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신라기 여자 복식의 재현 연구

        권준희(Kweon Jun-hee) 한복문화학회 2017 韓服文化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ototype of female costumes in the Silla era by theoretical research and reproduction of female costumes. In order to this,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historical records and visual materials was conducted. Because the historical data of the Silla era was insufficient, the relic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also included if necessary. Theoretical research was made on hair style, headdress, jeogori(jacket), skirt, pants for each item first, then on the combination of them. Finally an actual costume according to social status was made based on the result. Hair styles were up style hair, chignon and ponytail. Headdress for woman was Gun. There were two kinds of jeogori. one was hip length and the other reached below the knees. There were skirt with stripes of many colors, pleated skirt and double skirt (a short skirt over a long skirt). Pants were also woman’s wear. They wore only one pants or put a skirt on pants. Four combinations of items were examined ;Jeogori · skirt, Jeogori · double skirt, Jeogori · pants, Jeogori · pants · skirt. Long jeogori · skirt and jeogori · double skirt were worn by woman of higher status than jeogori · pants, jeogori · pants · skirt and ordinary length jeogori · skirt. The higher the social status, the more decorative features was added. For example, border decoration of jeogori or double skirt. Also the higher the social status, the roomier clothes were worn. Actual clothes were made in five styles. Four styles were made of silk in purple, red and blue for noble woman. Among them, long jeogori · skirt and jeogori · double skirt were made in purple for the highest status. The other one style, ordinary length jeogori · skirt, was made of hemp in neutral color for common woman. As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prototype of female costumes in the Silla era,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creative design and reproduction of historical dramas. Also, it will be a chance to correct the public’s distorted perception of female costumes in the Silla era.

      • KCI등재

        신한복 저고리에 대한 인식과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안명숙,허승연,차수정 한복문화학회 2020 韓服文化 Vol.23 No.2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women’s hanbok and its online shopping site. It consists of 36 questions, including actual wearing conditions, perception of new jeogori, and preference for design components.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408 adult women over age 20 and older across the country. New jeogori is fast becoming popular nowadays. Thus, this study focused on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perception of new jeogori design and analyzed design preferences on new hanbok’s jeogori. Women over age 60 had the highest experience of wearing and the most possessing new jeogori, and the older had more experience of wearing new jeogori. The most preferred form of jeogori was medium length. While women in the 20s preferred short length jeogori styles, women in the 50s preferred the medium length jeogori styles. The regular fit was more preferred than over oversized or undersized fit, and princess line jeogori was the most preferred. Round git, regular width git, no dongjeong, same color git and dongjeong, front closing with a wide overlap, one goreum, fitted sleeve, and long sleeve designs were preferred. The most preferred jeogori color scheme was a monochromatic color, and accent colors with a solid color piece were next preferred. The most preferred color was achromatic color, red and blue were followed. Contemporary materials were preferable to traditional materials, and the preferable fabric was cotton. Contemporary medium-sized patterns were preferred, and the preferable pattern was a floral pattern. As a pilot study, this research is to inheri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 a new hanbok jeogory sty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istinct jeogori design is needed to develop by different age levels rather than by materials and patterns. Increasing visibility of the values of hanbok, a design framework according to age group, needs to be created. 본 연구는 오프라인 신한복 브랜드 매장에서 살펴본 신한복 저고리와 웹사이트 분석을 바탕으로 신한복 저고리에 대한 착의실태와 인식, 디자인의 형태와 색상, 소재로 구성된 36문항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의 20대 이상 성인여성 4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와서 빠르게 유행되고 있는 신한복 저고리를 중심으로 착용실태와 인식 조사를 하였고, 신한복 저고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디자인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신한복 저고리의 착용경험 및 보유는 60대 이상이 가장 많아, 연령이 많을수록 착용경험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저고리 형태는 중저고리였으며, 20대는 짧은 저고리를 가장 선호하였고, 연령층이 높은 집단에서는 특히 50대에서는 중저고리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핏감은 너무 밀착되거나 헐렁한 저고리보다는 보통의 디자인을 대부분 선호하였고, 저고리 라인은 프린세스라인을 넣은 것을 가장 선호였다. 세부적인 디자인으로는 둥근깃, 보통의 깃너비(4-6cm), 동정없는 저고리, 저고리 깃과 같은 동정색, 겹침이 많은 여밈법, 한 개의 고름, 착붙는 소매형태, 긴팔 소매가 가장 선호되는 디자인이다. 저고리 색상은 단색계열을 가장 선호하였고 단색에 무늬를 부분적으로 넣은 것도 선호도가 그 다음으로 높았다. 저고리 색상계열로는 무채색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 빨간색, 파란색 등을 선호하였다. 소재는 전통소재보다 현대적인 소재를 더 선호하였고, 그 중 면직물을 가장 선호하였다. 저고리 문양은 현대적 문양을 선호하였고, 문양 크기는 중간크기의 문양을 그 중에서도 꽃문양을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고리 디자인 선호도 조사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현대인의 감성에 부합하는 신한복 저고리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큰 의미와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소재나 문양보다는 연령에 따른 디자인에 차별화가 필요하다 생각되고, 추후 연령층에 따른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틀을 개발해 새로운 디자인을 공급해 지속적인 한복 착용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다.

