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국가 역법과 이데올로기적 시간체계 -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을 중심으로 -

        안주영(An, Ju Young)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2 No.-

        개항 이후 1896년, 서구의 태양력인 그레고리력이 도입되며 국가의 시간체계는 전통적인 태음태양력과 서구의 태양력이라는 이중적인 시간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다. 1897년 대한제국기에 들어서며 국가경축·의례일은 역서에 공식적으로 표기된 중요한 국가의 시간으로 더욱 부각되었으며, 매년 발행되는 국가 역서의 시간은 도시민의 일상을 새롭게 규정하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1911년부터 1936년까지는 『조선민력』이라는 이름으로, 1937년부터 1945년까지는 『약력』이라는 이름으로 해마다 역서를 발행하여 배포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식민통치는 국가의 시간에 의한 규제로서 더욱 강화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서구 근대 양력의 도입과 더불어 황국신민화 정책과 결합된 이데올로기적 시간체계로서 식민지 국가의 역법체계를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국가 시간의 질서를 대중화·일상화 시키고자 하였다. 조선총독부가 편찬·반포한 일제의 양력 역서에서는 ‘황국신민’을 위한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이 전면에 가장 강조되어 표기되었다. 일제강점기 전반의 국가 시간을 규정한 『조선민력』은 전통과 근대가 혼재된 달력이자 과도기적인 달력이었고, 태양력과 함께 일요일과 일제의 국가축제일을 전면에 내세운 식민지 국가의 공식적인 달력이었다. 『조선민력』에서는 기존의 태음태양력을 ‘구력(舊曆)’으로 규정 지으면서도 양력과 병기하여 기재함으로써 이중적인 시간의 구조를 유지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일제의 국가 역법체계는 일제강점기 후반인 1937년에 『조선민력』에서 『약력』으로 전환되며 크게 변동되었다. 『약력』에서 태음태양력의 날짜는 축소·삭제된 반면, 기존의 국가축제일에 더해 새로운 국가기념일들을 대거 추가시켰으며, 일제가 내세운 황국신민화 정책, 국가 의례와 관련된 각종 부록들을 새로 추가시키기에 이르렀다. 조선총독부는 해마다 조금씩 역서의 내용과 구성을 수정해나가며 일제의 황국신민을 중심으로 한 국가 이데올로기를 역법 체계에 직접적으로 반영시키고자 하였다. 조선의 전통적인 태음태양력과 근대의 새로운 역법인 태양력의 이중적인 시간 구조는 『조선민력』에서 두 개의 시간체계로서 공존하고 있었으며, 새롭게 등장한 일제의 국가축제일은 새로운 국가 시간의 리듬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후 새롭게 재편된 역서인 『약력』에서는 일제의 ‘황국신민’이라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더욱 직접적으로 반영된 태양력의 시간으로 일원화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국가의 표상으로서 일제의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이 새로운 시간의 리듬을 형성하고 있었다. In 1896 with the port opening, the Gregorian calendar (the Western solar calendar) was introduced, and the national time system came to have a dual time structure: the traditional lunar-solar calendar and the Western solar calendar. In 1897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the national ritual days became more prominent as an important national time officially marked in the almanac. The time of the national almanac published every year has begun to define the daily life of city dwellers agai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published and distributed the almanac every year under the name of “The Joseon People’s Calendar(朝鮮民曆)”(1911~1936) and “The Simple Calendar(略曆)”(1937~1945).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tried to promote the new order of popular and ordinary national time by forming a calendar system of the colonial state as an ideological time system combined with the imperial deification polic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Western calendar. In the Japanese colonial calendar compiled and promulg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the national festival days and national anniversaries for the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皇國臣民)” were mostly emphasized and marked on the front. 『The Joseon People’s Calendar』, which regulated the national time of the first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transitional calendar where traditional and modern calendars are mixed. It was the official calendar of the colonial state that emphasized the solar calendar, Sundays and the Japanese national festival days. In 『The Joseon People’s Calendar』, the existing lunar-solar calendar was defined as ‘the old calendar’. However, it maintained a dual structure of time by marking the old calendar together with the solar calendar. Such a national calendar system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changed greatly in 1937,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Simple Calendar』, the lunar-solar calendar dates were reduced or deleted. On the other hand, new national anniversaries were add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national festival days. Furthermore, various annexes related to colonial policies of subjecting to Japan and national rites were newly adde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attempted to directly reflect the national ideology centered on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in the calendar system by revising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almanac little by little each year. The dual temporal structure of the lunar-solar calendar and the solar calendar in 『The Joseon People’s Calendar』 became a unified time that more directly reflected the national ideology of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in 『The Simple Calendar』. At the center of the ideological time system of the colonial state, the national festival days and national anniversaries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were defined as the modern solar calendar, were positioned as nation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과 아동문화 교육 ― 삽화와 교육적 의도를 중심으로

