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開化期の日本語學習書 『日語工夫』(1891)に關する考察

        黃雲 한국일본어문학회 2015 日本語文學 Vol.67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 개화기의 일본어 학습서인 『일어공부』(1891)를 들어 한국의 근대 일본어 교육의 시작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일어공부』는 1891년5월21일, 나카노 교타로에 의해 한국 부산에서 간행된 일본어 학습서이며 개화기에 있어서 가장 빠른 시기에 출판된 것으로 보이는 점에서 한국의 근대 일본어 교육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본학습서는 총21페이지의 매우 짧은 책이지만 「문자·단어·회화」의 당시 타학습서의 구성과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어 일본어 학습서로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학습서에는 서문이 없어 발행 목적에 대한 기록이 없지만, 그 발행 배경과 본문의 내용으로 보아 개항지였던 부산에서 이루어진 일본인과 한국인의 상업 활동에 있어서 편의를 도모할 목적으로 출판되었다고 추측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Japanese language primer Nichigo kufu (1891) from the standpoint of the beginning of moder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s enlightenment period. Nichigo kufu was published on May 21, 1891 by Nakano Kyotaro in Pusan, and as the first such book writt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represents the beginning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This book is quite short at only twenty-one pages, but its format, with sections on “Script, Vocabulary, and Conversation” mirrors other study guides from the period.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text, I surmise that the author published this work for the practical purpose of making commercial activity between Japanese and Koreans more convenient.

      • KCI등재

        韓?開化期の日本語?育に?する考察 -日本語?習書による日本語?育の成立を中心に-

        黄雲 한국일본어문학회 2017 日本語文學 Vol.72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근대 일본어 교육의 시작이라는 관점에서 개화기의 일본어 교육에 대해 고찰하였다.근대 한국의 일본어 교육기관에서의 일본어 교육은 관립주도에 의해 수도권에서 시작되었으며, 오카쿠라 요시사부로라고 하는 일본인 초대교관의 초빙등 일본측의 역할이 많았지만 그 학습은 한국인의 선택에 의한 것이었다.그러나 한국 개화기의 일본어 학습서에 의한 일본어 교육은, 일본인에 의해 작성되어 한국인에게 학습된 점은 교육기관과 그 성격이 같지만, 그 성립에 있어서는 교육 기관과 달리 개항지에서 민간인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또한 개항지와 근대화라고 하는 교육 배경을 생각해 보면, 한국 개화기의 일본어 교육은 실용적 목적에 의해 필연적으로 생겨났다고 보여진다. The mechanism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began in the capital based on leadership from government officials, and while there was much involvement on the Japanese side, such as the first principal Okakura, engaging in study was the choice of Koreans. Conversely, whil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were similar in character to the Japanese Language School, in that they were produced by Japanese and studied by Koreans, they were produced at the direction of private citizens, and they began in the open port cities.Also, considering the background of modernization and open ports,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t the time was born out of necessity because of practical conc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