      • KCI등재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복장 직물과 왕비 유씨 저고리 고찰

        이은주,박윤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7

        As a result of the study on BokJang BalWon Memo(腹藏發願文) and Queen Yu’s (Gwanghaegun’ wife, 1576-1623) from the Wooden Statue of Buddha in Sunchal-sa Temple, Andong city, Gyeong Sang Buk-province, Korea, the BalWon Memo shows that the statue was installed on May 26, 1622 and the owner of the Jeogori is Queen Yu revealed from the 9 letter memo, ‘Byung-Ja-Sang Wang-bi Yu-ssi Myung-yui(丙子生王妃柳氏命衣)’, found inside the inner sup of the Jeogori. The study also reveals that the cloths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4 groups : light blue Ju(紬) for Balwon Memo, blue twill damask with no-pattern(無紋綾) for bodice of jeogori, purple To-Ju((吐紬) for sleeve’s end, gussets, collar, sup, fastening strings, greenish blue Ju(紬), and blue satin damask with phenix and floral pattern on the end of sleeve. Note that the purple To-Ju(吐紬) can be considered a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because it is very rare to identify the colors of To-Ju found so far. The Queen Yu’s jeogori is inferred as a newly made clothes or one of her clothes for the statue enshrinement. We propose the name of jeogori as Dan-jeogori(短赤古里) for its length or HoeJang-Jeogori(回粧赤古里) for its special combination of colors. The jeogori has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on various lengths: 49cm in back length, 50cm in front length, 72 cm in Hwa-jang, and 51cm in back width. The way how the jeogori was constructed follows the typical jeogori construction method of Joseon Dynasty period. This study also reports on 4 outer garments for women related with the jeogori of Temple of Sunchal-sa. While the Queen Yu’s jeogori uses higher quality textiles with various colors when compared with others, the jeogori of the Queen and court ladies uses the same purple color and has the same shape. Even though these are from the same period, the two Jang-jeogori are with Dangko-mokpan collar while the Dan-jeogori of the Queen and court ladies are with mokpan collar. We may make a conjecture that the outer wear, Jang-jeogori, accepts the new trend in collar while the inner ware, Dan-jeogori, does not at that time. 경상북도 안동시 仙刹寺 木造釋迦如來坐像은 높이 42㎝의 結跏趺坐한 소형 불상이었는데 발원문과 저고리 외에, 후령통, 다라니 등의 복장유물이 수습되었다. 복장 발원문과 왕비 유씨(광해군 부인 유씨, 1576- 1623)의 저고리를 실견ㆍ조사한 결과, 1622년 5월 26일에 봉안되었다는 사실과 복장 저고리의 안깃 안감 쪽에 기록된 ‘丙子生王妃柳氏命衣’라는 묵서 9자를 통해 왕비 유씨의 장수를 기원한 불사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들이 조사한 복장물에서는 네 종류의 직물이 확인되었다. 발원문은 남색 紬였으며 저고리는 길에 청색 無紋綾을 사용하였고, 소매ㆍ무ㆍ깃ㆍ섶ㆍ겉고름에는 紫色 吐紬를, 안고름에는 청록색 주, 그리고 끝동에 청색 鳳花紋段을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조사ㆍ보고된 직물 유물 가운데 색상을 확인할 수 있는 토주가 수 점에 불과하므로 저고리의 소매와 무에 사용된 자색 토주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다. 선찰사의 왕비 유씨 저고리는 佛事를 위해 새로 제작하여 복장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뒷길이는 49cm이고, 앞길이 50cm, 화장 72cm, 뒷품 51cm이다. 저고리는 길이에 근거하여 ‘短赤古里’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색상의 조합에 의하면 ‘回粧赤古里’로도 명명할 수 있다. 이 저고리는 전형적인 조선시대의 저고리 구성 방식으로 완성되었다. 즉 겉감과 안감을 각각 저고리로 완성한 후 거죽이 맞닿도록 겹쳐 놓은 상태에서 좌우 수구를 박고 겉깃 가장자리부터 겉섶, 도련, 안섶, 안깃 가장자리를 박아 고대 부분에 남겨둔 창구멍으로 뒤집어 완성하였다. 깃에는 풀솜을 얇게 두었으며 고운 홈질로 0.5cm 너비의 가장자리 장식선을 만들었다. 저고리 가장자리에는 5∼7cm 들어온 지점에 세 땀 상침을 하여 안팎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켰다. 특히 도련 부분의 시접은 2cm 내외의 너비로 균일하게 잘라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선찰사 저고리와 관련 있는 4점의 여자 상의류를 살펴보았는데 선찰사 왕비 유씨의 저고리가 더 좋은 소재로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색상도 더 다채로웠다. 그러나 왕비와 상궁 저고리의 형태에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해에 복장된 상의임에도 불구하고 당의형 저고리 두 점은 모두 당코목판깃임에 반하여 왕비와 상궁의 단저고리는 모두 목판깃이었다. 따라서 안에 입는 단저고리보다 겉에 입는 당의형 저고리가 새로운 유행을 더 빨리 수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복장 직물과 왕비 유씨 저고리 고찰

        이은주 ( Lee Eun-joo ),박윤미 ( Park Yoon-m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7

