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재법의 개정방향 -국제상사중재의 측면을 중심으로-

        石光現 ( Kwang Hyun Su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3

        The current Korean Arbitration Act (KAA) has been modelled on the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Model Law)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 in 1985. Therefore, one could say that Korea has succeeded in introducing well-organized arbitration law. As is widely known, the Model Law has been revised by the UNCITRAL in 2006. The principal contents of the revised Model Law (Revised Model Law) adopted in 2006 relate to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to interim measures. The text of the provision on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in Article 7 of the Model Law was modelled on Article II (2) of the New York Convention of 1958. The revision of Article 7 is intended to reflect the practice in international trad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s to the interim measures, the Revised Model Law has introduced a new chapter on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s (chapter IVA). The revision of Article 17 on interim measures was considered necessary in light of the fact that interim measures are increasingly relied upon in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The Revised Model Law also includes an enforcement regime for interim measures consider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arbitration often depends on whether interim measures could actually been forced. The document requirements under Article 35(2) were also amended in 2006 to liberalize formal requirements and reflect the amendment made to Article 7 on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gainst the foregoing background, the author suggests that Korean legislators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for amendment in the future : ① form of arbitration agreement; ②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 ③ documents necessary for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 ④ requirements for the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 especially the enforcement judgment (exequatur); ⑤ arbitrability; ⑥ law applicable to the substance of the dispute; ⑦ challenge of arbitral award and the validity of exclusion agreement under the Korean Arbitration Act; ⑧ consumer protection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⑨ status of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and ⑩ other issues such as enhancement of expertise of Korean courts involved in arbitration and confidentiality and costs of arbitration. Finally, the author urges Korean lawyers who play important roles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to make greate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arbitration.

      • 국제분쟁에서 한국법의 적용

        김갑유(Kap-You (Kevin) Kim),신연수(Yunsoo Shin)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2 법학평론 Vol.12 No.-

        본 논문은 국제소송 및 국제중재와 같은 국제분쟁에서 한국법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법리상 문제는 물론 실무상 자주 제기되는 번역상 문제를 정리하여 소개한다. 국제분쟁에서 서로 다른 준거법과 배경을 가진 당사자들이 다투는 경우 한국법이 외국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적용되는지를 실무적 관점에서 다룬 연구를 찾기 어렵다. 필자들은 특히 한국법이 영미법계 중재인에게 어떻게 잘못 이해될 수 있는지를 많이 지켜본 실무가의 경험에 비추어서, 실제로 한국법을 준거법으로 한 국제분쟁을 다루는 국내외 실무가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필자들은 먼저 국제분쟁에서 한국법을 준거법으로 하는 경우 실무가가 주의하여야 할 점을 개관한 뒤 구체적인 사례를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법상 계약해석의 원칙과 신의칙, 한국법상 선관주의의무, 국제계약에서 최선 노력 조항의 의미 등이 영미법의 비슷한 법리와 어떻게 차이가 나며 외국 재판부가 어떠한 점을 오해할 수 있는지 설명하였다. 또한 한국법을 영어로 설명할 때 오해가 있을 수 있는 사례인 위법성, 조합의 올바른 번역 방법에 대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외국 재판부 특히 영미법계 재판부에게 한국법을 설명할 때에는 재판부의 입장에서 관련 법리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먼저 이해하려 하고 청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현재의 실무상으로는 국제분쟁해결의 경험이 적은 당사자에게 매우 불리하고 자칫 한국법이 잘못 적용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각국의 주요 법리(적어도 계약해석의 법리 또는 외국법과 큰 차이가 있는 독특한 분야의 법리)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쟁해결기관이 달라져도 한국법이 정확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갖추어지기를 바란다. 이를 위하여 독일 법원이 외국의 법제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공개하는 제도 및 국제변호사협회가 국제중재에 대한 각종 절차적 법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실무에서 이를 지침으로 삼도록 한 사례 등을 소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how Korean law is applied in international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including international arbitrations and cross-border litigations in terms of both procedural and substantive issues. When disputes arise between parties from different legal systems, it is often challenging to resolve misconceptions as to how Korean law shall be interpreted and applied by foreign judges or arbitrators. Moreover, unlike the domestic disputes where the Korean judges have expertise in Korean governing law, international disputes are likely to be determined by foreign adjudicators who might misunderstand the key legal principles of Korean law due to their lack of familiarity with Korean law. Therefore, for more effective advocacy, practitioners should have well-advanced plans and different perspectives based on a comparative approach to plead Korean law step by step in front of foreign judges and arbitrators with a common law background. The authors give an overview of the various issues and practical tips that Korean practitioners might find helpful in pleading Korean law in front of foreign judges or arbitrators. For example, this paper explains how contract interpretati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the duty of a good manager under Korean law could be misunderstood by foreign judges and arbitrators, and suggests how these issues should be pleaded to avoid such confusion. In addition, the authors suggest possible alternatives to commonly used English translations of the key legal concepts under Korean law to avoid unnecessary confusion. When explaining Korean law to foreign judges or arbitrators, especially to those from common law backgrounds, practitioners must first try to understand how the judges or arbitrators will interpret the relevant legal doctrine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nd then proceed to provide a clear explanation. Under current practic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parties that are less experienced in international dispute resolution to provide such a clear explanation of Korean law, leading to a high likelihood of an erroneous application of Korean law. Therefore, a systematic improvement is needed. The authors suggest a publicly available database on the key legal principles across major jurisdictions so that judges and arbitrators might consult it in international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By building such a publicly available database, parties will be able to avoid massive waste of time and efforts and, more importantly, Korean law as the governing law will be appropriately applied in international disputes.

