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어떤 통사구성에 대하여: 준분열문

        최윤지 ( Choi Yoon-ji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9 No.-

        자연발생 구어에서는 다소 비표준적인 성격을 가지지만 일정한 형식과 기능의 쌍으로 빈번히 사용되는 통사 구성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준분열문이라고 할 수 있는 구성이 있다. 이는 분열문과 형식적․의미적으로 밀접히 관련된 구성으로, 중복 분열문과 열린 분열문의 두 유형으로 나뉜다. 이들은 분열문과 마찬가지로 주어인 ‘것’절에 결합하는 조사가 ‘이/가’인지 ‘은/는’인지에 따라 다른 정보구조를 가진다. ‘이/가’ 형의 경우 중복 분열문은 ‘것’절이 상대적 신정보를 나타내지 않지만 열린 분열문은 상대적 신정보이자 단언을 표현할 수 있다. 자연발생 구어 말뭉치에 기반해서 준분열문을 분열문과 비교하면, 준분열문은 ‘것’절의 후행부분의 길이가 길고, 출현 빈도가 더 높으며, ‘은/는’보다 ‘이/가’ 형이 많이 나타난다. 준분열문은 자연발생 구어 사용역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이는데 중복 분열문은 통사 융합이고 열린 분열문은 구어의 통사 단위를 반영한다. 준분열문은 단순한 발화 오류가 아니며 자연발생 구어의 문법적 구성으로 볼 가능성이 있다. In spontaneously spoken language there often emerges non-standard but quasi-grammatical constructions which can be seen as certain pairings of form and meaning, among which we focus on Quasi-clefts in Korean. Quasi-clefts are similar to regular clefts in terms of meanings and functions, but show more or less differences in forms, according to which the constructions can be subdivided into Duplicative Quasi-clefts and Independent Quasi-clefts. Quasi-clefts have different information structures depending on the use of the different particles attached to the kes-clause, that is un/nun and i/ga, as in regular clefts. As for the constructions with i/ga, kes-clause in Duplicative types does not express relationally new information, while that in Independent types often represents not only relationally new information but even an assertive proposition. In comparison with regular clef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pus comprised of spontaneously spoken language, Quasi-clefts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roperties: the specifying value of the variable tends to be longer, the total frequency of use is higher, and i/ga rather than un/nun are preferred. Some features of Quasi-cleft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spoken language: Duplicative types are a kind of syntactic blends and Independent types are seen as reflecting the different kinds of syntactic unit of spoken language in contrast with one of written language. Finally, Quasi-clefts are not a mere speech error but considered as a potential grammatical construction of the spontaneously spoken language.

      • KCI등재

        한국어와 영어의 비표준적 준분열문 대조 연구

        최윤지 ( Choi Yoon-ji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4 No.-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구어에 나타나는 준분열문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지는 통사적ㆍ정보구조적 특성이 영어에서도 대응되는 구문들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이고 두 언어의 해당 구성들을 비교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준분열문은 분열문과 흡사하지만 분열된 성분이 전체 계사문의 한 성분으로 내포되어 있지 않고 독립된 주절의 지위를 가지는 문장으로, 단순한 문법적 오류가 아니라 특정한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이다. 준분열문은 중복 분열문과 열린 분열문으로 나뉘는데, 영어에서 각각 합금 분열문과 ‘is’ 침입 구성에 대응된다. 중복 분열문과 합금 분열문은 문장 안의 한 부분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준분열문이라는 것을 공통점으로 가지는데, 인지적 제약과 관련한 차이점을 보인다. 열린 분열문과 ‘is’ 침입 구성은 명기 관계를 가지는 두 명제 S1과 S2를 표현하면서 S2를 단언하는데, 이를 통사적으로 압축적인 방식으로 나타낸다. 또한 이 두 구성은 S1이 전제뿐만 아니라 단언을 표현하는 유형으로도 확장된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한국어와 영어라는 서로 다른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특정 문장들은 분열문과 긴밀히 연관되며 또한 서로 형식적ㆍ기능적으로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pseudo-clefts of Korean language used in spontaneous spoken language can be compared with corresponding constructions of English in terms of syntactic and information-structural properties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The pseudo-clefts are grammatical patterns appearing frequently in discourse with certain meanings and functions, and they are similar with the canonical cleft except that the clefted constituent is realized as an independent main clause rather than as an embedded clause within the superordinate copular clause. The pseudo-clefts are sub-divided into Duplicative clefts and Independent clefts, and they correspond to Amalgam clefts and is intrusion constructions, respectively, in English. Duplicative clefts and Amalgam clefts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both of them are pseudo-clefts and some part of the sentence is repeated, while they also show differences in terms of cognitive constraints. Independent clefts and is intrusion constructions express two propositions S1 and S2 involving a specificational relation, and assert S2, by a syntactically compressive way. In addition, the usage of the two constructions has expanded to be able to convey an assertion as well as a presupposition by uttering S1. Thus, Korean and English, the two unrelated languages, can be seen as showing strikingly similar types of sentences, i.e. the pseudo-clefts, and they are analyzed as having close relations with the canonical clefts as well as with each other in respect to form and function.