        경상북도 안동시 仙刹寺 木造釋迦如來坐像은 높이 42㎝의 結跏趺坐한 소형 불상이었는데 발원문과 저고리 외에, 후령통, 다라니 등의 복장유물이 수습되었다. 복장 발원문과 왕비 유씨(광해군 부인 유씨, 1576- 1623)의 저고리를 실견ㆍ조사한 결과, 1622년 5월 26일에 봉안되었다는 사실과 복장 저고리의 안깃 안감 쪽에 기록된 `丙子生王妃柳氏命衣`라는 묵서 9자를 통해 왕비 유씨의 장수를 기원한 불사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들이 조사한 복장물에서는 네 종류의 직물이 확인되었다. 발원문은 남색 紬였으며 저고리는 길에 청색 無紋綾을 사용하였고, 소매ㆍ무ㆍ깃ㆍ섶ㆍ겉고름에는 紫色 吐紬를, 안고름에는 청록색 주, 그리고 끝동에 청색 鳳花紋段을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조사ㆍ보고된 직물유물 가운데 색상을 확인할 수 있는 토주가 수 점에 불과하므로 저고리의 소매와 무에 사용된 자색 토주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다. 선찰사의 왕비 유씨 저고리는 佛事를 위해 새로 제작하여 복장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뒷길이는 49cm이고, 앞길이 50cm, 화장 72cm, 뒷품 51cm이다. 저고리는 길이에 근거하여 `短赤古里`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색상의 조합에 의하면 `回粧赤古里`로도 명명할 수 있다. 이 저고리는 전형적인 조선시대의 저고리 구성 방식으로 완성되었다. 즉 겉감과 안감을 각각 저고리로 완성한 후 거죽이 맞닿도록 겹쳐놓은 상태에서 좌우 수구를 박고 겉깃 가장자리부터 겉섶, 도련, 안섶, 안깃 가장자리를 박아 고대 부분에 남겨둔 창구멍으로 뒤집어 완성하였다. 깃에는 풀솜을 얇게 두었으며 고운 홈질로 0.5cm 너비의 가장자리 장식선을 만들었다. 저고리 가장자리에는 5∼7cm 들어온 지점에 세 땀 상침을 하여 안팎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켰다. 특히 도련 부분의 시접은 2cm 내외의 너비로 균일하게 잘라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선찰사 저고리와 관련 있는 4점의 여자 상의류를 살펴보았는데 선찰사 왕비 유씨의 저고리가 더 좋은 소재로 제작되었을 뿐만아니라 색상도 더 다채로웠다. 그러나 왕비와 상궁 저고리의 형태에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해에 복장된 상의임에도 불구하고 당의형 저고리 두 점은 모두 당코목판깃임에 반하여 왕비와 상궁의 단저고리는 모두 목판깃이었다. 따라서 안에 입는 단저고리보다 겉에 입는 당의형 저고리가 새로운 유행을 더 빨리 수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study on BokJang BalWon Memo(腹藏發願文) and Queen Yu`s (Gwanghaegun` wife, 1576-1623) from the Wooden Statue of Buddha in Sunchal-sa Temple, Andong city, Gyeong Sang Buk-province, Korea, the BalWon Memo shows that the statue was installed on May 26, 1622 and the owner of the Jeogori is Queen Yu revealed from the 9 letter memo, `Byung-Ja-Sang Wang-bi Yu-ssi Myung-yui(丙子生王妃柳氏命衣)`, found inside the inner sup of the Jeogori. The study also reveals that the cloths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4 groups : light blue Ju(紬) for Balwon Memo, blue twill damask with no-pattern(無紋綾) for bodice of jeogori, purple To-Ju((吐紬) for sleeve`s end, gussets, collar, sup, fastening strings, greenish blue Ju(紬), and blue satin damask with phenix and floral pattern on the end of sleeve. Note that the purple To-Ju(吐紬) can be considered a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because it is very rare to identify the colors of To-Ju found so far. The Queen Yu`s jeogori is inferred as a newly made clothes or one of her clothes for the statue enshrinement. We propose the name of jeogori as Dan-jeogori(短赤古里) for its length or HoeJang-Jeogori(回粧赤古里) for its special combination of colors. The jeogori has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on various lengths: 49cm in back length, 50cm in front length, 72 cm in Hwa-jang, and 51cm in back width. The way how the jeogori was constructed follows the typical jeogori construction method of Joseon Dynasty period. This study also reports on 4 outer garments for women related with the jeogori of Temple of Sunchal-sa. While the Queen Yu`s jeogori uses higher quality textiles with various colors when compared with others, the jeogori of the Queen and court ladies uses the same purple color and has the same shape. Even though these are from the same period, the two Jang-jeogori are with Dangko-mokpan collar while the Dan-jeogori of the Queen and court ladies are with mokpan collar. We may make a conjecture that the outer wear, Jang-jeogori, accepts the new trend in collar while the inner ware, Dan-jeogori, does not at that time.