      • KCI등재

        THE CURRENT STATUS OF COMMERCIAL ARBITR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ARBITRABILITY

        김용의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國際去來와 法 Vol.- No.22

        According to the KCAB statistics, the number of arbitration cases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from 175 cases in 2000 to 500 in 2016. Among the cases, about 25% are international cases. With the recent amendment of Arbitration Law in 2016 (“Law”), one of the hot subjects in the arbitration field in Korea is the expansion of arbitrability under the new Law. Generally the arbitrability is the concept which can separate the disputes to be resolved by arbitration from other disputes belonging to the exclusive jurisdiction of courts. Generally it is well recognized in Korea that the disputes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law, criminal law, administrative law, family law (not related to the property) cannot be resolved by arbitration. When the dispute is found to be out of the arbitrability, the arbitral award, regardless how or where it was made, may not be enforced in Korea because such dispute may not be resolved by arbitration under the Law. The Law may revoke such award or reject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thereof. This provision is corresponding to the article 5 (2) a. of New York Convention. Law does not provide expressly for the arbitrability. However, it is said that the legislators reflected the international trend as appears in Model Law in expanding the scope of arbitration to the areas of intellectual property, bankruptcy, corporate matters, and competition (“New Arbitrable Areas”) which traditionally did not belong to the scope of arbitration.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arguments that such disputes may be arbitrable only if the disputes are not purely the issues of the New Arbitrable Areas. In line with the trends in other countries, Korea should develop and refine the legal theory based upon the accumulative decisions in the cases with diverse issues related to the New Arbitrable Area. Of course lots of academic researches on and good reference to foreign legislation and practice in the same area should be added to Korean jurisprudence of arbitration in order to cope with globalization of commerce and complexity of the disputes on commercial transactions now and in the future.

      • 우리나라 중재와 판정원금에 대한 이자

        이영석(Young Seok Lee)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12 법학평론 Vol.3 No.-

        한국 중재 사건에서 중재판정 원금에 대한 지연손해금은 해당 분쟁의 준거법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한 준거법이 . 한국법일 때 당사자의 약정이나 민법 또는 상법 이외에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도 적용되는지에 관하여 한국 중재실무의 입장은 일관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은 일정한 요건이 갖추어지면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측면이 있으므로 위 특례법을 적용하는 경우와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병존하는 현재의 실무에서 어느 한쪽은 위법함이 분명하다. 최근 중재판정들 중에는 위 특례법 적용을 배제하는 경우도 많지만 적용하는 경우도 상당수 존재하는데 이는 다시 말해 위법한 중재판정들이 적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 글을 계기로 위 특례법이 중재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한국의 소송실무에만 익숙한 일부 한국 중재인들이 중재판정에도 위 특례법을 잘못 적용하는 오류를 방지하고, 나아가 지연손해금 판정에 재량을 가진 영국법계 중재판정부들이 한국법을 준거법으로 하는 중재사건에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명함에 있어서 그릇된 결론을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In Korean arbitrations, interest on the principal amount to be paid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ing law of the dispute at issue. When Korean law is such a governing law, Korean arbitration practice has not been consistent in applying the Special Act on Expedition of Litigation. In other words, the Special Act is applied in certain cases and is not applied in other cases, without clear criteria. Since application of the Special Act is mandatory when certain requirements are met, a substantial number of Korean arbitration awards cannot avoid being in violation of the aforementioned Act. This article was written to make it clear that the Special Act does not apply to arbitrations under Korean law, hopefully preventing Korean arbitrators, who are accustomed to litigation practice only, from erroneously applying the Special Act in arbitration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arbitrators from common law jurisdictions in granting interest in arbitration awards when the governing law is Korean law. The inconsistent Korean arbitration practice on interest is not the result of the discretion granted to arbitrators in common law jurisdictions.

