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태조사 연구―문법화를 통해―

        황병순 한글학회 2010 한글 Vol.- No.290

        That josa in the same categories can be realized in a different sequences is due to the change of its functions by grammatization. Josa whose functions were changed by grammatization performs modal functions and thus can be regarded as modal josa. Modal josa play an emphasizing role in the functions of meaning in a preceding clause or nominal. Such modal functions of modal josa is different from both a modal meaning derived from con- textual josa and a modal function performed by discourse marker. The grammatization of different types of josa as modal josa involves two cases; one is the case where josa performing its own specific function is realized in a position in which it cannot perform its own function; the other is the case where josa with a specific function is followed by a reduplicated series of josa showing the same function. Modal josa perform an emphasis function since it is followed by a reduplicated series of josa showing the similar function. 이 글은 왜 많은 연구에서 조사를 두 유형(격조사와 보조사)으로 기술했는가라는 의문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한 후치사나 특수조사, 첨사 등이 두 유형으로 기술된 연구가 지닌 정당성과 문제점을 확인하고 있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일한 범주의 조사가 다른 배열 순서로 실현되는 것은 어느 하나가 문법화로 기능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문법화 결과로 기능이 바뀐 조사는 양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는 양태조사라 할 수 있다. 양태조사는 선행하는 어절이나 명사항의 의미 기능을 강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양태조사의 이러한 양태 기능은 문맥조사에서 파생되는 양태 의미나 담화표지가 수행하는 양태 기능과 차이가 있다. 다른 유형의 조사가 양태조사로 문법화되는 경우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자리에 실현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 뒤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가 중복으로 실현되는 경우이다. 양태조사가 강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도 말할이가 선행하는 형태에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를 중복해 표현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조사결합어’에 관한 연구

        손혜옥(Son, Hyeok) 형태론 2008 형태론 Vol.10 No.1

        단어는 일반적으로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뉘고, 복합어는 다시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뉜다. 본고는 이러한 일반적인 단어 분류에 포함되기 어려운 조사가 단어형성에 참여한 형태를 조사결합어라 칭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그 범주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의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사결합어를 파생어로 보는 경우가 많지만 조사결합어의 조사가 파생접미사의 기준에 맞지 않기 때문에 파생어로 보기는 힘들다. 따라서 조사결합어는 합성어와 파생어와는 별도로 복합어의 한 하위 부류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결합어의 선행요소는 대부분 불구어근으로 조사결합에 제약을 가지고 있는데, 한 가지 혹은 소수의 조사와만 결합하여 쓰이다가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불구어근이 아니라도 조사결합어에 속하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은 선행요소와 후행하는 조사의 의미가 아닌 제 3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The word in Korean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simple word and complex word. Complex word are then classified into compound word and derived word. But the form, which Josa is involved in word formation, doesn't belong to these classes. This paper names the form which Josa is involved in word formation as ‘Josa-combined word’, and aimed at investigating their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Josa has a dependent characteristic and therefore causes ‘Josa-combined word’ to be considered as derived word. However, ‘Josa-combined word’ is not classified as derived words because Josa from ‘Josa-combined word’ does not meet the standard qualification of suffix. Therefore, ‘Josa-combined word’ should be classified as the secondary category of complex word in a separate way from compound word and derived word. The preceding elements of ‘Josa-combined word’ is a bound root that has limitation for combining Josa. It becomes the word after being used by combining one or few Josa. Besides a bound roots, there are other elements of ‘Josa-combined word’ that have third meaning, neither the meaning of Josa nor the meaning of the preceding elements.

