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포소설(西浦小說) 성립(成立)의 배경(背景)

        김무조 ( Mu Jo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08 국학연구론총 Vol.0 No.2

        1992년에 西浦年譜1)가 발표되면서 마치 九雲夢은 宣川작으로 굳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리가 다시 한 번 서포연보를 잘 분석해 보면 꼭 그렇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여기 서포연보에 나오는 그 항목을 예시하면 ‘丁卯年, 府君51歲라, 9月에 宣川謫所에 가다.’라고 쓰여 있다. 이 아래 서포가 쓴 글 가운데 어머니에게 시를 써 보내면서 소일꺼리로 글을 보냈는데 ‘그것이 부귀번화가 모두 夢幻이다.’라 했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九雲夢>이라고 단정할 수 있겠는가? 문제는 <저서>라는 문제인데 이 <저서>라는 말이 오늘날의 개념으로 <책>이냐, 아니면 그저 <글>이냐 하는 것이다. 오늘날 저서로 본다면 <구운몽>같은 소설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서 심심풀이로 보냈다면 짧은 글일 수도 있다. 그리고 <夢幻>이라는 말이 바로 <九雲夢>의 주제와 같다고 하여 그렇게 단정하는 것도 南海현지의 지리적 조건에서 나오는 지명의 借用등은 어떻게 설명이 되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서포연보에는 謝氏南征記에 관계됨직한 항목은 한 군데도 없다. 서포연보를 서포 후손들이 만든 것으로 가정했을때 그 문중으로 봐서는 구운몽보다 사씨남정기가 오히려 정치적, 아니면 家統에 있어서 더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도 언급이 없는 것은 儒家家門에 荒誕한 글이라 하여 배척한 것이 아닌지, 그렇게 보면 구운몽도 여기에 속한 것으로 본 것이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여하튼 舊稿를 정리하여 寄稿하면서 일생동안 필자가 가지고 있는 서포소설 성립의 배경은 ‘南海현지 사정을 도외시 하고는 언급될 수 없다.’는 것과 반드시 <사씨남정기>, <구운몽>은 대비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자연적으로 그 시기와 동기는 南海작으로 귀납될 것이다. According to Sop’oyonbo(Biographical Details of KimManjung), revealed in 1992, Kuunmong(A Nine Cloud Dream)has been known be written while the writer KimManjung stayed at Sonch’on. A record from Sop’oyonbo writes “in the year of Chongmyo(丁卯), he(Kim Manjung), at the age of fifty one, arrived at the land of exile named Sunch’on in September.”Considering this record in details, however, it is not convincing to think of Sonch’on as the place of writing. In Kim’s letters to his mother, it is stated “this (writing) is about wealth and prosperity that exists only in fantasy”referring to a certain writing. The question is how we interpret the word “the writing”in his letter,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a “book” or a “work of writing.”The word seems to indicate the work of Kuunmong. However, it could indicate other short stories purported to entertain his mother. Many scholars have engaged the understanding of the word of fantasy in the theme of Kuunmong. I assume a critical stance to ward this assumption and here question geographical description of Namhae(南海) frequently adopted in this fiction. Interestingly, no single record of Sassinamjongki(Madame Sa``s Journey to the South)is found in Sop’oyonbo. It is noted that Sassinamjongki contains more political and family-clan related issues than Kuunmong. Supposing that Sop’oyonbow as compiled by Kim’s descendents, the fact that Sassinamjongki is not even mentioned in Sop’oyonbo makes us question whether this work was intentionally eradicated. We can also think about a possibility that Kuunmong as well as Sassinamjongki were rejected during the compilation of Sop’oyonbo. Conclusively,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Kim Manjung’s fic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work’s familiarity with Namhae of geographical condition an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Sassinamjongki and Kuunmong. Those approaches will enable us to identify Namhae as the place where in KimManjung wrote his fiction.

