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ㆍ 도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을 바탕으로 한 문제 제기

        홍태한 ( Hong Teahan ),김태호 ( Kim Taeho ) 남도민속학회 2017 남도민속연구 Vol.34 No.-

        그동안 여러 시ㆍ도에서 무형문화재를 지정, 관리하였다. 2016년 새롭게 발효된 <무형문화재보전및진흥에관한법률>에 의거 시ㆍ도 무형문화재도 국가 무형문화재와 동일하게 우리 무형유산의 중요한 축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아직 시ㆍ도 무형문화재 전반을 검토한 연구성과는 없다고 판단하여, 이글에서는 시ㆍ도 무형문화재의 실상을 중심으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했다. 먼저 시ㆍ도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을 살핀 결과, 공연예술 중심의 시ㆍ도 무형문화재, 놀이 축제 중심의 국가 무형문화재로 정리되었다. 그리고 전통기술은 국가나 시ㆍ도 모두에서 비율이 높았다. 시ㆍ도 무형문화재 종목 명칭 부여 방식을 살펴보니 지역적 정체성을 살펴보기에는 여러 가지로 부족하여 앞으로 보완이 필요하다. 국가 무형문화재와 시ㆍ도 무형문화재가 중복되는 종목의 경우에는 어떻게 지정하고 관리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할 때, 각 종목의 정체성 확립이 무엇보다 요구된다. 시ㆍ도 무형문화재는 지정은 상당수 이루어졌지만 전수교육, 이수자 관리 등에서는 아직 보완될 점이 많았다. 이러한 몇 가지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시ㆍ도 무형문화재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랐다. 이 글의 후반부에 글쓴이가 그동안 파악한 시ㆍ도 무형문화재 목록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논의의 디딤돌이 되기를 바랐다. Many cities and provinces have been designating and manag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so far. Under <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 that has taken effect from 20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oo, have become major axes in our intangible heritages along with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is author, however, deems tha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to examin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general yet. Therefore, this study will present sever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statu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tatus of designating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first of all, there ar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performing arts and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plays and festivals. Traditional techniques are frequently found both in national and also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ultural assets. Looking into how to name the item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is author concludes that it should be complemented in many ways further to add regional identity to them. According to the discussion over how to designate and manage national and also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en they are overlapped, first, it is needed to provide identity for each of the items. Although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ve been designated quite a lot so far, it still needs complementation in terms of educating bearers or managing initiates. Based on the discussions performed here, this author expects more genuine discussion will be done abou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fterwards. This researcher also adds the lis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at have been figured out so far in the latter part so that it can lay the stepping stone for further discussion.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 방향의 재인식

