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창룡 방창 ‘정춘풍 「화초타령」’의 실상과 가치

        사은영 판소리학회 2019 판소리연구 Vol.48 No.-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 musical difference between HwachoTaryeong Bangchang of Jeong Chun-pung sing by Kim Chang-ryong and HwachoTaryeong Jachang of Kim Chang-ryong. Hwachotryeong Bangchang of Jeong Chun-pung sing by Kim Chang-ryong focused to a richly express, an emotion of Cheonja based on a wide range, an unaltered interfacial tone scale, a lively breathing and Sigimsae. These features shown in Bangchang enoughly contained a life and aesthetics of period living in Jeong Chun-pung, the private composition that characterizes the performance society like Chi(癡), the singing method like Hui(戱) and a psychological description like Sil(實). Kim Chang-ryong Jachang applied the scale, the similar Sigimsae to Hwachotaryeong Bangchang of Jeong Chun-pung and Dongilsaseol. However, Hwachotaryeong sing by Kim Chang-ryong was distinguished by expressing monotonous and dried emotion using narrow tones, regular breathing for 2 minim/beat, disagreement between short and long, in compared to Hwachotaryeong of Jeong Chun-pung. This difference was considered to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ing society During the activity period of Kim Chang-ryong. Therefore, Bangchang and Jachang of Kim Chang-ryong with different musical personalities converted the aspect of interpretation on process of succession and change of Deoneum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but not a judicial aspec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haracter of <Shimcheongga> by providing a clue that tracked The reality of Hwachotalyeong which is the best deoneum uchundae of <Shimcheongga>, it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to grasp the temporal flow of 『Shimcheongjeon』. 본고는 김창룡이 방창(倣唱)한 정춘풍 「화초타령」과 동일사설의 김창룡 자창(自唱) 「화초타령」이 음악적으로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춰 분석 한 후, 그렇다면 ‘왜’ 다른가에 주목을 하였다. 김창룡은 정춘풍 「화초타령」을 방창함에 있어 넓은 음역, 변질되지 않은 계면조 음계, 생동감 있는 호흡과 시김새를 사용하여 꽃을 감상하는 천자의 감정을 풍부하게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방창 음원에 보이는 이러한 특징은 정춘풍이 활동했던 시대의 삶의 모습과 미의식, 그리고 공연사회의 특징인 치(癡)적인 사설 구성, 희(戱)적인 가창 방식, 실(實)적인 심리 묘사를 충분히 담아내고 있었다. 그러나 김창룡 자창 「화초타령」은 정춘풍과 동일사설과 음계, 유사한 시김새를 사용했지만, 김창룡은 좁은 음역, 2분박 위주의 규칙적 호흡, 장단과 사설의 불일치를 통해 감정을 단조롭고 건조하게 표현함으로써 정춘풍 「화초타령」과 분위기를 구별지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김창룡이 활동하던 시기의 변화된 공연사회의 성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음악적 성격이 다른 김창룡의 방창·자창 「화초타령」은 더늠의 계승·변화의 과정을 유파적 관점에서 시대적·문화적 환경이라는 맥락으로 해석의 관점을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우춘대 「화초타령」의 실상을 추적하는 단서를 제공하여 <심청가>의 성격변화에 따른 『심청전』의 통시적 흐름의 변화를 파악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

        폴리돌판 <적벽가>를 통해 본 관우 위엄 대목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김상훈 ( Sang Hoon Kim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30 No.-

