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Pop과 실용음악의 상호보완적 역할에 관한 연구

        류은주(Eun-Joo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신(新)한류의 재조명으로 K-Pop음악 산업의 흥행은 지속되는 한편, 대부분이 아이돌 댄스 음악이라는 획일적인 장르적 한계를 이유로 한류 지속가능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실용음악 교육의 체제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질의향상을 이룩해야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실용음악 교육이 K-Pop음악 산업의 지속적 성공에 조력할 수 있는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K-Pop과 실용음악의 의미와 연관성을 파악하고, 두 영역의 상호보완적 역할수행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13년부터 3년간 국내공인가요파트인 가온차트에서 디지털종합순위의 100위내에 진입했던 곡에 관여한 인물들 즉, 가수, 작·편곡가, 작사가 및 연주자들을 K-Pop인재로 간주하여 조사하고, 그들 중 얼마만큼 실용음악 전공과 관련 있는지 파악한 결과, 41.74%로 확인되었다. 한국 대중음악이라는 큰 공통적 분모 아래에서 지속적인 한류를 위해 서로 협업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는 다양한 K-Pop음악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적인 니즈 증대와 이를 위한 국내외 사회적 분위기 형성, K-Pop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제도의 변화 등이 있다. The success of K-Pop music industry continues as there is a new light shedding on the new Korean wave. There is a continuous discussion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e idol’s dance music because of its limit in the uniform genre. As a solu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K-pop music, researchers said to supplement it through the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in the applied music However, research into how much the education of applied music is contributing to the continuous success of the K-Pop music industry and how each industry is affecting each other was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K_Pop and the applied music, and look into ways that can act as a mutual supplementation for both fields. subjects of analysis included performing artists, composers, arrangers, lyricists, and singers for songs within the top 100 of the digital total ranking for the past three years in the Gaon chart which is the official music chart for Korea. Then, the study apprehended how many of those subject had relations with the applied music and their activity frequency. As a result,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 of K-Pop performers, at 41.74%, who also majored in the applied music To continue to tendency of Korean wave and develop the Korean popular music, this study will explore roles each industry should cooperate in the future. There were the formation of social atmosphere for increase of consumer’s needs to diverse K-pop music and change of education for training its human resources that K-pop industry demand.

      • KCI등재

        K-pop의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전형연(Jeon, Hyeong-Yeon),송기란(Song, Kee-Ran)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6

        K-pop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신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K-pop의 열풍은 해당 가수와 기획사뿐만 아니라, 국가 및 기업이미지까지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서 K-pop과 관련된 연구들은 K-pop과 소비자의 관계, K-pop 경험을 통한 국가 및 기업 이미지와의 관계 등 문화경영의 각 주체 사이의 일방향적인 관계를 마케팅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왔다.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K-pop을 중심으로 문화경영의 각 주체들 사이의 전체적인 협력관계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한류문화의 지속적인 발전과 문화브랜드로서의 정착을 위한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을 구조를 수용하면서 아티스트, 공중, 결정권자, 매개자 등의 4대 주체에게 필요한 문화경영 항목을 도출하고 유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장 가능성이 무한한 K-pop 소비시장인 중국 시장의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서술적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 결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각 주체 중 아티스트 차원에서는 가수 개인의 역량과 음악콘텐츠가 가지는 경쟁력, 대중문화 속성상 타 장르와의 결합을 통한 재생산성 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퍼스널 브랜드 관리, 음악적 역량 관리, 가수와 기획사 관계, 타 문화장르와의 관계 항목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공중 차원에서는 K-pop을 소비하는 공중에 대한 소비자분석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데이터화하는 작업이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중의 유형화 관리, 문화적 취향 관리, 선호 문화장르 관리, 주요 활용 매체관리 등의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국가, 기업 및 연예매니지먼트 기획사 등 결정권자 차원에서의 주요 특성 항목으로는 기획사 매니지먼트 관리, 기업 브랜드 관리, 국가브랜드 관리 등이 주요 항목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개개의 기관 차원에서 보다 각 기관이 서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적 통합관리가 중요함을 역설해주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K-pop 등의 문화를 전달해 주는 매개자 차원에서는 미디어 매개자 관리, 콘텐츠 매개자 관리, 주변인 매개자 관리 같은 주요한 특성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4대 주체 사이의 협력관계 구조의 핵심을 파악하고 이의 도식화를 시도하여 향후 한국형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Currently, K-pop is sweeping over the world with the New Hanwave (New Korean Wave), and K-pop fever is not only positively influencing the singers and their entertainment agency, but also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s well. With this phenomena, K-pop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dealing with uni-directional relationship among four element groups in marketing perspective, for example, studying relationship between K-pop and consumers, and correlations between K-pop and the government and corporate images. However, at this point, it is imperative to have cultural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that can facilita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anwave culture and cultural brand settlement by understanding the comprehensiv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four element groups through K-pop.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generate and classify cultural management items that are necessary to four element groups -artists, public, deciders, and mediators-, while accepting the ‘cultural management system’ from the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using narrative questionnaire, the current study surveyed young consumers in China where extensibility of K-pop consumption is infinitive. The consequen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study. Before everything els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element groups in 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competence of the individual, the competitiveness of music contents, and the reproductivity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genr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ems were generated pertaining to management of personal brand, management of musical compet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inger and the agency, and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al genre. In terms of public,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stently gather data and keep up with consumer analysis related to publics who consumes K-pop. Based on these results, items were generated for public typology management, cultural tastes management, preferred cultural genre management, and major applicatory media management. Moreov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deciders -nation, corporation, and entertainment agency- included managing agency management, management of corporations brand management, nation brand management, and strategic integration management. These major items emphasized how strategic integration management that maximizes the synergy between each organization is important compared to each organization itself. Lastly, in terms of mediators that deliver K-pop culture, major items such as media mediator management, contents mediator management, and peer mediators management were gener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ent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and schematize the core relationship structure among the four element groups in 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ies that will research on Korean cultur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현황과 과제

