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영리조직의 고용조정 시행에 관한 제도이론적 고찰

        김동준(Dong-Jun Kim),박성훈(Seong-Hoo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동일한 조직필드 내에서의 제도적 논리의 다원성과 제도적 환경의 이질성을 전제로 제도변화의 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 조직이론 연구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제도변화의 과정은 하나의 새로운 제도적 논리가 정당화되고 지배적 위치를 점하게 되면, 각 조직들은 당연시되는 새로운 제도를 수동적으로 도입하고 확산시켜 나감으로써 이루어진다는 것이 전통적인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관점이었다. 그러나 제도변화의 과정은 각 조직이 처한 이질적인 제도적 환경 속에서 상충되는 제도적 논리의 갈등과 이에 상응하는 각 조직들의 서로 다른 능동적 반응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동적인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서로 상충되는 제도적 논리들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외의 정치적 요인들에 주목하였다. 이론적 입장을 입증하기 위해 한국의 대표적 비영리조직인 농업협동조합에서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오던 고용안정제도에서 1990년대 후반 IMF 경제위기 이후 도입되기 시작한 유연고용제도로의 제도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각 지역 단위농협 조직들이 유연고용제도의 대표적 관리기법으로서 고용조정(downsizing)을 시행함에 있어 각 조직별로 나타나는 편차는 동일한 규범적 압력 속에서도 각 조직이 서로 다른 제도적 맥락 속에서 서로 다르게 반응함을 보여주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사회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신자유주의적 “시장논리”와, 전통적인 협동조합의 정체성과 지역기반 조직으로서의 농협의 성격에 기초한 “공동체 논리”를 상충되는 두 가지 제도적 논리로 규정하고,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는 제도적 논리는 조직 내외의 정치적 요인들에 의해 달라지며, 그것은 조직별로 유연고용제도 시행의 차별성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2001년부터 2009년까지의 782개 단위농협 조직들의 데이터가 고용조정 시행에 대한 실증적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경제적 요인이 고용조정 시행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이러한 경제적 요인과 고용조정 시행의 관계에 조직 내외의 정치적 요인들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가설들이 검증되었다. In most studies of new-institutional theory, organizations within a field were regarded as passive actors that accept what is considered legitimate in their institutional environments. These researches assumed that each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an organizational field is homogeneous, or at least one-dimensional, once a dominant institutional logic becomes legitimized. However, more recent research has take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viewing institutionalization as a contradictory process of old and new institutional logics. Drawing on recent development in the neo-institutional theory literatures that emphasize the multiplicity of institutional logics and heterogeneity of institutional environment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sm that competing institutional logics are legitimized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texts, and that those contexts differently shape organizational actors’ reactions to changes in institutional environment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several important political factors that have been neglected in recent neo-institutional research.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change, stakeholders in organizations must struggle to advocate their interests when there are conflicting values in the process of legitimizing an institutional logic. This study examines downsizing decisions by local cooperatives comprising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in Korea (NongHyup) to abandon their traditional permanent employment system, and adopt flexible employment system. ‘Market’ and ‘Community’ logics are regarded as the two competing institutional logics operating in the cooperatives’ decisions to change employment systems. The former comes from the neo-liberalism that became dominant institutional logic in Korean society since 1990s, while the latter is embedded in the traditional cooperative identity and community-based nature of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It is decided by each organization’s different institutional context influenced by politic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which competing institutional logic becomes legitimized. So the reactions of each cooperative in NongHyup to institutional pressure to downsize have been different. Using an original dataset on downsizing decisions made by 782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Korea from 2001 to 2009, this study estimates discrete-time hazard rate model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he downsizing decisions. The results show that while economic factor(focal organization’s recent economic performance which represent the effect of ‘market logic’) i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downsizing decisions, political factors arising from heterogeneous institutional context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economic factor) and dependent variable(downsizing decisions). Such results support the argument that organizational actors actively show diverse reactions to rather than passively succumb to influences from institutional environment. Gener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제도논리와 조직 간 협력 : 한국의 로컬페어트레이드 사례

