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지역의 협력(수눌음)형사회적 자본 증진방안 연구

        김인성,오윤정,황경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4 탐라문화 Vol.0 No.45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는 하위요인 중에서 제주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인 협력요인을 도출하고, 협력(수눌음)형 사회적 자본으로 역할했던 제주의 향토자원을 조사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제주지역의 사회적 발전을 이끌 동인인 협력형 사회적 자본 증진 전략을 제안하였다. 첫째, 경제적 어려움 극복과 수익창출을 위한 협력형 사회적 자본 증진전략으로써는 농업부문 현장에서 수눌음의 협력체계를 만드는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재해 등 자연재난에 대한 대처형 사회적 자본에 대한 증진 전략으로써 과거의 출력형태나 새마을운동시 노력동원 등의 정신이 살아나는 마을만들기 형태를 제안하였다. 셋째, 마을에 대한 사안별 봉사형태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증진 전략으로써 마을제를 활성화시키고, 다문화가족과 북한이탈주민, 그리고 외국인에게 봉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drew one factor (Cooperation) among sub-factors that measure social capital in order to explain social capital in Jeju community. This study also examined and classified local resources that played a role as cooperative (sunurum)-type social capita in Jeju. This paper suggests strategies of expanding cooperative social capital which can be a driving force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Jeju region. First, as a strategy of expanding cooperative social capital for overcoming financial difficulty and creating profits, Sunuleum, Jeju’s special system of exchanging labors, should be established in agricultural sector. Second, as a strategy of expanding social capital for dealing with crisis such as natural disaster, villages should have a spirit of volunteering and joining forces to make better community like the one we had during the new community movement called Saemaeul Movement. Third, as a strategy of expanding volunteering type social capital, each village should have annual village ritual and establish volunteer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North Korean defectors and foreign residents.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진창남 ( Jin Chang Nam ),심경수 ( Sim Kyung S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제주 인구의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나 노후생활 준비는 미흡하며, 노인의 4고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퇴직 후 소득 공백을 해소할 재취업 등 일자리 제공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의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자본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하위요인을 네트워크, 신뢰, 규범으로 설정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 시니어클럽과 주민자치센터에서 실시한 노인일자리 참여 노인 216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일자리에 참여한 노인들의 참여 유형 중 환경 개선형 공익활동은 규범이나 사회적 자본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네트워크, 신뢰, 사회적 자본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주 노인의 욕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일자리의 마련, 생계형 일자리의 확대, 마을의 특성과 연계된 일자리의 개발, 노동·휴식·보람을 얻는 일자리의 발굴, 노인평생교육 운영 방안 조성 등 참여 만족도를 제고하고,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을 활성화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opulation of Jeju is rapidly aging, but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is insufficient. In order to solve the four(4) troubles of the elderly, it is required to provide jobs such as reemployment to eliminate the vacancies afte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job on the social capital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e sub-factors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were set as network, trust and norm.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216 seniors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job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District Senior Citizen`s Center and Citizen`s Self-governing Center were finally used. Utilizing SPSS 18.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mong the participation types of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job,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type public service activities negatively affect the norm or social capital as a whole, and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ly the network, the trust and the social ca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was improved regarding the provision of customized jobs to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in Jeju, the expansion of livelihood jobs, the development of jobs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s, and the finding jobs to fit their goals, and sugges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ctivating the social capital of participating elderly people.

