people must be unified and seek the common benefit and prosperity. It is being watched especially as a strategy of national survival and developmen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borderless struggles. This article discusses the idea of Global Korean Community on the aspect of the integration movements of Korean people. In Korean history the integration movements were developed for 3 phases. The first phase were began with Silla's unification of Samkuk, and through this first movement Korean people developed into pre-modern nation. The second phase was the greate family integration theory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under Japanese rule period, which ceased the class consciousness and molded the modern nation. The third phase were the right-left wing integration movement to build the unified nation state in 1920~48. The movement of Global Korean Community is the 4th. integration movement in Korean history. It is rising now under the conditions of post-cold war,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period. And Korean's welfare and prosperity will greatly depend 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is movement.

      • KCI등재

        거문도사건(1885-1887)에 대한 두 시각

        최덕규(Choi Deokky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2

        영국 해군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1885-1887)했던 거문도사건은 한국사교과서에는 이를 한국사 일국의 시각에서 이를 서술하고 있다. 이는 거문도 사건을 주도한 영국해군의 세계전략을 간과하고 제국주의 시기에 세계적 규모로 전개된 영러대결의 본질에 주목하지 못한 결과이다. 이에 한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부추기고 그 통로역할을 함으로써 동아시아 평화를 해치는 위기의 근원지로 묘사되고 있다. 요컨대 이른바 “조러밀약”이 영국을 자극시켜 거문도 점령으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것이 교육부 검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들의 서술 특징이다. 또한“조러밀약”이라는 역사용어가 과연 한국사 서술용어로 적합한지도 검토해야 한다. 다보하시(田保橋潔) 이래 오카모토(岡本隆司)를 거치면서 한국사교과서에서 자리를 굳힌 이 용어는 조선을 동아시아 위기의 근원으로 간주하려는 일본학자들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여전히 한국사 교과서에 이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 글은 글로벌히스토리(Global History)의 관점에서 거문도사건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의 새로운 서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ort Hamilton incident was an event in which the Port Hamilton islands under Korean authority was illegally occupied by the British warships for three years (1885-1887). Although this incident occurred under influence by the globalization of imperialism, th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textbook is the one of the typical cases that shows the trend interpreting it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national history. As a result, it has initiated me to find the reason of this incident in the Korean domestic problem itself, rather than in global strategy of the UK navy that led the Port Hamilton incident. In spite of the various analyses, a new point should be included: indeed, the British global strateg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However, th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textbook about the Port Hamilton incident passed over using the substance of the British-Russian confrontation (The Great Game) which deployed on a global scale and only focused on the so-called “Korea-Russia secret agreement”, on which Korean government had set the cause for the UK navy to occupy the Port Hamilton. This means that the UK global strategy, directly checked the Russian southward movement is considered as a secondary, instead of a main part of the reason in the P. H. Affair. In my thesis, I inquired about th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textbook which was influenced by the studies of Japanese historian, who originated the historical term of “the Korea-Russia secret agreement”. And I found that “the Korea-Russia secret agreement” did not exist and it was not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according to documents and archives. By accepting the Japanese historical term of “the Korea-Russia secret agreement”, in fact, the narrative on the responsibility of Korean government for the UK Navy’s illegal occupation of the Port Hamilton incident could have been continued to the present time. In conclusion, it is the time for the fundamental review on th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textbook about Port Hamilton incident, since this affair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orean modern history from then on.