        1935년경 SP로 제작된 폴리돌(Polydor)판 <적벽가>에는, <삼국지연의> 제45회분에 나오는, 주유 진중으로 들어간 유비가 위험에 처하나 관우의 위엄으로 무사하게 되다(이하 `관우 위엄` 대목)는 대목이 축약·개작된 형태의 사설로 김창룡에 의해 불리어지고 있는데, 이 대목은 판소리계 소설 <적벽가(화용도)>의 일부 이본에는 보이지만 현전하는 같은 작품의 모든 창본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다. `완판83장본`의 `관우 위엄` 대목은 원본 차입형으로, <삼국지연의>의 해당 부분을 거의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32장본`의 `관우 위엄` 대목은 원본 축약형으로, <삼국지연의>의 해당 부분을 대폭 축약하여 실었으나, 그 축약이 어떤 의미를 지닌 것 같지는 않다. `40장본`·`42장본`·`45장본`·`유일본`의 `관우 위엄` 대목은 축약·개작형으로, <삼국지연의>의 해당 부분을 축소하여 가지고 왔으나, `관우 위엄→공명 차전`의 서사 전개를 `공명 차전→관우 위엄`으로 개작한 것인데, 이는 폴리돌판 <적벽가>와 같은 유형이다. 이 `관우 위엄` 대목의 작품 내부적 위상을 고구하면, 서사 진행의 개작을 통한 촉한 정통론의 보강, 관우의 역할 강화를 통한 영웅상 부각, 동 대목의 삽입 자체로 얻는 서사적 합리성으로 정리된다. 한편으로 이 대목의 산출 시기는 19세기 중후반 쯤으로 보이는데, 김성옥(純祖朝)-김정근(哲·高宗朝)-김창룡(1872~1943)으로 이어지는 중고제 가계에서 19세기 중후반에 활약했던 김정근이 창작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 대목의 연행 전승은 김창룡이 제자를 두지 않아 정통 중고제 소리의 맥이 끊어짐으로써 단절되었다. 19세기 중엽 현전 작품 후반부를 중심으로 하는 <화용도타령>이 전반부를 덧붙이며 <적벽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관우와 조조의 대립구도(<화용도타령>)가 공명과 조조의 대립구도(<적벽가>)로 변모해 가는 큰 흐름이 있었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같은 변모사적 과정이 일률적으로 `공명과 그의 출중한 지략`을 강화하는 쪽으로만 전개된 것은 아니고 `관우와 그의 장한 의기` 역시 강화되는 추세였다고 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 다룬 `관우 위엄` 대목도 이러한 추세에 부합한다. In Polydor`s Jeokbyeokga manufactured with SP in 1935, Yubi enters the ranks of the Jooyu and runs into danger but is safe attributed to Gwanwu`s dignity(the same Gwanwuwuieom passage as above) passage showed in 45th part in <Samgukjiyeoneui> is editorial abbreviated and remaked, which is sung by Kim Chang-ryong, this passage is showed in a different version of Pansori origin Soseolbon <Jeokbyeokga(Hwayongdo)> but is not showed in all Changbon of the same work. Gwanwuwuieom passage of `Wanphan 83 Jang bon` is borrowing original, which is almost same with the part of <Samgukjiyeoneui>. Gwanwuwuieom passage of `32 Jang bon` is abbreviating original, which abbreviated the part of <Samgukjiyeoneui>, however the abbreviation of the part is seem to be meaningless. Gwanwuwuieom passage of `40 Jang bon`, `42 Jang bon`, `45 Jang bon`, `Yoo Ill Bon` is abbreviating and adapting original, which is brought the part briefly, but remaked `Gwanwuwuieom->Gongmyungchajeon` development to `Gongmyungchajeon->Gwanwuwuieom` development, which is a same form with Polydor`s Jeokbyeokga. Studying this Gwanwuwuieom passage`s internal status in detail, it is organized as reinforcement of Chokhan authentic theory through adaption of narration, emphasis of heroic aspect through reinforcing Gwanwu`s role and narrative rationality through inserting same parts. On the one hand, this passage`s born time seems to late 19th century. And of Joonggoje`s family line that Kim Seong-ok->Kim Jeong-geun->Kim Chang-ryong(1872~1943), Kim jeong-geun who were active in late 19th is the most possible man made Gwanwuwuieom passage. This passage`s transmission was cut off because Kim Chang-ryong didn`t train pupils and authentic Joonggoje`s femily line was cut.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Adding first part to Hwayongdotaryeong and Changing Hwayongdotaryeong to Jeokbyeokga, no one can deny that there were stream changing from Gwanwu and Jojo`s opposition(<Hwayongdotaryeong>) to Gongmyoung and Jojo`s opposition(Jeokbyeokga). However, this changing process was not all opened out to highlight of `Gongmyoung and his unsurpassed resourcefulness` uniformly. `Gwanwu and his strong chivalrous spirit` was also reinforced trend. And Gwanwuwuieom passage treated in this manuscript is in the trend as well.

