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할린 선주민의 전후(戰後) 이동과 탈식민의 문제 -윌타 겐다누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궁철 ( Namgung Chul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1 No.-

        이 글은 사할린(Sakhalin) 선주민(indigenous peoples) 중에서도 아시아 태평양전쟁 이후 일본으로 이동한 소수에게 주목한다. 윌타(Uilta)나 니브히(Nivhk) 등은 남사할린이 일본의 식민지였던 기간 동안(1905~1945) 아이누(Ainu)와 마찬가지로 ‘동화(同化)’ 정책의 대상이었지만, 일본의 패전까지도 계속 무국적 상태에 있었다. 그 중 젊은 남성들은 아무런 법적 근거 없이 대소 첩보원으로 동원되었고 전후에는 시베리아에서 강제노동을 겪었다. 일부는 귀환처로 일본을 선택했는데, 사할린에 방치되어 있던 가족들 중 그들을 좇아 일본으로 건너간 경우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 경험은 대부분의 ‘일본인’들이 1945년 이후 일본으로 향하는 귀환선에 올랐던 것과는 구별된다. 전후 일본에서 사할린 선주민의 생활은 차별받지 않기 위해 ‘일본인’을 연기한다는 점에서 전전(戰前)의 경험과 연속적이었다. 또한, 1930년대 사할린에서와 마찬가지로 선주민 문화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었다. 그런데 1970년대 중반 윌타 겐다누(ゲンダ-ヌ)는 다나카 료(田中了) 등의 도움을 받아 전시 동원에 대한 보상의 의미로 군인 은급(軍人恩給)을 청원했고, 선주민 문화의 보존을 위해 자료관을 설립했다. 침묵을 깨고 윌타라는 선주민의 존재를 밝힌 겐다누의 활동은 동시대 아이누의 사회운동과 맥락을 함께 하는 것이었다. 이 글은 식민주의를 고발하고 선주민 문화의 복권을 시도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생각해볼 것이다. 이 글은 동시대 아이누의 발화를 참조하여, 근대 일본의 식민주의를 고발하는 활동이 아이러니하게도 식민주의 속에서 구축된 카테고리를 반복하게 되는 문제를 지적한다. 어떤 선주민이 권리를 주장하고 자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할 때조차, 그는 법 권리의 주체와 문화공동체로서의 ‘선주민이 되는(becoming indigenous)’ 관계에 있다. 선주민 문제를 탈식민적인(postcolonial) 과제로 마주할 때, 현재를 살아가는 인간으로서의 선주민과 관련 논의 속에서 대상화된 카테고리로서의 ‘선주민’ 사이의 간격에 진입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article keeps an eye on Sakhalin indigenous peoples who migrated to Japan in Postwar period. Indigenous peoples in Sakhalin were subject to the assimilation(同化) polic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Uilta and Nivhk, however, could not have equivalent legal status of ‘Japanese nationals’, unlike Ainu who experienced similar colonial situation. During wartime Japan, some of the males were mobilized as undercover agents, and had to undergo Siberian Internment after the defeat of Japan. Nevertheless, some of them chose to be repatriated to Japan after being released from the forced labor. Their families left in Sakhailn also sometimes crossed the border to meet their husbands or sons. These Sakhalin indigenous peoples’ postwar immigr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case of ‘Japanese’, who could board repatriation ships from Sakhalin to Japan. Uilta and Nivhk concealed their origins and pretended to be ‘Japanese’ to avoid being discriminated in postwar Japan. Also, indigenous culture was treated as tourism resources in postwar Hokkaido(北海道), the same as in Sakhalin since 1930’s. However, a Uilta by the name of Dahinien Gendanu broke his silence and have voiced since the mid 1970’s. With the help of Tanaka Ryo(田中了) and his colleagues, Gendanu tried petition for military pension(軍人恩給) as postwar compensation and established a small museum for the preservation of indigenous culture. The endeavors of Gendanu was a part of contemporaneous social movement of Ainu. This article tries to problematize the predicament that indigenous peoples’ movement against colonialism have faced. This article examines a recurrent dilemma of categorization even when indigenous peoples tried to disclose Japanese colonialism. It is required to have critical thinking on indigenous movement in that a person is ‘becoming indigenous’ to appeal for legal rights or identity as indigenous. To speculate indigenous peoples’ problem as a postcolonial task, we should be scrupulous in the gap between indigenous peoples living in the present and ‘indigenous peoples’, a category objectified in discussions.