      • KCI등재

        2-3세 아동의 자발화에서의 조사사용 발달

        이윤경(YoonKyoung Lee),이소정(So J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조사는 초기 아동기의 문법 발달을 보여주는 주요 요소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의미를 정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초기 아동기에 자발화에서 조사사용 발달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6-3;11개월의 아동 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은 6개월 간격으로 2세 후반, 3세 전반, 3세 후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아동과 연구 참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발화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50발화를 분석하였다. 조사사용빈도(NTJ), 조사유형수(NDJ), 조사 하위범주별 사용빈도(NTJ)와 유형수(NDJ)를 측정하였으며, 분산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통계분석하였다. 결과: 조사사용빈도(NTJ)와 조사유형수(NDJ)는 2세 후반 집단이 각각 3세 전반과 3세 후반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 하위범주에서 조사사용빈도(NTJ)는 주격조사, 부사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에서 조사유형수(NDJ)는 부사격과 접속조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 발달을 전체 조사사용빈도(NTJ)가 36.6%를 하위범주 중에서는 부사격조사가 39.2%로 가장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2, 3세 아동의 자발화에서의 조사사용 발달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 아동기의 조사사용 발달을 이해하고, 나아가 아동의 언어 평가 및 중재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Objectives: The Josa, which is a Korean grammatical morpheme that indicates a relationship to the clause or conveys a more specific meaning, is an important indicator in the grammar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Josa use in the spontaneous language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Methods: Fifty young children aged 2;6-3;11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ge groups of 6- month interval; late 2-year, early 3-year, and late 3-year groups. Spontaneous language samples comprised of 50 utterances were collected during conversations between the examiner and the participants with books and pictures. The number of total Josa (NTJ), number of different Josa (NDJ), and NTJ and NDJ by subcategory of Josa were measured in the 50 utterances. An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late 2-year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ess NTJ and NDJ compared to the early 3-year and late 3- year group respectively. Among NTJ and NDJ by subcategory of Jos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dverbial, conjunctive, and auxiliary Josa and NDJ of adverbial and conjunctive Jos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NTJ of adverbial (39.2%), auxiliary (8.6%), and conjunctive (8%) Josa explained the month of age.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Josa use in the spontaneous language of the young children aged 2 and 3. The results of the study help u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Josa use in young children and have implications for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 KCI등재

        강릉방언의 복합조사 `으는` 연구

        김옥영 ( Kim Ok-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어휘 형태소의 복합어 형성과 마찬가지로 문법 형태소 또한 복합 형태가 생성되고 단일화의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 강릉방언에서 실현되는 복합조사 `으는`의 구성과 그 형성 원리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런데 선행 연구에서는 강릉방언의 `으는`뿐만 아니라 `이가`도 조사끼리의 결합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가`는 접미사와 조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법 구성이다. `이가`를 복합조사로 보기에는 `이가`가 결합할 수 있는 선행 체언이 지나치게 제한적이다. 또한 `체언+조사(이)+조사(가)` 구성으로 볼 경우 `체언+이`가 목적격 조사에도 통합된다는 점, `체언+조사(이)`보다 `체언+접사`의 형태론적 재구조화가 더 자연스러운 분석이라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이가`와 달리 강릉방언의 `으는`은 보조사 `은`이 중복된 구성의 복합조사이다. 이 복합조사의 생성에는 이형태 `는`의 형태 유지라는 동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조사 목록 내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결과 복합조사 `으는`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조사 목록이 좀 더 복잡해진 듯한 양상을 보이나 `으는`은 목록 내의 조사들과 형태적 유사성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으는`의 생성은 어휘부의 최적화에 기여한다. As lexical morpheme forms complex word, grammatical morpheme would form complex word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univerb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mposition and formation principle of the complex Josa `euneun` which is realized in Gangneung dialect, based upon above premise. `iga` has been considered to be combination of Josas in the earlier studies, but it is grammar composition which is composed of combination of suffix and Josa. Preceding substantive with which `iga` can combine is too restrictive to consider `iga` to be complex Josa. There are also following reasons not to consider `iga` to be combination of Josas: (ⅰ)If `iga` is analyzed as the composition of `Noun+Josa(i)+Josa(ga)`, then `Noun+i` is united into objective Josa. (ⅱ)It is more natural to analyze `iga` as morphological restructuring of `Noun+suffix` than to consider it to be `Noun+Josa(i)`. Unlike `iga`, `euneun` in Gangneung dialect is complex Josa. It seems that a motivation to retain the morph of grammatical morpheme `neun` operated to form these complex Josas. It seems that inventory of Josa has been more complicated by the generation of `euneun`. But since it retains similarity of morph in the inventory of Josa, consequently the generation of `euneun` contributes to the optimization of lexicon.