        정지현(Jihyun Jeong),장승권(Seungkwon Ja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글로벌 제도를 국내에 도입하기 위해 상충되는 제도논리를 지닌 조직들이 어떻게 협력하는지를 한국의 로컬페어트레이드(Local Fair Trade) 사례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다. 조직은 타 조직과 협력을 통해 혁신적 실천, 기술, 규칙 등을 도입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서로 다른 제도 환경에 속한 조직들은 제도논리(institutional logics)의 충돌을 경험한다. 기존 제도논리 연구들은 상충되는 제도논리 간 상호작용의 형태를 갈등과 경쟁으로 정의한다. 최근에는 협력을 통해 상충되는 논리가 조직필드(organizational field) 내에서 지속적으로 공존하면서 제도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Nicholls & Huybrechts(2016)가 제시하는 경계연결체(boundary objects)와 그것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조직 간의 협력을 통해 상충되는 제도논리가 지속적으로 공존하며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고 실천되는 현상을 설명한다. 2018년 진행된 K 지역의 로컬페어트레이드 협력 사례는 다양한 제도논리를 지닌 조직들이 글로벌 제도를 실행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 K 지역 로컬페어트레이드의 협력 관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로컬 중심의 복지논리와 글로벌 중심의 사회정의논리가 서로 충돌하였으며, 경계연결체가 작동하여 상충되는 제도논리를 조정하고 협력을 발생시켰다. 그러나 협력 관계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모든 참여조직이 적극적으로 함께 경계연결체를 만들어야 하는데, 해당 경계연결체는 그러지 못했다는 점에서 불완전한 협력 관계를 만들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상충하는 제도논리 간의 협력이 제도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신제도론 연구에 기여하며, 조직 및 인간 행위자뿐만 아니라 비인간 행위주체인 경계연결체가 협력 과정에서 갖는 의미를 시사한다. 또한 로컬페어트레이드가 국내에 확산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제시한다. Organizations from different institutional environments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ntroduce innovative practices, technologies, and rules in their organizational fields. In this introduction process, they experience conflict between their institutional logics. Previous studies on institutional logics define the form of interaction between contrasting logics as one of conflict and competition.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suggesting that contrasting logics with power asymmetry can be sustained over time and result in institutional change through collabor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boundary objects” and their mediating roles (Nicholls & Huybrechts, 2016), this research aims to explain how a new global institution is introduced in the local environment via interactions between local organizations who act based on diverse institutional logics. We explore the case study of Local Fair Trade in Korea.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two boundary objects that played a role in forming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ganizations studied, yet they did not actively and collectively create boundary objects, which contribute to sustaining the collaboration. This research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theory on the institutional effects of collaborations between contrasting logics, and in that it implies the important role of boundary objects, which are non-human actors, in institutional processes. It also suggests the next action to take in order for Local Fair Trade to be successfully institutionalized in Korea.