        장영미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39 No.-

        This study analyzed the illustrations and texts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Japanese education on children's culture. The text noted in this study is the Joseon language reading in the Fourth Order of Education (1930-1935). According to the stud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ctively utilized the Joseon language book in line with its colonial policy, and provided children with the education of assimilation by introducing the natural harmony between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or the life, culture, values, and new cultures of the Japanese Empire. In other words, the Japanese colonized Joseon, their purpose in the name of public education, and conducted fairy tales and first-line discussions to justify it. The purpose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o make children of Joseon full-fledged believers in the empire was revealed,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confirmed its intention to make them naturally reborn as Japanese citizens. In fact, the colonial education is for providing homogenized and standardized models to the same learners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Textbooks also want to gain the effect of learning through what is generalized or averaged for learners. So we call a person who has basic skills and is exemplary a textbook. In other words, education and textbooks are obliged to have homogeneous elements that learners need. However, the Japanese set educational goals and directions based on their desires, not on standardized learning for Joseon children. In this regard, the Joseon Language and Reading Book is a textbook whose intention is specifically project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hich is considered to provide practical momentum to clear up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other words, the illustrations and contents of the book Chosun's English Reading can re-examine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conduc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time.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의 삽화와 본문을 분석하고, 거기에 작동한 일제의 아동문화 교육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텍스트는 4차 교육령기(1930∼1935)의 조선어독본이다. 연구에 의하면, 일제는 식민정책에 맞춰 조선어독본을 적극 활용하였는데, 전시 준비를 위해 남자 아동에게는 체력 강화를 여자 아동에게는 현모양처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제의 동화정책을 위해 조선인과 일본인의 자연스러운 어울림과 일제의 생활과 문화, 가치, 새로운 문물을 소개하면서 전략적인 식민화를 실행하였다. 즉, 일제는 공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그들의 목적인 조선을 식민화하고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동화정책과 일선동조론을 펼친다.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조선 아동을 제국의 충량한 신민이 되도록 한 것이다. 사실, 교육은 동일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균질화되고 표준화된 모형을 제공하여 소정의 효과를 획득하는 것이다. 학습자 역시 교과서를 통해 일반화되거나 평균화된 것을 학습하여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따라서 교육/교과서는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요소를 균질하게 갖추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일제는 조선 아동들에게 표준화된 학습 내용이 아니라 자신들의 욕망에 따라 교육 목표와 방향을 정하여 교육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조선어독본은 일제의 의도가 구체적으로 투사된 교과서로서 일제 잔재를 청산할 수 있는 실질적 모멘텀을 제공한 것이다. 즉, 조선어독본에 실린 삽화와 내용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과 주체가 행했던 교육의 실제상황을 재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시대의 대중음악 검열

        이인호,이진경,곽미정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20 No.4

        음악은 순수함을 추구하고 정치, 경제 등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미학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시대의 정권의 지배세력들은 이러한 음악의 기본적인 본질을 무시한 채 이를 정치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시대별 분류를 통해 음악검열이 나타나게 된 당시의 상황과 음악관 련 검열 제도에 대해 살펴보고 그 제도적 통제 장치의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시대별 분 류는 일제강점기 이전 시기와 제1기인 1910년도에서 1919년까지의 무단통치시기, 제2기인 1919년부터 1931년까지의 문화통치시기, 제3기인 1931년부터 1945년까지의 민족말살통치시기로 분류하였다. 일제강 점기 이전 시기를 살펴보면 통감부의 설치와 함께 항일운동창가와 음악교과서, 창가책, 노래책과 노래 등을 검열하여 금서를 양산하였고, 제1기 무단통치시기부터 제3기 민족말살통치시기까지는 금지된 노래 와 공연행위에 대해 헌병경찰력을 활용한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제재와 함께 조선총독부의 일본 신민화 를 위한 음악교과서 검열, 식민지 지배정책을 보다 강화시키는 음반검열의 시행, 군국가요의 권장 및 보 급, 종교음악의 검열, 황국신민화를 위한 학교의 교가 검열, 미국과 영국음악을 추방하는 적성음반 일소 운동 그리고 악극단과 공연단의 공연 전 실연을 통한 사전검열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대중음악 검열을 통해 대중음악 속에 숨어 있는 정치성과 시대에 관련된 총체적인 관점, 지배이 데올로기가 반영된 당시 지배양식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를 일 제강점기 이전시기, 제1기 무단통치시기, 제2기 문화정치시기, 제3기 민족말살통치시기의 4단계로 나누 어 검열이 나타나게 된 그 당시의 상황과 음악관련 검열 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특징들을 면밀히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당시 음악검열에 적용된 법률을 연구자가 모두 수집하고 정리하여 일제강점기 지배이 데올로기가 반영된 음악검열의 개념과 상황, 규모에 대해 알아보고 시대별 전개를 통한 음악검열의 특징 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aesthetic view is that music should pursue purity and be free in politics, economy, etc. However, the ruling forc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era ignored the basic nature of music and began to deal with it poli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situation at which music control emerged through the period classific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music-related censorship system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ts institutional controls. First of all, the classification by period was classified as the period before Japanese colonial era, the period of unauthorized rule from 1910 to 1919, the period of cultural rule from 1919 to 1931, and the period of national extermination from 1931 to 1945. Before Japanese colonial era, anti-Japanese movement songs, music textbooks, singing books, and songs were controll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orced and violent sanctions by military polices on banned songs and performances took place, as well as the Chosun Government-General's control of music textbooks for the colonial policy, the promotion and dissemination of military songs, the control of religious music, and the censorship of schools songs, campaign to expel American and British music, and pre-screening through performances by musical bands and performer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olitical nature of popular music, the overall perspective related to the times, and the nature of the ruling style that reflects the ruling ideology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popular music control policy.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북 예천지역의 사찰문화재

