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짐멜의 개인법칙과 죽음 이해

        박병준 ( Park¸ Byoungj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1 가톨릭철학 Vol.- No.37

        본 논문은 짐멜 철학의 핵심 개념인 개인법칙과 죽음의 관계와 삶에서 죽음이 주는 철학적 함의를 구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1장에서 짐멜의 개인법칙을 검토하고, 2장에서 삶의 전체성과 총체성을 만드는 죽음을 논의한다. 마지막 3장에서는 짐멜 철학의 개인법칙에 담긴 철학적 함의와 오늘날 부상하고 있는 철학실천의 관점에서 그 의의를 밝힌다. 짐멜의 개인법칙은 주체에 기반한 상호 주관성과 보편성을 추구하던 근대 사고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며, 개개인의 고유한 주체성을 극대화함으로써 현대 사상에 미친 영향이 크다. 짐멜은 개인 법칙을 개인과 삶, 사회와 문화, 도덕과 윤리를 다루는 그의 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삼는다. 짐멜은 개인법칙을 통해서 삶에서 드러나는 모든 개인의 공통성보다는 오히려 개개인의 고유성과 개인의 삶의 전체성과 총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개인법칙은 개인성의 극대화를 통해 인간 행위의 준거를 보편의 질서가 아닌 개개인의 행위의 질서 위에 세운다. 그리고 개인의 개별적 행위의 객관적 근거를 그의 인격과 삶의 총체성과 전체성에 찾고자 한다. 이때 무엇보다도 죽음이 중요한 계기로서 작용한다. 짐멜 철학에서 죽음은 삶의 종말이거나 삶의 단절로서의 의미를 넘어서 삶을 전체적이며 총체적으로 모아 의미 충만하게 만드는 삶의 핵심 요소이다. 개인의 삶 전체성으로부터 개인의 행위의 당위성을 끌어내고자 하는 개인법칙에서 죽음을 배제한 채 객관적인 개인법칙의 성립은 사실상 어렵다. 그만큼 죽음은 짐멜의 개인법칙을 이해하는 핵심 개념이다. 죽음은 오늘날 실존철학에서 인간 현존재가 존재의 의미 밝힘을 통해 자기실현을 하고, 본래적인 자기 실존을 획득하는 주요 계기로 이해되듯이, 짐멜 철학에서 개인의 삶과 행위에 당위를 부여하는 삶의 불가결한 요소로 이해된다. 모든 것이 개인화되고 있는 오늘의 사회 안에서 개인법칙은 단순히 개인의 개인성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삶을 총체적이며 전체적으로 만들면서 자기 행위를 책임 있는 행위로 만들도록 촉구하는 역할을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death in life illust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w of the Individual and death, which are the core concepts of Simmel’s philosophy. This paper reviews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in Chapter 1 and discusses the totality of life created by death in Chapter 2. Finally, Chapter 3 reveals the significance of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contained in the individual laws of Simmel’s philosophy and the philosophical practice that is emerging today.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begins with criticizing modern thinking, which pursues subject-based mutual subjectivity and universality an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odern thinking by maximizing each individual’s unique subjectivity. Simmel incorporates the Law of the Individual as a core concept of his philosophy surrounding individuality and life, society and culture, and morality and ethics. Simmel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uniqueness and an individual life’s totality rather than the similarity of all individuals revealed in life through the Law of the Individual. The Law of the Individual establishes the basis of human action on the order of individual actions rather than the universal order through the maximization of individuality. It also seeks to find the objective basis of an individual’s actions in the totality of their personality and life. Above all, death acts as an important occasion. In Simmel’s philosophy, death goes beyond the meaning of the end or severance of life, and is a key element of life that gathers life as a whole and full of meaning.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establish an objective individual rule without death from the individual rule that seeks to derive the justification of an individual’s actions from the totality of an individual’s life. As such, death is a key concept in understanding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Death is understood as an indispensable element of life that gives justification to individual life and behavior in Simmel’s philosophy, just as human existence is understood as a major opportunity to realize itself through clarification of the meaning of existence in today’s existential philosophy. The Law of the Individual does not simply emphasize individuality but also urges people to make their lives holistic and make their actions responsible especially in today’s society where everything is personalized.