      • KCI등재

        김창룡 심청가 곽씨부인 대목 고찰

        신은주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8 No.-

        Kim Chang-ryong was a pansori master singer born in Seocheon, Jungnam, and is one of modern five master singers representing traditional music in the 20th century. Kim, whose position in pansori history is significant, continued the deep-rooted tradition of Junnggoje pansori being passed down from Kim Seong-ok to Kim Jeong-geun. His pansori style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at of Dongpyeonje (Eastern style) and Seopyeonje (Western style) that were prominent in the Jeolla region in terms of lyrics and musical style. With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based on his performance of the Tale of Shimcheong, his pansori characteristics will be considered. Kim’s version of Shimcheong show lyric expressions that are different from that of Dongpyeonje or Seopyeonje and his lyrics feature unique characteristic. Some of his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body of work known as Junggoje Shimjeongsun, therefore his pansori has a definite identity with the Junggoje pansori. Musically speaking, it shows different rhythm play in that it frequently uses a fast jinyang rhythm with 2-weak beats within the 6-beat rhythmic pattern. In particular, in Kim’s pansori, he would not exactly arrange a four word lyric cycle with what should have been its four-beat rhythmic cycle; thus we can see that a characteristic of early pansori was singing freely, regardless of the rhythm. In many cases, the melody did not follow the normal conventions that were common to pyeongjo, ujo, or gyemyeonjo (various melodic modes); additionally, sol as well as re were sung with vibrations common to pyeongjo. Kim’s melody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that of Shim Jeong-Sun and Shim Sang-geon, who were both 20th century Junggoje pansori singers, as well as the musical style of Gyeonggi (the area around Seoul), rather than the southern area as was more common. In brief, we could find unique characteristic in Kim Chang-ryong’s pansori in terms of general composition, lyrics, musical style and some of his uniqueness has a relation with characteristics of Junggoje of Gyeonggi as well as the Chungcheong region of old-style Pansori. That is to say, that the older style of his pansori is a valuable source for considering the genre’s characteristics in the middle to late 19th century that are hard to find in contemporary pansori. 김창룡은 충청남도 서천 출신의 판소리 명창으로, 20세기 전반 전통음악계를 대표하였던 근대 5명창의 한 사람이다. 그는 ‘김성옥 - 김정근’으로 이어지는 뿌리 깊은 중고제 판소리의 맥을 이은 인물로, 판소리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는 매우 크다. 그의 판소리는 전라도 지역에서 전승된 판소리인 동편제 · 서편제와는 사설 및 음악 스타일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그간 김창룡이 보유하였던 소리에 대한 음악적 연구는 그다지 진척을 보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창룡이 20세기 전반 SP음반에 남긴 심청가 대목을 중심으로, 그의 판소리에서 나타나는 대목의 구성․사설․음악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김창룡의 판소리 심청가는 동편제나 서편제의 여타 바디와는 다른 독특한 대목 전개와 사설적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그에게 나타난 독특한 특징들 중 일부는 중고제 심정순 바디와 통하는 측면을 보임으로서, 중고제 판소리 바디로서의 뚜렷한 정체성을 드러낸다. 음악적으로는 2소박 6박의 빠른 템포의 진양조장단(일명 세마치)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등 장단의 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하나의 사설주기(4.4조)를 한 장단에 정확히 배치하지 않는 엇붙임 형태를 자주 사용하였는데, 이는 장단과는 무관하게 자유자재로 소리하는 예전 판소리의 특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선율은 도약진행이 없이 순차진행하고, 평조와 우조․계면조 등 악조에 관계없이 선율이 하행하여 종지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평조에서는 Sol음뿐 아니라 re음도 요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율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특징들은 20세기 중고제 판소리 창자인 심정순과 심상건의 소리에서도 발견되었던 것으로, 경기․충청 지역의 기층음악어법이 판소리에 수용된 것이라 하겠다. 정리하면, 김창룡의 심청가는 전체 구성이나 사설, 음악적인 면에서 그만의 독특한 특징들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그가 가진 독특함 중 일부는 경기․충청 지역의 중고제 판소리의 특징이면서, 고(古)제의 특징에 해당한다. 즉, 김창룡의 소리에 드러나는 좀 더 예스런 형태는, 오늘날 판소리에는 존재하지 않는 19세기 중후반의 판소리 모습을 고찰하는 데 귀한 자료가 된다.

