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예술 산업의 발전 전개 과정과 시대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1991~2022 -

        강안나 한국경영사학회 2023 經營史學 Vol.108 No.-

        Recently, Korean pop culture, including K-pop, dramas, and movies, has grown beyond belief. Koreans working in the global art scene and their examples are referred to as the “Art Korean Wave.” BTS Suga’s new songs, “Daechwita” and “Haegeum,” are drawing attention to K-pop and Korean culture by borrow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Inalchi Band(hereinafter referred to as Lee Il-chi)’s “Bum Comes Down” is gaining huge popularity among domestic and foreign netizens and is leading the globalization, reinterpretatio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art. The beginning of fostering global cultural content industry begins with the good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 Well-preserved traditional Korean art and modern popular music should coexist and develop. The Korean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projects within three frameworks: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art naturally incorporated into our society, industrialization that strengthens the self-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art and increases product value as cultural content. Since 2007, the Korean Folk Arts Festival has been seeking a new direction of development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half a century, with major projects such as restoring and reproducing traditional art, revitalizing creation, distributing overseas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globalizing Arirang. In 2013, a systematic support policy was implemented to develop traditional art that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a series of projects damaged or concentrated by region and genre to create a foundation for tradition to coexist in harmony with modern times.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Industry and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to compare and analyze how to popularize and globalize traditional art through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art and supporting activities to revitalize creativity.

      • KCI등재

        북한 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역사적 변천 (1946-53)

        김성수 통일연구원 2024 統一 政策 硏究 Vol.33 No.1

        이 글은 북한의 문학가 예술가 조직인 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초기 역사적 변천을 탐색한다. 8.15해방과 6.25전쟁기(1945~53) 북한 문예조직단체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문예운동사적 시각으로 정리한다. 이는 항일혁명문학예술 전통의 주체문학사 유일체계화라는 북한 당국의 정전을 해체하고 카프 전통 중심의 사회주의 문예운동사를 실사구시로 복원하는 탈정전화(脫正典化) 문학사 연구의 일환이다. 구체적으로는 『정로』, 『로동신문』, 『민주조선』 등 일간신문 문예기사와 『문화전선』, 『문학예술』 등 월간 문예지를 통해, 북조선예술총련맹(1946.3)부터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1946.10)을 거쳐, 남북이 통합된 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결성(1951.3)과 해체(1953.9)까지 문예조직운동사를 재구성한다. 제1차 북조선예술가대회(1946.3)와 북조선예술총련맹(북예총) 결성, 제2차 북조선문학예술인대회(1946.10)와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북문예총), ‘남북조선 문예총 련합회의’와 조선문학예술총동맹 결성, 제1차 전국작가예술가대회와 문예총 해체 및 조선작가동맹 결성까지의 문예운동사를 조직 노선과 이념 중심으로 정리한다. 문예조직의 변천과 함께 해당 시기의 주요 창작성과를 정리하되, ‘『응향』 사건’을 통한 당(黨)문학노선의 강화, 전시 통합 문예총의 종군활동 및 ‘반종파투쟁’을 통한 부르주아사상미학 비판론 등 문예운동사적 쟁점을 공시적으로 분석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early historical changes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Alliance, an organization of North Korean literary artis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North Korean literary organizations during the liberation of August 15 and the Korean War (1945-53) is summarized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literary movement. This is to dismantle the canon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hich is recognized only by the history of Juche literature, which made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art’ the only tradition. As an alternative, it is part of the Decanonization, which restores the history of the socialist literary and artistic movement, which takes KAPF as a new tradition, to live-action. Specifically, it analyzes daily newspaper literary articles such as Jeongro, Rodong Sinmun, and Democratic Joseon, and monthly literary articles such as Cultural Front and Literature Arts. Through him, the history of the literary organization is reorganized from the North Korean Arts Federation (1946.3) to the formation (1951.3) and dissolution (1953.9)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Alliance, in which the two Koreas are integrated, through the North Korean Arts Federation (1946.3). It organizes the history of the 1st North Korean Artists’ Congress (1946.3) and the formation of the North Korean Arts Alliance, the 2nd North Korean Writers’ Congress (1946.10) and The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s Alliance, the form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Alliance integrated with the ‘Literature and Arts Alliance Associ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formation of the 1st National Artists’ Congress and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Alliance, an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Writers’ Alliance, focusing on organizational lines and ideologies. It summarizes the major creative achievements of the period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literary organization, but analyzes the issues such as strengthening the Party (黨) literary line through the ‘Promotion Incident’,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integrated literary group during the war,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Burgeois thought aesthetics’ through the ‘anti-sectarian struggle’.

