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대중 정부간경제협력의 정책결정

        손기섭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4 국제지역연구 Vol.13 No.3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nd decision-making style of Japan’s foreign aid policy to China. Japan’s ODA policy to China is very interesting in that it has maintained multi-annual pledge, package aid called ‘Enshakan Aid’, political decision guided by ‘Kantei’, foreign and domestic pressure, and so on. Throughout the analysis of such characteristics in Japan’s aid policy to China, this paper presents a new interpretation and assertion that Japan’s aid policy to East Asia, in particular China, is ‘Political Aid’. This assertion is based on two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foreign aid to China. One is political decision of great size and multiple years’ pledge of those aid contents. The other is aid policy decision given by ‘Kantei’. Japanese giant aid packages to China have maintained such various characteristics as multi-annual pledge, three political principles like considerations to ASEAN and America, projects highly related to Japan’s resource diplomacy, strong support for Chinese Government to pursue openness and reform of its economic system. Since the Post Cold War in 90s, Japan’s aid policy to China shows a few new important factors. Environmental and agricultural projects have increased and ‘3+2 years method’ has been adopted gradually. Furthermore, Japan has emphasized their national interests much more than they did in the 80s. 본 논문은 일본정부의 오오히라 내각 이후의 대중 정부간경제협력의 공여 및 동결을 둘러싼 정책결정과정과 엔차관 패키지의 공여내용을 실증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주된 분석범위는 79년에서 98년에 이르기까지의 약 20여 년간이다. 대중경협의 정책결정은 수상관저 주도의 정치결정에 의거했지만, 미국과 중국의 외압과 일본 자민당과 재계의 내압이 적절히 투사된 ‘내외압조정적 정치결정’으로 파악하며, 또한 일본의 대외원조론에 대한 새로운 가설로서 기존의 ‘상업원조론’, ‘전략원조론’, ‘자조지원 원조론’을 넘어선 ‘정치원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기인한다. 하나는 엔차관 원조의 규모와 방식이 거액의 복수년도 총액결정이란 점에서 정치성을 띤 점이고, 또 하나는 정책결정이 관저중심의 정치적 조정이 많았다는 점이다. 거액의 엔차관 패키지의 복수년도 총액결정방식, 내외압을 조정하기 위한 ‘대중경제협력 3원칙’의 설정, 중국의 요청이나 압력에 대한 유연한 반응, 자원 및 통상외교와의 높은 관련성, ‘등소평체제’의 개혁·개방노선 지지, 서구에 대한 배려 및 아세안과의 균형 등 대중원조는 항상 복합적인 요소의 조정을 요하는 수상관저의 ‘정치적’ 판단을 필요로 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본 오히라 정권기의 대중국 원조외교: 원조내용과 정책결정

        손기섭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8 국제정치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aid contents and decision-making of Japan’s foreign aid policy to China in the Ohira cabinet. Ohira, Japan’s prime minister, has pledged to give Japan’s governmental aid package to China in the December 1979 during his visit to Pecking visit period. It was a really great foreign aid packages which had been not seen in the any other Japanese aid cases. Those aid projects given by Ohira government were composed of 6 Japanese currency ‘Yen’ based governmental loan aid projects and 1 grant aid project. Furthermore, 5 year multi-annual pledges amounting to the sum total $ 1.5 billion were declared by Japanese government. The main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Firstly, a new institution named as Japanese 3 principles in China aid packages was clarified firmly. Ohira could solve domestic and foreign pressure problems in use of those 3 principles. Secondly, it was a kind of ‘political aid’ given by Japan. Aid contents and decision-making concerned about China aid given by Japan were basically very political in view of a special aid package contents. Thirdly, it was also both diplomatic assistance toward Deng Xiaoping regime and economic infrastructure aid for the Chinese industrialization policy. Finally, We can see Ohira Government has tried to make use of that special aid package for the complex purposes of Japan’s resource diplomacy and a kind of ‘historical debts’ compensation. 일본의 대중국 원조외교는 1979년 12월 오히라 정권기의 제1차 대중 엔차관원조 패키지의 정책결정에서 비롯된다. 중일 간의 국교정상화는 1972년 9월 다나카내각기에 실현되었지만, 양국 간 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는 1978년의 중일평화우호조약을 맞이하여 가능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오히라 정권기의 중일 양국의 정부간 경제협력이 어떠한 국내외적 환경에서 어떠한 이념 또는 이유로 어떤 정책결정을 거쳐 공여결정이 실현되었는가에 주된 연구관심을 가진다. 그리고 공여가 결정된 일본의 대중국 정부 간 경제협력은 어떠한 내용적 특징과 의미를 가지는지 면밀히 검토할 것이다. 즉 요약해서 말하자면, 일본의 오히라 정권과 중국의 덩샤오핑 정권기에 성립된 중일 간 정부차원의 경제협력의 정책결정의 과정과 그 특징을 밝히는 것과 대중 원조패키지의 내용적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는 두 가지가 주된 연구목적이다.