      • KCI우수등재

        20세기 전반 한국 사상계의 궤적과 민족주의 담론

        장규식(Chang Kyu-sik) 한국사연구회 2010 한국사연구 Vol.150 No.-

        This essay deals with the various features of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thought particularly examining how Korean nationalism interacted with the Western modern thoughts. It was not until the middle of 1900s that the Korean used the term "nationalism." At that time Korean intellectuals recogniz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ism to be a key factor fo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gainst Japanese aggression. They took up social Darwinism to be "Muhyong Jagang (spiritual power-cultivation)," and regarded it as the base of "Yuhyong Jangang (concrete power-cultivation)" that means to enhance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They also advocated to establish the New Religion ("Jong'gyo Ipguk"), considering it an indispensible base for national unity and prosperity. The incipient Korean nationalism based on the logic of "Muhyong Jagang" and "Jong'gyo Ipguk" became jeopardized by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s a reaction to this, the nationalist intellectuals in 1910s, who pursued republicanism, came to perceive newly the fall of the Great Korean Empire as a threshold toward the Republic of Korea. They tried also to overcome social Darwinism since it took granted for the right of the strong to rule over the weak. These efforts were done within three directions such as the emphasis of national characteristics, socialism, and humanitarianism; among these, humanitarianism becam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nationwid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s a result, Korean nationalism was eventually given a form on the basis of republicanism and humanitarianism as such. Korean nationalism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was equipped with its theoretical alliances from the Western modern thoughts: liberalism, conservatism, ethical statism, and socialism. Korean nationalism was shaped by these influences while each intellectual group was adopting respectively the ideologies if it had an affinity. First, liberalism was imported to Korea coupled with Anglo-American Christian Protestantism. Its mainstream was a newly emerging middle class in the northwest of Korea, where Ahn Chang-ho's nationalism can be an example of the conjunction between liberalism and nationalism. Second, Korean conservatism was shaped as a consequence of the cohesion between the modernization course by the Yangban landlords and English gentlemanly capitalism. The Dong-A Daily News group led by Kim Seong-su was a case in this respect, where nationalism was united with a sort of Edmund Burke's conservatism. Third, sharing the ideas of the organic theory of the nation and the state, the Daejong Gyo line's worship of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Hegel's theory of ethical state, the Korean statism was conjoined together with ethnic nationalism. Ahn Jae-hong and Choe Hyon-bae remained to be the most typical examples in this regard. Fourth, those who deemed national liberation as a requisite for class liberation while conjoining socialism and nationalism, were found in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socialist; Yah Woon-hyong and Bae Seong-ryong, who led Choseon Jung'ang Daily News group, were the case. The salient feature of Korean nationalism after the Korean Liberation was shown in the moderates who aimed for building a unified independent nation-state through the right-left coalition. The middle-of-the-road intellectuals mapped out a unified government based on parliamentary democracy and economic equality. However, its ideological ground was diverged into liberalism, statism, and social democracy: New Liberalism by Oh Gi-young, New Nationalism by Ahn Jae-hong, and New Democracy by Bae Seong-ryong. Such the middle-of-the-road nationalism, which was succeeded later in resistant nationalism of civic-level backing up national democratic movement, has been sustained in the movements for democracy and national unification of Korea. Although there has been a de-nationalism discourse, Korean nationalism has lasted up to the present c

