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놀이의 의미와 치료 및 성장을 위한 활용

        방은령 ( Eun Ryoung Ba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인간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치료와 성장(장면)에서 놀이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를 토대로 놀이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놀이가 치료 및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놀이의 치료적요소와 교육매체로서의 성장촉진기능을 확인하고, 치료와 성장을 위해 놀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에는 먼저 놀이에 대한 기존의 개념을 변화시켜 재정의 하고,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놀이의 시기와 내용을 달리하며, 전생애적인 관점에서 발달단계에 맞는 놀이를 개발하고, 일상의 활동을 놀이로 전환하는 작업과 나쁜놀이를 좋은 놀이로 승화시키는 작업 및 놀이치료자나 놀이안내자 등의 전문성을 강화시키는 일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치료와 성장에서 놀이의 효과를 보기 위해선 토착심리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erm, `play` and to explore play`s therapeutic elements. For this study I reviewed the literatures dealing with play; for example, encyclopedias, handbooks, journals, theses(master/doctorate). As a result, I suggested that, firstly, play and work are not absolutely mutually exclusive. We play in leisure time and we can also play in the daily routine. And it is also possible to play in the real and fantasy world. Thus, we need a new angle on play. Secondly, play is a very useful medium of healing and growth. Lastly, we need to develop new ways of play which is good for healing and growth when we use them in Korean indigenous psychology.

      • KCI등재후보

        한국 청소년의 안전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안전사고에 대한 표상과 안전효능감 및 부모의 영향을 중심으로

        박영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9 No.특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orean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safety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es approach. This paper examines Korean adolescents' experience of the type of accidents they were involved in, what they perceived to be the cause of the accident, the type of social support received after the accident, and the prevention needed to avoid future accidents. The indigenous understanding of accidents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of the students, gender, and safety efficacy beliefs. Secon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afety efficacy beliefs, the differences across primar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examin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fficacy belief and attitudes toward preventing future accidents is explored. Third, the parental influence on adolescents' safety efficacy belief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safety efficacy belief on their children's safety efficacy belief and behavior. The review of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ve main points: (1) decrease in safety efficacy belief with increasing age, (2)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fficacy belief and behavior, (3) the utility of the indigenous psychologies approach, (4) the parental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safety efficacy beliefs and behavior, and (5) the need to further explore, promote, and educate the importance of human life and quality of life by preventing accidents and promoting safety consciousness and behavior in Korea. 이 글에서는 한국 사람들의 안전과 관련된 심리 중에서도 특히, 한국 청소년의 안전관련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선행연구 결과들을 개관하고 정리하였다. 첫째, 한국 청소년의 안전사고에 대한 고유한 표상을 파악하기 위해, 안전사고의 내용, 안전사고의 원인, 안전사고 후의 사회적 지원, 안전사고의 예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이 학교수준별, 성별, 안전효능감수준별로 어떠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둘째, 한국 청소년 안전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안전효능감의 개념을 정의하고, 초 중 고등학생의 안전효능감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셋째, 안전효능감과 안전사고 예방행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째, 부모가 청소년 자녀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였다. 즉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와 부모의 안전효능감 및 부모의 안전사고 행동이 청소년 자녀의 안전효능감 및 안전사고 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개관을 통해, 다섯 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1) 청소년 발달과정에서 안전효능감의 감소 경향성, 2)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의 관계, 3) 토착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 4) 부모가 청소년의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5) 한국 사회문제 맥락 속에서의 접근: 인간 생명 존엄성에 대한 인식과 사회 전반의 신뢰 구축.

