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녕지역 신라금석문의 서풍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서예학회 2014 서예학연구 Vol.24 No.-

        창녕이 한국 고대사 속에서 차지한 위상은 문헌 자료뿐만 아니라 창녕에 남아 있는 여러 종의 신라 금석문이 말해준다. 본고는 창녕지역 소재 4종의 신라 금석문의 서풍과 그것이 전체 신라 서예의 흐름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가장 이른 <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는 삼국기의 것으로 자연석인 6세기 다른 신라비들과 마찬가지로 예서의 필의가 있는 해서로 쓰였다. 원만한 비의 형태와 어울리는 힘차면서 굵은 원필로 쓰여 비록 자연석이지만 왕의 위엄이 느껴진다. 둘째, 통일기인 8세기 전반에 새겨진 <觀龍寺龍船臺石佛臺座銘>의 글씨는 唐風을 닮아 驗硬하다. 이것은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의 것으로 여겨지는 불상과 더불어 동시대의 불상 양식과 서풍을 보여준다. 불상의 규모와 산의 정상이라는 건립 위치로 인해 국가의 후원으로 세워졌을 것으로 여겨지는 웅장한 불상에 어울리는 정연한 해서는 통일 초 신라 서예의 특징이기도 하다. 셋째, 8세기 후반에 새겨진 <觀龍寺藥師殿石佛臺座銘>(772)의 글씨는 <관룡사용선대석불대좌명>과는 달리 <창녕비> 서풍과 유사하여 6세기 신라풍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9세기 초에 세워진 <昌寧仁陽寺造成碑>(810)는 行書의 필의가 있지만 <창녕비>를 닮은 질박한 해서로 쓰였고, 부분적으로 남북조의 필법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창녕비>의 서풍이 후대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이 4종의 신라 금석문은 두 가지 다른 풍의 서체, 즉 예서와 행서 필의를 지닌 고박한 해서, 그리고 정연한 해서로 쓰여 신라 서예 전체의 특징과 그 궤를 같이 한다. 동시에 통일기에도 고박한 신라 고풍이 주를 이룬 것은 창녕 서예의 정체성이다. 특히 창녕의 정치적 위상이 급격히 떨어진 8세기 후반 이후 창녕지역에서의 6세기 신라풍 복고는 전성기 창녕 재현의 표현일 수도 있다. Both the materials of literature and several Silla stelae tell us the positional change of Changnyeong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lligraphic style of four Silla stelae in Changnyeong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flow of Silla calligraphy. Firstly, Silla Jinheungwang Royal Tour Stele in Changneong buil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earliest of the four, was written in the regular script with a feel of clerical script like other Silla stelae in the 6th century. Its strong and thick round brushstrokes show the dignity of king though written on the natural stone. Secondly,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Pedestal Inscription of the Stone Buddha of Yongseondae in Gwallongsa engraved in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was methodically arranged in Tang style. With the stone Buddha image made between the end of 7th and early 8th centuries, they displayed the Buddha image and calligraphic style of the time. The strict regular script in Tang style in harmony with the giant Buddha image considered as built under the support of government is a characteristic of calligraphy in early united period. Thirdly,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Pedestal Inscription of the Stone Buddha of Yaksajeon in Gwanllongsa in 772 was written in the simple regular script that is similar to that of Changneong Stele in the 6th century. Lastly, the calligraphic style of Inyangsa Stele with a feel of running script is also alike to that of Changneong Stele. The small difference is that it partially show the composition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three above tell us the influence of Changneong Stele to the later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the united period calligraphy. The various features of the four Silla stelae in Changnyeong are the characteristic and identity of Silla calligraphy. The retro style of the 6th century Silla calligraphy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8th century when the political status of Changneong declined may especially represent the idea of reproduction of the heyday of Changnyeong.