      • KCI등재

        기성복 브랜드에 나타난 신(新)한복 저고리의 현황 및 유형 분석 - 9개 브랜드를 중심으로 -

        안명숙 ( An Myung-sook )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1 No.-

        최근 들어 전통한복보다 편하게 디자인된 신한복이 일상생활 속에서 많이 입혀지고 있으며, 다양한 온ㆍ오프라인 브랜드도 많아졌다. 기성복으로 판매되는 신한복 유형을 분석하여 저고리를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인 형태, 색상, 소재, 문양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이러한 신한복 저고리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5년 동안 온ㆍ오프라인을 통해 판매되고 있는 9개 대표 브랜드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저고리 종류는 짧은 저고리가 123개(38.6%)로 가장 많았고, 맞음새는 몸에 어느 정도 맞는 보통의 핏감으로 된 유형이 282개(88.4%)로 가장 많았으며, 저고리 형태는 프린세스 라인이나 다트를 넣은 것보다는 양장식 패턴으로 길을 깎아서 만든 일자형(박스형)으로 된 유형이 255개(80%)로 많았다. 또한 저고리 여밈도 중앙에서 2/3 정도 겹쳐진 여밈의 저고리가 177개(55.5%)로 가장 많았다. 깃모양은 목판깃이 가장 많았으나, 9개 브랜드 중 수설화 저고리는 모두 둥근깃, 웨이유는 모두 목판깃 이었다. 리슬은 당코깃이 가장 많았고 데일리한은 칼깃이 가장 많아, 브랜드 별로 선호하는 깃모양이 있었다. 깃너비는 대부분 5~6cm 정도의 보통 너비를 선호하였으며, 꼬마끄와 웨이유는 3cm 정도의 작은 깃너비 저고리도 있었다. 저고리 여밈은 고름으로 여미는 저고리가 228개(71.5%)로 가장 많았으며, 고름의 색상도 저고리와 같은 색상 고름이 179개(78.5%)로 많았다. 고름의 개수는 대부분 1개의 고름을 사용한 저고리가 216개(94.7%)로 많았고, 웨이유 장저고리의 경우 2개 고름을 이색(異色)으로 달기도 하였다. 소매의 종류는 셋인슬리브 형태의 일자소매가 가장 많았으며 316개(99%), 소매모양은 전통소매의 일자형보다 암홀을 둥글게 파준 양장식 소매가 271개(85%)로 많았다. 소매길이는 긴팔소매 233개(73%)로 가장 많았으며, 끝동이나 절개 등 아무 것도 없는 기본적인 일자형 긴팔소매 198개(62%)로 가장 많았다. 끝동이 있는 경우 긴팔로 비교했을 경우 끝동색은 동색보다 이색 끝동을 한 디자인이 많았다. 칠부소매는 주로 절개를 두어야 해서 딴단을 대어 튼튼하게 하는 방법을 하였다. 소재는 면과 폴리에스테르 100%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 외 레이온 100%도 있었고, 주로 실용성을 위해 면과 폴리에스테르, 면과 레이온, 면과 나일론, 면과 마, 울, 아크릴 등의 혼방직물이 사용되었다. 신한복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요가 많아져 신한복용 새로운 직물 제직이 되어야 제대로 된 신한복 기성복화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색상은 원색에서부터 파스텔색, 무채색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무채색보다는 유채색 저고리가 많았다. 유채색은 빨강, 노랑 등 원색보다는 브라운, 곤색, 버건디, 청록색 등 깊이가 있고 약간 어두운 색상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단색 저고리보다는 무늬가 있는 저고리가 많았으며, 꽃무늬가 있는 저고리가 가장 많았다. 9개 브랜드의 저고리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디자인은 대부분 공통적이면서 나름대로 저고리 길이, 깃 모양, 여밈 방법과 여밈 종류, 소매모양 등 브랜드마다 약간씩 차이를 두면서 디자인의 변화를 꾀하고 있었다.