        임재해(Lim Jea-Hea)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문화재와 무형문화유산의 관계 정립을 새로 한다. 모든 문화재는 무형문화에 따라 생산되고 무형문화를 목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형문화재도 무형문화의 유산이다. 유형문화재의 생산과 이용, 보존과 복원 등이 모두 무형문화의 수준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무형문화재는 물론 유형문화재도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주목해야 숭례문을 화재로 불태운 일을 제대로 이해하고 대안을 수립할 수 있다. 무형문화가 모든 문화 생산의 모태인데도, 문화정책은 유형문화재 중심으로 치우쳐 있다. 문화정책에서 무형문화가 홀대 받는 까닭은 문화의 ‘가치’보다 ‘가격’을 따지고 ‘공유’보다 ‘소유’를 소중하게 여기는 탓이다. 문화의 의미가치가 살아나야 경제사회에서 문화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 문화의 소유욕 때문에 유형문화재들은 도굴과 밀반출의 수난을 겪는다. 서구열강들이 제3세계 문화재를 반환하지 않고 박물관에 전시하는 것은 스스로 문화재 수탈을 널리 알리는 일이다. 그런데도 문화재 약탈 사실을 숨기지 않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문화재가 어디 있어도 그 문화의 무형적 소유권은 본디 국가에 있다. 무형문화는 약탈해 갈 수도 없고 독점적으로 소유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무형문화의 생명력과 창조력은 상황에 따라서 그 형태가 변화되는 것이 본질이다. 물이 무형문화라면 물을 담는 그릇은 유형문화이다. 그릇에 따라 변하는 물과 달리, 그릇은 늘 일정한 꼴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물과 같은 무형문화를 그릇의 유형문화처럼 고정적 형태로 보존하려는 것이 문제이다. 무형문화의 본질은 재창조에 있으며 그 생명력은 창조력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형문화의 창조적 계승을 위해서는 현실의 문화상황을 정확하게 알고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 우리 시대는 기술적으로 디지털문화 시대이고 사회적으로는 다문화사회로 가고 있다. 디지털시대에 가치를 발휘하는 무형문화재는 설화 자원이다. 풍부한 설화 자원을 수집하고 조사하여 문화콘텐츠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화 아카이브 작업이 시급하다. 설화야말로 미래 문화를 이끌어갈 소중한 무형문화 자산이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혼입여성들에 의해 다민족 사회로 재구성되고 있다. 시골마을에 혼입한 제3세계 여성들은 자국의 무형문화를 지닌 채 한국문화에 적응하고 있다. 혼입여성들을 한국화하려 들지 말고, 다문화주의 시각에서 자문화를 제각기 누릴 수 있도록 문화정책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농촌마을을 다문화사회로 만들어야 21세기에 적응하는 마을공동체가 지속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형문화 계승은 이미 있는 전통을 고스란히 이어받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에 맞는 바람직한 문화를 창조하여 끊임없이 덧보태어 나가는 것이다. This study's objective is to establish the relation of cultural assets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ew. All the cultural assets are produced according to and for intangible culture. And thu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also assets of intangible culture. Production, us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etc of tangible cultural assets are all depends on the level of intangible culture. Therefore, tangible cultural assets as well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given attention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so that the incident of Sungnye Gate the South Gate being burned in fire may be understood and alternative be established properly. Although intangible cultures are the womb of all the cultural production, culture policies are biased to tangible cultural assets. The reason intangible culture is thought little of in culture policy is because ‘price’ of culture is counted more than its ‘value’ and ‘possession’ is valued more than ‘sharing’. Advance from economic society to cultural society may be achieved only when the value of cultural meaning is revived. It is because of greed for possession of culture that tangible cultural assets suffer from grave robberies and smuggles. For western powers to exhibit the cultural assets of third world in museums instead of returning is an act of broadcasting deprivation of cultural assets themselves. Nevertheless, it is lucky that they do not conceal plunder of cultural assets. No matter where a cultural asset stays, the intangible ownership of that asset belongs to the government. That is because intangible culture can neither be plundered nor be owned exclusively. The vitality and creativity of intangible culture in essence change in its form depending on circumstance. If water is intangible culture, then the vessel that contains it is tangible culture. Unlike water that changes shape depending on container, the container itself should always remain in the same shape. Here, the problem is the attempt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e which is like water in fixed form as if it is the tangible culture of container. That is because the essence of intangible culture lies in re-creation, and the vitality is the creativity. Therefore, for creative succession of intangible culture, it is necessary to exercise flexibility in accurate knowledge of the cultural situation in reality. Our era is an era of digital culture technically and is advancing toward multi-cultural background socially.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at demonstrate value in digital era are folktale resources. Impending is the archiving of narrative literatures so that they may be utilized as cultural contents by collecting and surveying affluent folktale resources, for folktale itself is a valuable intangible asset to lead future culture. Now our society is being re-composed into multi-ethnic society with the influx of women from different cultures. Women from third world that moved into rural communities are adapting themselves into Korean culture while still holding intangible culture of their native countries. It is desirable to change culture policy so that they may each keep relishing their native culture in multi-culturalistic perspective instead of Koreanizing the joined women, for it is only by making agricultural communities multi-cultural society that the communities may remain adaptable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succession of intangible culture is not a blind continuance of tradition that already exists but is the practice of ceaselessly creating and adding culture desirable in contemporary days.