      • KCI등재

        전통문화향유권과 생활예술- 풍물을 중심으로 -

        이경주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硏究 Vol.27 No.2

        「문화예술진흥법」 등에서 문화를 장려와 시혜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과 달리 2014년에 제정된 「문화기본법」은 문화를 향유하는 것이 인권(문화권)이라고 규정(제4조)하고 있다. 이는 우리 헌법이 문화국가의 원리를 헌법의 주요한 원리 중의 하나로 채택하고 있는 것에 부응하는 진일보이다. 하지만 우리 문화의 정체성과 미래를 선도할 전통문화의계승과 발전을 규정한 우리 헌법(제9조)의 정신에도 불구하고 각종 전통문화예술진흥법안들은 7전8기 끝에 「국악진흥법」으로 이름을 바꾸고 국악진흥위원회가 빠지는 등 왜소화된 모습으로 2023년 제정되어 2024년 7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국악진흥법」이 국악‘인’진흥법 또는 국악‘원’진흥법이 되지 않고 전통문화예술진흥법으로서의 진면목을 보이기 위해서는 국악 향유문화의 활성화(「국악진흥법」 제9조)가 관건이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의 서양문화 중심, 문화감상권 중심의 문화예술진흥정책에서진일보하여 전통문화예술과 문화향유권에 방점이 놓여지거나 잠정적인 우대조치가 필요하다.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잠정적 우대조치를 하는 경우에도 전문 전통예술가의 활동활성화와 전통예술 동호회의 활성화가 동시에 추구되어야 하며, 행정관료에 의한 진흥행정에 더하여 문화매개자와 같은 반관반민 전통예술인에 의한 촉진자가 촉매역할을 하여야 전통문화의 저변을 생활문화까지 넓힐 수 있다. 전통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첫 출발은 학교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전통문화예술교육의확대 및 실질화와 연결되어야 한다. 나아가 전문 전통예술가의 창작공간과 전통예술 동호인의 교육공간이 융합하는 등의 전통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공간지원의 시야의 확대가필요하다. 또한 이른바 K-Culture진흥을 위해 유형문화재 중심의 문화재 인식에서 벗어나 무형문화재에 대한 조직과 예산의 확대가 절실하며, 문화예술진흥기금의 활용도 이제그 총량을 늘임과 동시에 전통문화예술지원에 보다 많은 할애를 해야 한다.「문화유산법」 과 「공연법」의 운용에 있어서도 전통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정책적 행정이 필요하며, 생활예술 동아리활동에 대한 진흥책도 「스포츠클럽법」에 따른 생활체육 동호회 수준으로확대되어야 한다. 생활예술향유자의 관점에서는, 이상과 같은 내용을 담아, 「국악진흥법」과 그 시행령이명실상부한 전통예술진흥법으로 업그레이드되거나 생활예술진흥을 도모하는 내용이 풍부하게 담기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역문화진흥법」, 「공연법」 등 전통예술 진흥과 실질적 관련이 있는 다른 법률들도 성과지표위주의 관료적 지원 등에서 탈피하여 활동지원에 방점을 두는 등 운용면에서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The Basic Act on Culture, enacted in 2014, stipulates that enjoying culture is a human righ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motion Act was enacted in 2023 and is scheduled to go into effect in 2024. This is a step forward in response to the fact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adopts the principle of a cultural nation as one of its main principles. In order for the Korean Music Promotion Act to not becom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sonnel Promotion Act 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 Promotion Act, the culture of enjoying Korean traditional music must be revitalized. and Preferential treatment is needed for professional traditional artists and traditional art enthusiasts as part of affirmative action.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traditional living arts, not only promotion measures by administrative officials but also promotion policies such as cultural mediators must be pursued.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arts must be linked to the expansion and substanti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arts education in school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space support, such as converging the creative space of traditional cultural artists and the educational space of traditional art enthusiasts. In order to promote K Culture, it is urgent to move away from the recognition of cultural assets centered on tangible cultural assets an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budget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should be increased, and more should be devoted to supporting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enjoy living arts, I believe that the above-mentioned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motion Act or its enforcement ordinance, and I think that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and Performance Act also need to be upgraded in terms of content and operation.