      • KCI등재

        충청지역 중고제 판소리의 역사성과 지역성

        최혜진 ( Hye Jin Choi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충청지역에 전승된 중고제 판소리의 역사를 살피고, 현장 답사를 통해 현재의 의미를 찾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판소리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을 살피고 충청지역 판소리의 지역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도의 판소리적 지향과 특성을 살폈다. 판소리사에 기록된 경기도 명창과 충청도 명창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음악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충청지역 출신으로 크게 활약한 중고제 명창인 고수관, 심정순, 이동백, 김창룡을 중심으로 그들이 활약했던 내용을 알아보고 현장 답사를 통해 얻은 정보를 실었다. 셋째, 중고제 소리는 경기도와 충청도 양도간에서 전승된 소리이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르다. 충청지역은 경기소리권이 있고 전라소리권이 있어서 크게 두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즉 내포권과 금강권으로 나누어지는 소리가 있음을 알아보았다. 넷째, 전승되는 중고제 소리의 사설을 비교하여 중고제는 사설이나 음악이 고정되지 않아 유동성있게 전승되었음을 밝혔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판소리사와 관련하여 충청지역 특유의 판소리 전승 양상을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present meanings through fieldwork and examine the history of Junggoje pansori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the in the Chungcheong region. For this, it was examined that the significant people in the pansori history and discusse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 the Chungcheong-do region. The contents researched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t was examined that the aim and characteristics of pansori in Chungcheong-do.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mastersingers of Gyeonggi-do and mastersingers of Chungcheong-do registered in the pansori history.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ontents of activities focused on Junggoje mastersingers such as Go, Su-Gwan, Shim, Jeong-Sun, Lee, Dong-Baek, and Kim, Chang-Ryong who was borned in the Chungcheong region and performed brilliant exploits, and new information got through fieldwork was put in. Third, Junggoje pansori is the pansori passed down between two provinces of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but they are different by examining in details. There are Gyeonggi pansori area and Jeolla pansori area in Chungcheong region, so it has been passed down focused on two areas largely. Therefor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 are pansori is divided into Naepo area and Geumgang area. Fourth, it was revealed that Junggoje was passed down with liquidity for lyrics or music of pansori were not fixed by examining lyrics of Junggoje pansori passed down. Above research results is significant that it was revealed the own aspects of pansori transmission of Chungcheong region.