      • KCI등재

        분열문과 추론분열문(‘-ㄴ 것이다’ 구문)의 통사의미 분석: 도식명사 ‘것’의 특성을 중심으로

        연재훈(Yeon Jae-hoon),박종원(Park Chong-won) 한글학회 2024 한글 Vol.85 No.2

        이 논문은 분열문(Cleft Constructions) 및 추론분열문(Inferential Cleft Constructions)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이 구문들에 나타나는 도식명사 ‘것’의 통사 행태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는 분열문 및 추론분열문에 나타나는 ‘것’을 이미 앞선 연구에서 고찰한 보문과 내핵관계절에 나타나는 ‘것’과 동일한 성질의 ‘것’으로 분석하고 잠정적으로 도식명사 ‘것’이라 부르기로 한다. 분열문과 추론분열문에 나타나는 ‘것’은 구체적 ‘사물’을 가리키는 내용명사 ‘것’과는 달리 특별한 내용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문맥에 따라 ‘사물’과 ‘사람’ 각각을 지칭할 수 있는 도식명사 ‘것’이다. 다만 추론분열문에 나타나는 ‘것’은 문법화가 더 진행되어 사람을 가리키지는 않는다. 도식명사 ‘것’은 복수 접미사 ‘들’과 공기하기 어렵고 형용사의 수식을 받기도 어려운 통사 행태상의 특성을 보여준다. 다만 분열문인 것처럼 보이는데 ‘것’이 복수 접미사 ‘들’과 사용 가능하고 형용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는 구문들은 분열문이 아닌 관형절로 분석하였다. 추론분열문의 ‘것’은 문법화된 어미 연쇄체 ‘-ㄴ 것이다’의 일부로서 도식명사 ‘것’을 포함하고 있다. 추론분열문에 나타나는 ‘것’은 보문, 내핵관계절, 분열문에 나타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식명사인데 다른 구문들에 비해서 문법화가 더 진행되어 의미적 탈색이 일어난 경우까지 포함하는 도식명사라고 할 수 있다. 분열문의 의미화용적 특징은 ‘총망라성’(exhaustiveness)의 의미와 분열절에 의한 ‘존재 전제’(existential presupposition)의 의미를 갖는다. 한편, 추론분열문은 선후 맥락의 응집성과 연관성을 고양시키기 위한 통사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추론분열문은 선행 맥락과 후행 맥락 사이의 담화 연결 관계를 설정하고 강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후행 맥락이 도식명사 ‘것’에 의해 내포된 분열문으로 표시된다. 화자의 인식 판단은 배경화되고 상황적 인식이 인식 판단의 기준이 되면서 화자 자신은 인식 판단의 책임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지는 효과를 만들어 낸다. 추론분열문의 담화기능적 의미는 아주 다양하므로 그 의미를 어느 하나로 수렴하려는 시도는 성공하기 어렵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Korean Cleft Construction (CC) and the Inferential Cleft Construction (ICC) from Cognitive-functional perspective with special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ematic noun ‘-kes’ employed in both constructions. We have demonstrated that the ‘kes’ adopted in CC and ICC exhibit a schematic meaning that has no contentful meaning. We then argue that the ‘kes’ employed in CC and ICC is identical to the ‘kes’ in other two constructions, i.e., Factive and Internally Headed Relative constructions, discussed in Yeon and Park(2021). The dependent noun ‘kes’ employed in these constructions, as a schematic noun, cannot be referential. It is noted that ‘kes’ in ICC underwent further grammaticalization. It is demonstrated that the ICC must be understood as a mechanism to improve coherence and relevance in the text; it is motivated to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ceding context and the event denoted by the subordinate clause headed by ‘kes’. The motivation for the ICC is then to put the proposition in the spotlight by indicating that the global circumstances, not the speaker, warrant the judgment. Consequently, the speaker staves off the responsibility for her epistemic judgment.

