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TS 신학공관(共觀)’에서 본 전북지역 3·1운동 연구 : 전북지역 남장로교 선교 스테이션을 중심으로

        신종철 ( Shin Jong Cheol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0 No.-

        올해(2019년)는 3·1독립운동이 일어난 지 백주년을 기념하는 해이다. 이런 연유로 3·1운동에 관련하여 많은 논문들과 책들이 출판되었다. 본 논문 역시 3·1 독립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면서 전북지역에 일어났던 3·1운동을 고찰하였고 특별히 ‘ACTS 신학공관’의 관점에서 연구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북지역 3·1독립운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북지역의 3·1운동은 기독교 신앙과 깊은 뿌리를 갖고 있었다. 이것은 박연세, 임영신, 문용기 등과 같은 3·1독립운동 지도자들의 행동과 삶 속에 찾아 볼 수 있다. 그들은 기독교 신앙과 진리를 견지했다. 그리고 그들의 기독교 신앙은 전북 지역 3·1운동에서 신실하게 표출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전북지역의 3·1 독립 운동은 위대한 신앙 운동이었으며 ‘ACTS 신학공관’의 ‘기독교 중심 진리’와 일치하고 있다. 둘째로, 전북 지역의 독립 운동은 기독교 학교가 중심이 되어 일어났다. 기독교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성경을 가르쳤고, 학생들은 기독교 신앙과 기독교 세계관을 갖게 되었다. 이를 통해 천천히 그리고 확실하게 그들은 민족의 중요성을 배웠고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민족주의를 인식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전북지역에서 3·1운동을 주도했던 기독교인들은 민족의 독립이야 말로 바른 신학을 세우는 것임을 보여 주었다. 셋째, ‘ACTS 신학공관’의 ‘참 신앙인 양육 운동’에서 볼 때 전북지역 3·1 운동은 참 신앙으로 양육된 사람들이 누구인지를 만세 현장에서 바라 볼 수 있게 하였다. 넷째, 전북지역의 3·1운동은 개신교 교파간의 연합(장로교와 구세군)과 종교인과 비 종교인등이 연합하여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때 기독교(개신교) 는 주도세력이었고 천도교가 다른 종파보다 많은 협력을 했다. 다섯째, 전북지역 3·1운동은 교회의 질적·양적인 회복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3·1독립운동 이후 1920년대부터 전북지역 교회는 빠른 양적인 성장을 이루게 되는데, 특히 주일학교의 성장은 매우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 이러한 주일학교에 대한 지대한 관심은 성인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이전의 교회의 형태와는 전혀 새로운 모습이었다. 이는 군산의 영명학교와 멜본딘 여학교, 전주의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 등의 교사들과 학생들이 보여준 3·1독립만세운동의 모습을 통해 주일학교를 통한 신앙교육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ACTS 신학공관’인 ‘교회 회복 운동’과 일치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전북지역 기독교교인들이 주도한 3·1독립운동은 ‘ACTS 신학공관’의 핵심 가치를 드러내는 위대한 신앙 운동이었다. The year 2019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ccordingly, We have seen many articles and titles published, focusing on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is paper is also a study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specially focusing on the Jeonbuk provinc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movement from the viewpoint of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First,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Jeonbuk area was deeply rooted in Christian faith. This can be seen in the behavior and life of 3·1 independence movement leaders like Park Yeon Se, Im Yong-shin, and Moon Yonggi, etc. They did hold the Christian faith and truth. And their Christian faith is was faithfully expressed in the Jeonbuk area. In this sense,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Jeonbuk area was a great faith movement and this coincides with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in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Second,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Jeonbuk area was formed around the mission schools in that area. The missionaries of the schools taught the Bible to students and they could have learned the Christian faith and developed the Christian worldview. Slowly but surely they learned the importance of the nation and become aware of the nationalism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The people who attended and 3·1 independence movement in Jeonbuk area showed their theological basis and this coincides with the Sound Theology Movement in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Third, the viewpoint of True Believer Nurturing Movement in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The Jeonbuk area 3·1 Independence movement allowed people to see who was raised by True Believer Nurturing in the longevity scene. Fourth,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was formed within various religious backgrounds. There were various protestant believers like Presbyterians and Salvation Army. Protestant christians were the leading force and the Chondo-kyo believers also cooperated more than other religious groups. Fifth,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became a turning point to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toration of the church. Christian schools and churche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Jeonbuk area. These schools were Yeongmyung and Melbondin Girls school in Gunsan and Shinheung and Gyeonjeon Girls school in Jeonju which were affiliated with the mission st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in Jeonbuk.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movement demonstrated by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mission schools showed the importance of Bible-centered faith education. This coincides with ‘Church Renewal Movement’ in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In conclusion,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Christian members in Jeon buk area was a great faith movement that revealed the core values of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 KCI등재후보