      • KCI등재

        중고제 판소리 명창 방만춘, 방진관 연구

        박성환(Park Seong-hw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동편제, 서편제와 함께 판소리 세 가지 유파 중 하나인 중고제 판소리는 충남 논산 강경의 김성옥을 위시로 한 금강유역권과 서산 해미의 고수관, 방만춘, 방진관 등을 위시로 한 내포문화권에서 크게 발달하였는데, 주로 양반상류층의 애호 속에 담담하고 고아古雅한 가곡풍으로 발전해온 것으로 보인다. 극도의 노력으로 성가를 이뤄 심청가를 완성한 방만춘은 조선 전기8명창 중 한사람으로 판소리사에 큰 업적을 세운 인물이며 가계를 이은 손자 방진관은 방응교와 동일인으로 일제강점기 신제판소리가 유행할 때에도 끝까지 중고제 전통을 지켰고, 그 정통성이 음반과 방송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음반에 전하는 방진관의 소리 〈군사설움〉 대목의 악조 분석을 통해 현행 민속악이나 동, 서편제 소리와 다른 계면조의 평조적 표출, 구성음의 차이, 붙임새와 선율의 단조로움과 반복, 가곡풍의 창법 등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들은 방진관의 판소리가 다른 중고제 명창들의 소리와 유사성이 많으며 이는 동, 서편제에 비해 보다 앞선 시기 고제판소리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허흥식 소장본 심청가 소리책은 내포제의 고장 서산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방진관의 SP음반에 남겨진 판소리 사설 부분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 소리책이 조선창극사에 기록된 방만춘의 심청가 사설로 방진관을 거쳐 가계에 전해지던 필사본이 아닌가 면밀히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 판소리의 古調를 고수해온 방진관의 중고제 판소리는 이제 전승이 끊긴 매우 희귀한 소리가 되었다. 통속성의 결과로 갈수록 설움조로 계면화되고, 유파나 바디를 떠나 하나같이 소리의 깊이와 다양성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에서 방진관의 소리는 판소리 미학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이제 방진관, 이동백, 김창룡, 심상건, 조학진등 중고제 명창들의 이채로운 소리제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함께 실기인들의 활발한 복원 작업을 체계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복원을 넘어, 대동소이하기만한 현대 판소리의 음악관을 더 폭넓게 하고 장차 새로운 현재적 전통을 창조하고 수립하는데 확고한 내적 근거와 자산으로 삼아야 할 것이기에 중고제 판소리의 부활은 매우 긴요하다. Junggoje as one of three pansori schools, along with Dongpyeonje and Seopyeonje has been much developed in the Qeum River Basin with Kim seong-ok in Ganggyeong-eup, Nonsan-si, Chungcheongnam-do and in the aepo cultural area with Go su-gwan, Bang man-chun, and Bang jin-gwan, Haemi-eup, Seosan-si, Chungcheongnam-do. It seems that it has been loved by the upper class of yangban, aristocrat and developed into calm and graceful aria style. Bang man-chun, one of 8 great singers in the Joseon Dynasty who had collected hymns ? and completed Simcheongga with great efforts, performing a feat in the history of pansori. His grandson Bang jin-gwan, an identical person to Bang eung-gyo took over the family business and protected the tradition of Junggoje to the end even under the popularity of new pansori. Its legitimacy has been verified via albums and broadcasting. Through the tone analysis on Bang jin-gwan's pansori, 'A Soldier's Lamentation' from an album,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n expression like Pyungjo of Gyemeonjo different from the present folk music, Dongpyeonje, and Seopyeonje, differences of composing notes, monotonous and repetitive Buchimsea (attachment for effectiveness in drumming method) and melodies, and a singing method with an aria style. These kinds of facts have made us justify that Bang jin-gwan's pansori has lots of similarities to other master singers' songs of Junggoje and that it shows properties of old pansori earlier than Seopyeonje. Heo heung-sik's collection of a sori book Simcheongga has been handed down in the region of Seosan, the hometown of aepoje and checked as it is identical to the story part of the pansori left in Bang jin-gwan's SP album. Based on this information, it is worthwhile to research in detail if the sori book as Bang man-chun's story of Simcheongga recorded in the history of changgeuk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manuscript succeeded in his family by Bang jin-gwan or not. Bang jin-gwan's Junggoje pansori which has adhered to the old tone? of pansori has become a precious sori, without handed down more. His sori is a very valuable material showing the diversity of aesthetics of pansori under the present situation when it has become Gyemyeonjo as the tone of sadness as a result of the popularity, and when the depth and diversity of sori are disappearing regardless of schools or Bodi. Now, it is time to research on the diverse Junggoje master singers including Bang jin-gwan, Lee dong-baek, Kim chang-ryong, Sim sang-geon, and Jo hak-jin and also systematize performers' activities for the enthusiastic restoration. By doing that, we will be able to widen the viewpoint of the pansori music which is not at present, leading to consider it as the solid internal basis and property in creating and establishing the new present tradition. Therefore, it is very essential to resurrect Junggoje pansori.