      • KCI등재

        말뭉치 기반 국어 분열문 연구

        남길임 형태론 2006 형태론 Vol.8 No.2

        국어문법에서 분열문은 문장성분의 독립성이나 접속문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중요한 통사적 기제로 활용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언어 자료에서 분열문이 어떤 양상으로 쓰이는지, 어떤 성분이 주로 분열문의 초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연구는 말뭉치에서 분열문을 추출하여 실제 언어생활에서 쓰이는 국어 분열문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분열문과·의사분열문의 정의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 분열문의 다양한 통사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분열문을 문장성분의 이동이라는 통사적 절차를 통하여 ‘강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사적 형식으로 정의하고 형태·통사적 기준을 통해 분열문과 의사분열문을 판별하였다. 구어·문어 말뭉치를 분석해 보면, 분열문은 구어보다 문어에서 월등하게 잦은 빈도로 실현되는데 이는 구어의 경우 분열문이라는 형태·통사적 장치 외에 음운론적 강세나 다른 별도의 통사적 구문들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또한 분열문의 초점 자리에 오는 성분은 주어>부사어>목적어>보어의 순으로 나타나며 초점 자리에 올 수 있는 조사는 뿐, 부터, 까지, 등의 제한된 보조사와 ‘에서’ 등으로 한정된다. Clefting is one way to manipulate word order in order to add focus or emphasis to a certain element in sentences. In Korean linguistic studies, cleft sentences have been used as syntactic criterion in either classifying conjunctive sentences or for testing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sentence constitu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syntactic aspects of cleft sentences and to define both cleft sentences and pseudo-cleft sentences. This study is based on approximately 200,000 words constructed from both spoken and written korean. This study notes some differences between clefts in spoken and written Korean. Thus, clefts are used much more in written corpus than in spoken corpus. This is because there are other constructions that play a similar role to clefts in spoken Korean. In our corpus, constituents that appear as highlighted elements in cleft sentences appear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as : subject>adverbial phrase>object>complement.