      • KCI등재

        THE CURRENT STATUS OF COMMERCIAL ARBITR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ARBITRABILITY

        KIM, YONG EUI(김용의)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國際去來와 法 Vol.- No.22

        According to the KCAB statistics, the number of arbitration cases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from 175 cases in 2000 to 500 in 2016. Among the cases, about 25% are international cases. With the recent amendment of Arbitration Law in 2016 (“Law”), one of the hot subjects in the arbitration field in Korea is the expansion of arbitrability under the new Law. Generally the arbitrability is the concept which can separate the disputes to be resolved by arbitration from other disputes belonging to the exclusive jurisdiction of courts. Generally it is well recognized in Korea that the disputes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law, criminal law, administrative law, family law (not related to the property) cannot be resolved by arbitration. When the dispute is found to be out of the arbitrability, the arbitral award, regardless how or where it was made, may not be enforced in Korea because such dispute may not be resolved by arbitration under the Law. The Law may revoke such award or reject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thereof. This provision is corresponding to the article 5 (2) a. of New York Convention. Law does not provide expressly for the arbitrability. However, it is said that the legislators reflected the international trend as appears in Model Law in expanding the scope of arbitration to the areas of intellectual property, bankruptcy, corporate matters, and competition (“New Arbitrable Areas”) which traditionally did not belong to the scope of arbitration.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arguments that such disputes may be arbitrable only if the disputes are not purely the issues of the New Arbitrable Areas. In line with the trends in other countries, Korea should develop and refine the legal theory based upon the accumulative decisions in the cases with diverse issues related to the New Arbitrable Area. Of course lots of academic researches on and good reference to foreign legislation and practice in the same area should be added to Korean jurisprudence of arbitration in order to cope with globalization of commerce and complexity of the disputes on commercial transactions now and in the future.