      • KCI등재

        國家自然資源管理體制下的再共有化 : 臺灣野生動物共管制度的興起與最新趨勢

        따이싱셩,루이츠 역사문화학회 201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2 No.1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re-commoning” process of natural resources in Taiwan, in particular related to indigenous context. As one of the most typical and important types of common-pool resources, wildlife has been, and still is the core of Taiwan indigenous society’s daily life and culture practice.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indigenous struggle toward reclaiming their natural resources rights, we study the latest trends of the rise of indigenous- state wildlife co-management regime in Taiwan. Indigenous commons regime, including the traditional wildlife hunting and management institutions, once dominated the land and natural resources in Taiwan. In the case of wildlife, the invasion of modern state regime did to certain extent exerted influences on indigenous institutions. The state, however, has never absolutely taken over the indigenous wildlife use and management rights until 1980s. In 1989, the Wildlife Conservation Act was passed by the parliament, which absolutely prohibits wildlife hunting, ignores the de facto indigenous institutions, and virtually includes wildlife as part of the state-centric, command-and-control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regime. The strict Wildlife Conservation Act causes serious, negative impacts on indigenous wildlife hunting practice, as well as its institutions. This has also been one of the focuses of indigenous movement’s claims. The indigenous claim of legal rights of wildlife hunting and management is steadily withstand by both the state authority and the mainstream society. Meanwhile some activists in the indigenous movement,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academics achieved some sort of consensus, and formed a coalition to pursue a co-management wildlife regime in recent years. For some people, the goal might be an autonomous, self-governed indigenous wildlife management regime. In 2016, a new window of opportunity arose. The new Taiwan President, Tsai In-Wen, declared a new indigenous policy toward pursuing transitional justice for indigenous rights. The policy significantly changed the traditional route of the state authority, the Forestry Bureau, which is in charge of the wildlife conservation. The Forestry Bureau actively initiated eight pioneer projects, trying to build up step by step an indigenous-state wildlife co-management regime, in which the academics are also involved. To illustrate the deliberate re-commoning process, we study a case of Truku Tribe. The case study unpacks some of the key challenges and current achievements, including the support and/or resistance of external institutions, intra-community dynamics, management capacity, and the roles of academic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se novel experiences may offer critical insights for a possible paradigm shift of commons governance in Taiwan. 本論文探討臺灣原住民族脈絡下自然資源的再共有化過程。野生動物是重要的共有資源類型,它也一直是原住民族社會日常生活與文化實踐的核心。我們研究臺灣野生動物共管制度的興起與最新趨勢,以及原住民族在追索他們的自然資源權過程中所歷經的過程。 原住民族共有資源傳統制度,包括野生動物狩獵與管理制度,歷史上曾經是臺灣土地與自然資源治理的主流。在野生動物的案例中,現代國家體制的進入的確一定程度影響了原住民族制度。然而,國家遲至1980年代才絕對控制了原住民族的野生動物利用與管理權。在1989年,國會通過野生動物保育法的立法,徹底禁止狩獵行為,忽視事實上存在的原住民族制度,並將野生動物納入以國家為中心的命令控制式自然資源管理體制。 嚴苛的野生動物保育法對原住民族狩獵與傳統制度造成嚴重的負面衝擊,這一點持續成為原住民族運動訴求的焦點。然而,原住民族追求合法狩獵與管理的訴求,卻持續的被國家與主流社會所抗拒,在這過程中,近年來部分原住民族運動、環境團體、學術界中的積極行動者達成某種程度的共識,並組成社會運動聯盟倡議野生動物的共管機制。對很多人而言,終極的運動目標是追求自主的、自我治理的原住民族野生動物管理制度。 在2016年,一個新的機會之窗產生了,新當選的臺灣總統蔡英文宣示了新的原住民族政策及推動原住民族轉型正義的工作。這個政策顯著的改變了主管野生動物事務的國家機構林務局之傳統政策路線,林務局轉而積極推動八個先導型計畫,試圖逐步的建立原住民族與國家的野生動物共管制度,同時學術界也成為共管體制的重要成員。 為了細緻說明與分析這個再共有化的過程,本文也研究太魯閣族的一個個案。這個個案研究顯示了目前達成的進展、以及重要的挑戰。這些議題包括外部制度環境的支持與抗拒;部落內部的動態;管理能量;學術界及非政府組織的角色等。我們認為,這些嶄新的試行經驗,將可以為臺灣共有資源治理體制可能的典範移轉提供重要洞見。