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New-Hanbok Jeogori, the company selected nine representative brands that have been selling New-Hanbok through online and offline stores for past five years. The nine New-Hanbok brands to be studied include Leesle, Ccomaque, Dailyhan, Thegoeun, Coreano, Wayyu, Seorinarae, Soosulhwa and Ryuhwa. One representative Jeogori was purchased from offline stores of nine brands and the survey period of online data was based on Jeogori posted between June 2019 and January 2020. According to the survey, the portion of short Jeogori types was highest, which was 38.6% (123) and the moderate fit bodice was highest, which was 88.4%(283). Rather than having princesses or darts, 80%(255) of Jeogori were made in a box-type pattern. Most Kit shape was Mokpan-kit, and most of them preferred the normal width of 5-6cm. Go-reum was the highest portion of Jeogori Yeomim, which was 71.5% (228) and 78.5% (179) was the same color as Jeogori. The set-in sleeve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form of sleeves while 85%(271) of the sleeves was the embellished sleeves that dug up the armholes rather than the straight ones of traditional sleeves. The long sleeve accounted for 73% (233). The most commonly used textile was cotton and polyester 100%, and 100% rayon was the next. Mixed fabrics such as cotton and polyester, cotton and rayon, cotton and nylon, cotton and hemp, wool and acrylic were used mainly for practical use. Color was various from primary color to pastel and achromatic colors. Colored Jeogori were made more than achromatic colors. There were more patterned Jeogori than monochrome Jeogori. Flower patterned Jeogori was made the most. Since 2014, sales of New-Hanbok have been on the rise every year due to huge interest and purchas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Korean clothes, New-Hanbok, which can be worn in everyday life, have many challenges ahead to develop into a brand that fits the lifestyle and need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settle into a New-Hanbok culture.