        해방 이후 호남지역 서원·사우의 복설과 신설

        윤선자 한국중앙사학회 2009 중앙사론 Vol.30 No.-

        After liberation, 79 Seowon-Sawoo were established restoratively and 52 ones were established newly at Jeonbuk Province till 2004. At most areas, the number & rate of restorative establishments are higher before liberation. As for newly establishments, the number of ones is few after liberation than before at Gunsan·Namwon·Muju·Iksan. It's because Gunsan was center of modernizatio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 center of plundering during Japanese Rule, and Namwon & Iksan had many restorative establishments. After liberation, 106 Seowon-Sawoo were established restoratively with 114 new establishments at Gwangju-Jeonnam Province. Among 23 cities·districts of Gwangju-Jeonnam, the number & rate of restorative establishments after liberation are lower than before at only 6 areas, and it's because the number of restorative establishments was considerably higher before liberation, and the number of new establishments was higher after liberation at these areas. As for new establishments, only Jindo has one place less after liberation than before. As the result of comparing Gwangju-Jeonnam with Jeonbuk, Gwangju-Jeonnam have higher restorative establishments of about 34% and new establishments of 119% than Jeonbuk. This is regarded it has much to do with the population change & regional development of Gwangju-Jeonnam and Jeonbuk after liberation. Not only at Jeonbuk but at Gwangju-Jeonnam, restorative establishments were done in 1946 and new establishments in 1945. The reason that new establishments were done previously than the restorative is thought that preparation & procedures of the restorative were more complex than the new. If inspected the situation of the restorative & the newre done previous at Gwangju-Jeonnam and Jeonbuk after liberation in the chronological order, it has decreased rapidly since 1990s, and the reason of it is change of values & decrease of Confucian population. After liberation, among Seowon-Sawoo established restoratively·newly, the persons enshrined most are the particular surnames, or ancestors of a family. Because they were government officials, loyalists & outstanding scholars, they were enshrined by their descendants. The person enshrined most at Seowon-Sawoo established restoratively·newly is Lee Soonshin. There are 5 Seowon-Sawoo established restoratively which enshrined Lee Soonshin at Gwangju-Jeonnam, 3 Seowon-Sawoo establiched newly, and 3 Seowon-Sawoo established restoratively at Jeonbuk with one Seowon-Sawoo establiched newly. The construction of Seowon-Sawoo which enshrines Lee Soonshin is related to deification of Lee Soonshin from political power since 1960s. And, the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caused a boom of restorative & new establishment of Seowon-Sawoo to enshrine persons related to Imjin war(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Manchu Invation·Jeongyu Invation. It's because they were all persons of defending fatherland. In addition, at Honam, many Seowon-Sawoo were established restoratively & newly for the reason of enshrining persons of defending fatherland. In the mean time, among Seowon-Sawoo established newly at Gwangju-Jeonnam and Seowon-Sawoo established restoratively & newly at Jeonbuk, there are ones to enshrine loyal troops in late Yi Dynasty & independence activists. They are 3 Seowon-Sawoo established restoratively at Jeonbuk, 13 Seowon-Sawoo established newly at Gwangju-Jeonnam, and 7 Seowon-Sawoo established newly at Jeonbuk. However, it was reduced rapidly or stopped after 1980s because they were buried at the National Cemetery or their descendants were in poor surroundings.

      • KCI등재

        전북지역 수산물의 브랜드화와 가치향상에 관한 연구

        김수관 ( Soo Kwan Kim ),김민영 ( Min Young Kim ),윤영선 ( Young Sun Yun ),김성일 ( Sung Il Kim ),송귀봉 ( Gui Bong Song ) 한국도서(섬)학회 2010 韓國島嶼硏究 Vol.22 No.1