      • KCI등재

        한국 정부조직의 복잡성과 무질서함의 제도적 기원:‘청’(廳) 조직에 대한 ‘제도적 엔트로피’ 관점의 제도분석

        권향원 서울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한국 청(廳) 조직의 구조적 복잡성과 제도적 무질서함의 맥락적 기원을 경험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신제도주의의 ‘제도적 엔트로피’(institutional entropy)를 중심개념으로 삼아, 정부조직 제도가 초기에는 질서정연하게 자리잡혀 있었으나, 어떻게 시간을 거듭하며 무질서하고 복잡하게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역사적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 조직은 건국초기에는 ‘집행・관리 기구’라는 뚜렷한 권한과 기능으로 출발하였으나, 경제성장에 따라 산업부문이 성장함에 따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자율・사업 기구’의 속성이 추가로 탑재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후 행정국가화에 따라 정부부문이 확대되면서 부처 간의 칸막이와 관할권을 아우르는 ‘기획・조정 기구’를 지닌 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 과정에서 청 조직에는 애초의 ‘집행・관리 기구’와는 상반된 기획과 조정의 속성까지 추가로 부여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청 조직은 초기의 본래적 정의와는 결이 다른 예외들이 개념적으로 추가되었으며, 이러한 메커니즘과 동인으로 인하여 ‘제도적 엔트로피’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이러한 “지속적인 예외의 추가”가 한국 정부조직의 무질서와 비효율성의 제도적 기원에 대한 하나의 해석을 내어주는 것으로 논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직은 다소 생소한 ‘제도적 엔트로피’ 개념의 이론적 의의 및 분석결과의 실무적 시사점을 다루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what mechanisms and drivers the structural complexity and institutional disorder of Korean agencies organizations were institutionalized.” In the process, through institutional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based on the central concept of ‘institutional entropy’ of new institutionalism, the government organization system was initially structured in an orderly manner, but disorder and complexity increased over time. and traced the driv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e agency organization started with an ‘institutional logic’ as an ‘executive and management organization’, but as industry and economic scale grew, the attributes of an ‘autonomous and business organization’ were added, and later, the jurisdiction of individual ministries and Due to the increase in challenges across partitions, the expansion of authority and functions to a ‘planning and coordination body’ targeting all ministries was explored. In this process, institutional exceptions to the original institutional concept of the agency organization were continuously expanded and add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stitutional entropy’ of the agency organizational system also increased due to these mechanisms and drivers. Based on this,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institutional entropy’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iachronic institutional analysi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인고용만족의 영향요인: 제도적 디커플링 (Institutional Decoupling)의 관점에서

        전이영,이경묵 한국인사관리학회 201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3 No.1

        Organizations respond strategically to institutions that are initiated externally; this argument can be applied not only in the adoption stage of the institutions but also in the ways in which the institutions are utilized. In this paper, institutional decoupling is viewed as a result of conflict between the extant dominant logic and new institutional logic.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nal conflict and tension arising from diverging attitudes towards the institutions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this paper aims to specify from a more micro perspective conditions under which organizational members can naturally embrace institutions that are newly introduced. The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Disabled Person Act was ena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1991 in order to facilitate employment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stabilize their working environment. With this institution as an empirical setting of our research, we aim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long-term stability of the institution and to figure out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eyond the quantitative expansion. This study examines conflicts between the logics of efficiency and community in the course of compliance with employment obligation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e suggest that the lower the gap between extant dominant logic and the newly introduced logic,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agreement, and the lower the level of decoupling would be. Using a sample of 266 companies employing one or more persons with disabilities, we analyze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affect employer’s satisfaction with employees with disabilities. These factors include the employment rat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rate of people with serious disabilities, organizational culture, working environment, job strength, and economic or legitimacy motives.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level of available resources in the organization, the possible agreement of existing institutional logic with new institutional logic, and possible conflict level between the two logics have strong effects on the decoupling level of the institution. Contrary to our prediction, the motive of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 whether a focal organization employed the disabled due to economic motive or legitimacy motive —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oupling level.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기업이 외부에서 강압되는 제도에 대해 전략적으로 반응한다는 주장은 제도의 채택에 있어서만 이 아니라 각 기업에서 제도를 활용하는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도적 디커플 링(institutional decoupling)을 조직 내에서의 지배적인 제도논리와 새로운 제도논리가 충돌하여 갈 등을 빚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제도를 대하는 조직과 구성원의 태도에서 나타나는 내 적 갈등과 긴장에 주목함으로써, 새로 도입되는 제도의 논리와 기존에 존재하는 제도논리가 양립 할 수 있는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 도입되어 실시 중인 장애인고용의무제도에 대한 기업의 반응을 연구 배경으 로 하였고, 장애인고용의 양적 확대를 넘어 장애인 고용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제도의 장기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디커플링의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 의무의 순응과정에서 기업 내부에서는 효율성의 제도논리와 공동체의 제도논리가 충돌하며 갈등을 빚는 것으로 보고 제도논리 간 간극이 적고 양립의 가능성이 높을수록 디커플링의 수준이 낮을 것으로 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 장애인을 1인 이상 고용하고 있는 기업 266개를 대상으로 고용 한 장애인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내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도 도입의 동인이 조직 외부에 위치하는지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보다는 조직의 가용한 자원 수준, 기존 제도논리와 새로운 제도논리의 양립 가능성, 그리고 기존의 제도 논리와 새로운 제도논리 간의 충돌요소가 제도적 디커플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성원이 새로운 제도논리에 대해 보이는 정서적 반응의 중요성 또한 확인하였다. 실증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그리고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박제된 천재: 기업부설 연구소 연구인력의 조직 사회화 과정 고찰