      • KCI등재

        國家自然資源管理體制下的再共有化 -臺灣野生動物共管制度的興起與最新趨勢-

        Hsing-Sheng Tai(따이싱셩),I-Chi Lu(루이츠) 역사문화학회 201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2 No.1

        본 논문은 타이완의 자연자원에 대한 “리커머닝” 과정을 특히 토착민의 맥락과 연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가장 대표적이고도 중요한 공유재의 일종인 야생동물은 지금까지 타이완 토착 사회의 일상과 문화적 관습에 있어 핵심적인 것이었다. 자신들의 자연자원 권리를 되찾기 위한 토착민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나는 토착(민)-국가 야생동물 공동 운용체제의 부상과 최근의 경향을 연구하였다. 토착적 커먼즈 체제는 전통적 야생동물 사냥 및 운영 기관들을 포함하여 한때 타이완의 토지 및 자연자원을 장악하였다. 야생동물의 경우, 근대 국가 체제의 침략은 상당 부분 토착적 기관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국가가 토착적 야생동물의 활용과 운영권을 완전히 차지한 것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였다. 1989년, 의회에서 야생동물 보호법이 통과되었다. 이는 야생동물 사냥을 완전히 금지하고, 사실상 토착적 기관을 무시하는 것이었으며, 야생동물을 국가 중심적, 지휘 및 통제 방식의 천연자원 운용 체제 하에 실질적으로 포함시켰다. 그러한 엄격한 야생동물 보호법은 토착 야생동물 사냥 관습과 제도에 심각하고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는 그간 토착민 운동의 핵심적인 주장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야생동물 사냥과 활용에 관한 토착민들의 법적 권리 요구는 지속적으로 정부 당국과 주류 사회의 저항에 부딪힌다. 다른 한편, 토착 운동 및 환경단체의 몇몇 활동가들과 학자들은 일종의 합의를 이루어 냈고, 최근 몇 년간 야생동물 공동 운용 체제를 이룩하기 위한 연합을 형성했다. 몇몇 이들에게 최종 목표는 독립적이며 자치적인 토착 야생생물 관리체제일 것이다. 2016년,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타이완의 새 대통령 차이잉원(蔡英文)이 토착민들의 전통적 정의를 추구하기 위한 새로운 토착 정책을 공표한 것이다. 해당 정책은 야생동물 보전을 담당하는 국가 기관인 산림부의 기존 경로를 상당히 바꾸어 놓았다. 산림부는 적극적으로 8개의 선구적 프로젝트에 착수하였는데, 이는 학계의 참여 하에 토착(민)-국가 야생동물 공동관리체제를 시행하기 위한 점진적인 과정이었다. 계획적인 리커머닝 과정을 서술하기 위해, 필자들은 트루쿠(Truku)족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 사례 연구는 외부 기관의 지원과 저항, 커뮤니티 내부의 역학, 자원 운용 능력, 학계와 비정부 기관의 역할 등을 포함한 핵심적인 도전 과제와 현재의 성과들을 제시한다. 이러한 새로운 경험들은 타이완 커먼즈 거버넌스를 향한 체제 전환의 가능성에 관해 비판적 통찰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re-commoning” process of natural resources in Taiwan, in particular related to indigenous context. As one of the most typical and important types of common-pool resources, wildlife has been, and still is the core of Taiwan indigenous society’s daily life and culture practice.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indigenous struggle toward reclaiming their natural resources rights, we study the latest trends of the rise of indigenousstate wildlife co-management regime in Taiwan. Indigenous commons regime, including the traditional wildlife hunting and management institutions, once dominated the land and natural resources in Taiwan. In the case of wildlife, the invasion of modern state regime did to certain extent exerted influences on indigenous institutions. The state, however, has never absolutely taken over the indigenous wildlife use and management rights until 1980s. In 1989, the Wildlife Conservation Act was passed by the parliament, which absolutely prohibits wildlife hunting, ignores the de facto indigenous institutions, and virtually includes wildlife as part of the state-centric, command-and-control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regime. The strict Wildlife Conservation Act causes serious, negative impacts on indigenous wildlife hunting practice, as well as its institutions. This has also been one of the focuses of indigenous movement’s claims. The indigenous claim of legal rights of wildlife hunting and management is steadily withstand by both the state authority and the mainstream society. Meanwhile some activists in the indigenous movement,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academics achieved some sort of consensus, and formed a coalition to pursue a co-management wildlife regime in recent years. For some people, the goal might be an autonomous, self-governed indigenous wildlife management regime. In 2016, a new window of opportunity arose. The new Taiwan President, Tsai In-Wen, declared a new indigenous policy toward pursuing transitional justice for indigenous rights. The policy significantly changed the traditional route of the state authority, the Forestry Bureau, which is in charge of the wildlife conservation. The Forestry Bureau actively initiated eight pioneer projects, trying to build up step by step an indigenous-state wildlife co-management regime, in which the academics are also involved. To illustrate the deliberate re-commoning process, we study a case of Truku Tribe. The case study unpacks some of the key challenges and current achievements, including the support and/or resistance of external institutions, intra-community dynamics, management capacity, and the roles of academic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se novel experiences may offer critical insights for a possible paradigm shift of commons governance in Taiwan.