        The environment of Jeonbuk fisheries needs to cope with the radical change of fisheries environment. However, the branding of marine products in Jeonbuk fisheries has revealed a lot of problems from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a very urgent task for the improvement of processed fisheries branding in Jeonbuk to find out the problems in each phase, to solve them, ultimately to enhance the branding efficienc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fisheries branding an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s primary data, we instantly interviewed with the public officers and merchants in Buan, Gochang and Gunsan. A field survey has been implemented in terminal & train stations of Jeonju, Iksan and Gunsan cities from Feb. 23 to March. 11 of 2009.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the `quality` was found affect mainly to brand asset and among the other affecting factors, `loyalty`, `attitude` and differentiation` influenced to brand assets. And then,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brand needs to focus continuously on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The present condition of fisheries branding in Jeonbuk represent a lot of problems; insufficiency in quality, no existence of brand policy, insufficiency of brand infra & information, failure of brand differentiation, lack of understanding about brand in public officers & fishermen, difficulty of routine quality management & continuous supply of quantities, insufficiency of advertizing for cooperate brand, because of destitute of suppliers & fishermen`s organization, insufficient concern of public officers about fisheries origin, etc. If there were no systematic and grave unified co-brand approaches to solve the branding problems, it would be hard to anticipate an improvement of competitive fisheries branding in Jeonbuk. In this study, we positively advice the following categorical reform plans for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fisheries branding in Jeonbuk, and establishment of concrete brand identity by develop unitary co-brand in each competitive fisheries in Jeonbuk. To improve fisheris branding a council of Jeonbuk fisheries brand should be founded with a lot of related people & organizations.

      • KCI등재

        백제의 ‘전북지역’ 진출 과정과 추이 변화

        김병남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8

        전통적인 시각에서 전북 권역은 백제의 일부분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은 백제 전 시기에 걸쳐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백제의 일부로 써 중요한 지역이 되기 이전 전북 권역의 실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남아 있는 기록을 보면 1~3세기 사이의 전북 지역은 백제가 아니라 마한의 일원으로 지역별 소정치체들이 산재하였던 곳임을 알 수 있다. 또 이 와는 별개로 전북 동부권에는 가야와 연계된 세력이 존속하였다는 고고학적 인 증거가 나타난다. 따라서 고대 시기 전북 권역의 실재적인 모습을 알기 위해서는 새로운 추 적과 이해가 필요하다. 나아가 지역 분산적인 형태의 다양한 정치체들이 어 떠한 과정을 거쳐 백제라는 하나의 국가적 틀 속으로 흡수·통합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전북지역사라는 시각에서 접근이 요구된다. 이것은 결국 중앙 중심 의 백제사 인식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며, 특히 고대 시기의 전북 권 역의 역사·문화적 원천 모습에 좀 더 접근하여 지역의 다양성을 강화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고대 국가 백제와 전북 권역의 마한 그리고 가야 세력이 어떻게 존재하였고, 또 그들이 어떻게 융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2장 에서는 백제에게 복속하기 이전 시기 전북 지역의 존재 양상을 간략하게 알 아보았고, 3장은 전라도 지역이 언제 백제와 조우하여 그 영향권 아래 들어 가게 되는 지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4장에서는 백제의 웅진 천도 이 후 백제가 전라도 지역을 어떻게 재복속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he Jeonbuk region has been understood as part of Baekje. However, this aspect does not apply throughout the pre-Baekje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eality of Jeonbuk area before becoming an important area as part of Baekje. However, the remaining records show that the Jeonbuk area between the 1st and 3rd centuries was not a Baekje but a part of Mahan, where certain localities were scattered. Apart from this, there is archeological evidence that the forces associated with Gaya survived in the eastern part of Jeonbuk. Therefore, in order to know the actual state of the Jeonbuk area in ancient times, new tracking and understanding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Jeonbuk regional history on how various politics in the form of regional dispersion were absorbed and integrated into a national framework called Baekje. This will eventually lead to a departure from the central center's perception of Baekje history, In particular, it can help to strengthen the diversity of the region by getting closer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ources of the Jeonbuk region in ancient times.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ence of the ancient national Baekje, Mahan and Gaya forces of the Jeonbuk region, and how they merged. First, in Chapter 2, we briefly reviewed the existence of Jeonbuk area before the subjugation to Baekje. Chapter 3 estimated when the Jeolla Province area would encounter Baekje and fall under its sphere of influence. And in the last chapter, we looked at how Baekje was re-submitted to Jeolla Province after Baekje moved to Woongjin.