      • KCI등재

        한국 대중문화의 혼성적 형성과정과 한류문화 담론

        송도영 ( Do Young So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9 No.4

        2000년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동아시아 여러 곳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 산업 상품들의 역사적 의미를 우리는 어떤 맥락 위에 위치시켜 해석할 수 있을까? 특히 한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한류`` 담론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 안에서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개항기 이후 한국에서 ``대중문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형성되는 초기에서부터 절대적인 자리를 차지했던 해외문화의 유입 현상들을 정리함으로써 한국 대중문화 형성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 한국 대중문화 안에서 자리 잡은 혼성성의 성격과 그에 대한 담론적 반응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는 대중문화 성립의 전제인 대중사회의 등장과 산업화의 진전, 그리고 그를 포함한 자본주의적 근대화가 한국에서는 어떤 문화적 바탕위에서 이루어졌는지를 주목하는 작업이 된다. 즉 한류 대중문화 담론을 낳기까지에 이른 현 단계 한국 대중문화의 내용상 위치를 점검함에 있어서 한국사회의 근대화 과정 자체에 대한 고찰로 잠시나마 다시 회귀해서 그 맥락을 짚음으로써, 그것이 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형성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과 작용의 내용들을 다시 검토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발생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중 한국 대중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친 외부문화의 성격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그 실제와 성격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두고 현재 전개되는 담론은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를 검토함으로써 담론들의 위치를 매길 수 있게 된다. 한국 대중문화의 실질적인 발전사를 검토해보면 이는 곧 수입된 해외 대중문화의 절대적 영향력을 받아들이는 역사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의 식민지배를 중심으로 일본의 대중문화가 사실상 한국대중문화를 그 기초적 형태부터 형성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이후 해방이 이루어지고 미국의 대중문화가 더욱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도 일본과 중국 문화의 영향은 단절되지 않았으며, 각국간 대중문화 요소의 상호유입 및 시장 통합의 경향은 강화되어왔다. 그러나 후기 근대적 상황에 이른 현재 소비의 전지구화와 문화 콘텐츠의 혼성성 강화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의 각국간 영향력 경쟁 담론은 결코 감소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새로운 형태로 재등장하고 있다. 정치경제적 환경의 힘은 애초에 일상성의 상업화를 전제로 출연한 대중문화산업과 문화소비 현상의 기초적 환경으로서 강고하게 존재하며, 매체의 전지구화와 경제의 전지구화가 단일한 형태의 세계문화(Global Culture)가 아닌, 각 지역권과 각 지방의 특성에 맞게 전지구적 요소들이 지역적으로 재구성되고 조합되는 현상을 보여 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historical context of current ``Korean Wave`` phenomenon. Contemplating the process of Korean mass culture industry from its daunting period,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influences of ``foreign`` cultural industry in the history of Korea`s mass culture industry. And following short analysis on the ``Korean Wave`` discourses is based on this historical context. Korean mass culture had started with the strong influence of Japanese and Western mass culture. It was, therefore, not an exceptional case in the general process of modernization for the Third World countries. Because, as well known, their modernization process was more or less directed in each country`s ``colonialized`` condition. In other words, it was a kind of unilateral communication where the dominant cultural power of the World System had a quasi-absolute influence on the weaker part. As the Chinese culture had been highly significant during Korea`s middle age, the influence of Western and Japanese mass culture has been also considerable since the beginning of Korea`s mass culture industry. Recent success for some part of Korean mass culture products --known as ``Korean Wave`` (``Hallyou`` for Korean pronunciation) - would be probably the first meaningful export of Korean mass culture industry. As the consequence, we can understand the enthusiasm of a part of discourses concerning this success. This discourse of enthusiasm for the ``Korean Wave`` can be even more significant when we consider actual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aspects of post-modern period. Maybe this Korean case is not exceptional. Competition for the hegemony of cultural industry, and re-territorialization of identity with that, can be a part of understandable reactions from each region, before the strong tendency of today`s cultural globalization.

      • KCI등재

        특 집 : 한국 기독교, 어디로 갈 것인가? ; 한국교회의 해외선교, 어디로 갈 것인가?

        김상근 한국대학선교학회 2007 대학과 선교 Vol.13 No.-

        It is time to rethink Korean missionary movement as the mission-oriented American church did in 1932 with the publication of Re-Thinking Mission: A Laymen``s Inquiry after One Hundred Years. It is time to reflect upon the real challenges and problems of mission fields, withholding some celebrating mode do becoming “the second largest missionary-sending country.” The martyrdom of two short-term missionaries in Afghanistan, who had been sent by Sam-Mul Church in 2007 has been a wake-up call for all Korean Christians indeed. It is time for a serious examination and self-evaluation in order to find a new direction. The present author tackles the issues of Korean missionary movement with regard to historical arrangement of the missionary movement, which started in 1907 when the first Korean independent presbytery was organized and the first Korean native pastors were ordained. From the mission of Quelpart to the first cross-cultural mission to Shandung, China, the Korean church has been enthusiastical to foreign mission. The author, however, argues that the contemporary lay-oriented and volunteering missionary movement was initiated in 1989 when the Korean government first abolished the long- standing visa and passport laws to allow free travel to foreign countries for the first time. The author introduces the sociology of mission to understand the early dynamics of Korean missionary movement. He suggests that there are push factors and pull factors to make Korean young missionaries go abroad and to accept Korean missionaries in mission fields.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missionary calling and renewed self image of the chosen country as the light of the world have been push factors; the financial ability and the success models in both economical and spiritual welfare would be pull factors. Finally, the author presents three possible ways of searching a new direction of the Korean missionary movement. First, the Korean church should develop her own mission theology and the first candidate would be the translatability of the Gospel. Second, the Korean missionary movement should be executed at global context considering the reality of globalization. Third, the Korean missionaries should not pursue the mere conversion of non-Christians in their mission fields. Rather, the author suggests, the mission of servanthood and living together as a new method of Korean missionary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