      • KCI등재후보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접근

        박영신,김의철,김묘성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amo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after Korea recovered from the recent economic crisis. A total of 634 students(primary school=135, junior high school=118, senior high school=168, and university =213) and 842 parents (fathers=421, mothers= 421), for a total of 1,476 participants,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For students, the most painful experience was related to problems in academic life, followed by problems in relationship. For father, the most painful experience was financial problems and for mothers, it was conflicts in the family. In stress situations, self-regul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coping style by both students and adults. The second most frequently reported coping style was avoidance. In terms of social support, students reported receiving most support from friends, and the importance of friends became greater for the older students. Parents reported receiving most social support from their spouse. As for the type of social support, around half of students and parents reported receiving emo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was viewed as being very important in reducing the stress experience related to academic life, problems in relationships, family conflict, and financial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compared to similar studies conducted before and during the economic crisi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studi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indigenous Korean psychology, will be discussed.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을 토착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는데 있다. 최종분석대상은 1,476명으로서, 학생 634명(초 135명, 중 118명, 고 168명, 대 213명), 부모 842명(부 421명, 모 421명)이었다. 고통스러운 스트레스 경험으로 학생은 학업과 인간관계를, 아버지는 경제적 문제를, 어머니는 가정생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가정생활 스트레스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내용은 가족관계 갈등과 자녀교육 문제였다. 스트레스 대처방법으로는 학생과 부모 모두 스스로 노력하고 인내하는 자기조절 대처를 가장 많이 하고, 그 다음으로 포기/회피 대처를 많이 하였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도움을 준 사람으로, 학생은 친구를, 부모는 배우자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사회적 지원의 제공자로서 친구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었다. 과반수 이상의 학생과 부모가, 사회적 지원의 내용으로서 격려와 위로로 대표되는 정서적 도움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정서적 도움은 학업, 인간관계, 가정생활, 경제문제 등 학생과 성인의 대표적인 스트레스 경험에서 일관되게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IMF시대 이전과 IMF지원을 받은 직후에 토착심리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연구한 누적된 결과들과 이 연구에서의 결과를 종합하여, 스트레스 경험,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에 관련하여 한국 사람들이 갖고 있는 사회적 표상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한국 사람의 스트레스 관련 토착심리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다양한 후속연구의 방향이 모색되었다.

      • KCI등재후보

        인간, 과학기술과 환경의 대한 이해: 사고와 안전에 대한 확률론적 시각과 결정론적 시각의 토착 문화적 분석

        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9 No.특

        This paper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babilistic versus deterministic view of accident and safety using the indigenous and cultural perspectives. Death and injury due to accidents is the leading cause of preventable death in most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delineates the limitation of the linear, deterministic model that has been adopted in social and applied sciences. The transactional model, advocated by indigenous psychology, is provided to understand the probabilistic nature of accident and safety at home, in the workplace and in society. Second, factors related to accidents and safety are reviewed. Third, application of the probabilistic model for preventing accidents and promoting safety in Korea is outlined. 이 연구에서는 토착 문화심리학을 토대로 사고와 안전에 대한 확률론적인 시각과 결정론적인 시각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 사고로 인한 사망과 재해는 예방이 가능하다. 이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사회과학과 응용과학에서 채택되어온 선형의 결정론적인 모형의 한계에 대해 설명하였다. 가정 직장과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안전의 확률론적인 속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 토착 문화심리학에서 주장되어온 상호작용 모형이 제안되었다. 두 번째로는 사고와 안전에 관련된 요소들을 검토하였다. 세 번째로는 한국사회에서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을 증진하기 위해 확률론적 모형의 활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과 부모의 삶의 질 지각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임미향,박영신,김의철 한국아동교육학회 2005 아동교육 Vol.14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등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삶의 질 지각과 관련된 토착심리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233명과 그들의 부모 466명이 표집되었다. 분석 결과, 가정생활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화목한 가족관계' '경제적 여유' '여가생활' '자기조절' '교육문제'와 같은 요소들이 확인되었다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삶의 질은 '친구관계'와 '학업성취'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부모집단의 직장생활에서 삶의 질은 '경제적 요인' '인간관계' '성취감' 등에 주로 결정되었다. 직장에서 성취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경제적 요인'을, 성취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업무에서의 '성취감'이 중요하였다.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다양한 취미생활' '경제적 여유' '시간적 여유' '자기조절' '원만한 인간관계'가 지적되었다. 종합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초등학생은 '화목한 가정' '여가생활' '학업성취' '자기조절' '원만한 인간관계'를 부모는 '경제적 요인' '자기조절' '여가생활' '화목한 가정'을 주로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digenous psychology of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prim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Sample were composed of 6 grade 233 primary students and their 466 parents.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re 'harmonious family life' 'financial security' 'various hobbies' 'self-regulation' and 'education'. Within the school set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r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quality of life at work, parents responded that the important factors that enhance or reduce the quality of life are 'financial factor' 'harmonious relations'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With the adult sample, those respondents with low levels of achievement report 'financial factor'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ose respondents with high levels of achievement report 'occupational achievem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for the leisure setting, the factors that raise quality of life are 'various hobbies' 'financial security' 'time to spare' an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For the overall quality of life, factors that raise quality of life for students are 'harmonious family life' 'leisure activity' 'academic achievement' 'self-regulatio?an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For parents, they are 'financial security' 'self-regulation' 'leisure activity' and 'harmonious family life'.