      • KCI등재

        전북 MICE 산업 환경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사라왁 사례를 중심으로

        홍윤선 ( Heather Hong ),정유진 ( Yujin Jung ),이주형 ( Joohyung Lee ) 관광경영학회 2018 관광경영연구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s to understand the MICE industry environment in Jeonbuk,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MICE industry in Jeonbuk through a case study of MICE industry in Sarawak, Malaysia, which is considered as a leading example of MICE activation in small cities. Based on Sarahwak's advanced case studies, Jeonbuk needs to establish the MICE Association such as SCB, which has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and loyalty to the region. Second, Jeonbuk should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 academia, and Convention Bureau and Alliance to hold International MICE ev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and MICE images in the reg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care for local people more than tourists to the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in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jugate as basic data for MICE industry in Jeonbuk. In 2018, Jeonbuk has variety issues as 2023 World Jamboree Competition and Muju Global Martial Arts Culture Festival and ‘year of Jeolla Millennium’. Jeonbuk will be a year to become a more competitive MICE event venue through improving the MICE industry environment.

      • KCI등재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

        김월덕(Kim, Wol-Duk)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전북지역 구비설화 중 자연전설과 인물전설을 대상으로 하여 설화 향유층의 심층적 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전북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를 그려보는 것이다. 한국설화가 한국인의 초역사적이고 초지역적인 보편심성을 투사한다면, 특정 지역의 구비설화에는 그 지역에서 펼쳐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이 역동적으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전북지역의 구비설화를 통해서 설화 향유층의 현실인식과 문화적 사유의 지형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과 자연으로 본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에서는 자연전설로서 홍수설화와 산(山)설화를 대상으로 ‘홍수설화를 통해서 본 생활공간의 생성에 대한 사유’와 ‘귀양지와 이상향으로서 산에 대한 이중인식’을 살펴보았다. 전북지역의 홍수설화는 서해안과 도서지역의 〈칠산바다〉, 중간 내륙지대의 〈행주형(行舟形) 전설〉, 동부 산악권의 〈고리봉 전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래 육지 또는 섬이었던 고을이 천지개벽으로 바다가 되었다고 하는 〈칠산바다〉는 바다의 생성과 재생을 이야기하는 해양설화로서 땅과 바다를 둘로 분리해서 보지않는 서해안 사람들의 자연인식이 투사되어 있다. 서해안 홍수설화의 사유와는 반대로, 먼 옛날의 바다가 오늘의 육지로 변했다고 하는 〈행주형 전설〉은 농경문화권과 해양문화권이 만나는 중간지점인 평야지대에서 농경을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물에 대한 근원적 의식을 보여준다. 주로 지명유래담으로 전해지는 동부 산간지역의 〈고리봉 전설〉은 산간지역이 천지개벽 또는 홍수라는 정화 과정을 거쳐 삶의 터전으로 재생된 이야기로서, 이를 통해 치유적 또는 재생적 힘을 가진 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산간지역 사람들의 사유를 엿볼 수 있다. ‘귀양지와 이상향으로서 산에 대한 이중인식’에서는 귀양지와 오지의 상징이 된 지리산과 덕유산 무주구천동이 이상향 십승지지 지역과 겹치는 것은, 모순적이고 배타적인 지배 권력에 대한 설화 향유자들의 비판적 의식과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땅을 추구하는 주체적 의식이 자연스럽게 결합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본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에서는 ‘왕권 창출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인식’, ‘변혁적 저항인과 주변인에 대한 지지와 옹호’, ‘비범한 인물들의 상호유사성과 향유층의 현실적 지향’을 제시하였다. 옛 후백제 지역은 견훤설화의 중심부로서 견훤 왕의 신이한 탄생과 성장에 초점을 두고 권위와 위상의 신성성을 드러내는 데 집중한 반면, 그 주변부에서는 견훤의 죽음에 집중하였다. 