      • 충북 무형문화재의 현황과 지역문화

        이창식 ( Yi Chang-sik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4 지역문화연구 Vol.3 No.-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folk-music․folk-Dancing․folk- Play․folk-Industrial arts etc. 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cultural asset that can not preserve by material paragraph. Is protecting function and art thought that conservation value is amo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our country. Prevent that intangible cultural assets disappear and built transmissions-hall to be handing down in coming age. And hold announcement and performance every year time of handing down. Intangible cultural assets system centr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authority and tradition about intangible cultural assets endow. Therefore, enhance cultural value and identity in possessor or the group. Mayor and provincial governor can specify city and degree appointment cultural asset and cultural asset data. Have artisan of metal printing type crab-spawn(金屬活字匠) designated in 1996 and Taekkyon designated in 1983 by country appointment cultural asset in Chungcheongbuk-do. Come the 1990 in Chungcheongbuk-do and specified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re is 14 items now. Must excavation more intangible cultural assets forward. Must consider and excavation regional division and special quality of cultural environme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system climbed phase of Korea culture heritage. Need scientific research to change concept of cultural asset to concept of broad sense little more of cultural inheritance. Must reappear disappeared cultural asset and specify intangible cultural assets after regular period. Should be appint special in cultural asset. Change of cognition about transmission is required. Chungcheongbuk-do must consider this point and ready active countermove.

      • KCI등재

        무형문화재법 관련 판소리 전승 현황과 제도 연구

        최혜진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1 No.-

        The existing protection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s not only provided for many positive results, but also issued for an appropriate law system. The past items that constitute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was designated according to historicity, scholarship, artistry, and local features. Meanwhile, transmitters was trained by acknowledging holders who can learn, preserve, and realize the functions or artistic talents of the relev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o implement the UNESCO Convention, the qualitativ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the cooperation and spread of international exchanges, the government has enforced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Preservation & Promotion Ac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ct’)” since 2016. In relation to the enforcement of this Act, this paper’s aim i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preserving and transmitting Pansori,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holders,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enforced Intangible Cultural Assets Act. By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ional cultural asset holder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established legislative bill, the study examines the deliberations and evaluations required to designat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case of the current Pansori, the school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is protected and promoted while other alienated schools collapse. There are master singers equipped with great skills and abilities, who foster disciples while remaining external to the school. Because such transmission has certain limitations, however, researchers are responsible for continuously discovering, researching, and protecting such master singers. When regulations or systems reflect the reality involved in leading the protection, promotion, and recreation of Pansori, singers in different sites can protect and carry on the world’s cultural heritage. Right now, the base of holders(master singers) in each school charged with maintaining and preserving Pansori should be expanded. It is also necessary that interested persons should increase efforts to designate local master singers as holders in ways appropriate to their fame. 그간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는 성과만큼이나 개선해야 할 많은 과제를 지니고 있었다. 과거 무형문화재는 역사성, 학술성, 예술성, 향토성을 기준으로 종목이 지정되었다. 이와 동시에 해당 무형문화재의 기능이나 예능을 원형대로 체득, 보존하여 그대로 실현할 수 있는 사람을 보유자로 인정하여 전승자를 양성하였다. 정부는 2016년부터 유네스코 협약과 무형문화유산의 질적 보호, 국제교류협력과 확산 등을 위해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약칭 ‘무형문화재법’)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다. 본고는 무형문화재법의 시행과 관련하여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의 현황과 전승, 새로 시행되는 무형문화재법의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판소리 보전, 전승의 향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들 7명의 전승 현황을 살피고, 새로 제정된 법률안의 특징을 고찰하는 동시에 무형문화재 지정 심의와 평가 세부내용을 살펴보았다. 현재의 판소리는 문화재로 지정되는 유파는 보호, 육성되지만 거기에서 소외되는 유파는 몰락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정의 영역에서 벗어나 있으면서도 충분히 기량과 실력을 갖춘 명창이 있고, 그 아래서 제자들이 양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승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이러한 명창을 지속적으로 발굴, 연구, 보호해주어야 할 책무가 있다. 법률이나 제도가 실상을 반영하면서 판소리 보호, 육성, 재창조를 이끌어 줄 때 현장의 소리꾼들이 세계문화유산을 지키고 계승해 나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당장은 유파별 계승을 담당할 보유자들의 저변이 넓어져야 하고, 지역의 명창들이 그 명성에 걸맞는 보유자 지정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자들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충북지역 향토민요의 전승 실태와 진단