      • KCI등재

        중재대리인의 자격

        윤은경(Yun, Eun Kyoung)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연구 Vol.55 No.2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disputes has resulted in setting up special courts for dealing with those cases, but the outcome has not reached to the level of full satisfaction. Given that the complexity of those cases and nationality of parties in dispute, it seems that those parties tend to lean on the decision by the arbitrator chosen by themselves rather than the decision by the courts. Our government struggles to cultivate our country as an attractive international arbitration center to resolve the international business disputes especially in Asia. In order to do that, the fairness of arbitration process should be inevitable. While the duty of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arbitrator has been studied a lot, the qualifications of council in arbitration have rarely considered. While Article 87 of the Civil Procedure Act stipulates that “Except for representatives entitled to conduct the judiciary acts pursuant to Acts, no person may become an attorney, other than the lawyers.”, there’s no article regarding the qualifications of council in arbitration in the Arbitration Act. According to Article 8 of the Domestic Arbitration Rules of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hereinafter referred to as “KCAB”) and Article 7 of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Rules, anybody can be represented for the parties in disputes in arbitration process. Meanwhile, it seems that section 1 of Article 109 of the Attorney at Law Act permits only lawyers to be council in arbitr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conflict between the Attorney at Law Act and the Arbitration Rules of KCAB. This paper examined the court rulings and arbitration rules of major international arbitration institutions such as those of the Singapore International Arbitration Centre, the Japan Commercial Arbitration Association, and the Hong Kong International Arbitration Centre. As a result, it seems more reasonable to view that only Korean lawyers can be represented by the parties in the arbitration according to section 1 of Article 109 of the Attorney at Law Act on the grounds that section 1 of Article 109 of the Attorney at Law Act is a compulsory provision and the legal affairs have been deemed for public interest. In this sense, party autonomy of appointing non-lawyer as counsel in arbitration should be limited within the compliance of the mandatory provision of the Attorney at Law Act. Therefore, it seems to be desirable that for the purpose of legalization of non-lawyer council in arbitration, (i) Article 109 of the Attorney at Law Act should be modified to be compatible with Article 8 of the Domestic Arbitration Rules of KCAB and Article 7 of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Rules of KCAB, or (ii) the Arbitration Act have to be modified in order to reflect the intent of Article 8 of the Domestic Arbitration Rules of KCAB and Article 7 of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Rules of KCAB. 급증하는 국제거래분쟁의 해결을 위해 법원은 전문재판부를 설치·운영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국제거래분쟁의 복잡다기성과 거래 당사자의 국적 등을 고려해 볼 때 어느 일방 국가의 사법기관에 의한 분쟁해결보다 당사자들이 선정한 중재인에 의한 판정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이 선호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우리나라도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한국을 국제중재, 특히 아시아의 중재허브로 도약시키는 것을 목표로 중재활성화를 위한 방안마련에 힘쓰고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이 중재지로 적극 활용되기 위해서는 한국에서의 중재절차가 공정하다는 인식이 확립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그동안 중재절차의 공정성은 중재인의 독립적이고 공정한 의무부과 차원에서 많이 논의되어 왔으나 중재를 규율하는 중재기관의 규정이나 절차에 익숙하지 못한 당사자들을 대리하여 중재인과 함께 중재절차를 진행하는 중재대리인의 자격이나 역할에 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었다. 재판으로 분쟁을 해결할 경우, 소송대리인의 자격에 대해서는 민사소송법 제87조에서 원칙적으로 변호사일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중재대리인의 자격에 관해서는 중재법에서 아무런 규정을 두지 않고, 중재법 제41조에 의거하여 제정된 사단법인 대한상사중재원의 국내중재규칙(이하“국내중재규칙”이라 한다) 제8조와 국제중재규칙 제7조에서 변호사 아닌 자에 의한 중재대리를 허용하고 있다. 한편, 변호사법은 제109조 제1호에서 비변호사의 중재, 그 밖의 법률사무를 취급하거나 이러한 행위를 알선하는 것을 금지하고 위반한 자에 대해서는 형사제재를 가하고 있다. 위 규정에 의한다면, 대한상사중재원의 국내·국제중재절차에서 변호사가 아닌 자가 신청인 또는 피신청인을 대리하여 중재절차에 임할 경우, 이를 허용하는 국내·중재 규칙에도 불구하고 변호사법에 위반되어 중재대리행위를 할 수 없는 것인지 여부, 즉, 중재대리인은 변호사여야만 하는지 여부가 문제가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나 판단기준이 없어 실무상 혼선을 빚어 왔다. 이에 이 글에서는 대한상사중재원의 중재절차에서의 중재대리인의 자격이 변호사로 한정된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법원의 입장 및 세계 주요 국제중재기관의 중재 규칙 등을 살펴봄으로써 대한상사중재원의 국내·국제중재절차에서의 중재대리인의 자격에 관한 변호사법과 국내·국제중재규칙의 해석 및 보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의 강행법규성 및 법률사무의 공익적 성격 등에 비추어 볼 때, 중재도 그 본질상 분쟁에 관한 제3자에 의한 판정이라는 점에서 재판과 거의 유사하므로 위 법에서 말하는 법률사무에 중재대리가 포섭되는 것이고, 이에 중재대리인의 자격도 소송대리인의 자격과 유사하게 제한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점에서 중재대리인 선임의 자유라는 사적자치가 변호사에 의한 중재대리를 요구하는 강행규정에 반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유효하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변호사법 제109조는 문언상으로도 중재대리인의 자격을 변호사로 제한하고 있다고 보이는바, 대한상사중재원의 국내중재규칙 제8조와 국제중재규칙 제7조는 위반시 형사처벌이 부과될 수 있는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에 위반되므로 대한상사중재원의 국내·국제중재절차에서 비변호사에 의한 중재대리를 적법화하기 위해서는 현행 변호사법 제109조를 대한상사중재원의 국내중재규칙 제8조와 국제중재규칙 제7조의 취지를 반영하여 개정하거나 중재법에서 중재활성화를 위한 전향적인 규정으로서 중재대리인의 자격에 관한 위 국내·국제중재규칙의 취지를 반영한 내용을 명시하는 것이 법체계상 바람직하다.