      • KCI등재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손보미(Son, Bo Me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4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4 No.2

        이글은 연명의료 판결문에서 보이는 "인격체"개념을 명료화하고자, 우리 헌법체계에서 "인격체"를 지시하는 용어는 무엇일 수 있으며, "인격체"개념의 기반을 이루는 요소는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인격체"개념을 명료화하면 연명의료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인격체"용어는 대한민국 헌법에서 찾아볼 수 없고, 헌법에서 "인격체"에 대응하는 용어는 "국민", "인간", "개인"이나, 이로는 "인격체"개념이 명료하지 않기 때문이다. 헌법과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를 대상으로 "국민", "개인", peopleㆍcitizen, personㆍindividual용어의 용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어들의 관계는 "개인"은 "국민"을 구성하고, person(individual)은 citizen(people)을 구성한다. 둘째, 권리의 주체는 "개인"과 person(individual)이다. 셋째, individual 용어는 '인권을 가진', '혼인과 가족생활의 기초', '대한민국 경제 질서의 기본'에 관여하는 "개인"을 지칭하며, person용어는, "신체의 자유"와 "신체의 자유"에 대한 피해와 관련된 권리를 가진 주체와 참정권, 재산권, 명예, 권리의 주체인 "국민", 인(人), 자(者)를 지칭한다. 넷째, "인간"과 human용어는 "국민"에 부여된 존엄, 가치, 권리, 생활의 특성과 "개인"이 가지는 권리의 특성 및 국가가 개발해야 할 자원의 특성에 관여하였다. 즉, "국민"과 "개인"이 가지는 존엄, 가치, 권리, 생활이 인간에게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는 용례와 국가 자원으로서 인력을 나타내는 용례를 보여줌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헌법의 체계에서 "개인"과 personㆍindividual용어가 권리와 의무의 주체로서의 용례를 보여준 반면, "인간"과 human용어는 권리나 의무의 주체로서 사용된 용례가 없음이 규명되었다. 이는 헌법의 "개인"과 "인간"용어가 보여주는 단적인 차이이다. 결론으로 우리 헌법의 체계에서 "인격체"를 지시하는 용어는 "개인"이며, "개인"의 근간이 되는 요소는 그의 신체임을 제시하는 이글은 연명의료에서 "인격체"개념을 명료하게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finition of the term, "Legal personality" in our constitutional law system and what kind of elements consist of the foundation of the concept of the "legal personality",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of "legal personality" seen in written sentences regar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reasons are first,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legal personality" can provide an important guideline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second, the term, "legal personality" are not found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onstitution"). In the Constitution, the terms that correspond to "legal personality" are "people", "citizen", "human", "person" and "individual", but they cannot clarify the concept of "legal personality". The findings after investigating the usages where the terms of people, citizen, human, person, and individual are used in the Constitution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terms in the General Provisions, each "individual" forms "people" and each "person" (individual) forms "citizen" (people). Second, an "individual" is defined as "person", Third, "individual" refers to one who has "human right", and forms the "basis of marriage and family life" and the "foundation of economic order of the Republic of Korea". "Person" refers to citizen and person who has a right related to "personal liberty" and to protect one's right against any damage to the "personal liberty", and the subject of the rights of election, property, honor and right. Fourth, the term, "human"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nity, value, right and life endowed to citizen, characteristics of the right of an "individu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that the country should develop. That is, the dignity, value, right and life of "person" and "individual" should be suitable to human being, and the manpower as a national resource.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term "person" or "individual" is used as the subject of right and obligation in the constitutional system while the term "human" is not used as the subject of right and obligation in any case. This is the partial difference in the usages of "person"(individual) and "human". In conclusion, in the Constitution, it is "person" that represents the concept of "legal personality" and the basis of "person" is a physical bod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concept of "legal personality" i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refers to "person" at first.