      •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의 주변성과 의료

        김호 ( Kim H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본고에서 필자는 제주의 주변성-중앙에서 먼 섬이라는 자연환경과 성리학의 늦은 확산으로 인한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사족 형성이 지체되었을 뿐 아니라 질병 치료를 무당에 의지했던 문화적 특징들로 인해, 사족의 자발주의에 기초했던 의국의 지속적 운용이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선초부터 중앙정부는 제주에 審藥을 파견하여 진상 약재를 관리했을 뿐 아니라 의학교수를 두어 의생을 양성했다. 15세기에는 제주목 관아에 약국을 설치했고, 이는 16세기 중엽까지 유지되었다. 17세기말 제주목사 윤계는 대정현과 정의현의 지방관들과 협력하여 의국 운영을 위한 기금을 마련하고 의국[回春局]을 개설했다. 약국이 주로 중앙에 진상하는 약재 창구였다면, 의국은 제주민을 위해 약재를 무역하고 약물을 제조․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18세기 초까지 운영되던 의국은 18세기 중엽 이후 폐지되었는데 자발적 참여가 아닌 職役으로 운영되자 사족들이 점차 손을 뗀 것으로 보인다. 19세기초 제주의 신임목사들은 의국의 재건을 시도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요컨대, 제주 의국은 17세기말에서 18세기 초반에 활발하게 운영되었는데, 윤계나 이형상과 같은 열성적인 지방관과 유의 진국태의 협조가 어우러질 때 가능했다. 특히 이형상은 무당을 철저하게 배격한 후 사족 자제들을 의생으로 길러 의국 운영을 맡길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형상이 제주를 떠나자 바로 신당과 무당의 굿판이 재개되었다. 성리학의 더딘 확산과 사족 형성의 지체로 인한 사회 자본의 결여는 사족 자발주의를 토대로 한 제주 의국의 지속적인 운영을 어렵게 만들었던 근본적인 요소였다. In this paper, I argued that the formation of local literati was delayed due to the peripheral characteristics of Jeju-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island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caused by lack of Neo-confucianism, which made it impossible for the local hospital to continue, which had been operated by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literati in Jeju. Since early in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has not only dispatched doctors to Jeju to manage the medicinal herbs, but also trained medical students. In the 15<sup>th</sup> century, a local pharmacy[藥局] was established in the Jeju government office, which was maintained until the mid-16<sup>th</sup> century. At the end of the 17<sup>th</sup> century, Jeju Governor Yoon-gye worked with two local magistrates to raise funds for the operation of the local hospital[醫局] and open it. While the local pharmacy was a branch for offering local herbal medicine, the local hospital was responsible for trading medicines and manufacturing and supplying drugs for Jeju residents. As the local hospital that operated until the early 18<sup>th</sup> century were abolished after mid-18<sup>th</sup> century. The local literati gradually withdrew their hands when they were mobilized to operate the local hospital on a duty even if they were not when participated voluntarily. In the early 19<sup>th</sup> century, the new governor of Jeju attempted to rebuild the local hospital, but failed to achieve his goals. The local hospital in Jeju was most active in the late 17<sup>th</sup> and early 18<sup>th</sup> centuries, when enthusiastic provincial governors such as Lee Hyeong-sang and Yoon Gye, and doctor Jin Guk-tae were combined together. In particular, after thoroughly removing shamanism, provincial governors Lee Hyeong-sang planned to raise local literati as doctors to take charge of the operation of the local hospital. As soon as Lee Hyeong-sang left Jeju, the shaman’s exorcism resumed. The absence of Neo-confucianism and the slow formation of local literati meant lack of social capital, which became a fundamental factor that made it difficult for the continuation of local hospitals that had been operated on the basis of literati’s spontaneity.

      • KCI등재후보

        Jeju Island Women Divers' Association in South Korea : A Source of Social Capital

        Kim, Soon-He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3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9 No.1

        Community-based voluntary organizations have been described as playing significant roles in promoting social capital. This paper looks at the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a group of Korean women known as jamsu-professional women divers-and Jamsuboe-a voluntary organization whose name can be translated as the Association of Women Divers on Jeju Island. These women, who primarily dive for seaweed and shellfish, have been significant social and economic actors in community development on the island. Coleman's social capital theory is used to evaluate the role of Jamsuboe as a source of social capital, including values and norms, authority relations, neighborhood connections, and civic engagement. Factors leading to the loss of social capital created by Jamsuboe are also discussed. Finally, the major implications of civic engagement and voluntary organizations are reviewed.

      • KCI등재후보

        Jeju Island Women Divers’ Association in South Korea:A Source of Social Capital

        Soonhee KIM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03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9 No.1

        Community-based voluntary organizations have been described as playing significant roles in promoting social capital. This paper looks at the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a group of Korean women known as jamsu―professional women divers―and Jamsuhoe―a voluntary organization whose name can be translated as the Association of Women Divers on Jeju Island. These women, who primarily dive for seaweed and shellfish, have been significant social and economic actors in community development on the island. Coleman's social capital theory is used to evaluate the role of Jamsuhoe as a source of social capital, including values and norms, authority relations, neighborhood connections, and civic engagement. Factors leading to the loss of social capital created by Jamsuhoe are also discussed. Finally, the major implications of civic engagement and voluntary organizations are reviewed.