        최은령 ( Choi Eun-r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경상북도 예천(禮泉)은 소백준령의 높은 줄기가 감싸고 낙동강, 내성천이 흐르는 배산임수의 명당에 자리한 고장이다. 자연 그대로의 뛰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자연유산, 기록유산, 유적건조물, 무형문화재, 유물 등 수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예천지역에는 92건 95점(2020.1.1.기준)의 문화재가 국가 및 경북 문화재로 지정되어있으며 이 중 불상과 불화, 탑, 전각 등 사찰의 불교문화재가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예천을 대표하는 사찰 용문사의 보물 대장전과 윤장대가 최근 국보로 통합, 승격되면서 예천지역에서는 첫 국보가 지정되었다. 예천에는 신라 이래 조선시대까지 약 75개의 대소 사찰이 창건되었는데, 20세기 초에는 용문사를 비롯해 10여개의 사찰만 남고 모두 폐사되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사찰령에 의해 1902년 16본산에서 1924년 31본산으로 늘어났고 예천지역의 사찰은 문경 김룡사의 말사로 되었다. 현재까지도 경상북도 예천에는 용문사를 비롯하여 여러 사찰에 중요 불교문화재가 소장되어 있지만 예천지역 사찰과 불교문화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경상북도 예천지역 사찰과 불교문화재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를 조명하였다. 과거의 시점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사찰 재산대장을 기록했던 시간이고, 일제강점기의 경북지역 사찰 관련기록은 일제강점기 발행된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와 조선총독부관보 기록이다. 먼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시행했던 불교문화재 조사와 관리에 관련된 주요 행정절차와 법령, 고적조사 등을 통해서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 방향을 파악하였다. 일련의 일본이 실시한 불교문화재 정책은 한국을 식민지로 동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한 것이었고, 사찰의 재산 파악에 목적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문건들을 비교하여 예천지역에 잔존했던 장안사, 용문사, 서악사, 한천사, 보문사, 명봉사 6개의 사찰과 재산목록을 확인하고 당시 사찰의 규모, 불교문화재의 소장 상황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전체적으로 본사 이외 말사의 규모나 재정상태는 매우 열악한 상황이었고, 특히 일본의 전쟁물자 수급을 위한 금속품의 헌납이 전국 사찰에 강행되어 주요 불상 및 불구 등이 이 시기에 사라진 것을 재산목록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이어 현재까지 예천지역에 남아있는 사찰의 현재 모습을 살펴보고 문화재를 현황을 파악하여, 유실 혹은 도난되거나 새롭게 추가된 문화재의 종합적인 상황을 살펴보았다. 경북 예천지역의 사찰과 사찰문화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3건의 기록을 비교해보면, 『본말재산대장』에서 화엄사가 선암사의 말사로 되어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재산대장은 1911년 사찰령이 공포된 이후 화엄사가 1924년 31번째 본사로 등록되기 전에 작성된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해방 이후 현대에 와서 사찰은 변화와 약동을 통해 근대와는 다른 모습으로 발전되었고 그 사이 사찰의 문화재는 자국인에 의해 또 다른 도난의 피해자가 되었다. 누가 언제 어떻게 사찰문화재가 사라졌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조차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지금도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는 과거 일제강점기의 종결된 것이 아니라, 현재도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도 또 언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른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 도난된 사찰문화재는 그 중요도는 높이 평가할 수 있지만 대부분 문화재로서 지정되지 않은 경우라서, 도난이후 해당 문화재의 평가를 제대로 할 수 있는 기반도 없이 약탈의 대상이 되고 사라져버렸다. 향후 경상북도 예천의 사찰과 불교문화재의 관리와 보존에 관해서 다각적인 모색과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Yecheon, Gyeongsangbuk-do, is a site located in a famous temple in Baesan-su, which is surrounded by the high stems of Sobaek Ordereong and flows along the Nakdonggang River and Naeseongcheon Stream. Along with its outstanding natural scenery, it has a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natural heritage, documentary heritage, historical build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relics. The Yecheon area has 92 pieces of cultural assets designated as national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cultural properties, of which Buddhist cultural assets such as Buddhist statues, Buddhist paintings, pagodas and pagodas take up a significant portion. The first national treasure was designated in the Yecheon area as the treasure of Yongmun Temple, a temple representing Yecheon, and Yun Jangdae were recently promoted to national treasure. About 75 Daeso temples were built in Yecheon from the Silla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20th century, only about 10 temples, including Yongmunsa, were left, and all of them were closed. Japanese colonial era's order of inspection by the General Governor-General of Korea increased from 16 Bon-san in 1902 to 31 Bon-san in 1924, and the temple in Yecheon area became the horse of Kim Ryong-sa Temple in Mungyeong. Until now, Yecheon, Gyeongsangbuk-do has important Buddhist cultural assets in various temples, including Yongmun Temple,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give a full view of the temple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in Yecheon. The main building sheds light on the past and present, focusing on temple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time of the past was whe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recorded the property of the temple, and the records related to the templ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written on the documents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s Museum and the Chosun Governor-General's Register of Government-General. First, the direction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s Buddhist