      • KCI등재

        프랑스어 ‘il y a SN qui/que...’ 형태 연구

        박정섭 한국프랑스학회 202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3 No.-

        This work aims to describe the uses of the impersonal form ‘il y a SN qui/que...’ in French. In this form, the part qui/que..., is most often analyzed as an ordinary relative, but sometimes as a "pseudo-relative", PR which exhibits properties different from those of a relative. We call the form ‘il y a SN PR’ ‘il y a cleft construction’ or ‘il y a CC’. It is often used to report an event typically in response to the question “What is going on?”: e. g. “Il y a le vase qui est cassé”. But it can also be used to provide a value to the variable expressed by PR: e.g. “(Who wants to go to the cinema?) - Il y a Beth qui veut y aller, il y a Jean-Marc, il y a moi. ” (the variable X, X wants to go to the cinema, a value = Beth). After reviewing some previous analyzes of il y a CC, we have argued that the two subgroups of il y a CC, SG1 and SG2, do not have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a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Gs resembles that which is observed between il y a existential sentences (PE) and il y a locative sentences (PL). For the SG1, il y a takes as its only complement a proposition composed of an SN and a PR, while for the SG2, il y a takes two complements: an SN and a PR. And il y a takes a single complement in PE, and two complements in PL. It therefore seems plausible to assume that the SG1 and the SG2 are in fact the expansion of the two sentence types, PE and PL, respectively. In this work, we also looked at how the il y a CC is translated into Korean. It has been shown that it can be expressed consistently, in Korean, as a single sentence with the subject marker “~ ka”, which marks the focus of the sentence as well. ‘il y a SN qui/que...’에 포함되어 있는 qui... 부분이 일반적인 관계절인지 아니면 이른바 유사관계절 PR인지에 따라 그 형태는 두 유형으로 구별된다. 첫 유형은 내포문이 관계절인 경우로서 il y a 존재문으로 불리며 두 번째 유형은 내포문이 PR인 경우로서 흔히 il y a 분열문으로 불린다. 의미적 관점에서 il y a 존재문에는 ‘존재적 용법’과 ‘위치기술적 용법’이라는 구별되는 하위유형이 포함되어 있다. il y a 분열문에도 두 가지 구별되는 성격의 유형이 포함되어 있다. 두 하위유형은 문장구조와 정보구조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그 두 하위유형인 사건보고형 분열문과 초점-배경형 분열문이 각각 il y a 존재문의 두 하위유형인 존재적 용법과 위치기술적 용법과 문장구조와 정보구조에서 유사성을 보인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의 번역 방식을 검토하며 il y a 분열문의 구어적 성격을 확인하였고, 또한 il y a의 존재적 용법과의 혼동에서 비롯되는 미세한 번역상의 오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Lambrecht(2002:51)는 il y a 분열문의 분열요소 SN이 주절에서 il y a의 보어로서 초점의 기능을 가지고, 동시에 종속절의 주어로서 화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절 안에 새로운 지시체를 도입하고 동시에 그것에 대하여 서술하지 말라’는 이른바 ‘지시체와 관계의 분리 원칙’(Principe de la Separation entre Référence et Relation, PSRR)을 위반하지 않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문장 안에서 동일한 요소가 초점이면서 동시에 화제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두 개의 정보구조를 전제하는 것으로 그 문장 전체의 정보구조는 그 만큼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많은 학자들이 일치된 견해로 주장하듯이 il y a 분열문이 단일 명제를 나타낸다면, 어떻게 그 두 개의 정보구조가 합쳐져서 그러한 결과에 이르게 되는지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사건보고형 분열문에서는 PR 전체가 초점이고, 초점-배경형 분열문에서는 SN만이 초점이라는 보다 명확한 주장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주장에서도 il y a 분열문들은 PSRR을 위반하지 않으며, 본고의 설명에서는 분열요소의 이중적 역할을 강조할 필요도 없다는 이점이 있다.

      • KCI등재

        한·중 초점 구문 대조 연구 ―분열문의 생성 중심으로―

        경소력 우리말학회 2022 우리말연구 Vol.71 No.-

        본고는 한국어 초점 구문인 분열문(Cleft sentence)과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분열문 및 중국어 준분열문(Pseudo-cleft sentence)을 대조하면서 그들의 생성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분열문은 유사하지만, 한국어 분열문은 주어, 목적어, 일부 부사어를 초점화할 수 있고, 중국어 분열문은 주어, 일부 부사어를 초점화 할 수 있으며 중국어 준분열문은 주어, 목적어를 초점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 한국어 분열문과 대응하는 중국어 분열문, 준분열문은 섬-제약과 결속이론을 준수하는데, 이는 이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증거를 제공한다. 본고는 이동분석으로 한국어 분열문을 분석하고, 이를 중국어 분열문과 준분열문 분석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분열문 도출과정에 따라 한국어 분열문과 중국어 준분열문의 생성과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열 가능 성분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 분열문과 중국어 분열문이 유사하지만, 도출과정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 분열문과 중국어 준분열문이 더 유사하다.