      • KCI등재

        18세기 창녕조씨 저고리 직물분석

        이미식(Lee Mee-Sik),홍문경(Hong Moon-Kyung) 한복문화학회 2015 韓服文化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18th century women"s jeogori fabric trends by examining excavated jeogories from the tomb of Lady Changneong-Jo (1721-1742). Total of 25 jeogories were analyzed and then compared with other commonly used fabrics of the time. All the fabrics of 25 jeogories were silk. For fabric construction, combinations of the three fundamental weaves were utilized. There were total of 42 types of fabric: 23 plain weave fabric, 7 twill fabric, and 12 satin fabric. Of these, 32 were patterned fabric. Plain weave fabrics were used on 14 different jeogories. Out of these, 13 patterned plain weave fabrics were observed. The patterned parts were mostly 3/1 right-handed twill. All the twill fabrics were patterned and were used in 5 jeogories. Ground structure was 3/1 right-handed twill. For the patterned parts, 6 pieces were reversed satin, and one was 1/3 left-handed twill. Satin fabrics were used in 11 jeogories. There were total of 12 different types, all patterned satin fabrics(damask). The utilized ground structures were one of the three types: 5 leaf 2 float, 5 leaf 3 float or 8 leaf 3 float satin weave. All patterned parts were reversed satin. In the final analysis, total of 79 jeogori fabrics(bodice & sleeve) used in 18th century, including the pieces from the Lady Changneong-Jo"s tomb were examined. As a result, this study discovered that for 18th Century jeogori fabrics plain weave fabric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satin fabrics and twill fabrics.

