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리우용샹,김성환 한국재무관리학회 2025 재무관리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중국 A주 시장에 상장된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 부도 예측의 정확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총 276개 기업이 샘플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138개 기업은 파산 재편 과정을 거친 기업으로 구성되었다. 단기 및 장기 부채의 가중치를 최적화하기 위해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KMV 모형의 부도 임계값(Default Point Threshold, DPT)을 재정의하였다. 최적화된 가중치를 기반으로 수정된 부도 임계값(DPT)과 부도 거리(Distance to Default, DD)를 제안하여 기존 KMV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정된 KMV 모형은 기존 모형에 비해 부도 위험 예측의 정밀성과 적응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별 부채 구조를 반영함으로써 부도 위험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금융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함으로써 동적이고 견고한 도구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 KMV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부도 위험 평가의 정밀성을 크게 높인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KMV 모형의 실무적 활용도를 개선하여, 복잡한 금융 환경에서 기업 신용 위험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companies listed on China’s A-share market from 2018 to 2024, aiming to propose a novel approach to improving the accuracy and flexibility of corporate default prediction. A total of 276 companie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including 138 firms that underwent bankruptcy reorganizations. Gradient Descent was employed to optimize the weights of short-term and long-term liabilities, allowing for the redefinition of the Default Point Threshold (DPT) in the KMV model. By integrating the optimized weights, the study introduced a revised Default Point Threshold (DPT) and an optimized Distance to Default (DD),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KMV model.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revised KMV model significantly enhances the precision and adaptability of default risk prediction compared to the original model. By incorporating firm-specific debt structures, the revised model enables more accurate assessments of default risk and demonstrates flexibility in responding to changes in financial environments. This approach not onl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model but also establishes the revised KMV model as a dynamic and robust tool for evaluating default risk with higher preci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Merton model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corporate credit risk evaluation in complex financial environments.
최정원(Jung won Choi),오세경(Sekyung Oh)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6 商經硏究 Vol.41 No.1
과거 기업 부도예측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발전되어 왔으나, 최근 기업 경영 환경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변화 원인이 복잡해짐에 따라 보다 정교한 기업 부도예측 모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그동안의 모형은 크게 재무적 정보를 이산 모형으로 분석하는 방법과 주식 가격과 같은 시장 정보를 이용하여 부도를 예측하는 모형(KMV 모형) 크게 두 분류로 나뉠 수 있다. 이 두 가지 재무적 정보와 시장 정보를 함께 활용하기 위한 방법은 꾸준히 시도되어 왔으나 의미있는 결과를 얻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는 재무정보와 시장정보를 결합하기 위하여,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생존분석과 KMV 모형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기업의 부도를 예측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결합모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같은 기존의 부도예측 모형보다 우수한 추정력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 부도예측에 재무 정보와 시장 정보를 결합하는 것이 부도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연구하였으며, 향후 보다 정교한 기업 부도예측 모형을 통하여 예측 가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제시한다. While the methods of evaluating and measuring the risk of corporate bankruptcy have been developing, the need of more sophisticated prediction models for corporate bankruptcy becomes greater than ever. The existing methods for forecasting company’s default are classified into a discriminant analysis using financial statement data and a KMV model using stock market data. Although there are many attempts to combine two methods, we have not found any meaningful results yet. We try to combine survival analysis and KMV model through Monte-Carlo simulation. We find better results when we apply survival data that were forecasted by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han the existing models. This paper shows that it is more useful to use both financial statement data and stock market data when forecasting corporate bankruptcy.
기업의 부채구조를 고려한 옵션형 기업부도예측모형과 신용리스크
원재환,최재곤 한국재무관리학회 2006 재무관리연구 Vol.23 No.2
Since previous default forecasting models for the firms evaluate the probability of default based upon the accounting data from book values, they cannot reflect the changes in markets sensitively and they seem to lack theoretical background. The market-information based models, however, not only make use of market data for the default prediction, but also have strong theoretical background like Black-Scholes (1973) option theory. So, many firms recently use such market based model as KMV to forecast their default probabilities and to manage their credit risks.Korean firms also widely use the KMV model in which default point is defined by liquid debt plus 50% of fixed debt. Since the debt structur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firm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Korean firms should carefully use KMV model.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debt structure. In particular, we find the following facts: First, in Korea, fixed debts are more important than liquid debts in accurate prediction of default. Second, the percentage of fixed debt must be less than 20% when default point is calculated for Korean firm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KMV. These facts give Korean firms some valuable implication about default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 credit risk. 기존의 기업부도 예측모델들은 장부가치를 기준으로 한 회계적 자료에 의존하여 부도확률을 평가함으로써 시장의 상황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지 못하며, 이론적 배경도 약하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시장정보형 부도예측모형은 기업의 부도예측에 시장가치를 이용함은 물론 Black-Scholes(1973)의 옵션가격결정이론이라는 옵션이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 최근 들어 많은 기업들이 신용리스크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모형이 KMV이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최근 들어 KMV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미국기업들과 부채구조가 다른 데도 미국에서 사용하는 KMV모형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부도시점 예측 시 오차가 발생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채구조가 다를 경우 KMV모형을 그대로 사용하면 안 되고 부도확률 산출 시 부채구조를 감안하여야 함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즉, KMV모형을 국내에 적용할 경우, 부도확률계산 시 고정부채의 편입비율 50%로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 보다는 부채구조를 감안하여 20% 이하로 고정부채편입비율을 조정해야 부도예측능력이 제고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업의 신용리스크관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IMF 외환위기와 같은 외부충격이 기업부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한국기업들의 경우 유동비율보다는 유동부채비중이 부도점 산정에 보다 중요함도 확인하였다.