      •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 연구 (1892~1950)

        김지하 ( Kim Jiha ) 동양미술사학회 2019 동양미술사학 Vol.9 No.-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은 보스턴미술관의 운영 및 소장품 수집과 관련된 컬렉터들과 큐레이터에 의해 변화를 겪어왔다. 보스턴미술관의 동양미술품 소장 및 연구는 일본과 중국이란 큰 축을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그 중 한국미술은 부수적인 부분으로 다뤄졌다. 본 논문은 동양컬렉션의 조성 과정 및 소장과 연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두 명의 큐레이터와 컬렉터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의 형성과 특징에 대해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보스턴미술관에 한국 미술품이 처음 소장된 1892년에서 1910년 사이 에드워드 실베스터모스(Edward Sylvester Morse, 1838~1925)의 한국 도자 컬렉션이 가장 주요하다. 일본도자기와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표본으로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시기의 다양한 한국도자기가 수집되었으며 특히 신라, 가야의 토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시기, 종류의 구분없이 하나의 캐비넷에 전시된 한국도자기는 민족학, 인류학과 유사한 맥락에서 연구되었다. 이어지는 1910년대와 1920년대에는 기존 동양미술 컬렉션에 부족한 일본 조각과 중국 미술품들을 보강하는 과정에서 회화, 공예 등 다양한 매체의 한국미술품이 함께 소장되었다. 그 중 특별 기금을 통해 수집된 고려청자는기형, 색감, 문양, 유약 등의 특징을 파악하는 등 청자 자체로서 전시, 연구되는 양상을 띠었다. 연구를 통해 과거부터 중국, 일본인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우수함과 고분 출토 도자기가 갖는 진품성이 고려청자를 한국미술의 대표격으로 자리잡게 하였다. 한편 고려청자는 중국 고대 역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동양미술의 보고로 발전한 일본미술까지의 시대적 변화를 담은 보스턴미술관 동양미술 전시에 한 부분으로 자리하였다. 전시구성과 함께 보스턴미술관의 동양미술 소장, 연구에 반영된 오카쿠라 카쿠조(岡倉天心, 1868~1913)의 영향은 동양미술 연구자와 컬렉터들로 이어졌다. 다음으로 도미타 코지로(富田幸次郎, 1890~1976)가 동양미술부를 이끌어 나가던 1930년 이후, 일본 미술상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시대 금속공예품이 주로 소장, 연구되었다. 동서양을 오가며 주요 컬렉터 및 기관과의 관계를 형성해 온 야마나카 회사(Yamanaka Company)를 통해 수집된 금속공예품은 코지로에 의해 일본 연구자들의 발굴,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연구되며 한반도 내 일본 식민정책의 성과를 함께 담아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한국미술 컬렉션에 가장 큰 기여한 찰스 베인 호이트(Charles Bain Hoyt, 1889~1949)의 한국 컬렉션은 고려청자, 금속공예에 편중되어 전체 한국미술 컬렉션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조선시대 도자기가 청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수집되었으며 다양한 기형, 기법을 반영하고 있어 개인의 취향도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MFA), opened in 1876, have a extensive history and collections. The museum’s collection of Asian art especially is one of the finest in the United States and over 100,000 works are included about 1,045 Korean art works and related materials. In this dissertation aims to consider how the Korean art collection had been acquired and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1892 through 1950. Morse’s collection of Korean ceramics is the most important between 1892 and 1910. Various types of Korean ceram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modern times were collected as a sample to show their relationship with Japanese ceramics, especially pottery from Silla and Gaya. The collection displayed in one cabinet, regardless of tim and type, were studied in a similar context to ethnology and anthropology. Korean art was collec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scarce Chinese and Japanese art from the Oriental art department. A variety of Korean artworks have been collected while reinforcing scarce Chinese and Japanese art from the Department of Chinese and Japanese Art. Among the collection, Goryeo celadon collected through a special fund and displayed in exhibition from ancient China to modern Japanese art. Through the research, the outstanding quality and authenticity of Goryeo celadon, which was highly appreciated by the Chinese and Japanese people, made Goryeo celadon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art. Goryeo celadon has become a part of the Eastern art exhibition, which has developed from ancient China art to modern Japan art. Okakura Kakuzo’s influence on the exhibition and research of Eastern art at the Boston Museum of Art continued with later researchers. After 1930, metal crafts of Goryeo Dynasty were mostly housed and studied by Tomita Kojiro who led the Department of Eastern Art. He used Japanese researchers' achievements in studying metal crafts of Goryeo Dynasty and reflected the outcome of Japan’s colonial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Hoyt's Korean art collection, which is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collection of Korean art, is concentrated on Goryeo celadon and metal crafts, and has a similar composition to the entire collection of Korean art. Hoyt’s Korean collection, the largest portion of the Korean art collection, is concentrated on Goryeo celadon and metal crafts like entire collection of Korean art in MFA. On the other hand, the pottery of Joseon Dynasty were possessed in the similar amount Goryeo celadon. Also, the ceramics with various shapes and techniques were reflected tastes of the collector.