      • KCI등재후보

        장자(莊子)의 생명사상

        김경수(Kim, Kyoung-Su)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5 생명연구 Vol.38 No.-

        베르그송을 제외한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인식의 문제에 대해서만 논의하였을 뿐, 생명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 철학에서는 생명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을 철학자의 소임이 아니라 생물학자의 소임이라고 여겼다. 그런데 생물학자들 역시 생명 현상만을 논의하였을 뿐, 정작 생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침묵하였다. 설령 생명을 논의하더라도 그 생명체란 것은 단지 물리・화학적으로 지배받는 일종의 기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데 동양에서는 생명을 중요시하였다. 무엇보다 서양의 전통적 생명관과 동양의 생명관은 현저히 다른데, 특히 장자(莊子)의 생명관은 서양에서의 전통적 생명관과 많은 차이점이 있다. 가령 서양철학은 인간중심 주의적 사유에 기반을 둔 반면에 장자는 사람과 동물의 경계조차 없애고자 하였으며, 서양에서는 보편생명을 중요시한 반면에 장자는 개별생명을 중요시하였으며, 서양에서는 생명체가 어떠한 원리에 의해 지배를 받는 수동적 존재라고 보았던 반면에 장자는 개체들이 자발적으로 전체의 질서를 이루는 능동적 존재라고 보았다. 서양의 기계론적 생명관은 궁극적으로 물체를 모델로 한 것이며, 생물학자들이 바라본 생명체 역시 물체로서의 생명체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명체는 물체가 아님은 너무도 명백하다. 생명체는 수 십 억 년의 경험 을 통해 축적된 것이라는 점에서 무한한 삶의 지혜를 가지고 있으며, 생명체의 본질은 보편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별성에 있으며, 생명체는 어떠한 외부의 원리에의해 전체의 질서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전체의 질서를 이룬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장자의 생명사상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Most of the philosophers except Bergson only discussed the epistemology and did not debated over life thoughts itself.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the identification of life thought is not the role of philosophers, but biologists’. However, biologists also deliberated over only the phenomenon of life and did not show interest in what life itself is. Even when they discussed life, they regarded it as a kind of device governed by the world of physical chemistry. Eastern Asians placed importance on life. However, the traditional Western concept of life was significantly distinct from the Eastern Asian’s. For instance, Western philosophies were based on human-centred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Chuang-tzu attempted to eliminate even the boundary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While Western philosophies emphasised on a universal life thought, Chuang-tzu accentuate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life thought. Chuang-tzu saw individuals were regarded as active beings to build order, whereas Western philosophers believed that life is a passive being governed by some principles. Mechanical perspective of life of Western philosophy was ultimately modelled by material and biologist also viewed life was originated from material. However, it is obvious that life is not a material. Life is formed from accumulated experiences over several hundred million years, which implies life hold indefinite wisdom of life itself. The essence of life is not in universality, but in individuality and life does not form entire order according to external forces, but form universal order voluntarily. Considering this aspect, we should attentively explore Chuang-tzu’s Life Thoughts.