      • KCI등재후보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 탐구: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탁수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1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focusing specifically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 total 268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their parents and 251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two studies. In the first study, qualitative results indicate that both groups of adolescents were most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than any other person and reason for their trust is reported to be based on blood relationship. Similarly, majority of parents of both groups reported trusting their children because of the blood relationship. Parents hope that their children will be sincere a person and will be able to maintain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 Parent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ere more likely to report disobedience as being most problematic, whereas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report providing social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being the most difficult. In the second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four groups and the following set of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family backgrou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as lower, they are less likely to live with both parents or natural parents, and more likely to have ran away from home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and more likely to view their parents as being hostile. Third, parent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e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children, more likely to view their relationship as being conflictual and hostile, and feel that they had to sacrifice for their children when compared with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delinquency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탈 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토착심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1,038명이었으며, 보호관찰 청소년 268명과 그들의 부모, 고등학생 251명과 그들의 부모로 구성되었다.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집단별 부모관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모두 이 세상에서 가장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믿고 신뢰하는 이유로서 혈연관계가 가장 중요하였다. 둘째, 부모 집단별 자녀관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자녀가 보호관찰을 받는 일탈 청소년이든 학교를 잘 다니고 있든, 모두 혈연관계로 맺어진 자녀이기 때문에 무조건 믿는다는 생각을 과반수 의 부모가 하였다. 또한 두 부모집단 모두 자녀가 성실한 태도를 갖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도록 기대하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자녀 양육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내용에서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 부모는 자녀의 불순종을, 일반 청소년 부모는 자녀의 성적이나 대학진학 등 학업문제와 자녀교육을 뒷받침해야 하는 교육비 부담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양적 자료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구조적 환경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은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가 낮았으며, 친부모가 아니거나,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서 가출경험이 많았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이 부모에 대한 신뢰가 낮았고, 부모의 양육태도를 더욱 적대적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의 부모가 자녀에 대해 더욱 낮은 신뢰를 보였다. 자녀 양육태도에서도 더욱 갈등을 느끼고, 적대적이었으며, 자녀 때문에 희생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가 시도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특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trust in Korean culture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First, this paper raises central questions that arise in Korean families, schools, companies and society: 1) Why are some Korean families disintegrating? 2) What core values do Korean schools teach? 3) What are the goals that Korean companies pursue? 4) Does trust exist in Korean society? Second, this paper reviews a series of empirical studies conducted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y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three major themes: 1) trust is based on relational culture and ingroup identity; 2) emotional attachment and bond provide the basis of trust; 3) the emphasis on cultivation of virtue through constant self-cultivation rather than ability and the control of the environment. Third, this paper raises centr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1) the extension and expansion of trust beyond the narrow confines of the family and ingroup to include outgroup members; 2) recognition and balance of public rationality and private emotions and relations in society; 3) the achievement of balance between self-regulation and the control of the environment. 이 글의 주된 목적은,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신뢰의식과 관련된 경험 과학적인 연구들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함으로써, 그 심층에 자리잡고 있는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이 글의 서론에 해당하는 ‘탐색을 시작하며 던지는 질문들’에서는, 한국의 가정 학교 직장 사회에서의 신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을 하였다: 1) 한국의 가정은 흔들리고 있는가? 2) 한국의 학교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3) 한국의 직장은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4) 한국 사회에 신뢰가 존재하는가? 둘째,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경험 과학적 탐구’에서는,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경험 과학적 연구 결과들을 종합 정리함으로써, 한국인의 신뢰의식 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토착심리를 세 가지 특성으로 정리하여 논의를 시도하였다: 1) 관계문화의 뿌리: 신뢰형성에서 우리 관계의 중요성 2) 정서적인 유대관계의 중요성 3) 능력보다는 도덕성: 끊임없이 자기수양 하는 인격자에 대한 인정과 역할 충실의 중요성. 셋째, 이 글의 결론에 해당하는 ‘앞으로의 과제’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의 종합을 토대로, 발전적 한국 문화의 창조를 위해 보완해 나가야 할 세 가지 내용을 제안하였다: 1) 신뢰형성과정에서 가족관계의 확대와 외집단에 대한 개방적 태도 2) 합리와 정서의 조화 및 공과 사의 분별 3) 신뢰의 기준으로서 자기조절과 더불어 환경 통제 및 객관적인 능력의 균형.