culture policy was understood through major administrative procedures, statutes, and historical surveys related to th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Buddhist cultural assets conducted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s Office at Japanese colonial era. A series of Japanese policies on Buddhist cultural assets were used as a way to assimilate Korea into a colony, and aimed at identifying the temple's properties. Japanese colonial era documents were compared to the remaining six temples and properties of Jangan Temple, Yongmun Temple, Seoraksa Temple, Hancheon Temple, Bomun Temple and Myeongbongsa Temple, which were located in the Yecheon area, to identify the size of the temple, the situation of the collec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and the characteristics. Overall, the size and financial status of the horses outside the headquarters were in a very poor situation, and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compare property lists that Japan's dedication of metal products to supply and demand war supplies was pushed to the national inspection and the loss of major Buddhist statues and Buddhas during this time. Following Japanese colonial era,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the temple remaining in the Yecheon area and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assets, and looked at the comprehensive situation of lost, stolen. The temple and temple cultural asset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compare the three records issued by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 Joseon at Japanese colonial era to confirm that Hwaham Temple is the horse of Seonamsa Temple in the 'Bonmal Property Register." The property register can be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before Hwaham Temple was registered as its 31st headquarters in 1924, after the inspection decree was promulgated in 1911. Coming to modern times after liberation, temples developed into different forms from modern times through change and pharmacology, and in the meantime, temples' cultural assets have become another victim of theft by their own people.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now, as most people cannot even check out the basic details of who disappeared and when and how the temple's cultural assets disappeared. This problem is no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past, but it should be recognized for its seriousness in that it is ongoing and when and how it will occur. In particular, templ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been stolen so far can be valued highly, but are not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so after the theft, they become the subject of looting and disappear without the foundation for proper evaluation of the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we expect to provide a variety of search and measures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and temple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오현아,박민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교육정책과 실상을 통하여, 식민 지배 상태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어떤 특색을 갖고 있는가를 살피는 동시에 교재사적인 측면에서 일제강점기 당시의 조선어 교재를 사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의 연구사적 의의를 어문 교육 교재사 차원에서 1) 국어교육 차원과 2) 한국어교육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가능성을 공교육의 차원에 한정해 1) 전체 문법 범주 인식의 차원, 2) 개별 문법 범주 기술의 차원, 3) 조선인과 일본인의 조선어 문법 인식 비교-대조 차원으로 탐색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시작으로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가 교재사 차원에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접점이 되는 영역으로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characteristics the Korean education has under the condition of colonial rule, and at the same time to historically consider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aspect of textbook history through the policy and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For this, the historical research significance i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was divided and presented 1) in the dimens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textbook history and 2)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grammar unit. A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restricted to the dimension of public education, 1) in the dimension of whole grammar recognition, 2) in the dimension of describing individual grammar category, and 3) in the dimension of comparison-contrast of Korean language grammar recogni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Beginning with this discussio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s to be discussed regularly as an area of a contact point for both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textbook history.