      • KCI등재

        193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언론, 공연,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지향성 연구

        이혜승(Lee Hye Se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6 No.-

        After the Socialist revolution, all of the cultur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became nationalized. Ethnic Koreans' culture in Central Asia was made and inculcated by political power. The Soviet policy converted culture into a main instrument of ideological propaganda. The Otherness of Korean culture was, first of all, caused by material subordination to power . A worship of Soviet political heroes and aspiration toward construction of communism were the main issues of Soviet Koreans culture. On the contrary, critical issues like forcible deportation were not touched by Korean works. Specific forms of Korean national culture had been preserved by power in the Soviet period. But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means to keep exotic taste presenting socialism in diverse way and stuffed specimen eradicating cultural spirit. A Language problem turned out to be critical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orean ethnic culture. The number of Koreans who can speak national language was radically decreased. Ethnic Koreans' culture was produced, either by old generation born in Far East, or young generation like Sakhalin and North Korean immigrants who were considered as outsiders. In addition to that Korean language couldn't be understood by the majority of people born in Central Asia who assimilated in Russian culture and language. Ethnic Koreans' culture was remained as a culture of Others. First, it was a culture of minority which was excluded from mainstream Russian culture. Second, it reflected superficial ideological values instead of real history, life and identity of Koreans. Finally, it functioned as rather a pamphlet art and production of social order than a means for practical communication of Korean people. 1917년 혁명 이후 소비에트 문화의 물적 토대는 정치 권력에 전적으로 종속되었다. 문화는 체제 우호적인 호모 소비에트쿠스의 형상을 인민 대중에게 선전하는 역할을 맡았다. 고려인 문화는 소비에트 문화의 큰 틀에 따라 외적 동기로 성립되고 권력에 의해 인위적으로 ‘배양’된 까닭에 타자의 문화로 출발하게 되었다. 고려인 문화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주제와 소재는 사회주의 혁명의 찬양, 노동의 숭배, 영웅의 찬미 등 사회주의 리얼리즘 계열이었다. 체제 지향적 가치의 형상화 뒤에는 고려인들 자신의 ‘역사’가 은폐되었다. 민족문화의 형식을 잘 보존한 작품들은 민족주의의 발현이라기보다 사회주의를 다양하게 포장하는 이국적 취향의 보존이며 정신을 거세한 ‘박제’로서의 성격이 짙었다. 고려인 문화는 고려인들이 실제적으로 추구했던 가치와 문제 의식, 지향점들을 배제함으로써 고려인들 자신에게 타자화되었다. 생산과 소비 패턴의 경우, 민족어를 구사하는 고려인들의 수가 급감하면서 민족 문화의 명맥은 극동 원로 세대를 제외하고는 북한이나 사할린 등 외부 이민자들이 이어나갔다. 민족어로 쓰인 신문과 공연, 작품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소비자층 역시 극소수에 불과했다. 고려인 문화는 그 생산자들이 소비자 대중을 정서적으로 대변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실제 소통되는 문제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대다수 고려인들에게는 타자의 문화였다. 고려인 문화는 비주류 소수 민족의 문화인 까닭에 주류 사회인 소비에트 문화에는 ‘타자’의 문화였다. 그리고 고려인들의 역사와 고유한 가치, 고려인들 자신의 실제적인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고려인들 자신에게도 ‘타자’의 문화로 남았다.

