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럼프 현상으로 본 미국 고립주의의 본질과 재현 가능성 전망

        이선희,김중완,정한범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1

        “America First” foreign policy is not so much different from announcing abandonment of America's international role. The recent survey done by a polling agency reveals the American public tends to be in favor of isolationism. They argue disengagement in terms of foreign policy and withdrawal from TPP. Such sentiment is a result of widespread frustration and anger toward increasing inequality among the social classes, which allegedly has been rising in hand in hand with the spread of Neo-Liberalism. It seems major US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successfully taken the advantage of such movement. The recent rise in public sentiment favoring the isolationism largely resembles the period between 1935 and 1941, when it was predominant. Nevertheless, it is not likely that isolationism would enjoy its renaissance because the current hype of isolationism is mainly attributable to election tactics by the presidential candidates. In a sense, isolationism would have some impacts on U.S. foreign policy, by increasing the pressure for its protective trade policies and more burden-sharing request to its allies, but this trend would not deter U.S. from assuming its role as a hegemon. 이 글은 최근 미국 내 부상하고 있는 고립주의 여론이 국제주의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실현가능성과 우리나라 외교정책에 미치는 영향을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 우선주의 정책’은 미국의 국제적 역할 포기를뜻하는 고립주의 선언과 다름이 없다. 최근, 미국의 한 여론조사기관은 미국민들의 고립주의 성향이 상당히 높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신자유주의의 확산으로 누적된 불평등에 따른 국민적 불만이 폭발한것이며, 이러한 민심의 변화에 대선후보들이 편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여론은 외교안보적으로는 해외분쟁 불개입을, 경제적으로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불참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추세는 역사적으로 미국 내 고립주의가 주류를 이루던 1935년~1941년 시기와 비슷하다. 미 대선후보들의 선동적인 행동으로 인해 미국의 고립주의가 부활한 것처럼 보이지만, 미국은 패권국가로서의 국제적 역할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대신, 보호무역 강화, 방위비 분담강요 등 부분적인 고립주의 성향을보일 가능성은 있다고 예상된다.

      • KCI등재

        Japan`s Alliance Dilemma and Self-Reliant Way in Trump`s Isolationism

        ( Man-hee Le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7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22 No.1

        The paper explores how Japan will react to the alliance dilemma which dates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isolationism. In a deeper reality, the American long-rooted one-and-a-half-war strategy and its inactive response to China`s revisionist actions prompted Japan to doubt the validity of the security commitment. Propelled by this, Abe`s long-envisioned goal of the departure from the postwar regime prompts Japan to walk a self-reliant way. Whenever Japan faced alliance dilemmas during the Cold War era, it attempted to walk an independent way behind the Yoshida Doctrine. Interestingly, the U.S. isolationism offered Japan an opportunity to rearm. Likewise, Trump`s isolationism will cause Abe to rearm and attempt to move towards the “loosen the Yoshida Doctrine” combined with U.S. inactive intervention. With little U.S. intervention, he attempts to rearm and pivot to ASEAN, the South Asian region, and Russia, while undervaluing the role of U.S. troops in Japan`s security. However, the departure from the postwar regime may run counter to Japan`s sufficient guarantee to dilute the alliance dilemma. The U.S. also will find it difficult to secure its strategic interests in East Asia without getting Japan`s cooperation. It suggests that facing common foes, the two powers will be encouraged to move towards the Yoshida Doctrine supported by U.S. proactive exceptionalism by reassessing their own strategic interests. Redoubling the efforts to add more power, Japan will adopt its own rearmament and diplomacy which can be conducive to mitigating the alliance dilemma and enabling the departure from postwar regime.