        이창신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6 No.-

        우리나라와 같이 농업사회가 급속하게 산업화․도시화되고, 사회 전체가 서구화되는 환경에서 전통문화유산, 특히 무형의 유산을 온전히 지키고 후손에게 전승하는 일은 매우 힘든 일이다. 때문에 문화재보호 업무를 관장하는 중앙부처를 두고 있고, 무형문화재의 특성을 감안하여 기예능보유자, 즉 인간문화재를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도는 무형유산의 보존․전승에 큰 역할을 하였지만 몇 몇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외에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않았으나 보존이 필요한 무형유산들이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고, 이들이 지금도 계속해서 사라져가고 있는 점도 해결해야할 숙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충청북도 지역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충북지역의 토속민요의 전승현황과 제기되는 문제점,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제기된 문제점은 ‘농요의 선율 변형’, ‘보존회원간의 갈등’, ‘전승교육의 부실화’, ‘전승지역의 도시화’, ‘무형문화재 관련 법규의 미흡’의 6가지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기능보유자나 기능보유단체가 스스로 해결하기 힘들고 외부의 도움이 필요하다. 농요의 선율 변형과 기능보유자간의 기능에 관한 상반된 주장에 의한 갈등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기능보유자와 보존단체에 대한 정기 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감독기관의 행정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정기검사를 시행하기 위한 문화재보호법의 조항을 수정․보완해야 한다. 농촌마을의 도시화에 따른 무형문화재의 보존․전승의 어려움도 문화재보호법 제3조 ①항의 “2. 도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의 보호물 또는 보호구역의 지정과 그 해제.”의 내용을 준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문화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서 해당 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농요 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대지 지분을 도나 시․군에서 매입해야 한다. 충청북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무형문화재 기록화사업이 원형을 온전히 기록하기 위해서는 관련 전문가 1~2명이 사업을 전담하여 진행시키는 방식을 지양하고, 도 문화재위원회와 전문가들의 사전 조사와 원형에 대한 토론을 거친 다음에 사업계획을 마련해야 하며, 그에 철저한 감수가 실시되어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내용을 기록화사업 시행규칙에 규정하여 제도화시킬 필요가 있다. 도 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토속민요들의 대한 보존․전승 작업은 현지 조사를 통하여 채록․채보하고 음원자료를 확보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이 시급히 시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사업추진위원회를 조직하고 산하에 실무 전문 인력이 확보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 사회의 무형문화재의 중요성에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유형의 문화유산의 보존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어서 박물관 등 여러 기관과 학자들이 발굴하고 수집하며, 보존하는 작업을 오랜 기간에 걸쳐서 해왔고, 상당한 성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무형 유산의 보존과 전승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아직 인식이 부족하고, 관련 전문가들도 부족하다. 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In an environment like South Korea where the agricultural community has undergon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ith the entire society becoming westernized, it should be very difficult to keep intact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the intangible assets, and hand it down to the posterity. Therefore, the national government has related offices in charge of protecting cultural asse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us selecting and managing persons with technology or artistic faculty, that is, human cultural assets. While such a program has played a major role in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t has also revealed some problems. The nationwide presence and continued disappearance of the intangible assets that are not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and need protection loom as an issue that requires solutions. Such questions find similar instances in Chungcheongbuk-do. The practice and questions in combination with suggested solutions in the transmission of folksongs in Chungcheongbuk-do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ix questions posed are the transformation of the melody of farmer's songs, the conflict among preservation society members, the urbanization of the areas where transmission takes place, weakening of transmission education, the neglected management of the activities related to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and the insufficient legal provision for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Solving such problems daunts artisans or their groups and thus should require external support. In this light, five of the six questions may be solved by supplementing the municipal ordinance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Such issues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melody of farmer’s songs, the standardization of performance forms, and the conflicts deriving from opposed positions on the role of artisans should be addressed by conducting regular inspection of artisans and preservation societies and enforcing administrative measures based on its results. For the implementation of regular inspections, the clauses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must be amended and supplemented. The difficulty of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wake of the urbanization of farming communities can be addressed by applying mutatis mutandis Article 3, Clause 1, Section 2: “Designation and release as protected objects or zones of provincial cultural assets and cultural heritage materials.” In other words, through a decision of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the areas in question should be designated as protected zones and the portions of the site needed for the preservation of farmer's songs should be purchased by a province, a city, or a county. In order that the project for recording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w conducted by Chungcheongbuk-do may succeed in maintaining their original forms, its exclusive implementation by a couple of related specialists should be avoided, while prior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of the original conditions involving the provincial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and other experts should come up with a project plan followed by its thorough inspection. And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uch a process, it needs to be specified in the enforcement regulations for the recording project. As for the work of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ose folksongs that are not yet designated as provincial cultural assets, the building of a database based on the sound sources secured recorded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must be realized first, and for this purpose, institutional support must come in the form of the creation of a project implementation committee with a subordinate professional staff. Finally, the public awareness must be heightened with regard to the significance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country. A society-wide consensus is established concerning the preservation of the...