      • KCI등재

        "댄스 리터러시" 개념 틀에 근거한 한국무용 핵심요인의 탐색

        김현정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2

        Now days concern and practice about dance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that purpose is to have Culture and Art literacy. However, the concern insufficient about Korean Dance that is par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ince recently Many study have been being about Dance literacy that purpose of dance education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Dance Literacy concept is able to apply to Korean Dance study.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Korean Dance essential elements(purpose, contents, factor) based on conception of dance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is literature analysis about Korean Dance studies by dance competence, dance knowledge, dance disposition that elements of dance literacy. The research result of the first, Korean dance competence is that the purpose of know how to do art expression skill of Korean Dance. To do this, we should understand contents about of korean dance body, music, emotion and expression. It can express through factor of movement, rhythm, breathing, moving line. Second, the purpose of Korean Dance knowledge is cognitive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 To do this, we should understand contents about of Korean culture, history, philosophy and arts. It can get through factors that Korean Dance history, dance notation and creative method. Third, the purpose of Korean Dance disposition is understanding aesthetic state of Korean Dance. We can understand through contents about sensitivity, spirituality, religion and aesthetic. If it can understand through factors that Yin-Yang and five elements, Taeguk philosophy,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philosophy, benevolence(仁), virtue (德), affection(情), you will have a high level of Korean Dance Liter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discus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context about Korean Dance. This study can be used any korean dance education field. I proposed some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 program through get to education field and teacher. 현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문화예술 소양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으로 제시된 댄스리터러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기에, 이를 한국무용에 적용하여 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인 댄스리터러시의 개념에 근거하여 한국무용의 핵심요인(목표, 내용, 세부요소)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지금까지 한국무용 연구들을 댄스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무용능, 무용지, 무용심을 기준으로 문헌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무용 능은 한국무용의 기능적 예술표현하기 위함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무용의 신체, 음악, 감정, 표현의 내용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한국무용의 동작과 장단, 호흡, 동선의 세부요소들을 통해 실천해 볼 수 있겠다. 둘째, 한국무용 지는 한국무용의 인지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 문화와 역사, 철학, 예술의 내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무용사와 기록법, 안무법, 창작법의 세부요소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셋째, 한국무용 심은 한국무용을 심미적 상태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내용으로 감성과 영성, 종교, 미학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는 세부요소인 음양오행과 태극사상, 천인합일사상, 인(仁), 덕(德), 정(情)의 이념에 대한 이해가 한국무용을 수준 높은 경지로 즐길 수 있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한국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이는 여러 한국무용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로는 실제 교육 현장의 교육 강사들을 통해 얻어지는 교수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화예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연구 - 창작의 탈형식과 자유정신을 중심으로 -