      • 「구운몽」남해 창작설에 대하여

        설성경 ( Sung Gyung Sul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6

        17세기의 소설 작가 김만중은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창작하였다. 그런데, 이들 두 작품 중에서 「사씨남정기」는 남해에서 창작한 것이 분명하지만, 「구운몽」은 그 창작지에 대한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다. 그 결과, 김만중의 「구운몽」이 언제 어디에서 창작되었는가 하는 것은 고전소설 연구의 과제가 되어왔다. 이 문제에 대하여, 1960~70년대에는 김태준, 김무조, 설성경 등은 남해에서의 창작을 주장하였고, 이가원, 김병국 등은 선천에서의 창작을 주장하였다. 그런데, 1988년 『서포년보』가 발견된 이후, 김병국은 『서포년보』에 있는 “김만중이 선천 유배 시절에 ‘몽환’이라는 저서를 모친에게 보내어, 모친을 위로하였다‘는 기록을 근거로 구운몽은 선천 창작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국문학계에서는 「구운몽」의 창작지는 선천이며, 그 시기는 숙종 13년에서 14년 사이로 보는 것이 통설이 되었다. 그런데, 현재 김무조와 남해의 일부 향토학자는 『서포년보』의 ‘몽환’을 「구운몽」으로 해석할 수 없고, 『서포년보』를 신뢰할 수 없는 기록으로 파악하여 선천 창작을 부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오류라고 판단된다. 그 이유는 『서포년보』는 18세의 기록물로는 신뢰도가 높으며, ‘몽환’은 「구운몽」의 주제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함에도 김무조가 남해 창작설을 거듭 강조하는 것은 남해 지역의 관광문화 자원 개발을 계기로 이런 주장을 남해 지역의 일부 향토 역사연구가들이 활용하여 구운몽은 남해에서 창작되었다는 점을특별히 부각시키면서 왜곡된 애향심을 발휘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되어, 남해설과 선천설이 대등하게 맞서는 것으로 군민들이 오해하게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제 필자는 남해 지역에서는 조선조의 대학자요 한국 최고 수준의 소설가인 서포 김만중이 유배라는 절망적 상황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시시비비를 가렸던 「사씨남정기」를 창작한 문학정신을 재현시키기 위해서도 더 이상의 불필요한 창작지 논란을 잠재우고, 정통학자들의 정설 내지 통설을 수용하는 겸허한 자세가 필요한 때라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그 길은 곧 민족문학을 높인 서포의 업적으로, 한국 최초의 남해유배문학관을 세웠고, 다시 이어서 서포의 유배지인 남해군상주면 노도에 <문학의 섬>을 조성하는 거대한 관광문화 사업을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Kim Man Jung, a 17th-century author wrote novels ‘Guunmong’and ‘Sassinamjeonggi (Ms.Sa’s Conquest of the South). However, among the two, Sassinamjeonggi is almost sure written in Namhae, but for Guunmong’s place of writing there is debate among scholars. As a result, it has been a subject of classical novel research where Guunmong was written by Kim Man Jung. On this, in 1960s to 70s, Kim Tae Jun, Kim Mu Jo and Seol Sang Gyeong argued for writing in Namhae, and Lee Ga Won and Kim Byeong Guk supported writing in Seoncheon. However, in 1988, as ‘Seoponyeonbo (Log in Seopo)’ was found, Kim Byeong Guk started argue that Guunmong was written in Seoncheon, quoting “Kim Man Jung wrote Monghwan and sent the work to his mother to console her, while he was exiled in Seoncheon.” After the thesis was released, in the literature area, a theory that says Guunmong was written in Seoncheon and between 13thyear to 14thyear of King Sukjong’s rule became wide spread. However, currently, Kim Mu Jo and some local scholars in Namhae argue that the ‘Monghwan’ in ‘Seoponyeonbo’ cannot be interpreted as Guunmong, and Seoponyeonbo is not a credible, denying the Seoncheon theory, but this is deemed as error. The reason is that ‘Seopomanpil’ is a credible source in 18thcentury,and Monghwan is theme of Guunmong, for 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