견훤 전승의 중심부에서도 왕권의 신성성이 약화되거나 훼손되어 전해지는 까닭은 후백제의 짧은 역사와 견훤의 비극적 최후를 의식하고 이를 완전히 부정하는 대신 견훤의 신성성을 불완전한 것으로 조율하여 표현했기 때문일 것이다. 전북지역에는 조선건국의 정당성과 왕권 창출에 대한 긍지를 표출하는 중심부의 설화와 조선 건국을 심정적으로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주변부의 설화가 병존하고 있다. 특히 전주의 이성계 설화는 후백제의 멸망에 대한 기억을 불식하고 조선 왕조의 발상지로서 전주를 재인식해 나가는 정치적 과정에 일조하고 있다. ‘변혁적 저항인과 주변인에 대한 지지와 옹호’에서는 정여립과 전봉준을 변혁적 저항인으로, 진묵과 같은 인물을 변혁적 주변인으로 보고, 백성들이 변혁을 갈망하던 시대에 출현하여 모순적 현실을 비판하거나 폭로함으로써 세상을 개혁하고자 시도한 이러한 인물들에 대한 전북지역 설화 향유자들의 지지와 옹호를 확인하였다. ‘비범한 인물들의 상호 유사성과 향유층의 현실적 지향’에서는 이서구, 박상의, 홍성문 등 전북에서 전승되는 비범한 인물들이 신분과 계급이 다름에도 서로 닮은 형상을 갖게 된 것은 설화 향유층이 지향하는 공통의 의식이 이 인물들에게 투사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설화 속 이서구는 초월적 이인이나 도인, 때로 풍수의 모습으로 나타나 실제 유학자들이 하지 못한 백성의 구원자 구실을 한다. 백성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심을 갖고 파격적 행보를 보여준 점은 이서구를 진묵의 후신으로 보는 근거가 된다. 신분의 한계 때문에 장돌뱅이 풍수가 된 홍성문은 세상에 대한 야유와 조롱을 통해서 기존 질서체계를 전복시키려했다는 점에서 정평구와 닮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ketch a mental map of the oral folktales in Jeonbuk Province by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local storytellers. Folktales in Jeonbuk reflect the spirit of the people of Jeonbuk?a region where history and culture have been zealously guarded. In this paper, a cultural and spatial mental map is postulated. Jeonbuk people live in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experience they have had overcoming and adjusting to their given environment, as shown in their flood narratives. By mapping flood narratives, this paper argues that flood narratives correlat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gion where the storytellers live, and fall into three general patterns. First, flood narratives near the West sea and the coastal area assert that the sea was derived from land. These people who live in coastal areas do not think sea and land are separate. Second, flood narratives of the agricultural hinterland insist that the land used to be sea in origin. The existence of flood narratives everywhere in the Jeonbuk region shows that farming people are deeply conscious of water. Third, flood narratives in the mountainous area in eastern Jeonbuk have a lot to do with the names of places where was regenerated as a result of flood. The people of the mountainous area believe in the regenerative and healing power of the flood or water. By mapping of historical figures, this paper emphasizes three points : (1) In the transmission of folktales of Gyonhwon the King of Hubaekje and Yi Sunggye the King of Joseon, the center and periphery focus on different points. The central area emphasizes the holy birth of the king and expresses the sanctity of royal authority, and the margins put stress on the story of death of the king. (2) Storytellers of Jeonbuk support and back revolutionary figures such as Jeong Yerip, Jeon Bongjun and the Great Buddhist Master Jinmuk. These figures criticized or disclosed the reality of the contradictory and unequal society of the time, and tried to reform the country. (3) The common consciousness that the local storytellers shared was also present in folktales about remarkable figures. Even though these figures, Confucian scholar Yi Seogu, Pungsu Bark Sangyui, and Hong Sungmun, have different status and come from different classes, the figures have similarity to each other because the storytellers share the same realistic aim.