        정일서(JEONG, IL SEO) 한국대중음악학회 2013 대중음악 Vol.- No.11

        이 글은 2011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영향력을 확장하기 시작한 K-Pop의 해외진출 현황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그 지속 가능성을 타진하는 한편, 향후 지속 가능한 확장과 발전을 위해 주의할 점과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과거 영화와 드라마에서 시작되어 음악으로 이어져온 한류, 한국 대중문화의 해외진출 양상을 시대별·사례별로 정리하였다. 특히 음악 분야는 다양한 사례를 시대별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현행 K-Pop의 세계적인 강세가 상당히 강고하고 의미 있는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음에도 취약한 국내 대중음악의 환경과 K-Pop의 장르적 획일성, 대형 기획사 위주의 협소한 흐름 등 긍정적인 전망을 위협하는 여러 한계점과 위협 요소가 상존하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이다. 이 글은 그러한 요소를 최대한 냉정하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강점은 계승하고 약점은 극복해 더 큰 발전을 이루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아이돌 그룹 위주의 댄스 팝을 지칭하는 용어로 축소된 K-Pop을 넘어 한국 대중음악 전반의 건강한 발전과 그를 토대로 한 해외진출이 필요하다는 것과, 원래의 ‘한류’가 갖는 ‘한국적인 것’이라는 의미를 상실한 지금의 K-Pop 논의가 갖는 부정적 측면을 지적해 산업적 차원이 아닌 문화적 차원에서 한국적인것의 세계적인 전파와 나눔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강조하고자 한다. Beginning in the later half of 2011, the popularity of K-Pop spread all over the world, beyond Asia.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ing aspects of overseas expansion of K-Pop, sustainability of that, and suggesting sustainable extension and development. To achieve this, I presented aspects of Korean wave, namely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popular culture which have come from movies and dramas to music, per period and case by case. Especially in the music field, I presented, in detail, various cases per intimate period from the 1920~30’s Japanese colonial era up to now. Although global strength of K-Pop is very meaningful now, there are a lot of critical points and threatening elements, such as poor domestic market environment of popular music, limits in diversity in the K-Pop genre, and the market being dominated by only a few big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emphasiz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K-Pop music, furthermore to obtain means of larger development by unveiling and analyzing those factors as objectively as possible. This study punctuates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spread of Korean pop music, which encompasses more than just the dance music idol groups that currently monopolize K-Pop.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at the Korean Wave should be understood and spread out to the world not only on the industrial level but also on a cultural level, overcoming the negative elements of the current K-Pop discourse.