      • KCI등재

        고립주의의 특질과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 전망

        배원영(Bae, Wonyoung)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7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9 No.1

        본 연구는 미국 고립주의의 특질을 매개로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을 전망한 것이다. 트럼프 현상에 의해 미국은 세계질서와 국내 상황에 대한 철저한 손익계산을 통한 이익추구 중심의 대외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미국의 전통적인 고립주의는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선별적인 개입과 고립의 정책을 취하였다. 미국이 국제주의를 추구한지 7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트럼프는 과거와는 차별적인 ‘미국우선주의’ 의사안별 선택과 집중의 정책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는 잭슨주의라고 불리는 고립주의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핵심이익에 대하여는 보다 적극적인 개입을 하는 한편, 기타분야는 과감하게 포기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세계안보 구도 속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 및 협력관계 설정, 국제현안 문제로서 이슬람 ISIS 과격집단 완전 격멸 그리고 북한 핵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등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과거의 정권들과 차별화된 트럼프의 대외정책 성향은 세계질서의 불안정, 군비경쟁 가속화, 국제협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도 있다. 미국의 사활적 이익에 대한 더욱 과감한 조치는 갈등과 위기를 유발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The United States is pursuing the foreign policy which aims to maximize the national interests through thorough calculation of the gains and the loss. The traditional isolationism of America had adopted the policy of selective engagement and isolation. Donald Trump pursues the ‘America First’ policy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policies of internationalism. Even though Trump administration indicates the tendency of Jacksonian isolationism, it will try to actively intervene the area of critical national interests while simply abandon the area of minor interests. The differentiated policy of Trump, if not properly checked, is likely to cause the instability of world order, the acceleration of arms race and the declin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와쓰지 데쓰로(和辻哲郎)의 『쇄국(鎖国)』에 나타난 16세기 일본의 문화

        홍성준(Sung-Joon Hong) 일본어문학회 2024 일본어문학 Vol.104 No.-

        『鎖国』は日本が漸進的に近代化を成し遂げる過程の中で、伝統文化と新しい文化をどのように融合させ、どのような問題点が表れたのかを詳細に記録した書物である。当時、日本社会は鎖国政策という名目の下で日本の伝統文化と日本で創造された新しい文化を維持しようとした。これは外国人宣教師の目にはっきりと入ってきたであろう。和辻哲郎は彼らから聞いたことを『鎖国』に詳しく収録した。 ルイス·フロイスは日本におけるキリスト教の布教活動の中心人物と言っても過言ではない。『鎖国』第六章は彼の活動の中でも京都地域における活動を主に収めており、そこに収録されているフロイスの書簡は彼が接した日本文化とそれに対する考えをうかがえる重要な資料である。和辻哲郎は太平洋戦争の敗北の原因を「科学的精神の欠如」に求め、「何がわれわれに足りないのであるか」を考察しようと試みた。本の副題を「日本の悲 劇」とした理由もこれに密接に関わっていると思われる。 本稿では、『鎖国』の第六章に収録されているフロイスの書簡を中心に、彼の京都における布教活動と16世紀の日本文化を分析した。和辻哲郎の思想を理解する際にこの本の持つ意義は大きい。その理由は、戦後の日本が失った精神を、時代を遡って16世紀に見出すことができるからである。 Isolationism is a book that records in detail how Japan combined traditional culture with new culture and what problems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Japan’s gradual modernization. At that time, Japanese society sought to maintain Japan’s traditional culture and the new culture created in Japan under the pretext of a policy of national isolation. These things must have come into the eyes of foreign missionaries, and Watsuji Tetsuro recorded in detail what he heard from them in Isolationis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Louis Frois was a central figure in Christian missionary activities in Japan. Chapter 6 of Isolationism mainly contains his activities in the Kyoto area, and Frois’ letters included there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allow us to examine the Japanese culture he encountered and his thoughts about it. Watsuji Tetsuro attempted to find the cause of the defeat in the Pacific War, which he mentioned, in the ‘lack of scientific spirit’ and examine ‘what we lacked’, and the reason why he subtitled the book ‘Japan’s Tragedy’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is. In this paper, we examined Frois’ missionary activities in Kyoto and Japanese culture in the 16th century, focusing on his letters included in Chapter 6 of Isolationism. The significance of this book in understanding Watsuji Tetsuro’s thoughts can be said to be great, and the reason is that the spirit of Japan that was lost after the war can be found by going back in time and focusing on the 16th century.