        노성철,김상준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4

        This study postulates that firm-owned research institutes tend to convey multiple institutional meanings and demonstrates how industrial researchers employed at such research institutes respond to these institutional meanings. Given that firm-owned research institutes, by nature, are influenced by the logic of ‘management’ as well as the logic of ‘research,’ employees at such institutes, especially those who are in charge of research (called industrial researchers), will be forced to embody both forms of institutional logic. While research logic embraces all activities from creating, developing, and elaborating on generic or science-based knowledge, management logic signifies how employees are managed and organized toward organizational goals. Thereupon, industrial researchers often face somewhat controversial and complex situations in striving to achieve both forms of institutional logic. In this study, we take a dramaturgical approach to explicate how industrial researchers, as agents wh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embodiment of controversial, multiple institutional logics, actually cope with such institutional complexity. Specifically, we interviewed 56 industrial researchers within the same firm-owned research institute and gathered information on how they define, understand, and cope with such complex situations. Our findings reveal that industrial researchers tend to first identify reference groups to represent the management logic or those that convey research logic in their research institute; they then determine their distance from respective reference groups. This distancing behavior specifies how social actors encountered in the institutional complexity (driven by controversial multiple institutional logics) become socialized within such a hybrid organiz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institutional theory by specifying how an institution and its social actors interplay with each other. 본 연구는 기업부설 연구소의 연구인력이 어떻게 자신이 속한 연구소 조직이 가지고 있는 제도적 의미가 다중적임을 인지하고, 다중 제도논리의 모순관계에 대응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기업부설 연구소는 지식의 탐구라는 연구의 제도논리와 기업의 운영 체계와 통제 메커니즘을 따른다는 조직의 제도논리가 혼재되어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이러한 다중 제도 논리 하에서 개인의 반응 양상이 다르게 유형화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공계 연구인력들은 ‘연구’라는 제도에 익숙해 왔고, 이에 상응하는 관행이 체득되어 있다. 이러한 관행은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고 기존의 지식과의 통합을 시도하는 등 개인의 능력과 자율성에 기반한 행동들의 총체이다. 반면, ‘조직’이라는 제도논리는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 일관되고 협력적인 집단행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는 관행을 체득하게 된다. 이러한 관행은 개인이 자율성을 추구하되 그것이 조직의 목표에 합일되도록 하고 명령체계와 업무분장 등으로 구조화되는 특성이 있다. 결국 ‘연구’와 ‘조직’은 서로 모순된 관계에 있을 밖에 없고 이러한 두 가지 제도논리를 모두 담지하고 있는 기업부설 연구소 임직원들(특히 박사학위를 가진 고급 이공계 연구인력들)은 ‘연구’와 ‘조직’의 모순된 논리 속에 배태된 행위자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극작술적 접근법(dramaturgical approach)을 바탕으로 기업부설 연구소 연구인력들이 어떻게 다중제도논리가 낳는 모순에 대응해 나가는지 이론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은 결국 기업과는 다른 프랙티스를 내재화한 개인이 어떻게 기업조직 속에서 경험하는 충돌되는 제도논리를 다루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미시적 기초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조직 사회화 과정을 정교화 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 KCI등재

        제도변화에서 제도적 논리의 역할에 대한 사례분석 :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를 중심으로

        김서용 ( Kim Seo-yong ),김선희 ( Kim Sun-h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9 地方行政硏究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ole of institutional logic in institutional change through case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system and evaluation. Recently, in order to explain institutional chang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has been focused on the endogenous causes that exist within the system itself, and the study using institutional logic is also applicable. Institutional logic refers to the social organization and historical patterning of practices, values, beliefs and rules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change of policies and institu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changes in the evaluation system of local public enterprises by applying the institutional logic. As a result,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s changing to reflect the change of the governmental ideology, public institution reform, local autonomy system and local public enterprise system. The local public enterprise evaluation system was influenced by the complex institutional logic of efficiency, control,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in the higher system. Institutional changes were made to harmonize the conflicts and compatibility between the coexisting institutional logics. In particular, the system was evolving in the direction of suppressing the autonomy of the evaluator in the evaluation due to the prevailing control and efficiency.