      • KCI등재

        에콰도르의 언어정책과 원주민 교육

        유영식(Yoo, Yeong-Sik)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7 중남미연구 Vol.36 No.1

        90년대 들어 다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다민족, 다중언어 사회의 특성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에콰도르 등 안데스 국가들은 다양한 원주민 언어와 문화를 인정하고 국가유산으로서 언어와 문화의 보호와 발전도 허용했다. 이것은 국가의 언어정책과 원주민 교육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에콰도르 국민들의 고유 언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은 원주민들의 개인권리와 집단권리에 대한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동안 ‘민족-국가’건설에 중점을 두고 민족통합을 위해 단일 언어주의와 단일문화주의로 이해되는 동화주의 언어정책을 실시하면서 원주민은 사라져야 할 존재로서 그들의 문화적 언어학적 특성도 사라져갔다. 그러나 에콰도르에는 주류계층과 소수자 간의 관계 속에서 불균등하나마 항상 이중 언어주의와 이중문화주의 상황이 존재했다. 게다가 이중 언어교육은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원주민 학생들의 문화적 현실에 맞게 조정된 상호 문화적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1988년에 EIB 교육을 제도화하기 위해 교육법을 개정하였고 원주민 이중언어 상호문화교육국(DINEIB)을 창설하였다. 원주민들은 EIB 교육을 통해서 스페인어 사용자로 구성된 지배계층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언어적으로 탈식민화하여 그들의 언어와 문화가 동등한 위상을 갖기를 희망한다. 에콰도르 원주민과 고유 언어의 미래도 원주민 교육에 달려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어떠한 교육을 받느냐는 것은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원주민 교육에서 최적의 대안으로 평가 받는 EIB 교육은 원주민 자신들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지배계층이 자신들과 원주민들의 문화와 언어가 대등한 위상을 가진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상호학습이 실현될 경우 EIB 교육정책이 추구하는 기대와 성과는 극대화 될 것이다. 즉‘모두를 위한 이중 언어 상호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상호 문화적 다국민 국가와 다중언어주의 사회 실현을 위해 추구해야 할 방향이다. In the 1990s, most of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began to recognize characteristics of their society as being multiethnic and multilingual. Ecuador and other Andean nations recognized the diversity of indigenous languages and cultures, and allowed for conversation and development to take place by designating them as national heritage. This signified a major change in the language policy and indigenous education of the country. The effort to maintain the languages of the diverse Ecuadorian nationals and their development spurred from the demand for individual and collective rights of the indigenous. Years ago, with the implementation of an assimilation linguistic policy, monolingualism and monoculturalism were sought after to achieve national integration with an emphasis on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In this vision, natives are considered unnecessary beings that are bound to disappear and along with them, their cultural and linguistic heritage. But in Ecuador, even under unequal conditions, there has always been bilingualism and bicultur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minority group. Aditionally, Ecuador recognized that the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ntercultural in order to adapt to the reality of the indigenous student, thus avoiding the traditional method. In 1998, the government amended the Education Act to institutionalize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for indigenous people and created the National Directorate for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Indigenous people want their language and culture to have an equal prestige and status, decolonizing sociocultural and linguistically from the dominant group (Spanish speakers) through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The future of indigenous people in Ecuador and their language depends on indigenous education, but the most important question is what kind of education they should receive.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is the best alternative for indigenous education, but it must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raises the pride for indigenous culture and language. The expecta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language policy would be maximized if a reciprocal learning was obtained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indigenous group, recognizing that their culture and language enjoy the same prestige. In other words,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must be for all, since only in this way can the goal of a plurinational state and a multilingual society be achieved.