      • KCI등재

        전북특별법의 제정과정 분석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다중흐름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

        이병현,김란 한국자치행정학회 202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8 No.2

        This study delves into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Jeonbuk Special Act, a pivotal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augurated on January 18, 2024. The study explores the rapid institutionalization of Jeonbuk&s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nder fortuitous circumstances, employing a Multiple Streams Framework (MSF) through text mining. The analysis encompasses media articles from August 2022, when the unique autonomy initiative first gained media attention, to December 2023, when the Jeonbuk Special Act underwent a comprehensive revision. By utilizing BERTopic for topic modeling, this study categorizes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Jeonbuk Special Act and integrates these findings into the MSF. The topic modeling reveals three primary streams within the MSF: the problem stream, the political stream, and the policy stream. The convergence of these streams, as demonstrated through topic distance mapping, signifies the opening of a policy window.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practical value as it demonstrates the utility of the MSF in elucidating the process of government policy-making under conditions of ambiguity. By analyzing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Jeonbuk Special Act, it provides a tangible example of the MSF's application. Notably, this research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qualitative methods by applying rigorous topic refinement using BERTopic to media articles related to the Jeonbuk Special Act. Additionall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scourse on the MSF by not only categorizing topics associated with the Act but also by visualizing and presenting the coupling of the problem stream, political stream, and policy stream through topic distance mapping. 본 연구는 2024년 1월 18일 출범한 전북특별자치도의 제도적 기반인 전북특별법의 제정과정을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전라북도의 특별자치도 추진은 매우 우연한 과정속에서 빠르게 추진되어 제도화되었다. 따라서 의제설정과정에서 비합리성과 모호성, 우연성을 강조하는 다중흐름모형을 통해서 전북특별법의 제정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북특별자치도가 언론에 처음으로 등장한 2022년 8월부터 전북특별법이 전부개정 된 2023년 12월까지의 보도된 언론 기사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BERTopic을 활용한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전북특별법과 관련된 뉴스 기사를 분석하고 토픽을 분류한 뒤, 이를 다중흐름모형에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북특별자치도의 뉴스 기사를 토픽모델링을 통해 분류한 결과, 다중흐름모형에서 주요 구성요소로 구분하고 있는 문제의 흐름과 정치의 흐름, 정책의 흐름이 주요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다중흐름모형에서 문제, 정치, 정책의 흐름이 결합되어 정책이 창이 열리는 것을 토픽 간 거리 지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북특별법의 제정 과정을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다중흐름모형이 모호한 조건(ambiguity)에서 정부가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존의 다중흐름모형이 연구자들의 질적 연구방법을 주로 활용함으로써 실증적 분석을 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본 연구는 전북특별법에 대한 언론 기사를 대상으로 BERTopic을 통해 엄밀한 토픽 분류와 정제 작업을 통해 질적 연구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특히, 전북특별법과 관련하여 뉴스 토픽을 분류한 것에서 더 나아가 토픽 간 지도 거리를 통해서 전북특별법의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대안의 흐름이 결합(coupling)되어 정책의 창이 열리는 것을 시각화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중흐름모형의 논의를 보다 풍부하게 확대하고 있다.

      • KCI등재

        전북지역을 배경으로 한 문학작품의 장소성

        박성호(Park Seong-Ho)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6 No.-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등장으로 지역 문화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은 전북지역의 문화와 관광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들어라 전라북도 산천은 노래다』를 발간한다. 이 시선집은 문학작품을 통해 전북지역의 문화와 관광을 포괄하려 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들어라 전라북도 산천은 노래다』에 수록된 시작품에서 나타난 장소성을 고찰하였다. 본격적인 장소성 고찰에 앞서 전북지역의 특수성을 확인하고 서사구조를 갖춘 소설 작품에서 전북지역이 어떤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작품에서 장소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먼저 현실공간은 지명과 경관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가상공간은 역사와 인물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실공간에서는 직접적인 설명을 통해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상공간에서는 역사적 사건과 인물, 그리고 인물에서 비롯된 사건 등을 통해서 공간이 장소로 변모함과 동시에 장소성을 획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사실 문학적인 측면에서 『들어라 전라북도 산천은 노래다』는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또한 작고한 시인의 작품이 배제되어 있어 연구 범위가 확장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콘텐츠적 측면에서는 매우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가상공간의 활용 측면에서는 더욱 의미가 있다. 이 가상공간은 추후 전북지역의 문화와 관광의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지역의 공간이 관광 콘텐츠를 개발을 통해 새로운 장소성을 확보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e is growing. In this trend, the Jeollabukdo Culture and Tourism Foundation will publish Listen to Sancheon in Jeonbuk Province to establish a cultural and tourism platform in Jeonbuk. This collection of views is significant in that it tried to cover culture and tourism in Jeonbuk through literary works. In this study,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s in Listen, Sancheoneo, Jeonbuk Province were considered. To this end, we checked the specificity of the Jeonbuk area and identified the image of the Jeonbuk area in the novel work with an epic structure. The types were divided into real spaces represented by geographical names and landscapes, and virtual spaces represented by history and figures in order to identify the placeability in the starting product. This confirms that placeability is being formed in real space through direct explan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 virtual space, the space was transformed into a place through historical events, characters, and events resulting from characters, and at the same time, the place was acquired. In fact, in terms of literature, Listen, Sancheoneo, Jeonbuk is a song is less popular. It is also true that the scope of the study was not expanded because the work of the late poet was excluded. However, it is considered very valuable in terms of contents. In particular, it is more meaningful in terms of the use of virtual space. This virtual space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content for culture and tourism in Jeonbuk area in the future. We hope that local space will secure new pla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