      • KCI등재

        사회교육 매체인 붉은 져고리에 나타난 근대 유아교육의 성격

        박보영(Park, Bo Young),정선아()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6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근대 전환기 사회교육 매체인 붉은 져고리에 나타나는 근대 유아교육의 성격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13년 1월~6월까지 발행된 붉은 져고리 총 11호를 분석하 였다. 그 결과 ‘성인과 다른 교육을 해야 하는 유아에 대한 인식’, ‘부모 교육의 강조’, ‘전통사상과 서구사상의 접목’, ‘과학적 지식의 강조’로 근대 유아교육의 성격이 도출 되었다. 붉은 져고리는 유아를 교육함에 있어서 흥미와 재미를 고려하고 유아 시기의 교육을 강조하며 성인과 다르게 교육 하고자 하였다. 또한 붉은 져고리를 가정에서 부모가 유아에게 읽어주어야 하는 매체로 여기며, 부모 교육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붉은 져고리는 전통사상인 ‘수신’을 계승하고, 시대상이 반영된 덕의 함양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서구사상인 ‘노력’을 통해 구국해야 함을 메시지로 담아 유아를 교육하고자 하며, 전통사상과 서구사상을 접목하였다. 마지막으로 붉은 져고리는 과학적 지식과 수리 사고력을 요하는 코너를 제공함으로써 과학적 지식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근대 전환기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교육 매체인 붉은 져고리에 나타난 근대 유아교육의 성격을 분석하여 근대 전환기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제도교육과 함께 사회교육이 한 축으로 있었음을 밝힌 것에 그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Red Jeogori’, which was a public education media in modern transitional period. In order to discuss it, the paper examines eleven ‘Red Jeogori’,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January to June in 19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Red Jeogori’ aimed to educate the child unlike the adults considering interests and fun. Second, ‘Red Jeogori’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medium by their parent reading it for their children. Third, ‘Red Jeogori’ grafted traditional ideas onto Western ideas by inheriting the traditional idea ‘sushin’, cultivating virtues that was reflected the society, and emphasizing the Western ideas ‘endeavor’ to save the country. Forth, ‘Red Jeogori’ had an emphasis on the scientific knowledges by giving to columns of science and math. In conclusion,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revealing the importance of ‘Red Jeogori’ in social educational system with a public education on as the educational media at the modern times.

      • KCI등재

        보물 백담사(百潭寺) 복장 저고리 직물 문양 고찰

        안보연,강서영 한국복식학회 2022 服飾 Vol.72 No.6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n textiles used for the Jeogori originally placed and later discovered inside the wooden seated Amitabha housed at Baekdamsa temple. These patterns have been schematized more precisely on the basis of hyperspectral images, an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have been analyzed on the basis of related records and artifact materials. A total of three types of textiles were used for the Jeogori. A satin textile is used for the Gil (front and back panels) of the Jeogori with a pattern incorporates chrysanthemums and orchids into a continuous Wan (swastika)-inspired background pattern. The combination of chrysanthemums and orchids signifies “spring orchids and autumn chrysanthemums” and is also frequently found on other excavated artifacts from the 17th century onward. Used for the Kkeutdong (cuffs) of the Jeogori is a satin fabric with a pattern where a small flower pattern is added to a continuous Gong-charactered pattern in the background. This is a rare type not found on other textile artifacts from the same era. Used for the Git (collar) and the Gyeonmagi (underarm outer patches) of the Jeogori is a satin fabric depicting a dragon and phoenix pattern. The dragon and phoenix pattern harmoniously combines elements of the dragon pattern and the phoenix pattern that were fashionable during this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gon and the phoenix, respectively, conform to the age as well. The textiles used for the Jeogori are characterized by a very clear demonstration of epochality yet also use types of patterns that are not found often on artifacts from the same era. Given the period from which this Jeogori originates is certain, the garment will serve as a good material for such characteristics to become epochal indices of patterns that will be newly excav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전통 배냇저고리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가치에 관한 연구