      • 경기도 무형문화재의 향후 방향성 – 예능종목을 중심으로 -

        전지영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6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5 No.-

        이 글은 경기도 무형문화재와 관련하여 기존 몇 가지 문제점 개선과 향후 이상적 방향성을 고민한 내용이다. 기존 경기도 무형문화재와 관 련한 문제점으로는 예술성 중심 종목과 민속 현장성 중심 종목의 미분 리, 삶과 역사와 유리된 기예 중심의 표피적 전승관행, 보유자와 전수조 교 지정에 있어 인성에 대한 형식적이고 피상적 확인, 함량부족 종목 신청 및 국가무형문화재와 중복지정 문제, 서울의 역사적 확장으로 인 한 ‘경기’의 지리적 권역의 문제, 현지조사 의견과 괴리된 문화재 위원 회 문제, 중장기적 차원의 담당 전문인력 부재, 지정 종목의 공개행사 현장평가 부재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이의 개선을 위해 예산문제, 전승 자 생계보장 문제, 무형문화재와 관련한 관료주의와 계몽주의 문제, 전 승공간의 문제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궁극적인 방향성으로는 생 산적 보호와 총체적 보호, 생태적 관점의 전승, 시민중심의 관점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생태성, 시민중심의 사고는 결과적으로 전승자들을 단 순한 기예 전수자가 아니라 새로운 무형유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활 동가‧운동가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In spite of many suggestions and opinions for improv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criticisms and inspections about existing problems are still necessary for future direction in Gyeonggi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re are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such as separation folk-cultural assets from artistic intangible cultural assets, superficial transmission divorced from the facts of living and historical story, cursory examination of personality for designation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overlapping application for Gyeonggi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delusion in the meaning of ‘Gyeonggi’ by mistaking Gyeonggi-do Province for current Seoul area, arbitrary decision and execution of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absence of professional manpower in GyeongGi-Do Provincial Government, etc. There also are some necessary conditions for system innovation, such as security of budget for independent policies of Gyeonggi Province, policies for stabilization or guarantee of cultural transmitters livelihood, illuminative viewpoint and bureaucracy i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ystem. increase of present sense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tc. It can be argued that the most important examination point for ideal direction of Gyeonggi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the term of ‘total protection’ or ‘productive protection’, which is related to ‘ecological property.’ The ecological property about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also closely related to citizen-centered point of view. In the ecological and citizen-centered viewpoint of abou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transmitters of them should be redefined as activists for new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후보