      • KCI등재

        나카소네 내각의 제2차 대중원조정책 : 원조내용과 정책결정

        손기섭 한국정치정보학회 2018 정치정보연구 Vol.21 No.1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contents of Japan's aid policy to China in the era of Nakasone Cabinet in the 1980s. It was the second aid package to China pledged through Nakasone's visit to Beijing in 1984 after Ohira in 1979. We can see some majo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the pledges of aid giving policy during 1983-1984. Firstly, it was carried out by Kantei leadership given by prime minister, his advisers and key political staffs. Secondly, the choice of aid projects was much faster than we thought and there were hardly special pressures around Japan's aid to China such as exterior pressures from USA or interior pressures from LDP and strong business groups. Thirdly, it was special aid package from the viewpoints of aid policy decision-making. Its aid contents, namely, were consisted of giving pledges of multiple years and big size aid porojects more about three times than the first case in 1979. Finally, prime minister Nakasone have played a major roles on the aid package case. His leadership was positive and affirmative in the aid case and based on friendship diplomacy. He was very friendly to Fuyaobang and Dengxiaoping, Chinese top leaders who were pursuing open modernization policy for China. Nakasone weas also filled with strong convictions that he could extend Japanese national interests through his aid policy. I believe this article could get some good proofs to examine Japan's characteristics of ‘politicle aid’ cases in the region of East Asia like as Korea and China. 이 연구논문은 일본 나카소네 정권이 1984년 3월에 결정한 제2차 대중국 원조정책을 분석한 것으로서, 80년대의 중일관계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공여내용의 원조를 어떤 정책결정과정을 거쳐 결정했는지 분석하는데 주된 연구목적을 두었다. 분석구도는 ‘내외압 조정’ 의 구도를 활용했다. 제2차 대중원조의 총액결정을 두고서는 관계성청 간의 줄다리기가 치열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핵심 경제관청인 대장성은 5년간 3천억 엔 대를 주장한 반면, 외무성과 통산성은 4천억 엔 대를 고집하여 좀처럼 합의를 보지 못했다. 이 점이 제1차 정부초안, 제2차 정부초안, 정부안 등 다소 긴 과정의 정책결정프로세스를 보여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총액 규모를 두고 대장성과 외무성 및 대장성과 통산성간의 대립구도를 보여 주었지만, 나카소네 수상은 제1차 미 이행분 상품차관 300억 엔을 포함하여 5,000억 엔 규모의 원조 제공을 위한 공여안 작성에 정치적 리더십을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대일본 전쟁배상권 포기에 대한 보은의식도 작동한 정치적 조정과 판단의 결과였다. 나카소네 수상의 ‘조기 방중’의 의사는 강했으며, 스스로 ‘데즈쿠리외교(手作り外交)’라고 부르듯이 양국 정상 상호간의 프렌드십 외교를 중시하는 동시에 한미일중 외교협력과 제휴 네트워크를 위해 엔차관 원조를 외교수단으로서 활용한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본의 전략적 ODA 정책변화 분석― 과학기술분야를 중심으로 ―

        김영근 한국일본학회 2013 日本學報 Vol.95 No.-

        Recently, the international aid communities have been actively discussing the broader aspects of the effectiveness of ai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Especially after Korea joined the OEDC DAC (2009-11), developing countries have increasingly sought the know-how of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s such, establishing the policy, including the expansion of the ODA in the arenas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useful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Korea by studying the successful and failed cas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of Japan, one of the major advanced countries. After analyzing the trend of Japan's aid policy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was understood that Japan is examining the allocation of aid, and re-examining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aid for the effectiveness of its operation. Based on these facts, implications for Korea's ODA business strategy can be drawn from Japan's ODA business status analysis. Firstly, examining Japan's economic growth (or economic cooperation with Asia) illustrates that aid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to follow an open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instead of export-led aid systems. Secondly, mutually beneficial system (model) construction is urgently needed. Thirdly, the effectiveness of ODA diplomacy should be maximized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will train human resources, who will lead the ODA diplomacy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Lastl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ODA target countries (such as North Korea, which has been neglected)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Japan Addresses the Global HIV/AIDS Crisis: The Roles of Media and Civil Society in Shaping Perceptions and Aid

        김영수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5 ASIAN PERSPECTIVE Vol.39 No.3

        Japan’s response to the global HIV/AIDS crisis in the 1980s was lukewarm, due mainly to the absence of a domestic perception of AIDS as an immediate threat. The key determinants of that perception were rare cases of AIDS infections in Japan, a detrimental media role, and weak civil society. Japanese media contributed to shaping a flawed image of AIDS as a foreign disease or a disease of homosexuality and promiscuity. Moreover,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ere not strong enough to create momentum for reformulating the distorted perception or catalyzing specific policies. Not until the early 1990s did Japan’s global AIDS funding increase. The policy shift was in tandem with the rising influence of newly emerged civil activist groups.