      • KCI등재

        들뢰즈에서 생명의 잠재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의미

        연효숙 ( Yon¸ Hyo-so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6

        생명의 존엄성과 생명의 창조성의 잠재적인 위력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명의 원리를 현실태와 가능태의 형이상학적 원리로 설명하였으며, 개체들의 본성을 한 형상 내에서의 질료에 의한 개별화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형이상학과 생물학적인 설명은 생명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설명하는 원리로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생명의 목적론적 세계관으로 지속되어 왔다. 근대 자연 철학의 목적론적 자연관과 유기체적 생명 개념과 결별하고 다윈의 진화론을 창조적으로 받아들여 현대 생명 철학과 자연관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 철학자는 베르그송이다. 베르그송은 전통 형이상학에서의 일과 다의 원리에 입각한 개별자의 존재론의 원리를 버리고, ‘다양체’ 개념을 새롭게 마련하여 생명을 잠재성의 차원으로 획기적으로 전환시켰다. 즉 가능한 것을 대신하는 잠재적인 것은 질료형상설을 따르지 않는, 다양체에 작동하는 원리가 된다. 들뢰즈는 이러한 이념적 차원의 다양체를 생물학적 다양체로 현실화한다. 들뢰즈는 다양체가 분화의 차원에서 생명의 잠재성과 창조성을 보여 준다고 생각했다. 또한 들뢰즈는 시몽동의 개체화의 원리를 수용하고, 이를 전-개체적 상태의 독특성의 지평이자, 개체가 갖는 이념-잠재적인 차원과 연결시킨다. 들뢰즈는 개체화의 원리를 생물학에서의 분화의 원리에 적용하여 배의 발생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들뢰즈의 생명철학은 다윈의 진화론의 계보를 넘어서서, 생명의 잠재성의 차원을 리좀적인 평면으로 연계하여 윤리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지평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의미를 지닌다. What is the source of virtual power of dignity of life and creativity of life? Aristoteles explained the principle of life as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actuality and possibility, and showed a nature of individuals as the principle of individualization in a form by matter. His metaphysics and its biological interpretation were the principle of universality of life and individuality, and have been continued as a teleological world view until modern times. It is Bergson, who cuts off a teleological view of nature in philosophy of nature in modern times and a concept of life of organism, and receives creatively Darwin's evolution. He offers a new vision to philosophy of life and view of nature in the present. Bergson abandons the ontology of individuals supported by the principle of one and many in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nd prepares a concept of multiplicity, and then shifts life to a dimension of virtualiy newly. Namely, the virtual instead of the possible is a principle which controls not the principle of matter-form but multiplicity. Deleuze actualizes the multiplicity of ideal dimension into a biological multiplicity. Deleuze thinks that multiplicity shows virtuality and creativity of life in the dimension of differenciation. Deleuze receiv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of Simondon, connects it into the horizon of univocality in pre-individual status, and the ideal-virtual dimension of individuals. Deleuze appli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to the princple of differenciation in biology and connects it into the genesis of germ. The philosophy of life in Deleuze surpasses Darwin's genealogy of evolution, and joins the dimension of virtuality of life to rhizomatous plan, and implies the meaning which can extend into an ethical and metaphysical horizon.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오늘날 문명의 발달로 전례 없는 환경이나 생명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두 문제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환경은 생명을 가진 존재들을 둘러싼 것을 지칭하는 말이고 그 환경에 둘러싸인 것이 바로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이유들로 사람들은 보통 생명이라는 현상은 그 자체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러한 가치를 사람들은 흔히 본래적 가치라고 한다. 환경 윤리와 철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문제들의 큰 줄기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생명이 가치를 가지고 그래서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면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들로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어떤 것들도 어떻게든 소중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 윤리 및 철학적 논의에서 소중히 여겨야 하는 대상의 범위는 인간 생명에서 시작해서 그 생명을 가능케 하는 존재인 다른 생물적 환경이나 무생물적 환경에까지 점점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들의 위상 및 가치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환경 철학과 윤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위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관련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이 등장하게 되지만, 무엇보다도 주목해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그러한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고 소중히 여기는 데서 발생하는 각 개체생명들 간의 갈등 또는 각각의 개체생명과 전체생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온생명’이나 ‘생태계들’과 같은 전체들 간의 갈등의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몇몇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는 인간의 생존과 지구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러한 논의들이 가지는 윤리적 함축 및 그것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간략하게 탐색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These days, human beings face unprecedented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life,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o many peoples are much concerned about these challenges. However we must explore these together,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term environment refers to conditions surrounding a life form, and so-called life is something surrounded by environment. But It is not so easy to define and identify life clearly. Nevertheless people say that life is valuable in itself and so we must treasure it. That is the very intrinsic value problem. The main issue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start from this point. First we confer intrinsic value to the human life and in turn to all other living things. But these individual lives on which intrinsic values are conferred can`t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living things including non-living things. They have ne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ustain their own life. If so, other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to be conferred the same value. Therefore intrinsic value conferring objects are extended from human life to non-living things or life as a whole, that is, `global life`, `ecosystem` and the like. Sev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 and the boundary of life, appear from this extensionism, but central to the process of extending intrinsic value to the several objects i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life as a whole. Thu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se arguments some philosophers have made and examin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is arguments. But this work is not easy. And finally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평생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시론적 접근

