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25전쟁 직후 전시군인연합대학의 창설과 운영

        이상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4

        As part of higher education during the Korean War, education for soldiers began in February 1951 as a Wartime Associate University. However, this system w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and active-duty soldiers could attend school only if they were posted in the rear area. In some previous studies, this Wartime Associate University was evaluated as Korea's original education system, but it was borrowed from China's National Southwestern Associate University in the late 1930s. But the reason why we're paying attention to the Wartime Associate University is that we can find out the initial appearance of the Armed Forces Associate University , which was established in January 1954, from the very basis of its establishment. In 1953, the Korean military strengthened general education in the military by imitating the system of the United Stated Armed Forces Institute and attempting to improve civic education. Along with such the education for the illiterate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which is a higher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rganization called the Armed Forces Associate UniversityThe Armed Forces Associate University had been executed for two years from 1954 to January 1956, educating about 3,200 students. At that time, the number of college students under th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was just only 30,000. The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in the county have many implications. In other words, the emphasis of the military's modernization policy leading higher education can be seen. Often, the lead the way of modernization policies in the undeveloped countries from the acquisition of military discipline and advanced technology. In the case of Korea, educated officers have accumulated experience in managing projects that are beneficial to the national economy. It is meaningful that the Armed Forces Associate University played a part in the operation and achievement of higher education. 6ㆍ25전쟁기 고등교육의 일환으로 군인들에 대한 교육은 1951년 2월 전시연합대학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일반인을 포함한 고등교육기관이었고 현역 군인의 경우에는 후방에 있는 경우에 한해서 이 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 전시연합대학을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교육제도로 평가하는 경우도 있으나, 1930년대 후반 중국의 국립서남연합대학을 차용한 것이었다. 하지만 우리가 전시연합대학을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이 대학의 설치 근거에서 1954년 1월에 설립되는 전시군인연합대학의 초기적 모습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53년에 한국군에서는 미군교육원(USAFI) 제도를 모방하여 공민교육의 내실화를 기도하면서 군내 일반교육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문맹교육, 초·중등교육과 함께 고등교육인 대학교육을 전시군인연합대학이라는 기구를 통해 실시하였다. 전시군인연합대학은 1954년부터 1956년 1월까지 만 2년 동안 실시되어 3천 2백 여 명에 달하는 학생들을 교육했다. 당시 열악한 교육 환경 하 대학생 수가 3만 명에 지나지 않는 실정에서 군내의 대학교육 제도의 운영과 실시는 많은 시사점을 안겨준다. 즉 고등교육을 이끌어가는 군의 근대화 정책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흔히 후발국의 근대화 정책의 선도는 군의 규율주의와 선진 기술주의의 습득에서 비롯된다. 한국의 경우도 교육받은 장교들이 국가경제에 유익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경험을 축적했다. 바로 전시연합대학이 고등교육의 운영과 성취에 있어 일부나마 그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교육심리학의 초상

        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1

        이 글의 목적은 한국, 그중에서도 조선시대 초상화의 정수인 전신과 배채를 적용하여 한국 교육심리학의 전부를 담아보는 것이다. 초상화 주인공의 전신, 얼굴, 주름, 그리고 눈에 대응하여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 교육심리 연구, 그리고 교육심리학자를 연관시켜 한국 교육심리학의 초상을 그려보는 것이 이 글의 과제이다. 주인공의 전신으로서 한국교육심리학회의 조직, 회원, 현황 등을 검토하였다. 초상화의 얼굴에 비유하여, 탐구대상과 개념망의 측면에서 교육심리학의 정체성을 문제삼았다. 주인공의 주름을 연관지어, 교육심리 연구의 경향, 주제선정, 방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초상화 주인공의 눈에 빗대어, 한국 교육심리학자들의 정체성 의식과 주체성을 문제시 하였다. 초상화가로서 나의 자격요건을 정당화하고, 한국 교육심리학이 나아갈 방향과 추진해야 할 과제를 제안함으로써 글을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a portrait of the educational psychology in Korea. ``To draw a portrait`` is a metaphor for my writing this article. I adopted two essences of portrait in the JoSun dynasty: transmitting spirit and backward coloring. Whole body, face, wrinkles, and eyes of the portrait character were corresponded in turn to KEPA(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educational psychologist. The whole body of a portrait implied the organization, members, situation of the KEPA. The character`s face was linked to the identity of educational psychology. The identity problem was dealt in terms of the study topic and the conceptual network. Research tendencies, topic selection, and research methods were discussed in view of diversity and dynamics of the character`s wrinkles. The eyes elicited the identity consciousness and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educational psychologists. In conclusion, future directions and tasks of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were suggested.

      • KCI등재

        학습컨설팅 운영에서 한국교육심리학회의 역할과 과제

        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한국교육의 문제는 끊임없이 심화되고 확장되고 있다. 학습컨설팅은 한국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교육심리학회(KEPA)가 주도하는 새로운 교육운동이다. 이 글의 목적은 학습컨설팅의 시작과 정착 그리고 발전과 관련하여 KEPA의 역할과 과제를 조망하는 것이다. 첫째, 학습컨설팅의 운영에 있어 KEPA의 역할이 출범, 관리, 평가, 그리고 가교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공식적으로는 2011년 하반기에야 출범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KEPA의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다. KEPA는 향후 학습컨설턴트 자격증 관리뿐만 아니라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효과를 질적으로 향상시켜야 하는 책임을 진다. 학습컨설팅의 질관리를 위해서는 학습컨설턴트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KEPA가 학습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람들과 단체들의 가교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KEPA의 과제가 발전, 심화, 연계, 창출 등 네 가지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KEPA는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KEPA의 근본은 학술단체이므로 이에 걸맞게 학습컨설팅 관련 학술연구를 심화시켜야 한다. 학술단체로서의 KEPA와 교육기관으로서의 각 대학(원)은 교육과정을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컨설팅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다. 학습컨설턴트의 자격증은 그의 생계와 연결되어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므로, KEPA는 자격증에 적합한 직업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이 글의 말미에는 KEPA가 지향하는 학습컨설팅의 모습이 학습문제를 보는 두 가지의 관점, 즉 복합성과 메타문제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being deepened and expanded. A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is a new educational movement initiated by KEPA(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overlook the roles and tasks of KEPA in the management of this system. First, the roles were overlooked in view of beginning, administration, evaluation, and bridging. Although the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formally began in late 2011, the KEPA had shown a consistent interest in it for several years. KEPA should administer the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ith quality control. For the quality control, evaluations are needed on the performance of learning consultants. For the success of learning consultation movement, KEPA should act as a bridge connecting all the persons and institutes interested in learning problems. Second, the tasks of KEPA were overlooked in terms of development, enrichment, connection, and creation, KEPA is needed to incessantly develop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earning consultation. As an academic organization, KEPA should actively study about learning consultation in academic ways. KEPA should search a reasonable way to connect tracks of learning consultation with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KEPA should pay a great effort to create the earning jobs appropriate for the certificate of learning consultant.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was filled with the feature of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hich KEPA ought to pur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