      • KCI등재후보

        학교 무용 수업에서 K-POP댄스를 활용한 질적 연구: 무용예술강사를 중심으로

        안창용 영남춤학회 2021 영남춤학회誌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ance educational program by conducting a dance class using K-POP dance in a dance class of middle schools. To this end,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art instructor classes were conducted with K-POP dance for 4 month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dance literacy mentioned in the 2011 dance education standard development research to this study, it focuses on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ability of dancing, reading dance, making dance, and sharing dance through dance experience.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 of K-POP dance class as a dance play was derived as a key theme. As a result, sub-themes were derived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a class through internalization of idols, and recognition, acceptanc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a fun play. Second, it was derived the point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K-POP da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ub-themes were statements that demanded the need for a teacher who can professionally guide K-POP dan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s mentioned above, K-POP dance has also been confirmed to be useful as a dance education program, but it was believed that a fundamental solution in the environmental aspect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이 연구는 중등학교 무용 예술강사 수업에 K-POP댄스를 활용한 무용 수업을 진행해 봄으로써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 5명을 선정하여 4개월간 K-POP댄스로 예술강사 수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2011년 무용교육표준 개발 연구에서 언급 되었던 댄스 리터러시(Dance literacy)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응용 및 적용하여 춤 체험을 통한 춤추기, 춤 읽기, 춤 만들기, 춤 나누기의 종합적인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K-POP댄스 수업을 무용놀이로 인식하는 것이 핵심주제어로 도출되었다. 그에 따른 하위주제어는 아이돌의 내면화를 통한 적극적 수업참여, 재미를 통한 놀이로 인식, 수용 그리고 변형과 창작으로 도출되었다. 즉, 단순히 춤만 모방하는 K-POP댄스가 아닌 댄스 리터러시에 근거하여 춤을 추고, 춤을 만들고, 춤을 읽고, 춤을 나눌 수 있는 능력을 신장 시켜줄 수 있는 충분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K-POP댄스가 무용수업의 동기유발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전반적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K-POP댄스 교육을 위한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에 따른 하위주제어는 K-POP댄스를 전문적으로 지도해 줄 수 있는 선생님이 필요하다는 점과 열악한 교육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진술내용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무용교육의 수혜자인 연구 참여자들 입장에서 요구했던 내용으로 주로 체계적인 수업을 위한 K-POP댄스전문 강사 배치와 공간제공, 기자재 부족 해결 등 환경적 변화를 제기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K-POP댄스도 무용교육프로그램으로서 활용가치가 확인되었으나 지속적인 무용예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환경적인 면에서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K-POP댄스가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으로 공론화 되고 나아가 무용수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Home” and “Homma” in K-Pop Fandom