      • KCI등재

        ‘-으니까’ 방언형의 형태론

        황병순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5

        A dialectical grammar shows diverse distinctive features of spoken language, one of the most remarkable is that there are a variety of elements realized functioning as modals. Motivated in this idea,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diverse realizations of “-ɨnik'a” as a conjunctive ending in dialects.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reconstruction of ‘-ɨnik'a’, this paper explicates not only morphological features of ‘-ɨnik'a’, but also general features of Korean spoken languag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ee grammatical categories are fossilized in ‘-ɨnik'a’ dialectal forms :contextual josa, discourse marker, modal josa. The dialectal variants in which ‘ɨn’, ‘tərə’, and ‘sə(ro)’ are fossilized as contextual josa are ‘-ɨnik'anɨ’,‘-ɨnik'aduru’, ‘-ɨnik'asə(ru)’, etc. Those in which ‘e’, ‘a’, ‘i’ are fossilized as discourse marker are realized as ‘-ɨnik'e’, ‘-ɨnik'ana’, ‘-ɨnik'ai’, etc. Those in which ‘ro’, ‘ɨn’, ‘dərə’ are fossilized as modal josa are realized as ‘-ɨnik'aro’,‘-ɨnik'anduru’, etc. In the ‘-ɨnik'a’ dialectal form, fossilized morphs are sequentially structured in the order of conjunctive ‘-ɨnik'a’, a contextual josa, a modal josa, and a discourse marker, the latter three of which are optional. From this arrangement of structu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se dialect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evolution: the type with the fossilized form of the first stage and the type with the fossilized form of the second. The second type's arrangement of structure is in the order of the first type's fossilized forms, a contextual josa, a modal josa, and a discourse marker, the latter three of which are optional. The fossilized forms at the first stage are of five kinds: ‘-ɨnik'a +contextual josa’, ‘-ɨnik'a +contextual josa +modal josa’, ‘ɨnik'a +contextual josa +discourse marker’, ‘-ɨnik'a + modal josa’, and ‘-ɨnik'a +discourse marker’. The fossilized forms at the second stage are of four kinds : ‘the fossilized form at the first stage+ contextual josa’, ‘the fossilized form at the first stage +contextual josa + modal josa’, ‘the fossilized form at the first stage + modal josa’, and ‘the fossilized form at the first stage + discourse marker’.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reveals not only morphological features inherent in dialects with ‘-ɨnik'a’, but also general features of the spoken language. 방언의 문법에는 입말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입말의 특성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입말 특성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입말에는 양태 기능 요소가많이 실현된다는 것이다. 입말인 방언에도 이러한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그 동안 방언을 연구하면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 글은입말인 방언 접속어미 ‘-으니까’가 다양하게 실현되는 것은 입말의 위와 같은특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라 보았다. 이 글은 이러한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으니까’ 방언형의 재구조화 과정을 밝힘으로써 ‘-으니까’ 방언형의 형태론적 특성은 물론, 입말이 지닌 보편적 언어 특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으니까’ 방언형의 형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으니까’ 방언형에는 세 범주의 형태(문맥조사, 담화표지, 양태조사)가 화석화되어 있다. 문맥조사 ‘은’, ‘더러’, ‘서(로)’가 화석화된 방언형에는 ‘-으니까느’, ‘-으니까두루’, ‘-으니까서(루)’ 등이 있고, 담화표지 ‘에’, ‘아’, ‘이’가화석화된 방언형에는 ‘-으니께’, ‘-으니까나’, ‘으니까이’ 등이 있으며, 양태조사 ‘로’, ‘은’, ‘더러’가 화석화된 방언형에는 ‘-으니까로’, ‘-으니깰랑은’, ‘-으니깐두루’ 등이 있다. ‘-으니까’ 방언형에 화석화된 형태의 배열 구조는 ‘접속어미(-으니까)+(문맥조사)+(양태조사)+(담화표지)’이다. 이러한 형태 배열 구조로 보아 ‘-으니까’ 방언형에는 1단계 화석형과 2단계 화석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2단계 화석형의 형태 배열 구조는 ‘1단계 화석형+(문맥조사)+(양태조사)+(담화표지)’이다. 1단계 화석형에는 ‘-으니까+문맥조사’형과 ‘-으니까+문맥조사+양태조사’형, ‘-으니까+문맥조사+담화표지’형, ‘-으니까+양태조사’형, ‘-으니까+담화표지’형이 있고, 2단계 화석형에는 ‘1단계 화석형+문맥조사’형과, ‘1단계 화석형+문맥조사+양태조사’형, ‘1단계 화석형+양태조사’형, ‘1단계 화석형+담화표지’형이 있다.