      • KCI등재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

        김월덕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ketch a mental map of the oral folktales in Jeonbuk Province by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local storytellers. Folktales in Jeonbuk reflect the spirit of the people of Jeonbuk—a region where history and culture have been zealously guarded. In this paper, a cultural and spatial mental map is postulated. Jeonbuk people live in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experience they have had overcoming and adjusting to their given environment, as shown in their flood narratives. By mapping flood narratives, this paper argues that flood narratives correlat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gion where the storytellers live, and fall into three general patterns. First, flood narratives near the West sea and the coastal area assert that the sea was derived from land. These people who live in coastal areas do not think sea and land are separate. Second, flood narratives of the agricultural hinterland insist that the land used to be sea in origin. The existence of flood narratives everywhere in the Jeonbuk region shows that farming people are deeply conscious of water. Third, flood narratives in the mountainous area in eastern Jeonbuk have a lot to do with the names of places where was regenerated as a result of flood. The people of the mountainous area believe in the regenerative and healing power of the flood or water. By mapping of historical figures, this paper emphasizes three points:(1) In the transmission of folktales of Gyonhwon the King of Hubaekje and Yi Sunggye the King of Joseon, the center and periphery focus on different points. The central area emphasizes the holy birth of the king and expresses the sanctity of royal authority, and the margins put stress on the story of death of the king. (2) Storytellers of Jeonbuk support and back revolutionary figures such as Jeong Yerip, Jeon Bongjun and the Great Buddhist Master Jinmuk. These figures criticized or disclosed the reality of the contradictory and unequal society of the time, and tried to reform the country. (3) The common consciousness that the local storytellers shared was also present in folktales about remarkable figures. Even though these figures, Confucian scholar Yi Seogu, Pungsu Bark Sangyui, and Hong Sungmun, have different status and come from different classes, the figures have similarity to each other because the storytellers share the same realistic aim. 본 논문의 목적은 전북지역 구비설화 중 자연전설과 인물전설을 대상으로 하여 설화 향유층의 심층적 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전북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를 그려보는 것이다. 한국 설화가 한국인의 초역사적이고 초지역적인 보편심성을 투사한다면, 특정 지역의 구비설화에는 그 지역에서 펼쳐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이 역동적으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전북지역의 구비설화를 통해서 설화 향유층의 현실인식과 문화적 사유의 지형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과 자연으로 본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에서는 자연전설로서 홍수설화와 산(山)설화를 대상으로 ‘홍수설화를 통해서 본 생활공간의 생성에 대한 사유’와 ‘귀양지와 이상향으로서 산에 대한 이중인식’을 살펴보았다. 전북지역의 홍수설화는 서해안과 도서지역의 <칠산바다>, 중간 내륙지대의 <행주형(行舟形) 전설>, 동부 산악권의 <고리봉 전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래 육지 또는 섬이었던 고을이 천지개벽으로 바다가 되었다고 하는 <칠산바다>는 바다의 생성과 재생을 이야기하는 해양설화로서 땅과 바다를 둘로 분리해서 보지 않는 서해안 사람들의 자연인식이 투사되어 있다. 서해안 홍수설화의 사유와는 반대로, 먼 옛날의 바다가 오늘의 육지로 변했다고 하는 <행주형 전설>은 농경문화권과 해양문화권이 만나는 중간지점인 평야지대에서 농경을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물에 대한 근원적 의식을 보여준다. 주로 지명유래담으로 전해지는 동부 산간지역의 <고리봉 전설>은 산간지역이 천지개벽 또는 홍수라는 정화 과정을 거쳐 삶의 터전으로 재생된 이야기로서, 이를 통해 치유적 또는 재생적 힘을 가진 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산간지역 사람들의 사유를 엿볼 수 있다. ‘귀양지와 이상향으로서 산에 대한 이중인식’에서는 귀양지와 오지의 상징이 된 지리산과 덕유산 무주구천동이 이상향 십승지지 지역과 겹치는 것은, 모순적이고 배타적인 지배 권력에 대한 설화 향유자들의 비판적 의식과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땅을 추구하는 주체적 의식이 자연스럽게 결합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본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에서는 ‘왕권 창출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인식’, ‘변혁적 저항인과 주변인에 대한 지지와 옹호’, ‘비범한 인물들의 상호 유사성과 향유층의 현실적 지향’을 제시하였다. 옛 후백제 지역은 견훤설화의 중심부로서 견훤 왕의 신이한 탄생과 성장에 초점을 두고 권위와 위상의 신성성을 드러내는 데 집중한 반면, 그 주변부에서는 견훤의 죽음에 집중하였다. 견훤 전승의 중심부에서도 왕권의 신성성이 약화되거나 훼손되어 전해지는 까닭은 후백제의 짧은 역사와 견훤의 비극적 최후를 의식하고 이를 완전히 부정하는 대신 견훤의 신성성을 불완전한 것으로 조율하여 표현했기 때문일 것이다. 전북지역에는 조선건국의 정당성과 왕권 창출에 대한 긍지를 표출하는 중심부의 설화와 조선 건국을 심정적으로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주변부의 설화가 병존하고 있다. 특히 전주의 이성계 설화는 후백제의 멸망에 대한 기억을 불식하고 조선 왕조의 발상지로서 전주를 재인식해 나가는 정치적 과정에 일조하고 있다. ‘변혁적 저항인과 주변인에 대한 지지와 옹호’에서는 정여립과 전봉준을 변혁적 저항인으로, 진묵과 같은 인물을 변혁적 주변인으로 보고, 백 ...