      • KCI등재

        일제에 의한 조선 궁중음악 전통의 전유 과정에 대한 연구-비밀문서 <雅樂隊에 관한 건>(1921)을 중심으로

        권도희 한국음악사학회 2023 한국음악사학보 Vol.70 No.-

        Among the documents in Changsŏgak (藏書閣), there is a secret document titled “The Paper for the Chosŏn Court Orchestra Organization” (1921) in the document file called Chosŏn aak (朝鮮雅樂). This document serves as a confidential record illustrating the situation where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sought to control the Korean court orchestra organization (雅樂隊). This article examines the activities of the orchestra before and after the document was written, shedding light on when, how, and why the Japanese colonial power attempted to control institutionally over Korean court music. While previous studies on the changes in Korean court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mostly focused on individual cases, this study specifically highlights on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Korean court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article also explores when and how Korean court music was institutionalized, as well as how it differed from the court music system of the tradition of Changakgwŏn (掌樂院) in the Chosŏn dynast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imed to establish a legitimate institutional system to control the Chosŏn Court Music organization within the Japanese enshrinement ritual, at least after finishing Japanese Royal Shrine jichinsai (地鎭祭) in May 1921. However, due to Japanese inability to provoke the Korean people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nly began implementing this plan after the completion of Emperor Kochong (高宗)'s pumyoŭi (祔太儀) in the March 1921. Accordingly, in November 1921,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repared a confidential document titled “The Paper for the Chosŏn Court Orchestra Organization” to change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Court Orchestra by the year 1925. The plans outlined in this document began to be implemented from May 1922 onwards, and consequently the Korean traditional court music was forcibly mobilized for the ceremonies of the Japanese enshrinement ritual in 1926. While this system establish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contributed to the stability of the Korean royal court music organization, it hindered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Chosŏn court music in the long term. The primary function of the organization, performing music and dance, was compromised by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impos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not deeming it a significant issue, was satisfied as long as they could utilize the superficial appearance of music and dance performances in various ceremonies to showcase their colonial authority. Rather,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mphasized this change as the “preservation” of “koak (古樂)” and promoted it to the public. However, this change can be seen not as a behavior of their cultural responsibility to a civilized society but as a manifestation of their practical power ruling over the Chosŏn Peninsula, actively appropriat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its meaning as a colony.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아악 이라는 서류철 중에는 <아악대에 관한 건>이라는 문서가 있다. 이 문서는 일제가 이왕직 아악대를 통제하고자 했던 상황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비밀문서이다. 이 글에서는 이 문서의 작성 전후로 아악대가 어떻게 활동했는지 살펴봄으로써 일제 강점기에 조선 궁중음악의 제도적 통제가 언제, 어떻게, 왜 시도되었는지 밝혀 보았다. 이제까지 일제 강점기에 벌어진 한국의 궁중음악의 변화에 대해서는 개별 사례의 보고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본고에서는 일제 강점기에 이루어진 한국 궁중음악에 관한 제도적 통제 상황을 밝혀 보았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한국 궁중음악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일제에 의해 제도화되었으며 그것이 조선의 예악 제도나 장악원 전통과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보았다. 조선총독부는 늦어도 1921년 5월 이후 즉, 조선신궁의 지진제를 치른 후에 이왕직 아악대를 합법적으로 조선신궁에서 치르는 의식에 동원할 수 있게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자 했다. 그러나 3·1 운동 이후로 일제는 조선인을 자극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고종 황제의 부묘의가 끝나자마자 이 계획을 실천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조선총독부는 1921년 11월에 비밀문서로 <아악대에 관한 건>을 작성하여 1925년을 기한으로 아악대에 관한 제도적 기반을 바꿀 수 있도록 준비했다. 이에 따라 1922년 5월 이후 이 문건에서 다뤘던 계획이 실현되기 시작했고, 결과적으로 1926년에 아악대는 조선신궁에서 치러진 의식에 절차에 따라 동원되었다. 일제가 주도한 이와 같은 제도 변화는 아악대 조직의 안정성에는 기여했지만, 궁극적으로 조선아악의 보존과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아악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악무 실천인데, 일제는 이 기능을 떨어뜨린 상태로 조직을 꾸렸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일제는 이 점은 개의치 않았다. 외형만 갖춘 악무가 일제의 각종 의식에 동원됨으로써 노릴 수 있는 효과 즉, 식민 통치 권력을 과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면 충분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일제는 이러한 변화를 “고악”의 “보존”을 실현한 행위로서 인식하고 일반 사회에 과시했다. 그러나 이 변화는 일제가 문명사적 책임감을 갖고 있는 주체로서의 문화적 사명을 완수한 것이 아니라 조선을 통치하고 있는 현실 권력으로서 피식민국의 문화유산과 그 의미를 적극적으로 전유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부산 곡정 총천사 연구