KMV 모형을 통한 중국 지방정부 부채위험 연구 -위험군 12개 지방정부의 부채위험 분석 중심-
박진오 한중사회과학학회 2025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3 No.2
중국은 최근 지방정부 부채위험 해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 패키지를 발표, 시행해왔으며, 일정부분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은 동북과 중서부 등 12개 지방정부를 부채고위험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고 이들 지역의 부채위험 해소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들 지역 중 상당수는 농업과 자원형 경제 등 경제 구조의 단일성과 저부가가치 산업 구조, 인구 순 유출 등으로 재정 수입 증가가 한계점에 직면하지만, 지역별 공공인프라 확충 등 재정 지출은 지속해야 하는 어려움 속에서 부채가 점점 쌓일 수밖에없는 구조적 유사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기업의 신용위험 측정에 활용하는 KMV 모형을 통해 중국이 중점 관리 중인 12개 지방정부의 부채위험을 점검하였다. 각 지방정부별 2003∼2023년까지의 재정 수입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4∼2028년까지의 예상 재정 수입과 적정 부채 규모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부채 대비 재정 수입 비율(DRR)을 도출, 위험 정도를 고위험군, 중위험군, 저위험군 세 단계로 점검하였다. 그 결과 랴오닝, 네이멍구, 윈난, 칭하이 등 4개 지역이 고위험군으로, 그리고 텐진, 헤이롱장, 지린, 구이저우등 4개 지역이 중위험군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중위험군 이상 총 8개의 지역에 대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부채위험 해소 방안을 생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 중위험군 이상 다수의 지방정부는 낙후된 산업과 경제 구조로 인구 순 유출이수반되면서 지역 경제의 자생적 성장이 제한적이며, 안정적 재정 수입 기반이 매우 미약해 부채 대비 재정 수입 비율(DRR)이 높게 형성될 수밖에 없는 내생적 한계를 내포한다. 따라서 중국은 지역별 경제 성장과 부채위험을 줄이기 위해 DRR의 분자인 부채 규모를 조정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더 근본적으로 분모인 재정 수입 기반을 안정적으로확보하는 것이 매우 긴요하다. 이를 위해 작금의 부채위험을 초래한 중앙과 지방의 불균형적 재정 구조 개선이 필요하며 소비세의 지방세 전환이나 재산세 도입 등을 통한 안정적 지방 세원(稅源) 확충 등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China has recently introduced and implemented various policy packages to mitigate local government debt risks, showing some effectiveness.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12 provinces, including those in the Northeast and Central-West regions, as high-risk areas for focused debt management. Many of these regions face structural limitations such as a reliance on agriculture and resource-based industries, low-value-added economic structures, and net population outflows, leading to constrained fiscal revenue growth. However, the need for continued public infrastructure spending has resulted in persistent debt accumulation. This study assesses the debt risks of these 12 key regions using the KMV model, commonly applied to corporate credit risk evaluation. Based on fiscal revenue data from 2003 to 2023, the study projects expected fiscal revenues and optimal debt levels for 2024–2028. The Debt-to-Revenue Ratio (DRR) was calculated to classify the regions into three risk categories: high, medium, and low.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aoning, Inner Mongolia, Yunnan, and Qinghai fall into the high-risk category, while Tianjin, Heilongjiang, Jilin, and Guizhou are in the medium-risk category. For the eight regions classified as medium or high risk, more fundamental measures are needed to resolve their debt risks. These regions generally suffer from underdeveloped industries and economic structures, leading to continuous population outflows and limited endogenous economic growth. With a weak fiscal revenue base, their DRR remains high, reflecting inherent constraints. Therefore, beyond simply adjusting debt levels, China must focus on ensuring a stable fiscal revenue base to reduce regional economic imbalances and debt risks. Addressing the structural imbalance in central-local fiscal relations, transitioning consumption taxes into local taxes, and introducing property taxes could serve as essential steps toward strengthening local revenue sources.
KMV 모형을 활용한 건설업체 부실화 측정에 관한 연구
최인식(Choi, In-Sik),유승규(Yoo, Seung-Kyu),김재준(Kim, Jae-Jun) 대한건축학회 201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a level of the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 and its changing process by utilizing the KMV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Black & Scholes option pricing theory. This research has set construction companies listed to KOSPI/KOSDAQ for applying the KMV model and measuring the level of the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14 indolvent companies and 14 non-insolvent companies). As an analysis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EDF of inslovent companies is higher than the EDF of non-insolvent companies and that insolvent companies relatively show a more serious level of default risk than non-insolvent companies in the analysis perio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analyzed that if the EDF of the KMV model is measured, it does not only discern existence of bankruptcy, but also can effectively examine the level and fluctuation process of the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 It is judged that this can provide meaningful decision-making indicators to investors or managers of companies in the risk management viewpoint.
최재규(Choi, Jae-Kyu),유승규(Yoo, Seung-Kyu),김재준(Kim, Jae-Jun) 대한건축학회 201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9 No.6
The U.S. subprime mortgage crisis of 2008 has led to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unsold homes in our country. This has not only caused huge national and social expenditures, but has also made it challenging to manage construction companies given the slow progress of new projects and rise in debt and financial expenses. The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 results in economic losses to the interested parties as well as a huge burden on national finances, since it is linked to the default risk of financial institution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Default Frequency and the unsold housing stock using the KMV(Kealhofer, McQuown and Vasicek) model,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unsold housing stacks and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has utilized the KMV model based on the option pricing theory for deriving the Expected Default Frequency of an individual construction company.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was used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unsold housing stock. For calculating the Expected Default Frequency, 26 listed construction companies from 2001?2010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 is primarily affected by the unsold housing stock that piled up due to the housing market situation. 2)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 is primarily affected by the creation of unsold housing stock, rather than due to housing price sh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