      • KCI등재

        전북지역창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 정책 제언

        유홍진,최석규 한국재정정책학회 2023 財政政策論集 Vol.25 No.3

        전북지역의 청년인구 유출에 따른 인구감소 문제와 소멸위기지역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와 더불어 전북의 창업지원정책의 질적 수준도 미흡하여 전북의창업 관련 경쟁력은 여전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시킬 수있는 정책 제언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창업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북의 성장동력 확보와 일자리 증대 및 청년인구 유출 예방이라는 삼각 목표를 도모할 수 있는 공공부문 정책을 제언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전북지역 창업 관련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통계조사 및 문헌조사를통해 전북지역 창업 실태를 진단하고 전북의 창업정책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일본,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의 기술창업 지원정책이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의 공공부문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기술창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창업지원정책을 전면 재점검하고 신기술 창업 우선순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라북도 창업정책 담당부서는 전북형 팁스 프로그램을 도입하고창업기업 생존 토양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창업 실패의 경험을 자산화하고 재기의 기회를 마련해줌으로써 창업 실패에 따른 위험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 넷째, 창업단계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창업기업 금융지원 시스템 혁신이 시급한 과제이다. 다섯째, 창업기업이 기술개발 등의 핵심사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K-ICT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경영·기술 역량 확충과 인력확보를 위한 원스톱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창업 편의성을 제고하여 우호적인 창업환경을만들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창업지원 네트워크 확대와 함께 딥테크 전문 멘토단을 구성하여 단발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고 14개 시군별 지역특화 딥테크 창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due to the outflow of youth population and the issue of regional extinction in Jeonbuk region are at a serious level. In addtion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the quality of the start-up support policy is insufficient and competitiveness of the Jeonbuk region related start-ups is still low.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f policy suggestions that can solve such problem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public sector policies that can achieve a triangular goal such as securing growth engines in Jeonbuk region, job growth and prevention of the outflow of the youth population by vitalizing startup business in Jeonbuk reg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 diagnosed the actual conditions of start-ups in Jeonbuk region and analysed the start-up policy in Jeollabuk-do through questionnaire study, statistical surveys and literature survey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echnology start-up support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Japan, Israel, and Singapore. The public sector policy of recommend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revitalize technology start-ups, firtst it is necessary to fully reexamine support policies and reconsider priorities of new technical start-ups. Second, the department in charge of start-up policy in Jeollabuk-do should set the goal of introducing the Jeonbuk-style TIPS program within the year,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urvival soil for start-ups expanding step-by-step support for technology start-ups and deep-tech start-ups. Third, the risk burden of failure to start a business should be reduced by capitalizing one’s experience of failing to start a busines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a comeback. Fourth, it is also an urgent task to innovate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for start-ups, such as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funding support, investment attraction, and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specificity of the start-up stage, and expanding financial support for start-up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ifth, in order to enable start-up companies to focus on core businesse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 K-ICT startup mentoring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so that one-stop support for expanding the capabilities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and one-stop support for manpower need to be expanded. Sixth,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friendly business environment by improving start-up conveni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art-up support network and form a deep-tech expert mentor group to support continuous start-up growth.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regional specialized deep-tech start-up clusters in 14 cities and coun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