      • KCI등재

        Social Network Conditions for Maintaining Two Competing Institutional Logics

        김의신(Euisin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4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두 개의 경쟁 로직들(competing institutional logics)이 어떻게 함께 공존(co-existence) 할 수 있고, 또한 그런 공존을 유지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미국 애니메이션 산업을 1995년부터 2008년도에 걸쳐 조사하였다. 2D 로직의 특성은 미술적 질과 옛 방식으로 생산되는 애니메이션에 가치를 두는 것이다. 반면 3D(CGI) 로직의 특성으로는 엔터테인먼트적 요소에 가치를 두며, 환한 색감과 화려한 화면을 나타내는데 가치를 둔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외부 요소만이 두 개의 경쟁 로직들이 공존하는 것에 영향 미칠 수 있다는 기존의 논문을 벗어나, 소셜 네트워크와 같은 내부적 요인도 두 개의 경쟁 로직들이 공존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있다고 주장한다. 본문은 소셜 네트워크 조건 중 작은 세상 현상(small world characteristics), 인터록의 수(number of interlocks), 그리고 인물들의 권력(power of actors) 등이 경쟁 로직들을 유지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를 토대로 세 가지 명제가 도출 되었다. 그 중 첫 번째 명제로 기존 로직(incumbent logic)을 따르는 사람들(actors)은 높은 군집력(high clustering)과 최단경로(short path length)로 특성지어지는 작은세상 네트워크(small world network)로 연결 되어 있을 때 경쟁 로직으로부터 기존 로직을 지킬 수 있어 두 로직들 모두가 공존하게 된다고 제시하고 있다. 두 번째 명제로 두 경쟁 로직들 사이에 인터록의 수(number of interlocks)가 많아질수록 두 경쟁 로직들이 공존하게 된다고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 명제에서는 기존 로직에 속한 인물들의 네트워크에서 권력자(powerful actors)가 기존 로직을 유지하지 위해 목표적 정체성 운동(goal identity movement)에 더 참여하게 된다고 제시 한다. 이 논문은 탐험(exploration), 활용(exploitation), 제도적 변화의 거부(resistance to institutional change),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이론(social network perspective) 등의 이론을 접목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영화 산업의 한 분야에 한해서만 명제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그룹에 속한 인물들이 새로이 도전하는 그룹의 제조 과정에서 여전히 필요한 상황이라면 본문에서 제시된 명제들이 충분히 적용 가능하리라고 보여진다. This paper examines the two competing institutional logics that have coexisted in the animated film industry since the advent of 3D (CGI) animation,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period from 1995 to 2008. The traditional 2D logic is characterized by an “artisan style” which focuses on artistic quality and values traditional techniques (called “cel animation”) for creating animated films. The more recent 3D (Computer Generated Imagery based, or CGI) logic is most often representative of a high cost, high risk endeavor, and engages the audience with unprecedented levels of visually detailed and therefore more entertaining animated content. This paper argues that internal factors and especially network conditions have helped to maintain two institutional logics in the field of animation. Further, it argues that social network conditions such as small-world characteristics, number of interlocks, and the relative power of incumbent actors in the network affect the maintenance of competing logics. The impact of exploration, exploitation, and resistance to institutional change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의료보장정책 변화에 대한 제도주의 분석: 제도복합체, 제도적 논리, 그리고 정책환류를 중심으로