        문영란 ( Moon Young Ran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1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5 No.-

        This study considers the problem of reality that our floral art has to overcome as a loss of the floral art spirit caused by the expansion of Western-centered formalism flower culture, and considers the discussion on the deformality of distancing and the free spirit of nomadism. The floral art, which works on the creator's aesthetic mental world through flowers, is an art of mental image that values the free mental world of the creator. It also refers to the importance of artist consciousness as an art of self-imago that makes the target world beyond the expression of similarity that reproduces the target world. In this context, the lack of concern about the identity of Korean floral art appears to be the creative training and work of Korean floral artists who are biased toward Western expression techniques and creative methods. It also expresses a problem with our cultural consciousness, which is dominated by the Western flower culture of flower design. Here, we are oblig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n floral art biased by Western flower design and to organize discussions to 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that our floral art has to overcome as part of seeking the identity of Korean floral art and enhancing the cultural value of Korean floral art through criticism of Western cultural acceptance. This is a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Korean floral art to recover, while also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meaning of the free creative spirit that the artist should maintain as an aesthetic art. Furthermore, such criticism of the Korean floral art culture and discussion of introspection are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expand the academic discourse system for the floral art while embodying the identity of Korean floral art.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KCI등재

        동북의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

        임영상(Yim Young-Sang) 백산학회 2012 白山學報 Vol.- No.94

        21세기 조선족사회가 살아남는 길은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가는 길밖에 없으며, 새로운 조선족문화의 창출은 조선민족교육을 전제로 하지 않을 수 없다.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은 민족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기관이다. 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예술교육에 한국사회, 지자체와 문화재단 등이 지역을 나누어 아래의 연수활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지역별 조선족학교를 활용한 여름 민족문화예술캠프이다. 조선족문화관이 있는 곳은 문화관을 동참시켜야 한다. ② 전현직 교사, 은퇴한 문화계인사들의 주도 아래 학교와 지역의 역사 자료를 수집하는 일이다. 조선족이 개척하고 살았던 마을과 학교자리를 찾아 GPS좌표점을 확인하고 사진을 찍고 마을어른과 학교졸업생들을 만나 자료(사진, 문서 등)를 수집하고 증언을 받는 것이다. 조사인력의 양성은 전현직교사, 문화계인사들을 대상으로 구술사방법론과 자료의 디지털화 연수를 해마다 반복하면서 추진해야 할 것이다.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creation of new cultures are the only ways to allow the Korean Chinese Community to survive in the 21st century. In this context, "creation of new cultures" is inevitably based on ethnic education. The Korean Chinese Community's Schools and the Korean Chinese Community's Centers for Ethnic Culture are the institutions capable of offering education of ethnic arts and cul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Korea's society, local governments and cultural foundations will be able to support the following trai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Korean Chinese community's education of ethnic arts and culture, with each of the institutions helping different regions. ① A summer camp of ethnic arts and culture could be held for each region's Korean Chinese community's schools. As for the regions that have Korean Chinese community's centers, the centers will have to participate as well. ② Former and current teachers as well as those who retired from cultural activities could take the lead in collecting historical data of schools and regions. For example, they could find and confirm the GPS coordinates of the places of villages and schools that were previously established and used by the Korean Chinese. They would also be able to take pictures of the places and meet with the persons still living in these areas and school alumni to collect data (pictures and documents) and listen to them. This survey work will require training former and current teachers and those who used to engage in cultural activities; each year, they will need to learn the methodology of oral history documenting and digitization of documents.