      • KCI등재

        「직지」와 「백운어록」의 분석을 통한 백운 선사상 再考

        김성수 한국서지학회 2023 서지학연구 Vol.96 No.-

        In this research, the ideology of Seon(禪) presented by BaegunHwasang(白雲和尙) is again investigated, by analyzing Jikji(「直指」) and Baegun Ŏrok(「白雲語錄」).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aegun(白雲) developed the method of studying and practicing Seon presented by the founder through ‘Saek(色)․Sŏng(聲)․Ŏnŏ(言語)’, based on the teaching that you should not leave ‘Saek [appearance (形相), act(行爲)]․Sŏng[sound]․Ŏnŏ[words, expressions(文句)]’, if you want to realize ‘the foundation of heart(心)’, which cannot be seen nor heard by any means. Secondly, ‘MusimSeon(無心禪)’, which has so far been considered the Baegun’s ideology of Seon, and ‘Baegun’s munyeom(無念)․musim(無心)’, discussed in terms of ‘Musimseon(無心禪)’ was originated from Hyeneung(慧能)’s Munyeom, Majo(馬祖)’s Musim, and Hwangbyeok(黃蘗)’s Jikhamusim(直下無心). These ‘Munyeom․Musim․Jikhamusim’ are the core concepts of ideologies awakened by those founders, and represent the foundation and actions of Seon ideology which could be realized through ‘Saek․Sŏng․Ŏnŏ’. In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Munyeom․Musim’ are the core contents, realized in Seon ideology, and ‘Saek․Sŏng․Ŏnŏ’ are the means to practice Seon ideology. Therefore ‘Munyeom․Musim’ and ‘Saek․Sŏng․Ŏnŏ’ are two faces of ‘Enlightenment in Seon ideology’, that is, the front side(contents) and the back side(practice) of Seon ideology. Thirdly, In examining the very moment of Baegun’s enlightenment(廓徹大悟: 見性, 1353.1.17.) in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Baegun was all at once awakened by deeply appreciating a phrase[Ŏnŏ], which abruptly came to his mind, while serenely sitting and meditating. It means that he was immediately awakened by means of ‘Ŏnŏ’ out of ‘Saek․Sŏng․Ŏnŏ’ of Seon ideology’. It was also confirmed that Seogok(石屋), Baegun’s master, was awakened by means of landscape(風亭)[‘Saek’], and he demonstrated the case of immediate enlightenment by ‘Saek’ out of ‘Saek․Sŏng․Ŏnŏ’ of Sŏn ideology. Therefore, it became obvious that both Baegun and Seogok were awakened by ‘Saek․Sŏng․Ŏnŏ’ of Seon ideology.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trend of Seon inherited from SeogokCheonggong(石屋淸珙) to BaegunGyeonghan(白雲景閑) was Josa-Seon in which people could by awakened by means of ‘Saek․Sŏng․Ŏnŏ’. Fourthly, Baegun, emphasizing ‘Josa-Seon(祖師禪) is never separated from ‘Saek․Sŏng․Ŏnŏ’, the moments of listening to ‘Sŏng’ and seeing ‘Saek’ are the moment of Enlightment, in his Baegun Ŏrok’s Josa-Seon, etc., presented the way of proceeding to Enlightenment by practicing Josa-Seon. Fifthly, The most important point of studying Josa-Seon is that the practice of Josa-Seon leads people to be definitely awakened in three or five years, and at the latest, ten