      • KCI등재

        Malcolm C. Fenwick의 토착화 선교에 관한 평가 : Henry Venn의 삼자 원리를 중심으로

        안희열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6 No.-

        Now 2019 is the year of blessing and appreciation for the 130th anniversary of Malcolm C. Fenwick’s mission work in Korea. When Fenwick came to Korea in December 1889, he had a strong desire to preach the gospel to the gentiles due to premillennial eschatology. Thus he planted 200 churches and produced 250 ministries without any denominational support. Unlike other missionaries, Fenwick was accomplished for forty six years because it succeeded in indigenous mission. Therefore, Dr. Min, Kyongbae called Fenwick, “a great man of indigenization.” Indigenous mission means that the indigenous church itself is able to be self supporting, self-governing, and self-propagating without outside help. It took thirteen years that Fenwick was succeed in indigenous mission. In fact, Fenwick was hooked on ethnocentrim for a long time. However, after he met an indigenous leader, Shin Myunggyun, Fenwick’s idea was completely changed. After Fenwick had sent Shin Myeong-gyun as the head of Chungcheong-do mission in December 1901, Fenwick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genous leader because Mr. Shin had planted twelve churches for two years. Eventually Fenwick appointed Shin Myeong-gyun as the chief director of Gongju Bible School on February 10, 1903. After that, the indigenous leader was able to directly teach and preach, and then the church grew explosively.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hurch of Christ in Corea, a beginning of Korea Baptist Church, in 1906. At last Fenwick was able to bloom in faith mission, region-beyond mission, and the missionary work in Northeastern Asia. This paper aims to reevaluate Fenwick’s self-supporting, self-governing, and selfpropagating mission in view of Henry Venn’s three-self principles, and to study what strengths, vulnerabilities, makes up for the weakness while Fenwick worked. Furthermore, the writer wishes that Korean Church will take a step forward by discovering the right direction. In fact, Fenwick was opposed to the Nevius mission policy(comity) because he opposed it vigorously by heart although he accepted comity outwardly. In Chapter 1, the writer looks at the background of Fenwick’s indigenous mission. In Chapter 2, the research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Fenwick’s indigenous mission, and in Chapter 3, the writer deals with why Fenwick could succeed in indigenous mission. In Chapter 4, the researcher evaluates Fenwick’s indigenous mission. This writer wishes that Korean Church, under the stagnant period of Korean mission, will awaken the eye once again and make a new leap forward with the assistance of this research. 2019년은 말콤 펜윅(Malcolm C. Fenwick, 1863-1935) 한국선교 130주년을 맞이하는 축복과 감사의 해이다. 펜윅은 1889년 12월에 내한하였을 당시 전천년주의 종말론에 이끌려 하루라도 빨리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사상이 강하여 생전에 200개의교회개척과 250명의 사역자를 배출하였다. 그가 46년간 다른 선교사들과 달리 후원 교단도 없이 이런 과업을 달성한 것에는 토착화선교에 성공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경배 박사는 펜윅을 “토착화의 거보(巨步)”라 불렀다. 토착화 선교란 외부의 도움 없이 토착인 교회 스스로가 자립(self-supporting), 자치(self-governing), 자전(self-propagating)하는 것을 말한다. 펜윅이 토착화 선교에 성공하기 까지는 무려 13년의 세월이 걸렸다. 자문화우월주의에 빠져 있던 펜윅의 생각을 완전히 바꾸게 된 것은 토착인 지도자 신명균을 만나면서 부터였다. 펜윅은 1901년 12월 신명균을 충청도 선교 책임자로 파송한 이후 그가 2년 동안 무려 12개의 교회를 개척한것을 보고 토착인 지도자의 중요성을 깨달아 그를 1903년 2월 10일공주성경학교 원장으로 임명한 뒤 토착인이 직접 가르치고 설교하면서 교회는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펜윅은 1906년에 한국침례교회의 전신인대한기독교회를 설립하고 신앙선교, 오지선교, 북방선교에 꽃을피우게 되었다. 본 논문은 토착화 원리인 자립, 자치, 자전을 소개한 헨리 벤(Henry Venn)의 삼자원리를 중심으로 펜윅의 자립, 자치, 자전의 토착화 선교를 재평가해서 어떤 면이 강점인지, 취약점인지, 보완해야할 것인지 살펴보아 오늘날 한국교회에 올바른 선교방향을 제시하여 다시 한 번 도약코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다만 펜윅은 네비우스 선교정책에는 반대하는 입장이었음을밝힌다. 왜냐하면 펜윅은 선교지분할협정(comity)을 겉으로는 수용했지만 속마음은 반대했던 자이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1장에서는 펜윅이 토착화 선교를 하게 된 배경을 살펴볼 것이고, 2장에서는 삼자원리를 통해서 본 펜윅의 토착화 선교 특징을 연구할 것이며, 3장에서는 펜윅이 토착화 선교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알아보며, 4장에서는 삼자원리의 관점에서 펜윅의 토착화 선교를 평가하려고 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한국선교 정체기를 맞이한 한국교회가 다시 한 번 선교의 눈을 뜨며 도약하길 소망해 본다.