      • KCI등재

        한국어 ‘것은’ 분열문에 대한 이동 분석

        김석진(Kim Suk-Jin)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9 No.-

        한국어 ‘것은’ 분열문의 도출 과정에 대한 분석은 기저생성 분석과 이동 분석으로 크게 나뉜다. 영어의 ‘what’의 대응어가 한국어 ‘것’이라는 생각에 한국어 분열문을 유사 분열문으로 보는 기저생성 분석이 더 타당하게 보였고, 이동 분석은 학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기저 문장을 화제부와 초점부로 분열시키는 통사도출 과정을 가진 이동 분석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초점구와 화제구로의 분열, 공소, 명사화 어미, 화제 보조사, 확인 초점, 형식 용언이라는 이동 분석의 기제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이동 분석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어 분열문은 유사 분열문이 아니다. 영어의 ‘it’분열문과 유사하다. 그러나, 일부 환경에서는 영어의 유사분열문과 ‘it’분열문의 특성을 공유하고 있음을 밝힌다.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the syntactic analyses on cleft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the derivation of which has long been argued, divided by mainly two approaches, base generation analysis and movement analysis. I support the movement analysis with a focus movement and a remnant movement to Topic Phrase. As for dropped-case markers and negative or whole particles which can not be in the focus position, which often are given as a counterexample to deny movement analysis, I explain by adopting semantic and syntactic constraints that only identified constituent can occupy focus position and when a constituent moves out of TP merging with other constituent, case markers can be dropped and dummy verb ‘-ida’ has no case checking features. I shed lights on derivation of cleft sentence by showing the detailed mechanism. I assert that kes can be analyzed either a pronoun or a nominalizer at the same time when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opular sentence, it is a pronoun and when it shows those of cleft sentences, it is a nominalizer. In summary, movement analysis on Korean cleft sentences have better validity than base generation analysis. Movement analysis shows that main syntactic process of Cleft sentences is movement and some functional categories such as dummy verb ‘-ida’ and a nominalizer ‘–n kes’ are supporting the process. I also suggest there are 6 components for Korean cleft sentences, namely, cleft, trace, a nominalizer ‘–n kes’, topic marker ‘-eun’, identificational focus and a dummy verb ‘-ida’.

      • KCI등재

        프랑스어 분열문의 유형과 한국어 번역

        박정섭 한국프랑스학회 2022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7 No.-

        L’objectif du présent travail est de décrire les constructions clivées (CC) en français, et de proposer leurs équivalentes en coréen. La clivée prototypique est composée des trois parties suivantes: c’est – l’élément clivé la proposition – relative (e.g. c’est - le champagne – que j’aime). L’élément clivé y représente à la fois le focus, i.e. l’information nouvelle, et la valeur de la variable x présentée dans la relative (x tel que j’aime x). Mais, aujourd’hui, on a tendance à adopter une définition étendue des CC, qui nous permet d’en avoir une nouvelle typologie avec 8 constructions non prototypiques en plus de la prototypique. En examinant les propriétés sémantico-pragmatiques de ces 9 types de CC, nous constatons que pour décrire l’interprétation de ceux-ci, il faut tenir compte essentiellement de leur structure informationnelle, et vérifier si l’interprétation exhaustive y est ou non imposée et si l’élément clivé est ou non mis en contraste. Ensuite, prenant en compte ces facteurs interprétatifs, nous proposons les types de constructions en coréen qui correspondraient le mieux, du point de vue sémantico- pragmatique, à chacun des 9 types de CC en français. Ces derniers deviennent le plus souvent, en traduction coréenne, une phrase canonique (avec ou sans focus, avec ou sans topique) ou une pseudo-clivée (‘… 것은 …이다’ ou ‘… 것이 …이다’). 본 연구는 프랑스어 분열문들의 특성을 기술하고 그것들이 한국어로 번역되는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형적인 분열문은 ‘c’est - 분열요소-의사관계절’이라는 3부분으로 구성된다(예: c’est - le champagne - que j’aime). 분열요소는 문장의 초점, 즉 신정보에 해당하며 의사관계절에서 제시된 변항의 값을 명시한다. 그런데 오늘날 분열문에 대한 넓은 정의가 받아들여져서, 전형적인 분열문 외에 8개의 비전형적 유형을 모두 분열문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9개의 분열문 유형에 대해 의미-화용론적 특성을 검토하면서 그것들의 해석이 주로 정보구조, 문장의총망라적 해석 여부, 분열요소의 대조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에 그러한 중요한 해석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9개 프랑스어분열문 유형 각각에 가장 잘 상응하는 한국어 구문의 유형들을 제시하였다. 프랑스어 분열문들은 한국어로 번역될 때 대개의 경우 초점이나 화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이나 ‘ 것은 이다’ 또는 ‘ 것이이다’ 형태의 의사분열문으로 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