      • KCI등재

        소송금지가처분(Anti-Suit Injunction)과 중재금지가처분

        조인영(Inyoung Cho)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8

        최근 국제중재사건이 대폭적으로 증가하면서, 중재와 소송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중재판정부와 법원이 상호 갈등을 빚을 수 있는 부분 중, 같은 분쟁 대상에 관하여 한 쪽 당사자는 중재절차를, 다른 한 쪽 당사자는 국내소송절차를 주장하여 두 가지 절차가 동시에 진행될 경우, 중재판정부가 당사자에 대하여 특정 법원에서의 소송을 진행하지 말라는 소송금지가처분(Anti-Suit Injunction)을 할 수 있는지, 반대로 법원이 당사자에 대하여 특정 중재절차를 진행하지 말라는 중재금지가처분(Anti-Arbitration Injunction)을 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소송금지가처분은 종래 영미법계에서 주로 인정되어 오던 것으로, 이러한 유형의 가처분을 인정하지 않는 대륙법계 국가들과 충돌을 일으켜 왔으며, 유럽사법재판소 역시 West Tankers 사건에서 영국 법원의 소송금지가처분은 브뤼셀협약에 위반된다고 판시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중재사례에 있어서는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중재판정부가 소송금지가처분을 명하는 사례가 존재해 왔고, UNCITRAL 모델 중재법과 중재규칙은 그러한 실무를 반영하여 이를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우리 중재법 역시 2016년 개정 과정에서 UNCITRAL 모델 중재법의 내용을 반영하여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에 관한 규정을 대폭 개정함으로써, 소송금지가처분은 개정 중재법이 허용하는 임시적 처분의 한 유형에 해당되기에 이르렀다. 유럽사법재판소 역시 Gazprom 사건에서 브뤼셀협약은 중재판정부에 의한 소송금지가처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반면 법원에 의한 중재금지가처분은 소송금지가처분에 대응할 일응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행 중재법상 이를 인정할 근거가 부족하며, 우리 대법원 역시 중재금지가처분 뿐만 아니라 중재절차위법확인소송 역시 부적법하다고 판시하였다. 다만, 외국 중재판정부나 외국 법원의 소송금지가처분은 우리법상 승인·집행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므로, 당사자에게 사실상의 구속력만 가질 것으로 보인다. 중재사건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륙법 체계를 기본으로 하는 우리 법제상 소송금지가처분이란 낯선 유형일 뿐만 아니라 재판받을 권리와 밀접히 연관되는 문제이므로 쉽게 남용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2016년 중재법개정으로 중재판정부가 이러한 가처분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이상, 소송금지가처분의 배경 및 요건, 집행의 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와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ith the rapid growth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possibilities for legal conflicts between arbitration and litigation have been also increasing. Such conflicts can be more obvious when the arbitral tribunal makes an order, called anti-suit injunction, to prevent a party from seeking a parallel litigation, or to the contrary, when the court orders a party not to pursue an arbitration, in the form of an anti-arbitration injunction. Historically, anti-suit injunction has been granted in common law countries and caused conflicts with civil law countries where such type of injunction did not exist. In West Tankers case, European Court of Justice adjudicated that English court"s anti-suit injunction is against the Brussels Convention. Regardless of this controversy, many arbitral tribunals have ordered anti-suit injunctions in actual practices. UNCITRAL Model Law and arbitration rule have been revised in 2006 to reflect and approve these practices. Korean Arbitration Act was also revised in 2016 and adopted most of the UNCITRAL Model Law, thus allowing anti-suit injunction by arbitral tribunals. In Gazprom case, European Court of Justice adjudicated that Brussels Convention does not apply to the anti-suit injunction issued by arbitrators. While Korean Arbitration Act allows anti-suit injunction issued by arbitral tribunals, current Korean legal scheme is interpreted not to permit anti-arbitration injunction issued by a court. Korean Supreme Court has also ruled that anti-arbitration injunction or a suit seeking declaration of illegality of arbitration procedure cannot be permitted. As relevant articles for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anti-suit injunction under Korean Arbitration Act are applied only to domestic arbitration, foreign anti-suit injunction still cannot be enforced in Korea and has only de facto constraints to the parties. Although anti-suit injunction is quite unfamiliar to most of the practitioners in civil law countries and cannot be overused, since revised Korean Arbitration Act now approves such type of injunction, Korean lawyer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backgrounds, possibility, requirement and enforcement of such injunction.