years. Sixthly, The analysis of Jikji demonstrated that more than 71 clauses out of 167 clauses in Jikji contained 86 cases of ‘Enlightenment’ by means of ‘Saek․Sŏng․Ŏnŏ’ of Josa-Seon. Therefore, it is clear that Jikji was the compilation of cases of ‘Enlightenment’ by means of ‘Saek․Sŏng․Ŏnŏ’ of Josa-Se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it is again confirmed that Baegun compiled Jikji to promote the ideology of Josa-Seon. In brief, Baegun’s Seon ideology is characterized with his emphasis on ‘Enlightenment’ by means of ‘Saek․Sŏng․Ŏnŏ’ of Josa-Seon, and Baegun compiled Jikji to promote the ideology of Josa-Seon. 이 논문은 「直指」와 「백운어록」의 분석을 통하여 백운화상의 禪思想을 다시 고찰한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白雲은, 보려고 해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도 않는 “마음의 바탕(心體)을 깨닫고자 한다면 ‘色[형상․행위]․聲[소리]․言語[말씀․文句]’를 떠나지 말라”라는 말씀에 근거하여, ‘色․聲․言語’ 방편을 통(通)한 祖師禪의 실천․공부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백운은 마음(心)을 깨달을 수 있는 活路를 열었다. 둘째, 종래 백운의 禪思想이라고 간주해 왔던 ‘無心禪’, 바로 그 무심선에서 거론된 ‘백운의 無念․無心’에 관한 연원(淵源)은 ‘慧能의 無念’, ‘馬祖의 無心’, ‘黃蘗의 直下無心’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러한 ‘無念․無心․直下無心’은 祖師들이 見性한 내용의 핵심을 각각 말하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祖師禪 色․聲․言語 방편의 바탕(‘體’)과 작용(‘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無念․無心’은 곧 祖師禪에서 깨닫는 핵심 콘텐츠[내용]이고, ‘色․聲․言語’는 조사선을 실천하는 방편임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無念․無心’과 ‘色․聲․言語’ 방편은 ‘祖師禪에서의 깨달음’이라는 동전(銅錢)의 양면(兩面), 즉 ‘조사선 見性의 내용(앞면)과 실천(뒷면)’에 해당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백운이 확철대오(1353.1.17.)한 순간을 살펴본 결과, 백운은 ‘단정하게 앉아 있던(端坐) 중 「證道歌」의 한 文句[‘言語’]가 떠올라 이를 깊이 음미하다가 홀연 無心이 되면서 크게 깨달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조사선의 ‘色․聲․言語’ 방편 중 ‘言語’를 통하여 즉각 見性한 것이다. 또한 백운의 스승인 ‘石屋淸珙은 風亭[‘色’]을 보고 깨달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祖師禪의 ‘色․聲․言語’ 방편 중 ‘色’[형상]을 통하여 즉각 깨달은 사례이다. 따라서 白雲과 石屋은 모두 조사선 ‘色․聲․言語’ 방편을 통하여 見性하였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석옥청공에서 백운경한으로 전법․계승된 禪風은 바로 ‘色․聲․言語 방편을 통하여 곧바로 견성하는 祖師禪이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백운은 ‘「백운어록」 <祖師禪>’ 등에서 ‘조사선은 色․聲․言語를 떠나지 않는다(祖師禪不離色聲言語)’라는 점을 강조하고, “소리(‘聲’)를 듣는 때가 바로 깨닫는 순간이며, ‘色’[형상․행위]을 보는 때가 바로 깨닫는 순간이다”라고 가리켜 일깨움(指摘)으로써, 조사선을 실천하여 곧바로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활로(活路)를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직지」에서 제시하는 조사선 공부의 가장 큰 특징은, ‘祖師禪을 실천하면 3년 혹 5년, 아무리 늦어도 10년이면 반드시 깨친다[見性]’라는 것을 명백하게 밝히고(確言) 있다. 여섯째, 「직지」의 편성 내용을 분석한 결과, 「직지」에 편성된 ‘167個’條 중에서 ‘祖師禪 色․聲․言語 방편을 통하여 見性한 사례’條들은 무려 ‘71個’條에 ‘86회’나 채택․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직지」는 조사선 色․聲․言語 방편에 입각하여 見性한 사례들을 集大成한 책’이라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백운화상은 조사선을 선양(宣揚)하기 위하여 「직지」를 편성하였음’을 究明하였다. 요컨대, 白雲의 禪思想 특징은 ‘色․聲․言語’ 방편을 통하여 見性하는 祖師禪에 있다. 또한, 백운은 조사선을 선양(宣揚)하기 위하여 「직지」를 편 ...