      • KCI등재

        4~5世紀 高句麗의 南方進出과 對新羅 關係

        張彰恩(JANG Chang-eun)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4 No.-

        The Relationship with Goguryeo and Silla became closer late 4th century. Silla dispatched an envoy to Junjin and resumed negotiations between the countries having help from Goguryeo in 377·381, provided that Silla was dependent on Goguryeo for it. So King Namul(r.356~402) had to send Silsung to Goguryeo as a hostage. At that time rout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cuontries was the ‘East Sea route’. King Gwanggaeto(r.391~412) rescued Silla with 50,000 troops when Wae invaded Silla in 400. Since that time Goguryeo taked the ‘Jungnyeong route’ until in the middle of 5th. Goguryeo intervented Silla’s politics. Furthermore stationed a troops in Territory of Silla. But it was not meaned domination of Territory. There were interventions of Goguryeo power to the enthronement process of King Silsung(r.402~417) and Nulji(r.417~458). After accession to the throne, King Nulji made an effort to esacpe from intervention of Goguryeo power. He first made his brother Bokho who was sent to Goguryeo as a hostage in the King Silseong’s region return in 425 and entered into the allianc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433 to 434. Hereupon, Goguryeo Kin gJangsu(r.413~491) promoted a covenant of Gugwon to conciliate Silla. As a result, King Jangsu and Nulji performed a ceremony to swear to be brothers there. In spite of it, the relation of the two countries went on tightness rapidly in 450, a Goguryeo commander of the border areas who went hunting in a field of Siljik was killed by the lord of Haslla after all. King Nulji also murdered Goguryeo troops a hundred strong stationed in Gyeongju. Because of the murder case, friendly relations between Silla and Goguryeo changed to antagonistic relationship in the middle of the 5th ecntury. Since then Goguryeo have started millitary attacks on the Silla. First, Goguryeo occupied Siljik castle with 10,000 troops of malgal in 468. Because of this, Silla constructed a castle in Niha[Songge-ri castle, Jeongseon-gun in Gangwon-do]. King Jabi(r.458~479) had built a line of defense against Goguryeo from the fortification of Samnyeon castle in 470 to 474. King Soji(r.479~500) constructed the 1st defense line in Boeun area outside of the Sobaek mountains, and did the 2nd defense line in the main inland traffic routes, Sangju and Uiseong etc. As a result, since in the middle of 6th Goguryeo and Silla stand face to face with in Sobaek mountains and the Gangneung of East-coast. Goguryeo took a offensive position to Silla after 475, but it hard fighting because of a counterattack by the allied forces between Silla and Baekje. Besides, King Jijeung(r.500~514) had finally built all 12 castles, Pari·Misil·Jindeok·Golhwa castle etc, for the military policy to Goguryeo in 504. Also he gave orders Isabu to make Usan-guk submit to Silla. Thus, Silla secure the command of th esea in the east-coast areas after all. Finally, The Southward Advance of Goguryeo came to dead stop.