      • KCI등재

        판소리 새타령의 근대적 변모 -유성기음반을 중심으로-

        배연형 ( Yeon Hyung Bae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판소리 새타령에 속하는 더늠의 문학적인 내용과 음악적인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새타령은 매우 역사가 깊은 노래로 잡가에서부터 판소리로 차용되어 들어오면서 음악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잡가 새타령은 새의 특징이나 소리를 묘사하는 음악이었는데, 판소리 적벽가에 차용되면서 적벽화전에 죽은 군사들이 영혼을 새소리로 비유하여 묘사하는 노래로 바뀌었다. 잡가 새타령은 원래 타령(자진몰이) 장단으로 짜여 있으며, 이것은 나중에 중중머리로 바뀌었다. 판소리에서는 새타령을 세마치나 중머리로 짜서 불렀는데, 현재는 중머리 새타령만 전승된다. 판소리에서 자진몰이 대목은 보통 중중머리로 바뀐다. 그러나 적벽가 새타령이 중머리로 바뀐 것은 노래의 성격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잡가 새타령은 노랫말과 장단의 맺음이 일치하지만, 판소리 새타령은 문장의 종결과 음악적 맺음이 어긋나게 작곡되어 있다. 잡가는 새소리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므로 문장과 장단이 일치하여 경쾌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지만, 적벽가 새타령은 전투에서 죽은 영혼들을 원한을 그로테스크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문장과 장단을 일치하지 않게 짰기 때문에 오히려 낯설음과 불편함을 주는 것이다. 한국음악은 고정된 틀, 매너리즘 문체를 가진 노래였는데, 광대들은 새타령처럼 상황(이면)에 맞는 개성있는 표현을 통해 재창조함으로써 판소리를 발전시켜왔다.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Pansori epic chant, Saetaryeong (Bird Song), to define its Pansori Aria`s literary contents and musical structure. The Bird Song has a long history, and underwent musical changes as it was borrowed into Pansori epic chant from a lyric song. The lyric song Bird Song was a music piece depi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sounds of birds, but as it was borrowed into Jeokbyeokga the Pansori Red Cliff Story, it changed into a song which compared the deceased souls in the Jeokbyeok battle to sounds of birds. The lyric song Bird Song was originally comprised of Taryeong (Jajinmori) ``O-O/O-O/O-O/O--//`` (triple meter) rhythm, and was later changed into the Jungjungmeori rhythm. In Pansori, the Bird Song was called Semaci 6 time or Jungmeori 12 time ``OOO/O--//OOO/O--//``(6+6=dodecameter), but only Jungmeori Bird Song has remained until present day. In Pansori, the Jajinmori part normally changes into Jungjungmeori. However, the Jeokbyeokga Bird Song changed into Jungmeori, because the song changed its characteristics. The lyric song Bird Song has words of song and rhythm closing being consistent. However, the Pansori chant Bird Song has the closing of sentence and musical closing being inconsistent. The lyric song sings the beauty of sounds of birds allowing the sentence and rhythm to be consistent, and giving it a light and comfortable feeling. However, the Jeokbyeongga Bird Song was made to have the text and rhythm being inconsistent to grotesquely express the sorrow of deceased souls in war, giving the audience the feeling of being strange and uncomfortable. This is the aesthetics of Bird Song. Korean music before the 19 century consisted of songs with fixed frames and mannerism, and Gwangdae (feat singers) recreated such Korean music with individualistic expression according to situations (imyeon) like with Bird Song. Thus, Gwangdae endeavored to transform Pansori into individualistic, realistic, modern music.

      • KCI등재

        중고제 판소리의 의의와 음악적 활용 방안

        김혜정 남도민속학회 2018 남도민속연구 Vol.36 No.-

        Jung-go-je Pansori started attracting academic attention in the 1990s with a unique style from the Chungcheong region. The paper has been aimed at organizing the results of jung-go-je Pansori studies and finding a way to transfer them. The outcome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Jung-go-je Pansori is a unique feature of a plot or content. The musical features also feature Chungcheong-do folk songs. Howev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inger are also strong. Koreans use regional dialects. The dialect may seem to be recognized as an accent or a special word, but in reality it is different from the way it is spoken and sounded. The current Pansori is too southeasterly. However, if Pansori is a revival of a music that is loved by many people, the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xpand its area of entertainment. In that sense, I think the current value and meaning of jung-go-je Pansori can be illuminated. 판소리 중고제는 1990년대에 학계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으며 판소리의 연원이나 지역적 특징이라는 면에서 관심이 촉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제 중고제 논의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므로 중고제의 음악적 정체성을 정리해 볼 시점이 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활용론적 입장에서 기존 중고제 음악의 논의들을 정리하고 그를 통해 앞으로의 전승 방안을 찾아보려 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고제는 대목 구성이나 사설의 내용 등에 있어서 동편제나 서편제와는 다른 구성이 보인다. 악조에 있어서는 평조의 강세와 계면조의 약세가 강하게 드러나며 더 세부적으로는 하행하여 정격종지를 한다거나 계면조에서 꺾거나 떠는 시김새가 약해지는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장단에 있어서는 중고제 내에서도 서로 다른 특성들이 보인다. 결과적으로 방진관, 심정순, 이동백, 김창룡의 네 명창만을 두고 보더라도 각기 음악적 지향이 차이를 보인다는 점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판소리가 살아있는 음악문화였기 때문에 나타날 수밖에 없는 당연한 결과이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편제나 서편제의 명창들과 구별되는 차별점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도 명백하다. 한국인들은 지역별로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방언은 억양이나 특별한 단어로 인식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발성과 음색부터 다르다. 현재의 판소리는 지나치게 남도화되어 있다. 남도민요에 사용되는 음계, 즉 계면조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남도 지역 출신 명창들의 숫자가 많고 그들이 더 많이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 되어 있다. 하지만 판소리가 진정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음악으로의 재기를 꿈꾼다면 향유지역과 미적 다양성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다. 바로 그런 점에서 중고제의 현재적 가치와 의미가 조명 받을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1980-90년대 주요 장로교단 대표적 예배학자를 중심으로 본 한국 장로교 예배 이해