      • KCI등재후보

        濟州特別自治道의 對外交涉 法制

        Kim Boo Chan(金富燦)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6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6 No.2

        제주도는 지난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제주자치도특별법에 따라 특별자치도 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제주도는 특별자치도로서 자치입법권을 비롯하여 자치행정권, 자치조직 인사권 및 자치재정권 등 자치권이 강화되고 자치도와 주민 스스로 국제자유도시 의 발전 방향을 정하고 책임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과 책임을 갖게 되었다. 제주자치도특별법은 종전의 제주도에 적용되고 있는 각종 법령상 행정규제를 폭넓게 완화하고 중앙행정기관의 권한을 대폭 이양하며 투자 인센티브를 확대함으로써 지금까지 지지부진 하던 국제자유도시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이를 통하여 국가발전에 이바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주도는 그동안 정의로운 복지공동체를 건설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의 냉전을 허물고 평화를 가져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스로를 평화의 섬 으로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여 왔다. 분단으로 인한 4ㆍ3 의 상처와 아픔을 간직한 20세기를 뒤로 하고 21세기 제주의 미래를 이끌어 갈 비전과 발전전략으로서 세계평화의 섬 구상이 학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제시되어 왔다. 9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는 지자체 차원에서 세계평화의 섬 구상을 정책화하고 법ㆍ제도적 차원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배경 하에 지난 99년에는 「제주도개발특별법」 개정을 통하여 국가가 제주도를 세계평화의 섬 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는 2002년 4월에 발효되어 시행되어 왔던 국제자유도시특별법과 지난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제주자치도특별법에서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정부는 2005년 1월 27일 제주도를 동북아 평화와 한반도 교류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취지에서 세계평화의 섬 으로 지정ㆍ선포한 바 있다. 제주자치도특별법은 국제자유도시와 세계평화의 섬을 지향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법적 지위와 위상, 그리고 권한과 책무에 관한 기본법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주자치도특별법은 자치분권의 확대와 국제자유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조세 특례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국제자유도시 및 세계평화의 섬으로서의 제주도의 국제적 지위와 역할을 확립할 수 있도록 배려한 흔적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오늘날 세계화, 정보화, 지방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들이 직접 국제교류 및 협력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특히 무역ㆍ통상ㆍ원조ㆍ지역협력 등 전통적으로 중앙 정부에 의하여 추진되어 오던 분야에 대해서도 지방자치단체가 관여하는 모습이 일반화됨으로써 외교의 성격 및 주체에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지방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국제교류ㆍ협력 사업은 이제 이른바 지방외교라는 이름으로 그 역할이 공식화되고 정당화되는 시기를 맞게 되었다. 따라서 이번에 제주특별자치도 법제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제주자치도의 자치권의 확대와 관련하여 대외업무에 관한 자율성 강화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는 외교 사항이 절대적 국가사무라고 전제하는 데서 벗어나서 지방의 외교 문제를 적극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대외교섭 업무의 법제화에 관해서도 관심을 가질 시점에 와 있다고 본다. 특히 제주자치도는 국가적 차원의 자치분권화를 위한 시범자치도로서의 역할을 수행 하도록 요구되고 있으며 한반도 및 동북아 국제평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세계평화의 섬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지방자치단체의 법적 지위만을 근거로 해서는 그 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제주자치도는 국제자유도시 개발을 경제활성화를 위한 핵심적 전략으로 추진하고 또한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정착을 위한 세계평화의 섬 구상을 구체적으로 추진하면서 외자 유치 및 통상협력과 평화교류ㆍ협력 차원의 대외업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정부와 제주자치도는 국제자유도시이자 세계평화의 섬인 제주도에 사람ㆍ상품ㆍ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고 평화 사업을 통하여 지역 및 국제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대외업무 및 교섭에 관한 권한을 강화하고 관련 법제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Jeju (Province) has striven to be the key region to develop the nation as well as Jeju and improve living condition and social welfare by making Jeju into a competi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ree International City under 「the Special Act on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since 2002. Recently Jeju, Which is establishing itself as a free international city, introduces an advanced self-governing community model based on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Central Government and Jeju Province jointly forwarded the plan to transform Jeju into a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order to promote the free international city project. Jeju (Island) has been also engaged in building an Island of World Peace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just welfare community and the replacement of cold war relics wit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The idea of Jeju as an Island of World Peace was proposed mainly by the academia and civil society as a vision and development strategy for a new future of Jeju in the 21st century. It wa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at in 1999 「the Special Act on Jeju Development.」 was revised, thus providing a legal basis for designating Jeju as an Island of World Peace. This legal rationale was further supported and strengthened in Article 12 of 「the Special Act on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The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Creation of Free International City」(hereinafter cited as Special Act )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became effective on July 1, 2006. Accordingly Jeju Province could obtain a special legal status as the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Central Government s affairs and authority were drastically transferred to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But, there is no quasi-governmental authority and special legal institutions in the Special Act for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 make an external relations for inducing foreign capital and promoting peaceful cooperation with other foreign local entities. An effective execution of the projects for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nd Island of World Peace would require more strong and systematic approach to build up the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oundation including a diplomatic competence for mutual cooperation and division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by the central Governmen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other non-State actors.