        김창엽(ChangyubKim),성낙돈(Nakdon Su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1

        In the discourse on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is almost uniformly suggested to contribute finally to the sus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Nevertheless, the concept of the quality of life has not reached any firm definition, either socially or academically. In fact, it seems to be viewed and understood in even conflictual ways. Where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fundamental goals of lifelong education,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in such situation, may go astray. Such situation can hardly accelerate the embodiment of the ideal of lifelong education. The quality of life thus needs to be elaborated and defined fully enough to guide and support the diverse forms of practice in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generate an overarching theory that critically reviews each major view of the quality of life. First, in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suggested by the UNESCO, both the individual good and the social good are the primary concepts to be sought for. The aim of lifelong education in such sense is to realize the both noble goods. Second, in the idea of quality of life promoted by most governmental bodies, no other condition than the economy is regarded as the basis of the quality of life. The lifelong education in this assumption is assumed to strengthen overall economic conditions of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life. Third, the quality of life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s, the main ingredient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everyday living as an experience perceived by the each individual. In this perception, the lifelong education is expected to help increase the felt happiness with the process as well as the outcome of the daily living. Encompassing these review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quality of life be defined as the concept that consists of three main components, i.e. the basic condition or standard of living, the direction or ideal of life, and the individual or personal participation and freedom of choice. The quality of life in the suggested concept then asks for corresponding theory and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That is, the main avenues of lifelong education need to be exploited fully and properly. What is more, the sufficient harmony ought to be pursued among general liberal education, vocation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social civic education.

      • KCI등재

        위기를 겪는 중년남성의 개성화의 시도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관점 - 융, 머튼, 캡스의 관점을 중심으로 -

        김태형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분석심리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Karl Gustav Jung)에 따르면 인간은 약 40세 전후 의 중년기를 맞이하면서,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삶의 후반부를 맞이해야 한다. 그는 내면의 자기라는 정신체계는 삶의 전반부에 사용하지 않은 무의식의 에너지를 사용하 도록 이끈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중년기부터 시작되는 의식과 무의식의 균형과 통합은 개인이 가장 자연스러운 자신이 되어가는 ‘개성화’(individuation)1) 과정을 이끈다. 또한 개성화를 발전적으로 수용하는 이는 중년이후에 내면이 풍성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한편, 에릭 에릭슨(Erik Erickson)의 8단계 생애주기 이론에 따르면, 마지막 단계인 노년기의 과제가 바로 삶의 의미의 통합이다.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에, 삶의 의미가 통합되는 노년기는 바람직한 개성화의 진행을 통하여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필자는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은 하나님을 만나는 과정을 융 의 개성화의 과정과 연결시킬 수 있다고 본다. 도날드 캡스(Donald Capps)는 오늘날 100세의 기대수명이 예상되는 시대에서 에릭슨의 8단계를 100세까지, 각 10년 단계로 나누어서, 총10개의 자기를 제시하였는데, 40세 정도부터 100세에 이르는 6개의 자기 들2)이 내면과 성숙과 관련된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융의 중년의 개성화와 연결이 되 는 의미를 가진다고 말한다. 본 연구는 중년이후에 개성화를 통하여 얻게 되는 건강 한 자기를, 머튼의 하나님을 만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 다시 캡스의 관점에 따라서, 목회상담학적으로 하나님 현존의 지속적 경험으로 얻게 되는 ‘진정시키는 자기 구조’ 의 개념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고 본다. Analytic Psychologist Karl Gustav Jung insists that a man in his 40's lives on to later phase of life, through a passage, called 'mid life' . The Self which lies in the center of our mind, leads us to make a balance between Conscious and Unconscious, by vitalizing unconscious energy in Mid Life and the process is called as 'Individuation'. Some experience this process as abundant life with positive acceptance, but others experience this process as meaninglessness, loss of mental power with physical aging. Individuation means blessing for the people who prepare their later life with introspection into mind, whereas It means pain for the people who only focus their energy on achievement of success up to their Mid Life. According to Erik Erickson's 8 stages of Life-Cycle Theory, at the last stage, old people are to integration of meanings. And analytic psychology suggests that old people who have properly experienced Individuation from their Mid Life, can get integration of meanings. But nowadays, the life expectance rises up to about 100 years, the Individuation through Mid Life may take longer journey than before. Donald Capps resets Life-Cycle upto 100 years with 10 stages. Each stage has a 10-year-period, as life expectance becomes longer. And he names each stages. And especially, from the sixth stage(starting from 40s) to tenth stage, the names are concerned with inner mature. I insist that Capp's 10 staged Life-Cycle has a important meaning with Jung's Individuation. And I also suggest that a Mental Health through proper individuation process can be connected with Capp's the Calming Structure of Self(Healthy Self) which can be obtained by the experience of The Presence of God.