      • KCI등재

        Japan’s Alliance Dilemma and Self-Reliant Way in Trump’s Isolationism

        이만희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7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22 No.1

        The paper explores how Japan will react to the alliance dilemma which dates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isolationism. In a deeper reality, the American long-rooted one-and-a-half-war strategy and its inactive response to China’s revisionist actions prompted Japan to doubt the validity of the security commitment. Propelled by this, Abe’s long-envisioned goal of the departure from the postwar regime prompts Japan to walk a self-reliant way. Whenever Japan faced alliance dilemmas during the Cold War era, it attempted to walk an independent way behind the Yoshida Doctrine. Interestingly, the U.S. isolationism offered Japan an opportunity to rearm. Likewise, Trump’s isolationism will cause Abe to rearm and attempt to move towards the “loosen the Yoshida Doctrine” combined with U.S. inactive intervention. With little U.S. intervention, he attempts to rearm and pivot to ASEAN, the South Asian region, and Russia, while undervaluing the role of U.S. troops in Japan’s security. However, the departure from the postwar regime may run counter to Japan’s sufficient guarantee to dilute the alliance dilemma. The U.S. also will find it difficult to secure its strategic interests in East Asia without getting Japan’s cooperation. It suggests that facing common foes, the two powers will be encouraged to move towards the Yoshida Doctrine supported by U.S. proactive exceptionalism by reassessing their own strategic interests. Redoubling the efforts to add more power, Japan will adopt its own rearmament and diplomacy which can be conducive to mitigating the alliance dilemma and enabling the departure from postwar regime.