        최은령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0 文物硏究 Vol.- No.38

        Chongcheonsa Temple in Busan was the first temple to be opened in Korea by the Japanese Jogye Order. The location of the Chongcheonsa Temple is Gokjeong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the Japanese cemetery and crematorium were locate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Japanese built a cemetery in Bokbyeongsan Mountain, which was close to the city's capital, and relocated the Japanese military's Busan Guard and the cemetery in 1907 to maintain the city's area. The Japanese cemetery on Bokbyeongsan Mountain was relocated to Gokjeong, and a crematorium for the latest facilities was built. Currently, Biseok Culture Village in Ami-dong, Seo-gu, Busan, is located in the Gokjeong Cemetery, where the ARMY Elementary School was located. Ami-dong Biseok Culture Village was transformed into a residential area after the Korean War, where refugees gathered to live. It is now known as Busan's representative mountain corridor village, and the spatiality of the site, which has been formed since Japanese colonial era, has attracted many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history, architecture, and folklore. The Gokjeong area, where the Chongcheons were located, is a place of death consisting of Japanese cemeteries and cremation facilities, and the fact that the Chongcheons were the only religious facilities makes us wonder about their existence and role. At that time, it was common for religious facilities in Japan to be located adjacent to the Japanese residence, and the same was true of other Buddhist sects. The Gokjeong Chongcheonsa Temple in Busan was the first temple to be opened in Joseon by the Japanese Jogye Order. It was located in Gokjeong, where the Japanese cemetery and crematorium were located, and mainly dedicated to funeral services for the Japanese people and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community. In particular, the general angel took the lead in rationalizing the war in Japan and actively cooperated in the construction of a court and the Chungryeong Tower for Japanese war veterans. The Gokjeong Chongcheonsa Temple in Busan established many mission centers in the Busan area, solidifying the role of the Jogye Order of Japanese Buddhism only for the sake of the Japanese people and for the sake of the Japanese government until the liberation of Joseon. Japanese colonial era Education facilities were built with liberation on the site of the general angel of Gokjeong in Busan, and Ami Elementary School has remained there until now. A stone statue, a stone base called the Suho Tower, and other stone sculptures remain on the invisible ridge behind the school, and the surrounding information boards indicate that the statue and stone base were in a completely different form from those of Korea, suggesting that it was a Buddha statue of Japanese colonial era's general angel. In this paper, we could not discuss in detail the events and figures that appeared in the newspaper articles of the general angel of Busan, but we would like to leave them as assignments. 산 총천사(總泉寺)는 일제강점기 일본 조동종이 조선에 개교한 최초의 사찰이었다. 총천사가 위치한 곳은 일제강점기 행정구역상 곡정(谷町)인데, 이곳은 일본인 공동묘지와 화장장이 있던 곳이다. 개항 이후 부산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은 조계지 안에서 시가지와 가까운 복병산에 묘지를 조성하였고, 1907년 시가지 정비를 위해 복병산에 있던 일본군 부산수비대와 공동묘지 등을 이전하였다. 복병산에 있던 일본인 공동묘지는 곡정(谷町)으로 이전하면서 최신시설의 화장장도 건립하게 되었다. 현재 부산 서구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이 입지한 곳이 곡정공동묘지 일대이고, 아미초등학교 자리가 총천사가 있었던 곳이다.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은 일제강점기 일본인 공동묘지였던 곳을 조선전쟁 이후 피란민들이 모여들어 거주지로 변모시켰다. 지금은 부산의 대표적인 산복도로마을로 알려진 곳이고 시간적으로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형성된 이곳의 공간성은 역사, 건축, 민속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연구자들의 관심이 되고 있다. 총천사가 위치한 곡정 일대는 일본인들의 공동묘지와 화장시설로 이루어진 죽음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곳에 유일한 종교시설로서 총천사가 입지한 점은 그 존재와 역할에 대해서 의문점을 갖게 한다. 당시 일본의 종교시설은 일본인의 거주지 주변에 인접하여 위치한 것이 일반적이었고 다른 종단의 불교 역시 마찬가지 상황이었다. 부산 곡정 총천사는 일본 조동종이 조선에 개교한 최초의 사찰로서, 일본인 공동묘지와 화장장이 있던 곡정에서 일본인을 위한 장례업무를 주로 전담하며 일본인 사회에 공조하였다. 특히 총천사는 일본의 전쟁을 합리화하는 데 앞장서서 내선불교를 내세우며 일본인의 전쟁 참전자를 위한 법회 및 충령탑 건립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 이러한 부산 곡정 총천사는 부산지역에 많은 포교소를 건립하여 오직 일본인을 위한, 일본 정부를 위해서 조선 땅에서 일본 불교 조동종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일제강점기 부산 곡정 총천사가 있었던 자리에 해방과 함께 교육시설이 들어섰고, 아미초등학교가 지금까지 그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학교 뒤편 보이지 않는 능선에 석조보살상과 ‘수호탑’이라는 석조기단, 기타 석재편이 남아있어 과거 총천사가 있었던 곳임을 알 수 있고, 이 보살상과 석조기단은 조선의 불상과는 전혀 다른 형식이어서 일제강점기 총천사에 있었던 불상인 것을 추정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체화(體化)된 황국신민의례와 일제의 ‘착한 근대 아동’ 만들기: 경성(京城)의 소학교를 중심으로