        중요무형문화재 무용단체종목 이수제도 개선방안

        이미영 한국무용연구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3

        중요무형문화재란 국가(문화재청)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서 연극, 음악, 무용, 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 중 역사적·예술적·학술적으로 가치가 큰 무형문화재를 지정한 것을 말하며 중요문화재를 지정할 때에는 당해 중요무형문화재의 보유자를 그리고 단체종목인 경우에는 보유단체를 인정해야 한다. 무형문화재 관리는 크게 나누어 발굴지정, 전승 및 보존, 보급의 세 분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 분야 중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다. 무형문화재는 소멸성이 크고, 무엇보다 사람이 실현·계승되는 것으로 전승교육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강조된다. 현실적으로 정부가 중심이 되어 무형문화재 보호정책이 없었다면 현재처럼 무형문화재가 보호되었으리라고는 쉽게 장담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근본적 문제점과 함께 그 개선방안의 하나로서, 무용 단체종목 전수교육실시에 따른 이수제도 개선을 논의하고자 한다. 문화재를 발굴하고 보호하며 보존하려면 우선 올바른 기준을 정하고 부족함이 없는 환경, 보유자와 전수자, 관람자 사이에 소통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즉 올바른 기준으로 문화재가 선정되어 누가 봐도 인정하는 문화재가 되어야 한다. 여기에 문화재의 그 가치를 보전하려면 그 환경이나 조건 등이 넘쳐나서도 안되지만 부족해서는 더욱 안 된다. 진정한 의미의 보전(soteria: 保全)은 부족함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수교육 실시에 따른 이수제도의 개선과 보완 등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며, 이러한 연구와 개선을 통해 올바른 문화재 복원과 보존, 소통을 할 수 있다는 통로가 된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refers to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designated and considered to bear great historical, artistic, and academic values, among intangible products of culture, including play, music, dance, and crafts, after due delibe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When designating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it is mandatory to specify the name of holder for the asset designated or holding organization for the team event. Managemen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covery and designation,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and dissemination. All of these are equally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what is actualized and passed down to another by human being with great perishability, which lays great emphasis on transmission. It is not going too far to say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could be preserved, if it were not for state-sponsored protection policy. There are several big problems despite great values of these systems for cultural assets. What is the true mean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We need to think for whom and which it is designed in the first place. Good communication among holder, transmiitter, learner, and environment is required to discover, protect and preserve cultural assets under proper criteria. That is, we need a cultural asset that is widely recognized by anyone. In order to preserve the values of a cultural asset, it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ondition should be always adequate. True meaning of soteria represent adequacy. A close review is needed for the remedies and improvements of transmission system. This study is particularly meaningful for being a fundamental channel for restoration, preservation, and communication of cultural assets.

      • KCI등재

        경기도 향토민요 관련 무형문화재의 전승현황과 과제

        장희선 ( Jang Hee-su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7 공연문화연구 Vol.0 No.35