      • KCI등재

        중재법 개정 법률안의 주요내용

        이호원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5 民事訴訟 : 韓國民事訴訟法學會誌 Vol.19 No.1

        Korean Arbitration Act(KAA) enacted in 1966 was entirely revised in 1999, adopting the 1985 UN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Korea is trying to be a international arbitration hub in the region, taking advantage of its geographical location in Asia and its highly open economy. Korean Ministry of Justice established a Committee for the Revision of KAA to make it more arbitration friendly. The revision will reflect the criticisms against the current KAA, changes in the arbitration environment, and the 2006 Amendment to the UNCITRAL Model Law. The basic direction of the revision is to maintain the UNCITRAL Model Law system and to deal with national arbitration and international arbitration in the same framework. The scope of revision covers all fields of arbitration, including arbitration agreements, arbitrators, arbitral proceedings, interim measures of the arbitral tribunals, recognition/enforcement of arbitral awards, and their annulment, etc. At present, the draft Act for the revision of KAA is made public, and is waiting for the next step of submitting the draft Act to the National Assembly by the Ministry of Justice.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important issues of the draft Act for the Revision of KAA and to request opinions of all the person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arbitration. The revision of KAA in the more developed and advanced way is expected to help greatly to promote not only the national arbitration, but also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in Korea.

      • KCI등재

        다단계 분쟁해결조항과 “중재가능성”에 관한 연구-중재인의 권한판단권한에 대한 미국 연방 판례를 중심으로-

        김규진 국제거래법학회 2018 國際去來法硏究 Vol.27 No.2

        An arbitration is a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method in which disputes are resolved by arbit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rbitration agreement made between the parties. Many of recent international commercial agreements adopt arbitration as a means of dispute resolution, and often they adopt it by including a provision known as the “multi-tier dispute resolution clause”. A multi-tier dispute resolution clause is a provision which states that when a dispute arises, parties have to take procedures such as negotiation, expert determination or mediation before bring it to an arbitration. The main purpose of having such pre-arbitration procedures is to provide more efficient and prompt way to resolve a dispute. However, these pre-arbitration procedures can often be a starting point of additional set of complex disputes. Is it possible for one party to bring a dispute to arbitration, skipping the pre-arbitration procedures? And more importantly, who has the jurisdiction to decide on such matter? A court, or an arbitral tribunal? If disputes arise over these issues, the procedures introduced for procedural expeditiousness may actually hinder the dispute resolution procedure. Unlike many other countries which approach these issues as a matter of validity of arbitration agreement and a matter of competence-competence, the power of an arbitral tribunal to determine its own jurisdiction, the United States approaches these issues in a very unique way. That is, they use the concept of “arbitrability" to address these issues without explicitly mentioning the validity of arbitration agreement and the competencecompetence principle. This paper examines such unique approach of the United States and finds ways to improve arbitration laws of both the U.S. and Korea on relevant issues by comparative legal studies. 중재는 당사자 간의 분쟁을 법원의 재판으로 해결하지 않고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중재판정에 의하여 해결하는 분쟁해결 방식이다. 그런데 최근 중재를 분쟁해결수단으로 채택하고 있는 여러 국제계약, 특히 건설 및 에너지관련 계약에서는 기존과 같이 해당 계약 관련 분쟁을 중재로 해결하기로 하는 단순한 중재합의조항이 아닌 보다 복잡한 구조의 이른바 “다단계 분쟁해결조항”(multi-tier dispute resolution clause)을 채택하고 있는 경우를 종종발견할 수 있다. 다단계 분쟁해결조항이란 중재로 분쟁을 해결하기에 앞서 협상, 건축가/엔지니어 판단, 혹은 조정 등의 중재 전 절차를 먼저 거치도록 하는 조항을 지칭한다. 이러한 다단계 분쟁해결조항이 탄생한 목적은 기존의 단순한 중재조항 하의 분쟁해결 방법보다 더욱 더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쟁해결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문제는, 신속한 분쟁해결을 위하여도입된 이러한 중재 전 절차들이 오히려 복잡한 분쟁의 단초가 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당사자 일방은 중재 전 절차를 건너뛰고 중재를 신청하고, 상대방은 이에 대하여 중재전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의를 제기할 경우, 과연 해당 분쟁에 대하여 중재가가능한가? 그리고 그러한 쟁점에 대한 판단권한을 가진 자는 중재판정부인가 혹은 법원인가? 이러한 쟁점에 대하여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절차적 신속을 위하여 도입된 절차들이오히려 분쟁해결 절차의 신속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이다. 미국 판례에서는 다단계 분쟁해결조항에 대한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며 이를 중재가능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다룬다. 특히 중재가능성의 판단의 권한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의 문제를 competence-competence 원칙을 중심으로 접근하지 않고 실질적 중재가능성이라는 개념과 형식적 중재가능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해결하는 것이 미국 판례법의 특징이다. 이 논문에서는 다단계 분쟁해결조항에 대한 미국 판례법의 이와 같은 태도를 검토하며, competence-competence 원칙을 규정하는 우리 중재법 제17조와 함께 생각해볼 때 관련 주제에 대하여 양 법계가 고민해보아야 할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스포츠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 우리나라 중재법을 중심으로 -