        김선희 경인행정학회 2022 한국정책연구 Vol.22 No.4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iculty in achieving the goal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which is the strengthening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examines that the main cause of the delay in improving health insurance coverage lies in the complexity of the policy problem of the health care system. In this study, the health care system is regarded as an institutional complex, and the complexity of health care policy issues is divided into horizontal, vertical, and temporal dimensions. The complexity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was identified as the stratified structure of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medical security policy and the diversity of institutional logic. In addition, the complexity of the temporal dimension was examined through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positive/negative policy feedback centered on institutional log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Korea’s health care policy has evolved centering on institutional logic that reflects changes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and welfare system, the composition of medical govern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actors. In terms of publicity and marketability, security and efficiency, which are the institutional logic of health care policy, policies to expand and strengthen publicity and security have been pursued. Also, there was a tendency to be constrained, too. 본 연구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의료보장정책의 목표 달성이 어려운 현상에주목하고, 건강보험 보장성 향상 지체의 주요 원인이 의료보장제도가 갖는 정책문제의 복잡성에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보장체계를 제도복합체로 간주하고, 의료보장정책 문제의 복잡성차원을 수평적・수직적・시간적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수평적・수직적 차원의 복잡성은 의료보장정책을둘러싼 제도적 환경의 층화 구조와 제도적 논리의 다양성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시간적 차원의 복잡성은 제도적 논리를 중심으로 한 긍정적/부정적 정책환류가 동시에 작동함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 의료보장정책은 보건의료환경 및 복지체제의 변화, 의료거버넌스의 구성과 주요 행위자의 특성을 반영한 제도적 논리를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보장정책의 제도적 논리인공공성과 시장성, 보장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공공성과 보장성을 확대・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였지만, 시장성과 효율성의 논리가 함께 작동하면서 공공성과 보장성 확대・강화의 정책적 성과가 제약을받는 경향이 나타났다. 정책환류 측면에서 공공성과 보장성을 확대 강화하는 조치는 의료보장정책의긍정적 정책환류로, 시장성과 효율성 논리는 의료보장정책의 공공성과 보장성이 확대 강화되는 데 있어 부정적 정책환류로 작용하면서 의료보장정책의 변화와 연속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원혁신 정책집행과 제도적 변화 분석: 현장 정책행위자와 제도 논리를 중심으로

        박혜연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1

        The study analyzes how university policy actors interpret and implement graduate school innovation policy using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logic. To this end, a preliminary field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4th BK21 Graduate School Innovation Project as an example, and interview data from a total of 46 vice presidents, graduate school deans, street-level of administrative staff, professors, graduate students, and junior researche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different institutional logics were applied to interpret and actualize policies depending on the policy actors involved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Firstly, university headquarters demonstrated agile changes in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graduate governance, which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Defender, Reactor I & II, and Observer. Secondly, Executive administrators served as pioneers, policy translators, and negotiators, promoting interaction between institutions and policie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universities. Third, in the case of street-level of administrative staff, the bureaucratic institutional logic, which was fixed in a routinized form of work, was embodied, and accordingly, policy filters, policy gatekeepers, and organizational silos appeared in the policy implementaion. Lastly, education/research clusters, consisting of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had strategie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ollaborators, non-reactors, and distrusters. The clusters interpreted the policy with resource-dependent institutional logic at the department or laboratory level. It was common to pursue organizational autonomy, emphasize academic specificity, and prioritize securing resources of one's organization over the institutional goal of graduate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strengthening the role of top managers, improving the capabilities of street-level of administrative staff, reorganizing the administrative personnel system, and diversifying the resource inflow to department and each cluster.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혁신 정책집행과정에서 대학 내부 정책행위자는 정책을 어떻게 해석하고 풀이하여 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제도 논리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사업을 사례로 삼아 예비 현장 연구를 수행한 후, 부총장·대학원장, 일선 행정직원, 교수, 대학원생, 신진연구자 총 46명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원 혁신정책 집행과정에는 정책행위자에 따른 상이한 제도 논리에 따라 정책이 달리 해석되고 구체화되고 있었다. 대학 본부의 구조적 거버넌스는 민첩한 변화를 보였는데, 동일한 정책을 집행하더라도 대학의 제도화된 맥락에 따라 안정추구형, 재배열형, 통합형, 점증변화형으로 달리 대응하였다. 관리자 수준의 정책 집행가(부총장·대학원장)는 제도화되고 일상화된 집행방식을 고수하기보다는 규정 변환의 핵심 역할을 하거나 집행과정의 새로운 경로를 개척하였다. 또한, 대학 내부에는 정책을 해설·안내하며 정책의 순환을 도모하려 하였고, 대학 간에는 협력·공유 체제 구축하는 등 제도 변화를 유도하는 핵심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일선 행정조직의 경우,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업무 형태로 고착화되어 있는 관료주의적 제도 논리가 체화되어 있었고 이에 따라 정책집행과정에는 정책 여과기, 정책 문지기, 사일로 현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원 교육·연구조직은 학과나 연구실 단위 자원의존적 제도 논리로 정책을 해석하였다. 조직 자율성을 추구하고 학문적 특수성을 강조하며, 대학원 공동의 목표보다는 자기 조직의 자원확보가 우선시 되는 행동 양상이 보편적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관리자의 역할 강화, 일선 행정조직의 역량 강화 및 행정인사제도 개편, 학과단위 자원의존성 탈피를 위한 자원 유입체계의 다원화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컬렉티브 임팩트 구성과정 고찰: H-온드림 사례를 중심으로