        본 논의는 경기도 지역 향토민요 무형문화재의 지정 및 지정 후 재현, 전승 현황을 고찰하고, 전승의 과제와 개선방안을 제시한 글이다. 1998년 지정 후 2016년까지, 경기도 향토민요 관련 무형문화재로 최대 13종 지정이후 9종으로 감소하여, 문화재 관리, 운영의 문제가 예상된다. 우선 북서부 지역 위주의 분포와 농요, 의례요 등 유사한 민요의 지정현황은 발굴·복원과정에서 일정부분 상호 전이되거나 정형화 경향과, 일부의 원형 훼손 가능성, 지정·전승 과정상의 한계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문화재 종목의 `(세시)놀이`와 `민속음악`의 유형분류와 민요구성의 관계가 모호하여, 재검토가 요구된다. 민요와 놀이·의례의 연계성 등은 원형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다. 지정문화재의 명칭과 종목 번호도 올바른 문화재 지정 여부에 대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보존회의 전수교육은 정기적인 회원 강습과 일반인 대상교육으로 구분가능하고, 원형전승과 현대적 계승의 이원화된 공연양상을 띤다. 의례(일) 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유형의 소리 발굴 및 지나친 양식화에 따른 원형훼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전승의 과제와 개선방안으로, 첫째, 문화유산의 가치와 보존에 대한 인식 재고, 둘째, 문화재 지정과 해제 과정의 지표화, 셋째, 문화재의 기록화와 기록물 보존의 체계화, 넷째, 지역사회와의 연계, 다섯째, 전문인력 구성과 지원관리의 체계적 정립 등을 주요 논점으로써, 제안하였다. In this article, I suggest issues and tasks in transmission of Gyeonggi Province folk songs after thorough study of designation of Gyeonggi Province folk songs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classified into seasonal playing and songs. Originally, category or extension of folk songs is above mere songs and it also embraces personal lives as well as village communities. Intangible assets of folk songs are folk art, group events and non-stage events at the same time based on tradition, history, uniqueness, characters of field value. Gyeonggi Province has 9 intangible assets now because of the revocation of several assets (All Gyeonggi Province, Hwasung, Gwacheon) within five years after initial designation of 13 assets in 1998. They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north Gyeonggi region where is close to the DMZ and delay in development seems to have enabled the preservation. Mo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farming songs and weeding which show characteristics of Gyeonggi Province. Most of the designees are who performed excavation, recovery, excluding a few cases without designees on designation, and almost all the designee passed away. Number of cases have been revoked because transmission was not completed or some cases were transmitted to groups rather than specific designees. Subscription concert, the biggest and most representative event, is performed once a year with all of the 9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original complete forms of the designati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classified into seasonal playing and songs. In general, current performance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folk songs are same as the originally designated forms and are not in varied forms other than folk songs like songs for rice-planting and weeding. Funeral songs are transmitted in Yangju and Yangpyeong. In terms of the operation, preservation societies having training centers have been performing more constant activities for preservation including lecture,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Members are quite aged and the societies are suffering from lack of support fund for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Problems in reproduction and tasks for the transmission I would like to suggest are like followings. First, preservation and value of the cultural assets. Second, new understanding of designation and revoc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ird, record of performance and sound source. Fourth, liaison with local communities. Fifth, organization of professional resources and establishment of systematic support and management.

      • KCI등재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분야의 원형과 전승 문제에 대한 반성적 검토

        한양명(Han Yang-Myung)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4 No.1

        이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민속 가운데 특히 예능분야에 속하는 것들을 대상으로 '원형'과 전승에 관한 문제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크게 네 장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장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원형의 개념 문제를 문화재보호법의 맥락 속에서 검토해 보았다. 검토의 결과 문화재보호법에서 말하는 원형은 '지정 당시의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문화재로서 갖추어야 할 요건은 역사성, 전통성, 지역을 바탕으로 한 전승성 등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장에서는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과연 예능분야에서 지정된 무형문화재가위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상당수의 문화재가 전통을 선별하여 창출되었고, 단일 전통에 바탕을 둔 것조차도 복원 및 지정과정에서 변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장에서는 지정 이후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몇 몇 사례를 검토한 결과, 문화재보호법에 명시된 '원형 보존의 원칙'은 ‘지키려고 해도 벗어나려고 해도 결국은 지킬 수 없는’ 무리한 요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번째 장에서는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형 개념을 명확히 해서 혼란을 피해야 한다. 둘째, 문화재지정의 제 과정을 합리화, 체계화하고, 여기에 관여하는 전문가집단을 엄격하게 선별, 관리해야 한다. 셋째, 지정 이후의 전승에서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는 구심적 전승과 시대의 변화에 조응하는 원심적 전승을 함께 인정해야 한다. 넷째, 이미 지정된 문화재에 대한 텍스트비판을 수행하여 그릇된 것을 바로잡고, 창조된 텍스트는 그 자체로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 This study consists of 4 chapters, examines reflectively the matters upon 'original form' and tradition in relation with some art assets among folk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prepare an alternative. In chapter 1, I investigated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in the context of the preservation law of cultural asset. As a result of it, The original form in the preservation law of cultural asset, means the original form of cultural asset when it was designated at the first time and could be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when it gets its historical depth, tradition, convention and so forth. In chapter 2, I examined how cultural assets in folk art satisfy really the above mentioned conditions. As a result of it, I verified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cultural assets were recreated through the selection of traditional form, and were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restoring or designating them although they were based on tradition originally. In chapter 3, I looked into the process that they have been changed after their designation. I ascertained that some cultural assets, if any case, cannot observe the cardinal principle of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described clearly in the preservation law of cultural asset In chapter 4, I presented some alternatives on the base of the above discuss. they are as follows. a. we have to clarify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to avoid confusion. b. we have to systemize and rationalize all the process of designating cultural assets, and to select and superintend the expert group related here. c. we have to admit both centripetal tradition which gives its emphasis on the original form and centrifugal tradition which complies with the changesof the times. d. we have to practice the text criticism of the designated cultural assets, to correct a wrong and to accept the created cultural asset as its cultural value itself.