        오석웅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0 스포츠와 법 Vol.23 No.2

        Sports Arbitration is becoming a popular subfield in arbitration. Arbitration is frequently cited as having a number of advantages over litigation, including speed, cost effectiveness and flexibility of proceedings. Arbitration is also, generally, a private process whereby the content and outcome of the proceedings remain confidential. Generally, an arbitration award is final and binding on the parties to arbitration. In this regard, the Korean Arbitration Act states that the arbitral award shall have the same effect on the parties as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ement of the court(Art.35). The ideal of arbitration is the full and final resolution of disputes privately. However, the successful party cannot directly enforce the award without the court‘s assistance. If the unsuccessful party does not voluntarily comply with it, they will need to take steps to enforce it. Recognition and enforcement are crucial elements of arbitration. Without the possibility for the winning party to enforce the arbitral award in its desired country, the whole arbitration process becomes pointless. Parties will not perceive arbitration as a viable alternative to state court proceedings if the resulting arbitral award will not be enforced with the same or at least equivalent effects as a state court‘s judgment. As sport turns increasingly to arbitration for the resolution of its disputes, so national courts will need to support this trend by enforcing commitments to arbitrate and limiting the scope for judicial intervention. According to KAA,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sports arbitration require the disputes ‘in private law(Art. 1)’ and ‘in respect of defined legal relationships(Art. 3)’ as arbitrability. This paper discusses the arbitrability of sports arbitration as requirements for recognition and enforcement in the Korean Arbitration Act and aims to examine the issue of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sports arbitration awards. 중재제도는 소송과 달리 사적 자치에 기한 당사자 간의 중재합의에서 출발한다. 특히 스포츠분쟁을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는 경우에는 분쟁해결의 신속성, 분쟁해결의 전문성, 비공개성, 비용면에의 경제성 등 소송에 비해 많은 이점이 있다. 우리나라 중재법은 중재판정에 대해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부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 강제집행의 과정에서 법원의 집행결정을 구하도록 하고 있어, 결국 스포츠중재도 국가공권력의 협조 없이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중재인에 의해 내려진 중재판정에 대해 우리나라 법원에서 집행결정이 내려지기 위해서는 중재법상 중재판정의 취소사유가 없어야 하는데, 그 취소사유 중의 하나가 중재가능성의 결여이다. 스포츠분쟁은 경기 중의 오심이나 선수선발 등과 같이 경기와 직접 관련된 분쟁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선수 선수계약이나 방송중계권, 지식재산권 침해 등 경기 외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처럼 스포츠에 있어서는 다양한 영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분쟁이 발생하기 때문에 당해 분쟁의 중재가능성을 일률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러나 당해 스포츠분쟁이 원칙적으로 화해가능성이 있는 사법상의 분쟁이고, 법률상의 분쟁일 경우에는 광범위하게 중재가능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스포츠중재판정의 집행력을 인정하는 것은 스포츠분쟁의 해결방법으로서 중재제도의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중재합의와 함께 중재판정의 집행이라고 하는 것이 확보되어야 만이 향후 스포츠중재제도가 활성화 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중재판정의 당사자가 우리나라 법원에 승인 및 집행을 구한 경우를 가정하여 우리나라 중재법상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고, 스포츠중재판정이 중재법상 집행가능한지의 여부를 스포츠분쟁의 중재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