        Kim, Jungwon(김정원)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3

        본 논문은 케이팝 팬덤에서 팬 사이트를 지칭하는 “홈”과 팬 사이트 운영자인 “홈마”에 대해 탐구한다. 일부 팬들은 전문가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고화질의 사진을 촬영하며, 촬영한 케이팝 스타의 사진을 자신들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공유한다. 이러한 웹사이트를 “홈”이라 부르며, 홈을 운영하는 팬들은 “홈마”라 한다. 본 논문의 첫 번째 목적은 홈마에게 씌워진 파파라치의 오명에 이의를 제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케이팝 팬들의 스타 사진 찍기 활동을 살핀다. 또한 케이팝 기획사가 생산하고 판매하는 공식 굿즈를 구입하고 소비하는 것 이외에 팬들이 어떻게 자체적으로 물품을 만들어내고 이런 물품이 다른 팬들 사이에서 소비되는지 살펴본다. 본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진과 관련한 팬들의 활동이 케이팝 씬에서 어떻게 문화 혹은 하위문화를 형성시키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케이팝 팬의 홈은 공인된 공식 케이팝 굿즈 생산자, 판매자를 대체하는 암시장의 기능을 하며, 홈마는 케이팝 팬덤에서 사진작가, 편집자, 웹마스터, 판매자, 후원자, 투자자를 겸하는 포괄적인 문화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This paper examines “home” and “homma” in K-pop fandom, which mean fan sites and fan site managers respectively. Most K-pop fans, like other popular culture fans, enjoy photographing or filming their favorite musicians. Some fans, taking high quality pictures of K-pop stars with professional cameras, share these photos through their own websites, also known as “homes.” These fans, commonly nicknamed as “hommas,” and their photography are widely recognized in fandom as many other fans visit the homes to appreciate and download the good photos. However, hommas are frequently stigmatized just as paparazzi both within and outside of fandomsince they followK-pop stars’ everymove at every corner─ranging fromthe stars’ live performances at concert halls to their arrival and departure at airports─to shoot more photograph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hallenge this negative bias against hommas. For this objective, the paper first describes how K-pop fans engage in not only shooting but also producing and consuming fan merchandise in addition to the consumption of K-pop official goods produced and sold by K-pop labels. This paper also demonstrates howthese photograph-related fan practices especially at homes can shape a form of various cultures and/or subcultures in the K-pop scene. The paper then claims that a K-pop fan’s home functions as a “blackmarket,” an alternativemarket outside of officially certified producers or sellers, as well as that a homma serves as an inclusive cultural producer embracing a photographer, editor, webmaster, seller, supporter, and investor in K-pop fandom. 본 논문은 케이팝 팬덤에서 팬 사이트를 지칭하는 “홈”과 팬 사이트 운영자인 “홈마”에 대해 탐구한다. 일부 팬들은 전문가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고화질의 사진을 촬영하며, 촬영한 케이팝 스타의 사진을 자신들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공유한다. 이러한 웹사이트를 “홈”이라 부르며, 홈을 운영하는 팬들은 “홈마”라 한다. 본 논문의 첫 번째 목적은 홈마에게 씌워진 파파라치의 오명에 이의를 제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케이팝 팬들의 스타 사진 찍기 활동을 살핀다. 또한 케이팝 기획사가 생산하고 판매하는 공식 굿즈를 구입하고 소비하는 것 이외에 팬들이 어떻게 자체적으로 물품을 만들어내고 이런 물품이 다른 팬들 사이에서 소비되는지 살펴본다. 본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진과 관련한 팬들의 활동이 케이팝 씬에서 어떻게 문화 혹은 하위문화를 형성시키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케이팝 팬의 홈은 공인된 공식 케이팝 굿즈 생산자, 판매자를 대체하는 암시장의 기능을 하며, 홈마는 케이팝 팬덤에서 사진작가, 편집자, 웹마스터, 판매자, 후원자, 투자자를 겸하는 포괄적인 문화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This paper examines “home” and “homma” in K-pop fandom, which mean fan sites and fan site managers respectively. Most K-pop fans, like other popular culture fans, enjoy photographing or filming their favorite musicians. Some fans, taking high quality pictures of K-pop stars with professional cameras, share these photos through their own websites, also known as “homes.” These fans, commonly nicknamed as “hommas,” and their photography are widely recognized in fandom as many other fans visit the homes to appreciate and download the good photos. However, hommas are frequently stigmatized just as paparazzi both within and outside of fandomsince they followK-pop stars’ everymove at every corner─ranging fromthe stars’ live performances at concert halls to their arrival and departure at airports─to shoot more photograph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hallenge this negative bias against hommas. For this objective, the paper first describes how K-pop fans engage in not only shooting but also producing and consuming fan merchandise in addition to the consumption of K-pop official goods produced and sold by K-pop labels. This paper also demonstrates howthese photograph-related fan practices especially at homes can shape a form of various cultures and/or subcultures in the K-pop scene. The paper then claims that a K-pop fan’s home functions as a “blackmarket,” an alternativemarket outside of officially certified producers or sellers, as well as that a homma serves as an inclusive cultural producer embracing a photographer, editor, webmaster, seller, supporter, and investor in K-pop fandom.