      • KCI등재

        자녀효도 관련 토착심리 탐구와 자녀효도가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 중, 고, 대학생 부모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신영이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ception of filial piety among parents of Korean stud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nd its influence of child-rearing efficacy and family life-satisfaction. A total of 3,412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802, middle school=852, high school=866, and university=892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first two auth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filial behavior of their children perceived by parents,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being helpful, followed by taking care of parents, obedience, and caring behavior. As for filial expression,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caring, polite, and supportive expressions. As for behavior that most moved the parents,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being devoted to their school work, followed by obedience, caring behavior and sincerity. As for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their children should be filial,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that it was their duty, followed by developing proper character, consanguinity, and reciprocating for the sacrifice of the parents. As for unfilial behavior, disobedience was most frequently listed, followed by problem behavior, failing to meet expectation, hurting and disrespecting parents and not being devoted to their school work. When their children were not filial, majority of parents listed feeling sad followed by feeling resentful, and self-reflective. Second, path analysis revealed that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filial piety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hild rearing efficacy and family life-satisfaction. Child rearing efficac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family life-satisfactio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family life-satisfaction. This pattern of results have been found for all samples. 이 연구에서는 부모가 지각하는 자녀효도와 관련된 토착심리를 규명하고, 나아가서 자녀효도가 부모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자녀를 둔 3,412명의 부모로서, 초등학생 부모 802명, 중학생 부모 852명, 고등학생 부모 866명, 대학생 부모 892명이었다. 첫째, 개방형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 부모가 지각한 자녀의 대표적인 효도 행동은 부모를 도와줌, 부모를 아껴줌, 순종, 다정한 행동이 대표적이었으며, 이외에 성실함, 학업충실, 잘 성장함이 포함되었다. 부모가 지각한 자녀효도의 언어표현은 다정한 표현, 예의바른 표현, 격려의 표현이 대표적이었으며, 이외에도 감사의 표현, 도와드리겠다는 표현, 건강하라는 표현, 공부 열심히 하겠다는 표현, 순종하는 표현 등이 있었다. 부모가 가장 감동하는 자녀의 효도는 학업충실이었으며, 이외에 순종, 부모를 아껴줌, 성실함, 잘 성장함 등이었다. 자녀의 효도가 중요한 이유로서 인간의 도리가 가장 대표적으로 지적되었고, 이외에 올바른 인간형성, 혈연관계, 부모의 희생에 대한 보답, 자녀에게 도움이 됨, 가정화목이 지적되었다. 한편 부모들은 자녀가 순종하지 않을 때 불효라고 지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이외에도 나쁜 행동, 기대에 미치지 못함, 마음을 아프게 함, 부모를 무시함, 학업소홀, 불성실함이 포함되었다. 자녀가 효도하지 않았을 때 부모의 마음은 서운함이 과반수 이상이었고, 이외에 괘씸함, 자기반성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자녀가 효도를 하면 부모의 가정생활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자녀의 효도는 자녀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고, 높아진 자녀양육효능감은 가정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킴으로써, 자녀양육효능감은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였다. 가정경제수준도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해 정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그러나 효과분석을 하였을 때, 자녀효도가 부모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가정경제수준이 부모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의 두 배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 중, 고, 대학생 부모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삐침’의 심리적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송경재,김윤영,박율우,박성미,신지영,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6 No.1