      • KCI등재

        토착성에 기반한 아시아 여성주의 연구 시론

        윤혜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0 여성학논집 Vol.27 No.1

        This paper is based on the certain point that 'the indigenous', which have long been occupied by the Asian patriarchy or the local communities, now calls for the repositioning in the feminist context. 'The indigenous', in one part, generally refer to the matured long-standing traditions and practices of certain regional, or local communities, as a mode of a place specific way of endowing the world with integral meaning. In the narrow definition, it points to the particular form of placed based knowledge for survival, for example, the useful knowledge of a population who have lived experiences of the environment. In the other part, 'the indigenous' could be criticized in the gender perspectives because it has been served as an ideological tool for patriarchy and sexism, which have undermined women's body and subjectivity in the name of the Asian traditional community. That's why the feminists with sensitivity to the discourses of it, may perceive it very differently, still hesitating dealing with the problem. However, even if there are tendencies that the conservatives romanticize local traditions and essentialize 'the indigenous', as it were, it does not exist 'out there'. Then, it could be scrutinized in the contemporary context which, especially, needs to seek the possibility towards the alternatively post - develope mental knowledge system. In the face of global economic crisis which might be resulted from the instrumentalized or fragmented knowledge production system, it's holistic conceptions that human, society, and nature should not be isolated from each other. is able to give an insightful thinking. It will work in the restraint condition that we reconceptualize the indigenous knowledge not as an unchanging artefact of a timeless culture, but as a dynamic, living and culturally meaningful system towards the ecofeminstic indigenous knowledge. And then, indigenous renaissance phenomena which empower non-western culture and knowledge system and generate increased consciousness of cultural membership. Thus,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digenous knowledges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in the western-centered knowledge-power relations, could be reconstructed as a potential resources of ecological civility transnationally which reconnect individuals and societies with nature. 본 논문은 '토착성'에 대해 여성주의적으로 재위치시키고자 하는 시론적 작업이다. 한편으로 '토착성'은 넓게는 세계를 통합적으로 의미화해 온 방식으로서 오랜 전통과 실천을 통해 특정 지역 사회가 보유해온 성질이며, 좁게는 시간의 시험을 통과한 실용성을 지닌 생활환경 지식 등 안에 보유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젠더 관점에서 본 '토착성'은 문제적이다. 특히 전통의 이름으로 가부장제와 성차별주의를 온존해 온 사회가 표방해 온 '토착성'은 여성의 몸과 주체성을 결박하는 강한 구속력을 갖는다. 그리하여 여성주의 진영은 '토착성'을 연구주제로 취급하는데 주저함을 갖고 있다. 하지만 보수적이고 가부장제적인 토착 사회로의 회귀를 의도하는 측에서 토착성을 낭만화하거나 실체화하는 경향이 있다 해도, 사실 토착성은 "저기 밖에" 고형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특히나 지구적 상품경제를 떠받쳐온 도구적이고 분절적인 지식 체계에 대안을 모색하려고 할 때 (아시아를 비롯한) 비서구적 토착 지식은 사람과 사회, 자연을 이어왔던 통합적 인식체계의 전범이 될 수 있다. 이는 '토착 지식'을 무시간적인 인공물로서가 아니라 역동적이고 살아 있어서 문화적으로 의미있는 체계로 재구성하고자 할 때 가능하다. 또한 생태여성주의적인 토착 지식의 재개념화와 함께 토착의 르네상스 현상은 비서구 문화와 지식 체계에 힘을 실어주면서 주변화된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성원권에 대한 의식을 증강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그간 타자화되고 저평가된 토착 지식이 생태적 시민성의 자원으로 국가 경계를 넘어 재구성될 수 있음을 논변하고자 한다.