      • KCI등재

        후기 워싱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고별사

        김정은 ( Jeong Eu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1 No.-

        외교사 연구자들은 워싱턴 행정부 시기의 외교를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다. 이 시기 외교를 연방주의자들이 주도했다는 시각과 워싱턴 행정부의 정책 결정자들이 중립·고립주의 원칙에 따라 외교문제를 해결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본고에서는 후기 워싱턴 행정부 기간 동안에 발생했던 외교사건 즉, 1793년 프랑스와의 외교문제, 1794년 영국과의 외교문제를 워싱턴과 그의 내각이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시각이 타당한가를 살피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1793년 프랑스와의 외교문제에 직면한 워싱턴 행정부가 과연 중립·고립의 원칙에 따라 외교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워싱턴 대통령과 그의 내각 구성원들은 당시 미국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를 고려했다. 그 결과 워싱턴 행정부는 1793년 중립선언에서 ``중립``이라는 용어를 삭제했고, 1793년에 발생한 일련의 외교사건에서도 국제법과 합리에 근거하여 외교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여 유럽의 전쟁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했다. 이를 살펴볼 때 워싱턴 행정부가 중립·고립이라는 원칙에 따라 초기 미국 외교를 이끌어갔다고 하는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둘째, 그동안 외교사에서 조명되지 않았던 대통령 워싱턴(George Washington)과 국무장관 랜돌프(Edmund Randolph)의 외교적 역할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특히 제이조약이 친밀했던 프랑스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영국과 친밀한 관계가 되기를 원했던 해밀턴 때문에 체결, 승인되었다는 기존의 주장과 달리 조약 조건이 미국에게 불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워싱턴 대통령과 국무장관 랜돌프가 제이조약을 승인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앞에서 언급한 후기 워싱턴 재임 기간에 있었던 외교적 사건을 워싱턴 행정부가 어떻게 해결해 갔는가를 살펴봄으로써 1796년 발표된 고별사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1796년에 발표된 고별사가 중립·고립이라는 초기 미국 외교 원칙에 근거하여 선포된 것이 아니라 워싱턴이 1793년과 1794년에 발생한 외교사건을 해결하면서 느낀 점과 제이조약 이후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작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검토를 통해 후기 워싱턴 행정부의 외교는 워싱턴 대통령이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갔으며, 1793년 중립선언은 고별사의 배경이 되어야 하고 중립·고립이라는 원칙을 세운 고별사를 실제적인 중립·고립외교의 시작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Researchers in the field of diplomatic history observe the foreign policy during the period of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largely from two perspectives. One way of looking at it is that federalists drove diplomacy then, and the other viewpoint is that policy decision makers in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advocated neutralism and isolationism to deal with diplomatic issu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Washington and his Cabinet coped with two diplomatic events arisi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administration - that is, diplomatic issues with France and England in 1793 and 1794, respectively - so as to verify the validity of previous viewpoints. This thesis consists largely of three parts. First, it is to find out whether Washington`s administration adhered to neutralism and isolationism to solve the diplomatic issues with France in 1793. The President Washington and his Cabinet members prioritized national interest then. As a result, Washington`s administration deleted the term ``neutral`` from the Neutrality Proclamation of 1793, and made rational efforts based on the international law to deal with a series of diplomatic events that took place in 1793 so that the country would not be involved in the war in Europe. In this sense, the assertion that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led the early American diplomacy in accordance with isolationism and neutralism need be re-considered. Second, diplomatic roles of George Washington as the President and Edmund Randolph as the Secretary of State, which have never been investigated in the field of diplomatic history, are reviewed here. Particularly, unlike previous opinion that the Jay Treaty was signed and approved because of Hamilton, who wanted to end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France in favor of England, this study delves into why the President and the Secretary approved the Jay Treaty despite the terms and conditions unfavorable to the US. Third, by looking through how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fixed up other diplomatic issue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its regime, the meaning of the Farewell Address announced in 1796 is considered here. So to speak, the Farewell Address released in 1796 was not based on the country`s early diplomatic principles of neutralism and isolationism, but it was written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conditions after the Jay Treaty and his speculation on the process of settling diplomatic issues in 1793 and 1794. Based on the reviews aforementioned, the diplomac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seems to have been driven by George Washington himself, and the Neutrality Proclamation of 1793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background of the Farewell Address, which in turn should be regarded to have established and commenced the principle of neutralism and isolationism in diplomacy.

      • KCI등재

        20세기 전환기 미국 대외정책의 전환과 동아시아— 문호개방정책(Open Door Policy)과 이중적 인종인식 —

        오영인 수선사학회 2022 史林 Vol.- No.82

        American foreign policy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had been changed from traditional isolationism to internationalism or expansionism. American expansionists at that time regarded China as for economic aggression like many other European imperialistic powers. In order to share economic interests in China, America came up with so-called ‘Open Door Policy.’ Previously, scholars investigated the open door policy mainly focusing on leading figures related the policy or a complex social economic condition after the rapid industrial growth, 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licy and Progressivism. With these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Open Door Policy through a lens of racism, particularly the “Yellow Peril” racial discourse. In other words, it will discover how American expansionists arbitrary utilized the yellow peril to make a sound political position unlike European powers who initiatively maneuver this imaginary racial discourse against White. To begin with, it will start explaining the diverse background how and why American foreign policy had been changed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and what was the hidden agenda of the open door policy. .

      • KCI등재

        신고립주의와 아시아공동체에 관한 일고찰 - 북핵 위기 해법을 중심으로

        박제훈 ( Jehoon Park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7 비교경제연구 Vol.24 No.2