      • KCI등재

        헤겔의 예나 초기 저서에 나타난 민족 개념에 관한 고찰

        황순호 한국헤겔학회 2020 헤겔연구 Vol.0 No.47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Volk as an absolute ethical life in Hegel's Natural Law and System of Ethical Life. Hegel wrote Natural Law and System of Ethical Life in the Jena period. At that time, Hegel recognized the problems of fragmentation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alienation of individuals and sought solutions. As a solution, Hegel presented the concept of Volk as an absolute ethical life. According to Hegel, Volk is defined as the actual entity of absolute ethical life which is absolute truth and divine thing. These Volk is a whole ethical totality which is unique to each Volk. Volk’s ethical totality is also true because it is a specific expression of the true universal idea. In Volk, an absolute ethical life and individuals are unified. Individuals learn ethical elements(ex. customs and laws etc.) and make them their own. In doing so, they become the one with an absolute ethical life. The unity of individuals and an absolute ethical life integrate the divided individuals into a community and enable them to fully realize their freedom. Meanwhile, many Volks moves from the natural state toward a state of peaceful coexistence. Confrontation and war between many Volks inevitably occurs in the natural state. The reason Volks start war is that unrecognized Volks should get recognized by other Volks. According to Hegel, through the war Volks can get out of the natural state. Finally, Volks avoid unstable natural state and transit to a peaceful coexistence that recognizes and respects each other. 본 논문의 목표는 헤겔의 예나 초기 저서인『자연법』과『인륜성의 체계』에 나타난 절대적 인륜성으로서의 민족 개념을 고찰하고,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예나 시기의 헤겔은 근대 사회의 분열 문제를 당면 과제로 인식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헤겔은 사회를 통합하고 개인의 자유를 실현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절대적 인륜성으로서의 민족 개념을 제시한다. 헤겔의 예나 초기 저서에서, 민족은 절대적 진리이자 신적인 것인 절대적 인륜성이 현상한 것으로 규정된다. 절대적 인륜성의 매체인 민족은 민족에 고유한 인륜적 총체에 다름 아니다. 인륜적 총체인 민족은 특유한 인륜적 규정을 가지지만, 그 규정은 참된 보편적 이념의 특수한 표현이므로 마찬가지로 참된 것이다. 민족에서 절대적 인륜성과 개인들은 하나로 통일된다. 개인들은 민족의 고유한 인륜적 규정을 배우고 익히며, 자신의 것으로 삼는다. 개인들이 민족의 참된 인륜적 규정을 자기의 본질이자 목적으로 취하게 됨으로써, 그들은 절대적 인륜성과 하나가 된다. 민족에서 실현되는 절대적 인륜성과 개별자의 통일은 분열된 개인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통합하고, 그들로 하여금 자기의 본질을 완전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국제 사회는 기실 자연상태에 다름 아니다. 다수의 민족이 맞서고 있는 자연상태에서 민족들의 대립과 전쟁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민족들이 전쟁을 벌이는 이유는 아직 인정받지 못한 민족이 타민족의 인정을 받기 위함이다. 자연상태는 민족들이 서로를 인정하는 상태로 나아가기 전 단계의 불안정하고 불완전한 상태인 것이다. 요컨대, 민족들은 전쟁을 통하여 자연상태를 지양하고, 서로를 인정하며 존중하는 평화로운 공존 상태로 이행한다.