      • KCI등재

        K-pop의 대만 진출 과정과 대만 청년세대의 한류(韓流) 인식 고찰

        이하나 인문예술학회 2023 인문과 예술 Vol.- No.15

        In the late 1990s, dramas took the lead in the Hallyu wave in Taiwan, and by the 2000s, K-pop began gaining popularity. From 2010 onwards, both dramas and K-pop enjoyed widespread popularity, marking a significant expansion of the Hallyu phenomenon. With the onset of the 'New Hallyu' era following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the previously somewhat subdued enthusiasm for K-pop in Taiwan has been reignited, permeating not only the realm of popular culture but also everyday life. Despite being hailed as the 'birthplace of Hallyu,' Taiwan's research on the Hallyu phenomenon remains limited, with no notable studies focusing on K-pop and the youth demographic leading this cultural wave.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K-pop's penetration into Taiwan' and delves into the 'perception of Hallyu among the 20-30 age group, who are driving the K-pop craze in Taiwan.' To sustai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Hallyu in Taiwan, it is essential for both Korea and Taiwan to deepen their mutual understanding and foster a friendly relationship.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albeit modestly, to the formation of such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1990년대 후반, 대만에서는 '드라마'가 한류(韓流)를 주도했고, 2000년대가 되면서 'K-pop'이 인기를 얻기 시작한다. 2010년부터는 '드라마'와 'K-pop'이 모두 왕성한 인기를 누리며 한류가 크게 확산되었는데, 이때를 기점으로 한류가 대중화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고 신(新)한류[K-Culture] 단계로 접어든 현재, 그동안 잠시 주춤했던 'K-pop' 열풍이 재가동되며, 대만에서의 한류는 대중문화 영역뿐만 아니라 일상으로까지 스며들었다. 대만은 '한류의 발원지'라고 불릴 만큼 그동안 한류 열풍을 주도해온 곳임에도 불구하고, 대만의 한류 관련 연구는 여전히 소략하며, 심지어 'K-pop'과 이를 주도하는 '청년세대'에 집중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K-pop의 대만 진출 과정'과 함께 '대만에서 K-pop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20-30대 청년세대의 한류(韓流) 인식'에 대해 고찰한다. 한류가 대만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한국과 대만은 서로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양국의 관계 형성에 본 연구가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4대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경영전략 연구: 제작시스템 가치사슬 활동 및 기업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최희림,임성준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치사슬 분석을 통해 K-POP 4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경영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의 검색을 통해 K-POP 4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가치사슬 각 단계의 활동 내역을 보여줄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K-POP 엔터테인먼트 4대사는 고질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제작 시스템 개발과 다양한 해외 진출 전략, 사업 다각화를 시도했다. 각 기업이 추구하는 바에 따라 제작시스템의 세부적인 부분은 다소 상이했지만 공통점도 많았는데, 결론적으로 4대 기업 모두 아티스트의 양과 질을 높이고 수익모델을 다각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K-POP 고유의 아티스트 제작시스템에 대한 가치사슬 분석을 도입하여 활동 단계별로 K-POP 4대 엔터테인먼트사의 전략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해외 아이돌 비율, 해외 저작자 비율 등 구체적인 측정항목을 개발해 연구 결과의 정확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한발 더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글로벌 음악산업에 새롭게 도전하는 기업이나 중소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사업 방향 및 전략 수립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four major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through value chain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that could show the activity details of each stage of the value chain of the four major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 The four major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attempted to develop production systems, various overseas expansion strategies, and business diversification to overcome chronic limitations and generate continuous profits. The details of the production syste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at each entertainment company was pursuing, but they shared many characteristics, and in conclusion, all four major companies were able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rtists and diversify their profit models. This study identifies the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the four major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at each stage of activity by introducing a value chain analysis of K-POP's unique artist production system.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 step forward in that it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research results by developing specific measurements such as the proportion of foreign idols and the proportion of foreign auth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business direction and strategy setting by companies that are newly challenging the global music industry or by small and medium-sized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 KCI등재

        K-POP을 활용한 대학 내 한국어 수업의 설계와 적용

        조희영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교사교육연구 Vol.6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le educational use of K-POP songs in Korean language classes,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designing liberal arts classes in universities. K-POP is currently leading the Korean Wave, an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K-POP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in terms of language education, there is no specific method or standard for using K-POP as a teaching-learning materials, so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is still at an unsatisfactory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signed a Korean language class using K-POP and tried to study specific cases by implementing it in a liberal arts class in a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tential of K-POP as a teaching-learning material, and for future Korean classes using K-POP and identified some key areas for further studies. ‘problems about K-POP selection criteria’, ‘problems about learner levels’, ‘problems related to the conflict between educational value and learner's demand’ and the ‘problem on the center of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K-POP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사례를 통해 K-POP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고 나아가 K-POP을 활용한 대학 내 교양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K-POP은 현재 한류를 이끄는 중심으로, 그동안 K-POP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언어 교육의 측면에서 K-POP을 교수-학습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나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체계적인 한국어 교수법의 개발은 아직 미진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K-POP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대학 내 교양 수업에서 이를 적용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수업을 통해 K-POP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K-POP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을 위해 ‘K-POP 선정 기준에 대한 문제’, ‘학습자 수준에 관한 문제’, ‘교육적 가치와 학습자 요구의 충돌 문제’, ‘교육의 중심에 관한 문제’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K-pop 수용자의 세계관 수용 현상 연구 : 그룹 에스파의 세계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나경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2 트랜스- Vol.12 No.-