        동북아에서 위기요인은 경제적 위기의 경우 장애보다는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는 실증적 결론을 얻었다. 최근 악화되는 북핵 위기는 한반도에서의 핵전쟁 가능성을 증가시키면서 진정한 위기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즉 위기의 임계점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핵 위기가 동북아지역통합이나 협력에 기회요인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신고립주의 자체는 아시아공동체 결성이나 지역통합에 명백한 장애요인이다. 하지만 북핵 위기를 매개로 하여 동북아에 핵전쟁 위기 타개를 위한 지역협력 움직임에 동력이 생길 수 있다. 한국이 핵전쟁 시 피해 당사국임을 내세워 북핵 위기를 매개로 한 미중 간의 대타협을 적극적으로 중재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북핵 위기를 매개로 미, 중, 일, 러를 비롯한 북핵 위기의 당사국들이 모여 함께 이야기하는 자리 즉 ‘동북아안보협의체’를 우리가 나서서 만들어야 한다. We have an empirical result showing that in Northeast Asia the crisis factor can be an opportunity rather than a bottleneck in the economy. The deteriorating North Korean nuclear crisis emerge as a genuine crisi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 nuclear war in the peninsular. In other words we are approaching the critical point of crisis.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the North Korean crisis could be an opportunity for the Northeast Asian cooperation and integration is increasing. Neo-isolationism is itself an obvious bottleneck for the community building or regional integration. However, we may have a momentum for the regional co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a nuclear war in Northeast Asia by means of the North Korean crisis as a medium. In the short run, we should have an initiative of establishing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Body” where the US, China, Japan, Russia and South Korea meet together in order to produce a solution for the North Korean crisis.

      • KCI등재

        조지 워싱턴의 <고별사>:틈새약소국 외교철학의 텍스트

        권용립 한국미국사학회 2016 미국사연구 Vol.44 No.-

        The scholarship on George Washington’s Farewell Address has been preoccupied with highlighting and nationalizing his isolationist prescrip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subjects of political as well as academic controversies over the Address among American historians have been confined to a few specific words and passages, like ‘isolation’ and “steer clear of permanent alliances.” However, featuring the author’s prophetic wisdom and focusing on isolation as a uniquely American heritage paid the price of overlooking Washington’s overall foreign policy philosophy that drove him to advocate neutrality as the only option available for a weak nation caught in the war between Britain and France. I evaluate the Address as a political testament by a desperate leader of a weak but fledging nation trapped in power games of Great Powers. This new perspective brings to light the universality of realist and unilateralist reasoning that underlies Washington’s adamant admonition for neutrality. The nature of the Address also changes from an isolationist manifesto to a modern textbook of realist foreign policy, especially for sandwiched nations. Then we can recognize in the Address hitherto unheeded but insightful guidelines for foreign relations of weaker nations involved in confrontations between stronger ones. Warning against the risk of partially and emotionally driven foreign policies is just one among them. Finally, the practical or predictive validity of these guidelines can be tested by applying them to the case of contemporary South Korea, which is locked in and heavily affected by the political and military contests between two rival powers of the early 21th century, the U. S. and China. <고별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워싱턴의 선지자적 예지와 그의 고립주의 처방만 부각해왔다. 이 때문에 <고별사>에 관한 미국의 정치적, 학문적 논쟁 주제도 <고별사>의 몇몇 구절과 단어, 즉 “영구동맹을 피하라.”는 구절이나 ‘고립’의 의미에 국한되어왔다. 그러나 <고별사>의 선지자적 예지를 부각하고 ‘고립’을 미국 고유의 외교적 유산으로만 전제한 기존 연구들은 고립이라는 처방과 고립주의라는 전통에 집중하느라고 고립을 영국과 프랑스의 틈새에서 살아남을 미국의 유일한 생존전략으로 도출해낸 워싱턴의 외교철학적 논증 과정을 경시했고, <고별사>가 틈새약소국 일반의 현실주의, 독자주의 지침서로서 보편적 가치를 갖는다는 사실을 지나쳤다. 이 연구는 <고별사>를 강대국의 파워게임에 휩쓸린 틈새약소국의 절박한 지도자가 남긴 현실주의 외교철학의 텍스트로 읽는다. <고별사>를 이런 관점에서 다시 읽으면 중립과 고립을 역설한 워싱턴의 실천적 메시지보다 그것을 이끌어낸 워싱턴의 현실주의와 독자주의 외교철학의 보편적 타당성에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고별사>의 성격도 고고한 고립주의 선언문에서 약소국 독자주의 외교철학의 보편적 지침서로 바뀐다. <고별사>를 약소국의 외교철학의 지침서로 독해하게 되면 강대국 간의 투쟁에 휩쓸린 틈새약소국 모두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그렇지만 부당하게 무시당해온 통찰력 있는 지침들의 의미와 무게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다. 장기동맹의 경직성, 편파적이고 감정적인 외교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는 그 중 하나다. 끝으로, 틈새약소국 독자주의의 현실적 타당성과 통시적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미국과 중국의 정치군사적 대결 틈새에 갇힌 채 양국의 압도적 영향력에 동시에 노출되고 있는 21세기의 대표적인 틈새국가인 한국의 외교에 <고별사>의 독자주의 지침을 적용해 본다.