        안주영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3

        This article is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Good modern children” by analyzing how the Japanese manipulated the school schedule and education policy in elementary schools, mainly in Keijō(京城)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in order to ‘japanize’ the students [convert them to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皇國臣民)] through school rituals. The school’s time schedules and rituals were made to directly reflect Japanese national ideologies. An elementary school, where children of Joseon descent attended, was the first school to have this new Japanization policy institutionalized. The amount of Japanese national rituals and Japanization education steadily grew. The “modern child” that Japanese wanted to create in the Joseon children through the new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ystem was basically a Japanized native colonial citizen making them a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The Japanese Empire in elementary schools, mostly in Keijō, used the repetition of Japanese national rituals to instill a sense of alignment to the Japanese empire into the daily lives of the children. This kind of education increased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Keijō as Japanese rule neared its end. The use of Japanese, shrine worship rituals, and morning assembly rituals, Japan’s national festival day rites were greatly increased. The elementary schools in Keijō aimed to turn the Joseon children into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the Japanese national ideologies were slowly and naturally integrated into the children as they were exposed to the rituals daily. And the rites of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were naturally embodied in the Joseon children. This was how,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in Keijō, used Japanese, carried out rituals and were educated to be “good modern children” in order to become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경성의 주요 소학교의 시간 구성과 교육 정책에서 강조된 황국신민화 교육이 학교 의례의 수행으로 표출된 과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일제의 식민지 초등 교육에서 추구되는 ‘착한 근대 아동’이 지닌 함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일제강점기 식민지국가 이데올로기는 학교의 시간 구성과 학교 의례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났으며, 경성의 조선인 아동이 다니는 소학교는 일제의 식민정책과 황국신민화교육을 가장 우선적으로반영시키는 제도적 장치가 되었다. 식민지 국가의 시간 구성 속에서 일제의 국가 의례와 수신교육은 점차 강화되었다. 일제가 국가 시간체제 내에서 소학교 교육을 통해 조선의 아동에게 주입시키고자 한 ‘근대 아동’은 서구의 근대 국민의 모델을 일제의 식민지 국가 이데올로기에 의해 변용시킨 ‘황국신민’이다. 일제는 경성의 주요 소학교에서 반복되는 국가의례의수행을 통해 아동의 일상생활 깊숙이 황국신민의식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소학교 의례의 시간을 정교하게 구성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로 갈수록 경성의 소학교에서는 수신 교육을 전면에 내세우게 되었고, 이와 연계되어 일본어의 상용화, 신사참배 의례, 봉안전 의례, 조회와국가축제일의례의 수행이 점차 심화되었다. 경성의 소학교에서는 조선의 아동을 ‘일제의 황국신민’으로 육성시키고자 하였으며, 아동의 매일의 일상속에서 국가 이데올로기가 함의된황국신민의례는 이들의 삶과 결부되며 점차 자연스럽게 체화되어갔다. 이로써 일제강점기경성의 소학교 아동은 일본의 언어와 의례를 수행하며 일제의 황국신민이 되기 위해 학교의시간과 규율을 잘 지키는 ‘착한 근대 아동’으로서 교육받았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충남불교의 동향과 일본불교의 침투

        김방룡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0 No.100

        본고는 일제강점기 한국불교계의 동향과 일본불교의 침투 현황 및 충남불교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제강점기 불교계는 국권이 침탈된 상황이었지만 조선시대 억불정책이 사라짐으로 인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일제는 사찰령에 의해 한국불교계를 통제 관리하는 한편 일본불교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 시기 충남의 불교계는 기본적으로 한국불교계가 처한 시대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지만, 이 지역이 조선 후기 유학의 중심지였던 특수성으로 인하여 불교계의 적극적인 활약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남지역 불교계의 동향과 일본불교의 침투현황을 살펴보는 일은 일제강점기 불교계가 처한 상황과 활동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충남지역의 불교계에 대해서는 첫째, 사찰령과 불교개혁(1910~1919) 둘째, 불교 자주화와 종단 건립운동(1919~1935) 셋째, 총본산 건설과 조계종 성립(1935 ~1945)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시기일본불교의 침투 현황에 대해서는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일본불교의 포교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충남지역에 미친 일본불교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통하여 일제강점기 충남불교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trend of Korean Buddhism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penetration status of Japanese Buddh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ungnam Buddhism. The Buddhist community in Japanese colonial era was in a situation where national authority was invaded, but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Joseon Dynasty's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a new phase was faced. Japanese imperialism facilitated the penetration of Japanese Buddhism while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by temple decree. The Buddhist community in Chungnam during this period is basically closely 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but the active activities of the Buddhist community were limited due to the uniqueness of this region, which was the center of study abroad in the late Joseon Dynasty. Nevertheless, examining the trends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Chungnam and the penetration of Japanese Buddhism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activities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Buddhist community in Chungnam, Japanese colonial era Provinc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temple order and Buddhist reform (1910-1919), second, Buddhist independence and longitudinal establishment movement (1919-1935),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honghansan Construction and Jogye Order (1935-1945). The current state of Japanese Buddhism penetration during this period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rough this, the impact of Japanese Buddhism on the Chungnam region was examined. Through these contents, we tr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ungnam Buddhism during the Japanes colonial era.