        In Korea, Pbichim refers to a psychological state caused by emotional damages that can occur within close relationships. In this state, one might feel reluctant to express one’s feelings directly to the other party. It is also possible that Pbichim transforms into anger. This study is aimed to define the term Pbichim as an indigenous psychological concept. In Korea, it is common to express one’s feelings indirectly and read the other party’s inward thoughts. Pbichim reflects those cultural aspects. In order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Pbichim in Korea,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5 open-ended questions. The participants were 11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t Korea University, and the data was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four different aspects of Pbichim (unsatisfied expectation, being ignored, being alienated, and power struggle) could be differentiated by the situation in which people are likely to present Pbichim. The personality traits of Pbichim, the way of relieving it, as well as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Pbichim were also elici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bichim (the concept that has been negatively perceived)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maintaining and improving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Korea. Lastly, the importance of mind reading within a certain cultural context is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문화 속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삐침’의 심리적 구조 및 특성에 관해 알아보고 심리학적 개념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연구이다. 삐침은 가까운 대인관계 내의 특정 상황에 의해 마음이 손상되었으나, 상대에게 이를 직접적으로 표현하기에는 당사자의 판단에 의해 꺼려지는 마음이 표현된 행동이다. 15문항의 개방형 설문을 통해 삐침에 대한 일상 언어를 통한 일반인들의 표상을 알아보았다. 응답을 범주화 하여 삐침의 외적 현상(유발대상, 표현 양식, 판단 단서), 심리적 현상(정서, 삐친 사람에 대한 생각), 사회적 현상(관계에 미치는 영향), 원인 및 해소 방법, 기능을 도출하였다. 삐침은 친구, 가족, 애인과 같은 가까운 대상과의 관계에서 발생한다. 대체로 사람들은 말을 하지 않음, 비꼬거나 툴툴거림. 시무룩하거나 냉담한 표정과 같이 간접적인 방식으로 삐쳤음을 표현한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표정 말투, 행동 및 태도, 말 안함 등으로 삐침을 알아채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은 삐쳤을 때 정서가 서운하고 섭섭하다, 화난다, 불쾌하다, 속상하다고 하였고, 삐친 사람을 보면 대체로 이유가 궁금하다, 풀어 줘야겠다, 소심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응답하였다. 삐침이 관계에 주는 영향은 관계악화, 상호 이해의 계기, 상황에 따라 관계가 돈독해 질 수도 악화될 수도 있음 등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삐침은 발생하는 상황으로 기대 좌절, 무시당함, 힘겨루기, 소외당함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아울러 삐침의 해소 방법은 내 마음 알아주기, 사과 및 잘못 인정, 직접적 행동 개선, 내버려두기, 물질적 보상 등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삐침이 관심유도, 심정 공감받기, 간접 및 직접적 심정 표출, 관계개선 등의 기능을 하지만 심리적 에너지를 소모하거나 이미지 손상 또는 관계를 악화시킬 수도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삐침이 관계 중심적 고 맥락 사회에서 마음을 주고받는 과정 속에 발생하는 문화 심리 기제임을 조명했다. 또한, 삐침은 한국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보여주며, 관계의 손상을 방지하고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