      • KCI등재

        제주섬에서 보는 생명․생태․평화의 삼중주

        윤용택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1 No.-

        대륙과 대양을 잇는 지리적 요충지에 위치한 제주섬은 전국의 1퍼센트 남짓한 면적과 인구를 가지고 있어서 정부정책의 시범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제주섬은 인적 물적 자원이 제한되어 있으면서 제주4.3을 비롯한 뼈아픈 역사, 화산섬이라는 독특한 자연환경, 수눌음과 계(契) 등의 공생과 상생의 문화 등을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제주섬은 희망과 좌절, 가능성과 위험성이 상존한다. 한국현대사의 비극이요, 냉전체제가 빚어낸 세계사적 사건인 제주4.3은 분쟁과 갈등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이제 제주섬은 생명과 살림, 화해와 상생의 섬으로 거듭나야 하고, 평화와 인권의 교육장으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주섬은 갈등과 분쟁이 소멸되는 블랙홀이자 평화가 샘솟는 화이트홀이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제주섬은 중무장 군사기지의 섬 대신에 비무장 평화의 섬으로 나아가야 한다. 생명체든, 생태계든, 인간사회든, 모든 살아있는 체계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끼리, 그리고 안팎의 또 다른 살아있는 체계들과 공생하고 상생하면서 살아간다. 따라서 공생과 상생은 당위 이전에 존재의 법칙이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이며, 생명의 바탕이요, 생태와 평화의 핵이다. 생명, 생태, 평화는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고 있어서, 어느 하나가 결여되더라도 나머지 것들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잘 보전된 생태계는 생명과 평화의 기본조건이다. 적극적 평화가 생명의 안전을 넘어 행복한 삶을 보장하는 것이라면, 환경과 생태계를 잘 보전하는 것은 평화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세계적으로 도시화 경향이 뚜렷하고 저 그대로의 자연이 점점 사라지는 현대적 추세에 비춰볼 때, 제주섬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자연은 그 자체가 영구 보전해야 할 인류의 자산이다. 따라서 거대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을 지향하는 정책은 근본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옛 제주사람들이 꿈꾸었던 이상향인 이어도는 다름 아닌 생명․생태․평화의 섬이었다. 그리고 제주섬의 전통문화 속에 이미 생명존중, 생태보전, 공존공영의 사상이 들어 있었다. 오늘날 제주섬도 인간끼리 상생하고, 자연과 공생하는 희망의 섬이 될 수 있다. 생명․생태․평화의 섬 제주는 생명, 생태, 평화의 삼중주를 연주하면서 동아시아와 전 세계에 생명, 생태, 평화의 공명을 일으키는 섬이라야 한다. Jeju Island located between Asian continent and Pacific ocean is the area of vital strategic impotance. It has about 1% of the population and area of South Korea, and serves as the test bed of national policies. It has th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the painful history like the Jeju April 3rd, and the communities like Suneuleum and Gyeu. Accordingly there are hopes and frustrations, potentialities and risks in Jeju island all the times. The Jeju April 3rd Incident was the great tragedy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world historic event happened by the U.S.A.- U.S.S.R. confrontation. Jeju island is to be the symbol of life and reviving, reconciliation and partnership, and the cultivation of peace and human right. Jeju as the island of world peace is to be the black hole vanishing conflicts and the white hole welling peace. So, Jeju island is to be the demilitarized island of world peace instead of the heavily armed navy base. All living systems ― organisms, eco-system, and human society etc. ― live together their members and other living systems. For this reason, cooperation and partnership are the principles of being prior to what should be, and the highest values we should pursue. Cooperation and partnership are the core of life, ecology, and peace. And the life, the ecology, and the peace need and depend on one another. Well preserved ecosystem is essential to life and peace. If the positive peace guarantees happy lives, it needs well preserved environment and ecosystem. There is growing tendency of urbanizing and vanishing wild natural environment all over the world. Uncultivated nature in Jeju island is the natural heritage to be preserved permanently. For these reasons, the policy of large scale development by big capital is to be revised. Ieodo(the island of paradise) dreamed by the old Jeju islanders was nothing but the Life-Eco-Peace Island. And the thoughts of respecting lives, preserving nature, coexistence, and prosperity have been already contained within Jeju island's traditional culture. The Jeju island of today can become a hopeful island which man coexists with nature in. The trio of life, ecology, and peace should be played in Jeju Island. And the resonance should be produced in East Asia and all over the world.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수도권 화물의 항만선택 결정에 관한 연구-제주 S 생수 사례를 중심으로