        This thesis examines the ‘universe' acceptance phenomenon, currently used as a content strategy in the K-pop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K-pop audiences, and then attempts to identify their experience of acceptance and the meaning of the universe. For this, tweets related to the universe acceptance experience of Aespa, the group utilizing the universe as a content strategy the most actively, were collected, and this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n approach to explore the structure of personal experience and the essence of a phenomenon.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Moustakas' method,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universe acceptance phenomenon of K-pop audiences was derived based on 21 thematic units. It was found that current K-pop audiences are experiencing active cultural consumption rather than unilateral or passive through acceptance of the universe. This means that K-pop audien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audiences that produce meaning, interact with other fans, and exert influence on outside of community. At the same time,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acceptance of the universe. Simultaneously, through active acceptance experience, it is found that K-pop audiences give a new meaning in the K-pop universe, as "marketing assets", "fandom community assets", and "K-pop industry expansion assets." Among them, the recognition of 'marketing assets' was reaffirmed as a basis for supporting related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derived the new values of the universe in the K-pop field by discovering the meaning of "fandom's specific assets" and "assets of the K-pop industry for expansion". These meanings had not been found that previous studies from the producers' point of view. And then,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value of the universe in the future, it was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new meaning of the universe.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universe acceptance phenomenon and discovered a new meaning of the universe in the K-pop field. Additionally,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field of research by suggesting various follow-up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 KCI등재

        K-pop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 멀티리터러시 교육: 개념적 토대와 비판적 리터러시 교수학습 모델의 탐색

        김성우,김경채,김모란,김진규,정기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3 현상과 인식 Vol.47 No.3

        영화와 음악 산업을 필두로 한류의 영향이 커지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한 ‘보는 음악’으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는 K-pop의 핵심 미디어로 자리잡았다.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은 문자중심주의에서 탈피하여 K-pop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언어 중심 교육의 틀 안에서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기술-문화 텍스트로서의 뮤직비디오의 잠재력은 발휘되지 못 하고 있으며, 부가적인 도구로 인식되는 경향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비판적 멀티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담론과 문화, 기술과 산업, 예술과 테크놀로지가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K-pop 뮤직비디오의 교육적 잠재력을 탐색하고, 기존의 텍스트 중심 교수를 넘어서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방향을 모색한다. 먼저 멀티리터러시 이론의 문제의식을 분석함으로써, K-pop 뮤직비디오에 기반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교육의 목표를 ‘K-pop 뮤직비디오를 향유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새로운 미디어를 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비판적 멀티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로 정의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개념적 작업으로 다중양식 미디어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 분석 방법론 및 젠더와 문화적 혼종성을 중심으로 한 다층적 문화 텍스트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 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 위에 멀티리터러시 교수가 이루어지는 네 단계, 즉 (1) 상황적 실천, (2) 명시적 교수, (3) 비판적 프레이밍, (4) 변형된 실천을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에 유기적으로 통합함으로써,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K-pop 뮤직비디오를 교수학습의 핵심 미디어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K-pop 뮤직비디오 기반 멀티리터러시 교육이 폭과 깊이를 더하며, 전 세계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수자와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led by the film and music industry, expands, global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rising. K-pop music videos, centered on performances and often referred to as ‘the music of the eye,’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key medium of K-pop.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shifting away from traditional text-centered literacy pedagogy, utilizing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K-pop music videos. However, within the enduring effect of language-centered education, the potential of music videos as a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techno-cultural media text yet to be fully realized. Rather, they tend to be perceived more as supplementary material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dopts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literacies,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K-pop music videos, where discourse, culture, technology, industry, art, and technology are intertwined in a complex and dynamic manner. Furthermore it seeks to offer theoretical and pedagogical directions to move beyond conventional text-centered literacy instruction. In alignment with the conceptual underpinnings of multiliteracies, the study defines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K-pop music videos as ‘cultivating competencies in critical multiliteracies through the process of enjoying, critically analyzing, and creating new media from K-pop music videos.’ As a conceptual foundation for pedagogical praxis, the study proposes a set of methods for analyzing K-pop music videos as a multimodal text as well as a multi-layered cultural text, drawing on literature on gender and cultural hybridity. On top of these theoretical tasks, the study proposes using K-pop music videos as an integral media repertoir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various sociocultural contexts. This can be achieved by seamlessly integrating the four stages of multiliteracies teaching--(1) situated practice, (2) explicit instruction, (3) critical framing, and (4) transformed practice--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can play an instrumental role in enhancing the depth and breadth of K-pop music video-based multiliteracies education, as well as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eachers and researchers worldw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