      • KCI등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의 단어성

        최형용(Hyung-yong Choi) 형태론 2024 형태론 Vol.26 No.1

        본고는 최형용(2021, 2022)에서 제시된 논의에 근거하여 유형론적 측면에서 설정된 판별 기준에 따라 한국어 조사들의 단어성을 측정해 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어의 조사에 대해서는 통사적 접사나 접어로 간주하려는 견해도 있었다. 이들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한국어의 조사가 음운론적인 의존성을 가지고 있지만 통사론적으로는 단어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이는 곧 한국어 조사의 단어성 정도에 대한 의문을 자아내게 하기에 충분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형용(2022)에서 제시한 접사와 단어를 판별하는 기준에 근거하여 한국어 조사 44개를 대상으로 5점 척도에 따라 측정한 결과 평균 점수가 3.78점으로서 단어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별로는 가장 높은 점수가 4.18점이고 가장 낮은 점수가 3.45점이므로 어느 것도 단어보다 접사에 가까운 것은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조사별로는, 학교 문법 체계의 조사 분류 체계를 참고하면 격 조사가 접속 조사나 보조사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기는 하지만 이는 매우 근소한 차이이기 때문에 무시해도 좋을 만한 수준이다. 판별 기준별로는, 다시 이를 의미론적 기준, 통사론적 기준, 형태론적 기준, 음운론적 기준으로 크게 묶으면 이 순서대로 점수가 낮아진다. 이때 음운론적 기준에서만 접사성이 단어성보다 높은데 이는 무엇보다도 한국어의 조사가 가지는 의존적 속성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어의 조사를 유형론적 측면에서도 단어로 간주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증명한 것이라고 보아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wordhood of Korean Josa based on the typological research established in Choi(2021, 2022). As noted, there have been some views that consider Korean Josa as ‘syntactic affixes’ or ‘clitic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Korean Josa have phonological dependencies, but syntactically function as words. In this paper, I examined 44 Korean Josa on a 5-point scale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affixes and words proposed by Choi(2022), and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was 3.78, indicating a high degree of wordhood. The highest score is 4.18 and the lowest score is 3.45, so it is very important to note that none of them appears to be closer to affixes than words. Focusing on each Josa, using the school grammar system's classification of Josa, I could see that the average score is higher for ‘case marking’ than for ‘conjunctive’ or ‘adding special meaning’, but the difference is very small and negligible. In terms of criteria, I categorized them into semantic, syntactic, morphological, and phonological ones, and the scores decreased in this order. Only in the phonological criteria, affixhood scores are higher than wordhood score, which are due to the dependent nature of Korean Josa. The above results are sufficient to empirically prove that Korean Josa can be considered as words in a typ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어휘와 문법

        한정한(Jeong Han Han) 한국어학회 2012 한국어학 Vol.57 No.-

        The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 of lexis and grammar in Korean, in terms of josa (case marker), and eomi (pre-final and final-ending) when choosing the fundamental vocabularies. What we have foun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s to why josa and eomi often to be excluded from the fundamental vocabularies are four-fold. First, as josa and eomi have more grammatical function and less lexical meaning. Second, josa and eomi are so called content words rather than function words. Third, josa and emi have different grammatical processes according to learning stages. Fourth, only suffixes that have high productivity may be included in the fundamental vocabularies. We had carefully examined these four problems, and then founded several suggestions. In regard to the first one, we thoroughly observed the notions of lexeme, lemma, lexical items/grammatical items, lexis; and suggested the notion of ``grammar through lexis``, instead of the dichotomy notion like lexis and grammar. In regard to the second one, we looked over so called content words vs. function words, and open-class vs. closed class in relation to lexis. In regard to the third, we suggested a teaching method of josa, eomi according to the stage of meanings. In regard to the fourth, we pointed out lexis and lemma are different in derivational suffixes and josa/eomi, so, we would be better if we have different equivalents for lexis(어휘 항목) and vocabulary(어휘), respectively.

      • KCI등재

        한국어의 동사구 접속과 접속조사

        이정훈 한국생성문법학회 2012 생성문법연구 Vol.22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VP coordination construction which is built not by conjunctive ending but by conjunctive Josa such as '-irang'(and). The main poi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junctive form '-irang' used in VP coordination is merely the conjunctive Josa. Second, to explain the VP coordination by the conjunctive Josa, some broad and generous viewpoint on structure building is necessary, which accepts the constituent [Subj Obj] as well as [Subj [Obj V]] and [Obj V]. Third, the derivation proceeds as following;The conjunctive Josa '-irang' conjoins KPs which only contain arguments without V, resulting in [[KP Subj Obj]-irang [KP Subj Obj]]. Then, the structure changes into VP when V participates in structure building,which means that arguments get scattered by projecting V. Lastly, by the above mentioned structural change and head movement, VP coordination constructions by conjunctive Josa appear.