        안귀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As the birthrate has rapidly fallen, increasingly high expectations have been placed on thosechildren who are born and they are the focus of great attention. As a result, the level of emotionassociated with goods for infants and children has been continuously rising. Baenaet jeogori ismeaningful because people get to wear it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so a study on thetraditional Baenaet jeogori was conducted to prepare basic data for suggesting its design inorder to satisfy such expectations. For this, efforts were made to study the cultural backgroundof traditional society and clothes for newly born babies and to select 20 pieces of Baenaetjeogori remains and analyze their formative attributes.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Baenaetjeogori was very different in shape than that for adults. In detail, traditional Baenaet jeogori hadbreast ties but no collar due to the body structure of babies and functional necessity and for theconvenience of users. Some had skeins of thread for breast ties signifying the hope for thehealth and longevity of babies. There also were some with poor needlework and hem treatmentor with the seam allowance shown externally. In addition, observations were made about the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Baenaet jeogori which appeared following the customs or tastesof different regions and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aesthetic values werediscovered from the observed Baenaet jeogori. The beauty of functions was revealed as practicalshapes chosen for new-born babies and it played a prominent role. The beauty of bixieappeared informative efforts to conceal babies from evil spirits. The beauty of personalitycombined with the virtue of moderation was revealed from plain and simple shapes and colors. The beauty of nature was manifested through using unprocessed natural colors and materi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and ideas to conceive designs of themodern Baenaet jeogori through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아이에 집중되는 기대와 관심은 더욱 높아져 유·아동제품에 요구되는 감성의 수준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배냇저고리는 일생에서 최초로 접하게 되는 의미 있는 옷으로, 그 기대에 부응하는 디자인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전통 배냇저고리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신생아의상에 대해 고찰하고, 배냇저고리 유물 20점을 선별하여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 배냇저고리는 성인 저고리와는 다른 독특한 비율의 조형이며, 세부적으로는 아기들의 신체구조와 기능상의 필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깃을 없애거나 긴 고름을 다는 등의 특징이 있었다. 아기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며 실타래를 고름으로 단 것도 있으며, 바느질과 가장자리 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시접을 겉으로 나오게 한 것도 있었다. 그 밖에 각각의 배냇저고리에서 지역의 풍습이나 취향에 따라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을 관찰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관찰한 배냇저고리의 조형적 특성으로부터 기능미, 벽사의 미, 인격미, 자연미를 유추할 수 있었다. 전통 배냇저고리의 기능미는 갓 태어난 아기를 위해 선택된 실용적 조형이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면서 발현되었고, 벽사의 미는 악령으로부터 아기를 은폐하기 위한 조형적노력에서 나타났으며, 검소하고 소박한 형태와 색상에서는 중용의 덕을 겸비한 인격미가, 가공하지 않은 색과소재의 사용으로 자연미가 발현되었다. 이상과 같이 전통 배냇저고리의 조형적 특성과 그 미적가치를 규명함으로써 특별한 의미와 기대를 담고 있는 배냇저고리의 디자인 구상을 위한 기초자료와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본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저고리 세부 구조의 발생과 그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채금석(Keum Seok Chae) 한국복식학회 2005 服飾 Vol.55 No.1

        To find our own individuality, there must be an active study on jeogori which is an unexplored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rtistic beauty and predominance of jeogori and recognize it as a precious culture, and also encourage interest about traditions. The range of this study is ancient times to Chosun dynasty, and in this study which will be the first part, the range is till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The study about jeogori is based on mural paintings of Goguryeo burial mounds, clay dolls and remains during Shilla, Beakjae, and United-shilla era.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1. research the origin of jeogori`s detail structures and changes of the form, 2. analyze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jeogori in each era, and therefore 3. find the predominance of Goguryeo costume by considering functional and design aspects.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bout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are First, jeogori of the three kingdom era were developed from ancient times caftan style which Korea, China and Japan wore all together. Second, the structure of the jeogori during the Three Kingdom are ryeongeum, gil, somae and seon. Third, there is a special line that starts from the neckline and ends at the hem line which should be called ryeongeum in my opinion. Forth, while researching Goguryeo murals there were both left and right sided open jeogori. therefore, I would like to set up a new theory that during the ancient times to Three Kingdom era, not did Chinas clothing effected the Korean costume but the costume in east asia shared their forms all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