      • KCI등재

        외채위기 이후 멕시코 치아파스 원주민의 개종

        김윤경(Kim, Yoon-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9 No.-

        이 논문은 멕시코의 원주민들 사이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이 성장하게 된 원인과 그 결과를 치아파스 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멕시코,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프로테스탄티즘이 급성장을 이루었다. 그러한 성장을 이루게 된 배경에는 오일 붐 이후 멕시코의 경제 위기가 자리 잡고 있었다. 프로테스탄티즘이 급성장한 대표적인 주인 치아파스에서는 그 위기로 인해서 대부분의 원주민들이 더 가난해지고 소외되었다. 그러는 과정에서 원주민들은 chawaj 같은 질병으로 극심한 고통에 시달렸다 이 질병은 원주민들의 일상생활을 파괴하고 종종 자살에 이르게 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은 원주민들에게 하나의 출구였다.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은 고통 중에 있는 원주민들에게 학교나 병원을 지어주는 등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했다. 게다가 프로테스탄티즘은 신과 인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강조함으로써 원주민들이 신에게서 직접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주었다. 그리고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은 카르고 체제를 공격하여 원주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었다. 그런데 이러한 개종은 종교적인 것을 넘어서 정치적인 의미를 가졌다. 그것은 caciques의 권위에 대한 정면 도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동체의 질서를 위협하는 정치적인 행동이었다. 프로테스탄티즘으로 개종한 원주민들은 돈이나 노동을 제공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카르고체제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러한 행동들은 공동체의 우두머리들인 caciques의 권력에 대한 막대한 침해를 초래했다. 그래서 개종자들은 엄청난 탄압에 시달렸다. 가톨릭교도들은 개종자들의 집을 불태우고 고문하고 심지어 죽이기까지 했으며, 공동체에서 추방하기도 했다. 이렇게 추방된 사람들은 산 크리스토발 델 라스 카사스나 라캉돈 밀림지대로 도망가서 거기에 colonias를 형성하여 살았다. 정부와 ORIACH, INESIN, CIM 같은 시민단체들이 이러한 심각한 종교 갈등들을 해결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종교 갈등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analyse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growth of protestantism among indigenous people in Mexico. For decades, there has been the rapid growth of protestantism, especially in rural areas of Mexico. It wa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economic crisis after a oil boom. In Chiapas, most of the indigenous were more marginalized and impoverished under the influence of a economic crisis. And they suffered from diseases like tuberculosis and chawaj. Chawaj destroyed a daily life of the indigenous and often made them suicide. In this situation, protestantism was a way out for the indigenous people. Christian missionaries offered practical assistance for them. For example, they built a school and infirmary accomodations. Furthermore, protestantism emphasized the directiv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so it was attractive for the indigenous. And protestant missionaries attacked the cargo system which the indigenous people felt a heavy burden with. The conversion had a political meaning beyond the religious. It was regarded as a defiance against cacique’s authority, as it were, a political action that threatened the order of the community. Because protestants didn’t participate in the cargo system and refused to contribute money and labour to festivals. These actions caused extensive damage to the power of caciques. Converts were subjected to the great pressure. Catholics burned houses of converts, tortured, even killed, and exiled from the community. For example, in San Juan Chamula, more than half of the community people were removed from the community, and formed colonias in the suburb of San Cristobal del Las Casas. Mexican government and civil organizations tried to solve these severe religious conflicts. Government-directed religious forums were conducted, and religious organizations like ORIACH, INESIN, CIM encouraged people to recognize religious diversity and thaught religious tolerance. Nevertheless, religious conflicts continue, so I am skeptical whether catholics and protestants will show religious leniency each other.