      • 태고선(太古禪)의 특성과 현대적 의의

        김영욱(Young-Wook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1

        태고선(太古禪)을 구성하는 두 가지 범주는 조사선(祖師禪)과 간화선(看話禪)이다. 이들 두 가지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규정하고 상호 제한하는 관계에 따라 불가분한 한 쌍으로 공존하고 있다. 특히 간화선은 조사선이라는 큰 틀에서 그 핵심적 방법을 특화시킨 결과물이다. 따라서 조사선의 요소를 드러내어 그 특징을 밝힌 다음 그것을 토대로 간화선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는지 조명하도록 설정한다. 태고의 간화선은 무자(無字)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조사선 유의 형식과 논법이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눈앞에 진실이 드러나는 조사선의 단적(端的) 경계는 화두 참구의 결과인 동시에 그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화두가 타파된 이후라면 눈앞의 그 경계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으며, 무사(無事)․무심(無心)의 세계도 그것을 바탕으로 실현된다. 이렇게 전개되는 영역에 이르면 이들 두 선법이 자연스럽게 하나로 어울리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무자(無字)는 유․무 대립의 구도에 속하지 않고 그것을 초월하는 그 무엇도 아니다. 그것은 의문 자체이며 이에 대하여 어떤 해답을 내리기라도 하면 때려 부수는 무기일 뿐이다. 이처럼 무자뿐만 아니라, 모든 화두는 오로지 의문으로 남아서 그것에 달라붙는 갖가지 잡다한 분별에 가하는 철퇴일 뿐이다. 오로지 화두에 대한 의문만 남아 탐색할 길이 막막해지는 궁지(窮地)에서 타파의 소식이 온다. 단 한 번도 확정된 해답은 주어지지 않으며, 있는 듯하여도 그것은 위장에 불과하다. 그곳에는 의문이라는 복병이 항시 매복하면서 역공으로 뒤집을 준비를 하고 있다. 우리가 되살려낼 태고선의 현대적 의의도 어떤 문제와 만나면서 분명하게 박히는 확신에 대하여 그때마다 의문으로 뒤집는 그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오늘날 학자 개개인은 이 의문을 가지고 정화하는 비판의 도구로 전환함으로써 외부에서 강요되거나 스스로 부여하여 최면상태에 빠진 갖가지 편견과 권력의 뿌리를 흔들어 건전한 갈등 국면과 마주치게 이끌어줄 수 있다. The two categories that make up Taego-sŏn are the Josa-son (祖師 禪) and the Khanwha-son (看話禪). These two coexist in a pair that is indivisible by a relationship that defines and limits one another. In particular, it is the result of specialized methods in the large framework of Josa-son. Therefore, the element of the Khanwha-son is exposed from the Taego-sŏ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hanwha-son are identified, and then, based on that, the indicator is set to illuminate how the epigenome develops. Although Taego's Khanwha-son focuses on the Chozchu's mu (無), the type of the Josa-son and the argument are permeated throughout. The Josa-son, in which the truth is revealed before us, is the result of the whadu (話頭) study and is an area of freedom to express it. Once the issue is broken, the boundary in front of us can be used freely, and the world of Musa (無事) and Musim (無心) is realized based on it. When you reach this area, you can naturally see the two seams harmonize with one another. The Chozchu's mu is not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Yu-Mu (有-無) conflict and is nothing that transcends it. It's a question of its own and it's just a weapon that breaks down any answer. This whole topic of conversation, as well as the Chozchu's mu, is a withdrawal from all sorts of miscellaneous discretion that remains in question and adheres to it. The enlightenment of the breakaways comes at a time when there is no way to search for them, but only questions remain. Never a definite answer is given, and as far as it may be, it is a disguise. There, the ambush of the mysterious man is always in ambush and ready to flip over with a counterattack.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Taego-sŏn that we will revive can also be found in the way in which we question every problem and especially any confidence. Today, individual scholars turn this question into a tool of criticism that cleanses themselves, shaking the roots of various prejudices and power imposed by them from the outside, and leading them to face a healthy confl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