      • KCI등재

        일본 국제원조정책의 배경과 특징에 대한 고찰

        강철구,홍진이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9 行政論叢 Vol.47 No.3

        This study exploreshow Japan continues the activity of foreign aid,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Japan's ODA. The aim is to discover how Japan's ODA can apply to Korea. Japan has been involved in foreign aid for a long time, and has constructed a sophisticated system of foreign aid. Not only that, but it i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other perspective regarding foreign aid that developing countries have towards Japan. This is something that should certainly be paid great attention, because foreign aid plays animportant role in forming global partnerships in the long run. Japan has been utilizing this from early 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Japan has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foreign aid throughout history. 일본의 국제원조(foreign aid)는 성숙하고 발달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한편으로는 일본기업의 교두보역할이라는 측면에서 비판받는 것도 사실이다. 양시각적 차이는 있으나 국제원조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일본은 일찍부터 이를 활용해 왔기에 일본이 어떻게 국제원조 활동을 해왔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닐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원조대국이 된 일본이 지금까지 어떻게 국제원조활동을 해왔는지에 대한 역사적 흐름과 일본의 ODA가 국제질서에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여 일본의 국제원조활동에 대한 방향성과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향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한 후에는 어떤 방향을 갖고 나아가야 할지 현실적인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일본 나카소네 정권의 한일 경협외교: ‘데즈쿠리 외교’의 정치리더십

        손기섭(Kisup Son) 한국정치정보학회 2021 정치정보연구 Vol.24 No.1

        1983년 1월 전두환 정부는 일본 나카소네 수상으로부터 한일 경협차관으로서 ‘40억 달러’의 자금공여를 약속 받게 된다. 이 한일 간의 경협안건 교섭은 1981년 2월경부터 시작된 것으로서 약 2년간의 치열한 협상을 거쳐서 결정된 자금협력 협상안건이었다. 일본정부 입장에서 보면, 대외원조정책의 일환이었고, 또 한편으로는 자유민주주의 우방국가로서의 한미일 외교안보 연대를 나타내는 전략외교의 일환이기도 했다. 이 한일 정부 간 자금협력 외교는 처음에 전두환 정권과 일본 스즈키 내각에서 격렬한 외교협상이 진행되었으나 원조이념과 원조금액을 두고 의견차가 심해 교섭이 성공하지 못했다. 하지만 차기 정권인 나카소네 정권은 정권성립 초기에 한미일 연계의 전략외교를 구상하여 민첩하게 움직였고 비공개 특사외교 협상을 통해 성공적으로 타결시켰다. 나카소네 내각의 정책결정은 경협4성청으로 이루어진 관료의존이 아니라 수상관저 주도의 적극적 정치결정으로 실현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처럼 나카소네 수상은 본인이 직접 증언하듯이 ‘데즈쿠리 외교’의 전개라는 몇 가지 특징적인 정치리더십을 발휘한다. 즉, 한미일 연계의 전략외교, ‘공식 비공표형’의 비밀특사였던 세지마 수상특사의 활용, 그리고 한미일 정상 간의 프렌드십 중시 등의 정치리더십을 발휘한 것이다. 나카소네 내각기의 한일 ‘40억 달러’의 자금협력 공여결정은 나카소네 정권으로서는 정치경제 및 외교안보상의 상호의존성이 감안된 수상관저의 적극적 정치결정이었고 한미일 연계의 상호의존적 ‘정치원조’이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leadership of Japan’s prime minister Nakasone in the Korea-Japan aid policy negotiation case on January 1983.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Nakasone diplomacy are summarized as ‘Dejukuri Gaiko(diplomacy)’ In this research, two analysis points will be emphasized. The first point is political leadership of Nakasone "Dejukuri Diplomacy" in the Korea-Japan aid negotiations. The second point is the meanings and roles of ‘secret envoy,’ carried out by Ryujo Sejima. We will examine the roles of two key persons, Ryujo Sejima as secret diplomatic envoy, and Yasuhiro Nakasone as Japan’s prime minister. The two key persons are very important and played a core roles very positively in the process of Japanese aid policy decision-making and negotiation success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