      • KCI등재

        초기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본인, 교사 및 부모 세 집단의 평정 비교: QLS-KADD의 자기보고용 사용

        이나경,박승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4 장애와 고용 Vol.34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발달장애인(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삶의 질 전체, 하위요인 및 지표별 수준을 파악하고, 본인, 교사 및 부모 세 집단 평정의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박승희 외(2019)가 개발한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척도(QLS- KADD)’를 발달장애성인이 응답하기에 적합한 ‘자기보고용’으로 연구절차를 통해 수정하여 발달장애인이 자신의 삶의 질을 처음으로 직접 평정한 자료를 사용했다. ‘QLS- KADD: 자기보고용’을 사용하여 발달장애인 본인에게 수합한 자료 47부와 원도구를 사용하여 교사와 부모에게 수합한 자료 각각 47부를 합해, 총 141부 응답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 본인이 평정한 전체 삶의 질과 4가지 하위요인 수준은 4점 척도의 3점대(그렇다) 초반으로 나타났다. 전체 삶의 질과 4가지 하위요인 수준 모두에서 본인, 교사 및 부모 세 집단의 평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 32개 지표 중 30개 지표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삶의 질 측정에서 신뢰로운 원 도구의 ‘자기보고용’을 사용해 삶의 질에 대해 본인응답 자료를 일대일 조사로 수합하여 분석하고, 자기보고용 척도의 삶의 질 지표 32개를 제시한 의의가 있으며, ‘본인’ 뿐 아니라 주변인인 ‘교사’와 ‘부모’의 평정 자료를 함께 수집하여 세 집단 평정 사이의 일치와 차이를 분석하고 그 차이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킨 것에 의의가 있다. 발달장애인 본인 응답 자료의 중요성과 자기보고용 도구의 개발과 동시에 응답의 타당도와 신뢰도 증진을 위한 과제들에 관심을 촉구하며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of early adulthood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self-reports, teacher and parent proxy reports. Method: The study utilized data collected through a modified version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QLS-KADD)," originally developed by Park et al.(2019). The modified scale was tailored for self-reporting by individuals with DD. Data were collected from 47 self-reports, 47 teacher reports, and 47 parent reports, totaling 141 responses. Result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4-factors rated by early adulthood individuals with DD were in the positive range, scoring in the 3-point range(agree) in the 4-point likert sca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atings among the three groups (self, teachers, and parents) for both the levels of overall quality of life and the 4-factors. Out of 32 life quality indicator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found in 30 indicators. Conclus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being the first to analyze a data set on the quality of life involving the proxy reports and self-reports by individuals with DD, considering their subjective perspectives in measuring quality of life.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self-report tools for individuals with DD and highlights the challenges and tasks for enhanc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ir responses.

      • 낱 생명

        전세일(Sae Il Chun) 한국정신과학학회 2008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2 No.2

        생명이란 영ㆍ위ㆍ생ㆍ식(榮衛生植)하는 존재를 말한다. 스스로를 영양할 수 있고, 방위할 수 있고, 복제할 수 있고 번식할 수 있는 존재이다. 생물체의 기본 단위는 세포이다. 세포 하나하나가 따로 따로 살아있는 생물체이다. 나의 몸을 이루고 있는 하나의 세포는 “낱 생명”이 되고 하나하나의 세포가 다 합친 내 몸 전체가 “온 생명”이다. 내 생명은 지구라고 하는 온 생명의 일부로서의 낱 생명이며, 지구 생명은 우주라고 하는 더 큰 온 생명의 일부로서의 낱 생명이 되는 것이다.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낱 생명과 온 생명의 상관관계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A "living thing" can be defined as an identity which maintain the functions of nourishing self, protecting self, copying self, and multiplying self. Basic unit of a living thing is a cell which has an independent living ability. While a cell is considered to be an 'individual life', the entire body of a person's body can be considered to be a 'whole life'. likewise a person's body in return can be an relative 'individual life' as a part of universe which is a 'whole life'. In order to understand a life phenomena, inter-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whole life should be underst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