      • KCI등재

        법우 송재섭 승무의 시지정무형문화재 가치 연구

        최석권,서용석,이동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문화유산의 보전과 계승 발전을 위해 대전광역시 시지정무형문화재인 승무의 다양한 가치 평가가 무엇보다도 절실해진 시점에서 법우 송재섭의 삶과 춤을 통해 승무의 무형문화재적 가치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 전통춤인 승무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법우 송재섭 승무의 무형문화재 지정은 대전광역시의 전통춤 역사에 새로운 변화를 가 져온 계기가 되었다. 대전광역시 입장에서도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을 시지정무형문화재로 인정함에 있어서 지역환경적으로 지정 당시 대전시는 신도시였고 대전을 대표할만한 전통춤이 부재한 실정에서 시는 다양한 문화재 지정이 필요했던 요인이 작용했다. 이러한 부분은 대전광역시 문화재 지정 의 모범적인 행정사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해당 연구가 기반이 되어 지속적으로 법우 송재섭의 전통춤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 다. 둘째, 오늘날 전통의 전승은 구술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기록과 자료를 통해 이루어지 때문에 법우 송재섭 승무의 춤세계에 대한 문화재적 가치 연구물의 축적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시지정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높이고 전승 환경을 확장시켜 시지정문화재의 다양한 활용으로 시민들에게 양질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시켜나가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문화유산의 전승과 계승 발전을 위해서는 많은 연구의 축적과 기록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무형문화재가 체계적으로 관리 될 수 있도록 전문인력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무형문화재가 문화사업이 될 수 있도록 지역문 화브랜드로 개발하고 지역의 특화 상품으로 이미지를 상품에 삽입하여 지역을 알릴 수 있도록 관광의 활 성화 작업도 함께 추진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 of Seungmu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through the life and dance of Beopwoo Song Jae-seop at a time when various value assessments of Seungmu, a city-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Daejeon, have become more urgent for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revitalization of Seungmu, a traditional Korean dance. The designation of Beopwoo Song Jae-seop Seungmu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was an opportunity to bring about a new change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danc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several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onduct extensive research on Beopwoo Song Jae-seop's traditional dance based on this research. Second, since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today is not done orally, but through objective records and data, it seems necessary to accumulate research on the cultural value of Beopwoo Song Jae-seop's dance world.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value of city-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assets, expand the environment for their transmission,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citizens to enjoy quality culture through various uses of city-designated cultural assets. Fourth, for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the accumulation and documentation of a lot of research is of utmost importance, and support for professional manpower is necessary so that intangible cultural assets can be managed systematically.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to local cultural brands so that they can become cultural businesses, and to revitalize tourism by inserting images into products as local specialized products to promote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