      • KCI등재

        F. D. 루즈벨트 대통령의 개입정책과 전후구상

        김일수(Il-Su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6 동서연구 Vol.18 No.1

        F. D. 루즈벨트가 대통령으로 집권했던 1933년부터 1945년까지는 세계질서가 급변 하던 혼란의 시기였다. 1930년대 전 세계를 휩쓴 대공황과 세계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추축국(Axis Powers)의 등장은 세계를 2차 세계대전으로 몰고 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루즈벨트는 세계정세의 변화를 관망하며 미국의 전통적인 고립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 했으며, 마침내 ‘무기 대여법(Lend-Lease Act) 을 통과시킴으로써 미국의 외교정책을 개입 주의로 전환시켰다. 또한 2차 세계대전 중그가 구상한 전후 세계질서는 그의 사후 전개된 세계질서 재편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 다. 1930년대 루즈벨트에게 있어 외교정책은 경제 대공황이라는 국내문제에 인해 하위 문제로 밀려나 있었다. 또한 국내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고립주의자들이 장악한 의회와의 협조가 절실했기 때문에 루즈벨트는 외교정책에 있어 고립주의를 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과 자신의 대통령 3선을 계기로 루즈벨트는 미국의 외교정책을 개입주의로 전환시킨다. 이는 루즈벨트가 고립주의라는 시대의 흐름에 맞서기 보다는 상황의 진전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외교정책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킨 결과였다. 일본의 진주만 기습사건을 계기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된 루즈벨트는 전후 세계에서 차지할 미국의 위치를 인지하고, 전후 세계질서를 구상하게 되었다. 그는 전후 국제정치질서가 강대국 간의 협력을 통해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즉,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이 자신의 세력권을 확보하여그 속에서 경찰의 역할을 수행하고, 각 세력 권은 개방적으로 상호 교류하는 세계를 루즈벨트는 구상하였다. 루즈벨트의 이러한 구상은 국제연합(United Nation)의 창설로 결실을 보게 된다. 또한 루즈벨트는 전후 국제 경제질서로 자유무역질서를 추구하였다. 그결과 미국을 기축 통화국으로 하는 브레턴 우즈체제가 출범하였는데 이는 미국이 세계 경제의 중심이 되었음을 의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ranklin Roosevelt’s interventionism during 1933-1945 and examine the policy goals of post -war era. The rejection of the League of Nations treaty in 1919 marked the domination of isolationism from world organizations in American foreign policy. Despite his Wilsonian background, FDR acted with great care not to provoke isolationist sentiment. The rise of Hitler and Japanese militarism aroused fears of a new world war. He gave the Quarantine Speech aiming to contain aggressor nations. After 1938, FDR championed rearmament as the world headed into World War II. FDR proclaimed America should be the ‘arsenal of democracy’ and sought ways to support Britain and France militarily. During the war, FDR provided decisive leadership against Nazi Germany and made the U.S. the principle arms supplier and financier of the Allies. In the wake of Pearl Harbor, FDR decided that the defeat of Germany and Japan had to take priority. By late 1943 FDR made high-level political decisions about the postwar future of Europe. He also envisioned the plans for a postwar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liberal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In sum, FDR was a prudent internationalist who espoused democracy, liberty, and more stable postwar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