      • KCI등재

        한국 기독교미술의 전개와 과제

        서성록 기독교학문연구회 2016 신앙과 학문 Vol.21 No.3

        ‘Korean Christian Artists Association’ established by Korean artists in 1965 predates Christian in the Visual Arts (CIVA) of America established in 1979, and it has been playing a pivotal role in spreading and dispersing Christian visual arts. This study examined major issues and artists and how Korean Christian Artists Association played the leading role in the art circles by divid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Christian art in four periods such as the sprouting period, formative period, developing period, and expanding period in commemo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association. Early Christian art intensely exhibited indigenous tones such as depicting Jesus as the aristocrat wearing traditional hat and robe, and this trend has not changed much even after the liberation. Christian art began to develop in full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hristian Artists Association’ in the mid 1960’s when the society started to overcome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and stabilize gradually and it gave births to monumental pieces such as <The Life of Jesus> by Hak-soo Kim, <Glory> by Bong-nam Suh, <Figures of the Tower Commemorat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Korean Church> by Young-ja Youn, missionary paintings by Kim Young-gil, and <Jesus the Fool> by Byung-jong Kim in the 1980’s alongside successive overseas activities. In the 1990’s the advent of a series of young artists’ associations in the nature of cultural movement and the associations composed of existing artists such as ‘Korea Artist Missionary Association’ and ‘Art Mission’ changed the streams of the Christian art; switching from subject centered tendency and sectism to the expression of whole person based on the Christian world view. The conclusion suggested a few measures Korean Christian artists to establish artistic vision without losing the identity as a Christian in the age of collision between various discourses. First, the Christian art circles need to cope with realistic culture through the shift in generations and be more active about developing Christian artistic discourse. Second, it is necessary to give more attention to cultural reformation and make efforts to bring Christian art to relief as a cultural alternative. Third, the Christian art will advance when artists and believers take a new perception about visual art.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publicness by participating in the world through the entire existence of Christian artists. 1965년 기독교미술인들이 주축이 되어 출범한 ‘한국기독교미술인협회’는 1979년에 창립된 미국의 CIVA (Christian in the Visual arts)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것으로, 그간 기독교 시각 예술을 확산, 보급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미술인협회 50주년을 계기로 한국 기독교미술의 경과를 맹아기, 형성기, 도약기, 확산기 등 네 시기로 나누어 주요 현안과 작가들, 그리고 미술계에서 어떻게 선지자적 역할을 해왔는지 고찰하였다. 초기의 기독교미술에서는 예수님이 갓을 쓰고 두루마기를 입은 선비로 묘사하는 등 토착적 색채가 농후했으며, 이런 기조는 해방 후에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기독교 미술은 6.25전쟁의 후유증을 극복하고 사회가 조금씩 안정되기 시작하던 1960년대 중반 ‘한국기독교미술인협회’가 창립됨으로써 본격화되었고, 1980년대에는 잇단 해외진출과 김학수의 <예수의 생애>, 서봉남의 <영광>, 윤영자의 <한국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인물조각>, 김영길의 선교용 회화, 김병종의 <바보산수>가 제작되면서 기념비적인 작품들을 탄생시키는 개가를 올렸다. 1990년대에는 문화운동적 성격을 띤, 일련의 청년미술단체와 기성미술인들로 구성된 ‘한국미술인선교회’, ‘아트미션’이 출현하면서 기독교미술의 물줄기를 바꾼 시기이기도 하다. 이로써 소재주의와 섹트주의에 연연하던 모습에서 기독교세계관에 입각한 전인(全人)의 표현으로 궤도를 수정한 측면을 보이고 있다. 결론에서는 온갖 담론들이 충돌하는 시대속에서 한국의 기독교 미술가들이 정체성을 잃지 않고 예술적 비전을 확립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기독교미술인들과 목회자들이 현실문화에 지혜롭게 대처하고 기독교적 예술담론의 구상에 보다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점, 둘째 문화개혁에 좀더 관심을 기울이며 기독교예술이 문화의 대안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점, 셋째 미술가들과 교인들이 시각예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질 때 기독예술이 발전된다는 점, 넷째 기독교미술인들의 전존재를 통해 세상에 참여하는 공공성을 가져야한다는 점 등을 대안으로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