        조삼훈 ( Jo Sam-hoon ),박성훈 ( Park Sung-hoon ),여기태 ( Yeo Gi-tae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8 해운물류연구 Vol.34 No.1

        제주 S 생수 화물의 유치를 위한 수도권 항만의 경쟁이 예측된다. 본 연구는 제주 S 생수 화물의 수도권 항만선택을 분석하기 위해 항만운영사, 물류기업, 선사, 화주 총 4개 집단을 대상으로 컨조인트(Conjoint) 분석을 실시하였다. 항만운영사의 경우 경인항(김포터미널)이 가장 높은 효용치를 보였으며, 물류비용은 28,000∼33,000원/톤, 리드타임은 1.0∼1.5일, 항차수는 10∼13항차/월이 매우 높은 효용을 보였다. 물류기업의 경우 평택항이 가장 선호하는 항만으로 나타났으며 물류비용은 28,000∼33,000원/톤, 리드타임은 1.0일∼1.5일, 항차수는 10∼13항차/월이 가장 높은 효용을 나타냈다. 선사집단의 경우 평택항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왔으며, 물류비용은 28,000∼33,000원/톤, 리드타임의 경우 2.0일∼2.5일, 항차수는 3∼6항차/월이 도출됐다. 화주의 경우 경인항(김포터미널)이 가장 높은 효용치를 보였으며, 물류비용에서는 가장 비용이 높은 40,000∼45,000원/톤, 리드타임의 경우 1.0일∼1.5일, 항차수는 10∼13항차/월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rts’ competition in the capital area for gathering Jeju S mineral water cargoes is expec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rt selection decisions for Jeju S mineral water capital area cargoes using conjoint analysis. Considering the review of the results of utility values of individual factors selected by individual groups by level, in the case of terminal operation companies, Gyeongin port (Kimpo terminal) showed the highest utility value among all ports, showing 28,000∼33,000 won/ton, which is the highest utility value for logistics costs, 1.0∼1.5 days, which is the highest utility value in terms of lead times, and 10∼13 voyages/month, which is the highest utility value in terms of number of voyages. In the case of logistics firms, Pyeongtaek port was the most preferred port with 28,000∼33,000 won/ton in terms of logistics costs, 1.0∼1.5 days in terms of lead times, and 10∼13 voyages/month in terms of number of voyages. In the case of shipping company groups, Pyeongtaek port was the most preferred port with 28,000∼33,000 won/ton in terms of logistics costs, 2.0∼2.5 days in terms of lead times, and 3∼6 voyages/month in terms of number of voyages. In the case of shippers, Gyeongin port (Kimpo terminal) showed the highest utility value among all ports with 40,000∼45,000 won/ton, which is the highest cost in terms of logistics costs, 1.0∼ 1.5 days in terms of lead times, and 10∼13 voyages/month in terms of number of voyag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창조계층으로서 문화예술인들의 제주이주와 그것이 지역관광에 미치는 영향

        부혜진(Bu, Hye J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최근 수년간 지속되어 온 문화예술인들의 제주이주 현상은 창조계층의 농촌이주 사례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플로리다의 창조계층이 개방적이고 다양성을 지닌 도시를 선호한다는 것과도 차이를 보이고, 지역적 맥락에서도 이들이 지역사회와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창조계층으로서 문화예술 이주자들은 제주도의 농촌에 정착하고 그곳에서 의 창작 · 전시 · 판매활동을 통해 농촌 이미지 전환과 관광공간의 확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쳐왔다. 그 과정에서는 마을의 인문 · 자연환경의 재현을 통한 마을상징의 재발견, 디자인상품 개발을 통한 마을의 브랜드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활동이 지역 내 창조계층의 성장에도 영향을 줌으로써 지역관광의 발전에 일조하고 있다. The recent migration of cultural artists to Jeju Island can be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rural migration of a creative class. This phenomenon shows distinctions from Florida`s Creative Class who prefers cities with openness and diversities. Furthermore, they are expected to influence on local societies and economy within a local context. Culture and arts migrants have settled in rural areas of Jeju Island and directly influenced the transformation of rural images and the expansion of tourism spaces into rural areas through their activities such as creation work and exhibition, sales. In the process, rediscovery of village symbols and development of designed products through representation of the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of the villages have contributed to village branding. In addition, such activities have also promoted the growth of the local tourism by influencing the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the Creative Class within Jeju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