        한경국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7

        In a history of liturgical studies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the period of the 1980s was a meaningful one when some worship (liturgical study) scholars published liturgical study books based on the theology of their respective denominations. Prior to this period, there were only few translated books of foreign scholars. During this period, KeunWon Park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PROK) insisted upon the renewal of worship, including festival worship as well as Trinity-centered church calendar based on ecumenical theology. Moreover, he laid emphasis on balanced worship between the word and sacrament allowing lay-leading and Korean contextualization in worship. ChangBok Chung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 valued upon Calvin’s theology of the word and sacrament and gave emphasis to the Westminster Directory and Christ-centered church calendar. In addition, he had a positive view towards the Lima Liturgy and strongly spoke about recovering worship style of reformed tradition and worship reflecting traditional culture. Deuk Ryong Kim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GAPCK) rejected human-centered (secular) worship and emphasized God-centered worship and the church calendar including kingdom season. He further strongly criticized modern theologies and adhered to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and also valued Calvin’s theology of sacrament and infant baptism. In addition, he had a negative view of having female worship leaders and preachers. Though they have some common features like emphasizing the use of Church calendar, balanced worship between the Word and sacrament, they held many different views with respect to their own theologies such as the theologies of progressive, holistic and conservative. Through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the existence of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raxes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denominational theologies in the liturgical study in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한국 장로교회 예배학의 역사 에서 1980년대는 개교단의 예배학자들이 외국의 예배학자들의 책들을 번역하거나 소개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개 교단의 색채를 담은 예배학 서적들을 출판한 의미가 있는 시기이다. 이시기 한국기독교장로회의 박근원은 에큐메니컬 신학에 근거하여 예배의 갱신과 축제적인 예배, 삼위일체 중심의 교회력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말씀과 성만찬의 균형이 잡힌 예배, 평신도 주도의 예배허용, 그리고 한국적 상황화 예배를 주장한 특징을 보인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정장복은 개혁자 칼빈의 말씀과 성례전 신학을 중시하면서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과 그리스도 중심의 교회력 사용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개혁교회 전통 예배 회복과 리마 예식서 긍정 평가, 전통문화를 반영하는 예배를 주장하였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김득룡은 인본주의적 예배를 배격하고 신본주의적 예배를 강조하고 왕국절이 들어간 교회력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대주의신학을 비판하고 정통신학을 고수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칼빈의 성례전을 중시하고 유아세례를 적극 권장하였다. 아울러 예배와 말씀인도자로서 여성이 세워지는 것은 강력히 배격하는 입장을 취한다. 이들은 모두 개혁교회 신학의 바탕 하에서 교회력 사용의 강조, 말씀과 성만찬이 균형 잡힌 예배 등을 강조하는 공통적 특징이 있으나 진보, 중도, 보수라는 각 교단 신학의 특징에 따라 또 많은 차이점들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장로교회 예배학 분야에 각 교단의 신학적 입장 차이에 따라 다양한 해석과 실제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