      • KCI등재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관ㆍ혼ㆍ상ㆍ제례의 지속과 변용

        송재용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0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는 격변과 치욕의 시기요 근대화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에 국내외 상황이나 배경, 기독교와 천주교의 포교활동과 서양문물의 유입, 그리고 국내의 주요 사건이나 정책, 당대인들의 인식태도 등은 관ㆍ혼ㆍ상ㆍ제례의 지속과 변용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일본의 조선 강점은 관ㆍ혼ㆍ상ㆍ제례의 변용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그 변용이 급박하게 변화하는 시대 흐름 속에서 자발적이 아닌 강압적이라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관ㆍ혼ㆍ상ㆍ제례는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나름대로 지속과 변용을 하였다고 본다. 관례는 개화기 뿐 아니라 단발령 이후 특히 일제강점기에 행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행하는 경우 새롭게 변용되거나 또는 혼례의 선행의식으로 약식화되거나 흡수되고 말았다. 혼례는 개화기에는 일제강점기와는 달리 변모는 되었지만 크게 변모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갑오 1차 개혁과 함께 서양문물의 유입과 근대화 과정, 그리고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흐름, 당대인들의 인식태도 등에서 변화는 필연적이었다고 본다. 그런데 그것이 자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데 문제가 있다. 일본의 조선 강점은 우리 전통혼례에 대한 강제적 전환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일제강점기의 경우, 일본의 강압에 의해 우리의 전통혼례는 변용될 수밖에 없었다. 비록 일본에 의해 변용되었지만, 나름대로 개선하려는 노력도 있었고, 또 주로 지방이나 시골에서는 우리의 전통혼례를 고수하려고도 하였다. 상례는 개화기에는 큰 변모가 없는 편이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 의해 강제적으로 많은 변용을 하였다. 특히 1934년에 공포한 <의례준칙>은 결정적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의 전통상례는 변용은 있었지만, 쉽게 바뀌지는 않았던 것 같다. 제례는 개화기 때는 그렇게 큰 변모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경우, 변용은 있었지만 혼례나 상례보다는 변용이 적었다. 우리의 관ㆍ혼ㆍ상ㆍ제례가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부는 지속하는 가운데 변용되는 것은 자의나 타의를 떠나 어쩔 수 없었던 것 같다. The periods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Japanese colonization are the age of sudden changes and humiliation as well as the time for the modernization. In such tim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r backgrounds, propagating activities of Christianity and Catholicism and introduction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main incidents, policies and recognition attitudes of the people of the day had no choice but to influence continuation and modification of ceremonial occasions including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The Japanese occupation of Joseon, particularly, became the critical moment for the modification of our ceremonial occasions of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However, there is the problem in the fact that the transformation was not voluntary generated in the midst of the age changing rapidly but oppressively done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t is thought that, nevertheless, 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in our own way continued and changed in such situations. The coming of age was newly changed or informalized as a preceding ceremony of wedding or integrated into it when people conducted it although there weren’t not many people who performed the comingof- age ceremony after not only the time of enlightenment but also the enforcement of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nd particularl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seems that the wedding was transfigured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not like it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the extent of the change was not that great. Along with the Gabo the first Reform of 1894, when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civilizatio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historic situation and trend at that time, and recognition attitude of the people of the day, the changes were inevitabl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change took place not because of voluntary cause. The Japanese occupation of Joseon can be said to be a coercive conversion of our traditional wedding. After al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ur conventional wedding ceremony had to be modified because of the coercion of Japan. Although it was transformed by Japan, there were our efforts to improve in our own ways, and rural areas or the countries attempted to stick to our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The funeral rites seem to have not changed so much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However, in the era under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imperial Japan, they were forcibly modified a lot by Japan. Especially, the <Ritual Standards> proclaimed in 1934 was crucial. Though there were some modifications in our traditional funeral rites, they were not easily changed. It seems that the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were not that changed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In addition, they were modifi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the extent of the modification was smaller than those of wedding or funeral rites. It is thought that while some of our four ceremonial occasions were continued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couldn’t be helped that the ceremonies were changed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changed by our own will or against our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