      •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판독 글자 재검토

        성재현 국립중앙박물관·동원고고미술연구소 2019 동원학술논문집 Vol.20 No.-

        불비상(佛碑像)은 불교조각사 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문화재이자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불비상의 조상기는 생략되기도 하지만 제작 시기나 배경 등을 담고 있어 당시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우리나라의 불비상은 현재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7구가 전하고 있으며 모두 국가지정문화재이다. 이중 4구는 조상기가 새겨져 있어 발견 당시부터 관심이 집중되었고 글자 판독을 위한 노력이 이어져 왔다. 이렇게 축적된 자료들은 제작연대 및 발원 내용을 포함하여 당시의 사회상과 사상적 배경까지 추측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이글에서 소개하는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7구의 불비상 가운데 도상적으로 가장 다양하면서 네 면 모두 글자가 새겨져 있어 상대적으로 관심이 높다. 연구 초기부터 대략 260여 자로 추정하고 있으며 180여 자 정도를 판독하였다. 한편 불비상의 글자 판독작업에 과학기술을 접목한 사례도 있다. 국립청주박물관은 2013년 4월 불비상을 주제로 한 특별전을 개최하면서 RTI 촬영기법을 이용하여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에 새겨진 글자를 다시 정리하였다. 그 결과 당시 견해를 달리하거나 명확하지 않았던 10여 자를 비롯하여 새롭게 찾아낸 글자 4자, 새로 추정한 글자 6자 등 대략 20여 자를 소개하고 이를 국립청주박물관 판독안으로 제시하였다. 이 글은 2013년 판독 글자 가운데 검토의 필요성을 느낀 몇 글자를 다시 살펴보고, 판독 자료가 축적되고 있음에도 해독 순서에 이견이 있어 이에 대한 단상을 간략히 적어보았다. The Korean word "bulbisang" refers to a stone Buddhist stele with carved Buddhist images on the front or on all four sides and inscribed with a record explaining the background or reason for its production. These Buddhist steles are cultural artifacts that cannot be left out in the study of Buddhist sculpture and are valuable as a reflection of the society of their time. Though sometimes omitted, the record of production (josanggi) contains the date and background to the making of the stele and hence provide great assistance in understanding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concerned. In Korea, seven Buddhist stele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Among them, four are inscribed with a record of production and have thus attracted wide attention from the time of their discovery, while continued efforts are being made to decipher the characters and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Among the seven existing Buddhist steles, the Jeon Family Amitabha Buddhist Stele with Gyeyu Year Inscription has the largest number of characters inscribed on it. In early research, it was estimated that there were some 260 characters in total, of which 180 were deciphered. Then in 2013, the characters were studied and organized again by the National Cheongju Museum using RTI photography (reflectance transformation imaging). As a result, some 20 characters were studied in detail, including ten newly discovered or interpreted ones,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the interpretation of the Cheongju National Museum. This paper examines several characters among those deciphered in 2013 that seemed to call for further study, and also briefly notes some thoughts regarding the order of their deciphering.

      • KCI등재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홍승우(Hong, Sueng Woo)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의 비문과 창녕비 등 진흥왕대 비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변국의 사례를 포함한 여러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에서 왕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나갔던 6부의 핵심지배층들에게서 두 종류의 관등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喙․沙喙部인들만이 가지고 있었던 경위 관등으로, 阿干支와 그 하위 某干支관등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타 4부의 수장 및 유력자들이 소지한 것으로, 干支와 壹伐등으로 구성되었다. 율령 반포 당시의 간군 경위 관등은 太阿干支이하의 5개 등급이 중심이었으며, 이는 신라 마립간 아래의 喙․沙喙部유력자들을 서열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에 비해 상위 4개 간군 경위는 太阿干支이하 간군 관등과 동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6부를 구성하던 여러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에서 유래한 위호인 干支들 사이의 위계가 반영된 전통적 위호였다. 형식적으로는 이들 위호가 喙․沙喙部에 적용되었던 경위 관등 보다 상위의 지위였지만, 이들이 당시 하나의 관등제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진흥왕대인 6세기 중반의 금석문들에서는, 상위 간군 경위가 阿干支등과 같은 성격의 관등으로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干支와 壹伐로 구성된 부별 독자 위계제는 사라지고, 6부인 전체가 경위 관등을 소지하는 변화와 함께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6부 干支들과 壹伐등의 유력자층을 경위 관등에 모두 포괄하기 위해, 최상위 간군관등을 증설하면서 경위가 완성된 것이다. 다만 최상위 4개 간군 경위 관등은, 이전에 존재하던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인 간지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옛 위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며, 경위의 고위 관등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써 신라 경위 17관등이 완비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f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Ranking system called Gyeong-wi. And based on it,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yeong-wi.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re were two kinds of Governmental Ranking system for the ruling classes of Silla 6bu around 520’s, when King BeobHeung declared the law codes called Yul-Ryeong. One was a system that is limited to WheBu and SawheBu. It was composed of only 5 lower top rank, named DaeArGanji, ArGanji, IlgilGanji, SaGanji, GeobeolGanji, out of 9 top rank. The other one was for the ruling classes of 4bu except Whe and Sawhe among the Silla 6bu. It was composed of Ganji and Ilbeol which means Chief of bu and top position under the chief. At that time, the Gyeong-wi was not completed, and it was not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in the Silla 6bu.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t the reign of King Jinheung, new 4 high-top Official rank had been added on top of existing ranks. Finally, Gyeong-wi had been completed with 9 upper grades and 8 lower grades. And also it had been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of Silla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