        박재홍,권인수,김상준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2 연세경영연구 Vol.59 No.2

        This study illustrates how collective impacts can be sustainably constructed through backbone organizations. Given that collective impacts imply coexistence of two institutional logic, i.e. state vs market, we posit that backbone organizations for collective impact should manage the institutional complexity driven by such multiple logic structure to implement collective impact sustainably. Given that backbone organizations for collective impacts include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s which embody incompatible institutional values through partnerships, we posit that collective impact is not only an issue of collective action but also an issue of incorporation of incompatible institutional logics. In particular, acknowledging that corporation-driven collective impacts also inherently bear the incorporation issue derived from institutional complexity, we attempt to figure out how corporations can take the initiatives for collective impacts which can be sustainably achieved. With a case study of H-OnDream, which is a corporate-initiated program for nurturing social enterprises, we argue that sustainable collective impacts require sequential configuration, which consists of alternate actions to fill out institutional voids. In particular, acknowledging that the incompatibility between the state logic and the corporation logic, we contend that the pendulum-like actions against institutional voids can enable multiple backbone organizations to effectively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o pursue their common goals. This case study furthers the discussion on organizing aspects of collective impacts under institutional complexity. 본 연구는 기업이 어떻게 컬렉티브 임팩트(collective impact)를 지속가능하게 실현할 수있을지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컬렉티브 임팩트는 사회적 임팩트를 구현함에 있어서비영리단체 주도의 협업을 통해 집단적으로 구성된 결과를 어떻게 달성하는지에 대한 개념을다루고 있는데, 이를 확장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업 주도적인 협업구조에서도 사회적 가치를강화할 수 있는 컬렉티브 임팩트가 성공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 질문을 제기한다. 특히기업과 비영리단체가 서로 다른 제도적 논리(국가 논리 vs. 시장 논리)에 따라 상이한 사회적임팩트 추구양상을 보인다고 볼 때, 기업이 주도적으로 컬렉티브 임팩트를 구현하고자할 때 어떻게 제도적 복잡성에서 파생된 다중 제도논리간의 양립성 문제를 해결하는지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기업 주도 프로그램인 H-온드림의사례 연구를 통해 컬렉티브 임팩트는 다중 논리 구조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조치로 이루어진 순차적 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국가 논리와 시장 논리의상충관계를 인정하며 진자(팬듈럼)와 같은 행동이 여러 중추조직이 공통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단일 사례를 통하여, 다자간협업관계에서 서로 상충하는 제도 논리를 양립케 할 수 있는 전략적 조치를 구체화함으로써컬렉티브 임팩트를 일회성이 아닌 장기간 동안 지속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조직화과정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