      • KCI등재

        Fish out of Water: Linguistic outsiders in a Nigerian University Setting: Impact on information access, learning and social wellbeing

        Chidinma Onwuchekwa Ogba,Adeyinka Fashokun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 Vol.13 No.3

        Nigeria is a country with multiple ethnic groups; as a result, English language is used as a lingua franca to enhance information flow. Despite this, the Indigenous languages of communities are mostly used for interactions, even in university environments thereby affecting smooth interaction for those who do not understand them.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impact of being a linguistic outsider on information access, learning and social wellbeing of students. Descriptive research of a case study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non-Yoruba indigenous students. Judgmental sampling technique was used to select 50 non-indigenous students; structured interview was used. Results showed that Yoruba indigenous language was used lightly in the classroom and heavily outside the classroom, with mixtures of pidgin and English languages. It was found that being a linguistic outsider had a negative influence on information access. However it was not a total dependent factor to social wellbeing of students who desire for their various languages to be predominantly used and for them to enjoy equal benefits with Yoruba indigenes.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being a linguistic outsider does not have negative influence on academic learning. It was recommended that the stakeholders in university management promote the complete use of English language in the classroom while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interpret Yoruba language when spoken in the midst of non-indigenes.

      • KCI등재

        연구논문 : POST-2015 개발 의제에 있어서 원주민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일고찰

        조흥국 ( Hung Guk Cho ),이경애 ( Gyeong Ae Lee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5 신학과 사회 Vol.29 No.1

        본 연구는 POST-2015 개발 의제에서 국제사회가 원주민에게 초점을 맞추는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추어 한국이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원주민에 대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누가 원주민인가에 대해 국제기구들은 정의를 내리기보다 범주를 정했고, 그 범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원주민의 자기인식이다. 그 정의에 따르면, 약 3억7천 만 명의 원주민 인구가 세계 6개 대륙,70여개의 나라에 흩어져 살고 있고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사람들의 15%를 차지하며 극단적으로 가난한 시골에 사는 9억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원주민 인구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고, 언어는 사라지고 있으며, 인권은 박탈당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거주하는 지역의 생물학적 다양성과 자연에 대한 지식은 소멸되고 있다. 원주민이 POST-2015개발 의제에서 초점이 된 배경은 수십 년 동안 이어 온 인권단체들과 국제기구들의 노력 그리고 UN원주민권리선언과 UN회의에서의 논의의 결과였다. POST-2015 개발 의제에서 원주민 개발 이슈와 아울러 원주민의 문화와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원주민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선진공여국들은 개발도상국에 거주하고 있는 원주민 교육을 개발협력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lucidate the background of why international society focuses on Indigenous Peoples regarding POST-2015 Development Agend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which Korea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rea would take the action for IPs keeping the pace with the flow of the international tendency.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IPs, an official definition of indigenous’ has not been adopted by 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stead of defining IP,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ategorized them. In that category, self-identification of IP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ccording to the category, the IP population of six continents is about 370 million which are scattered into more than 70 countries. They correspond to 15% of the people who live at extreme level of poverty in the world and one third of 900 million people who live in extreme poor rural communities. IPs’ population has decreased at a fast rate, the language has disappeared, and human rights deprived, biodiversity and knowledge of the nature on their residence are being destroyed. The background of the reason why IPs are being focused on POST-2015 development agenda of International society is the result of efforts of certain Human Rights Organiza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UNDRIP) after having several discussions of United Nations for decades. Along with IP development issue, IP-centered education based on IP’s culture and language has been emphasized on POST-2015 development agenda, as well. Donor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ve a task to deal with IP’s education as an important part of Development Cooper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후보

        Juxtaposition and Hybridity in Avatar: Future is Past, Pandora is Earth, Human is Alien, and Alien is the Indigenous

        ( Taeyou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문화와 세계 Vol.1 No.1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제임스 카메론의 영화 <아바타>는 놀라운 최첨단 3-D 영상미와 높은 제작비때문에 언론과 관객들의 큰 관심과 기대 속에서 개봉했다. 그러나 개봉 후에는 영화의 시각적 효과보다는 맥락과 해석 등 작품에서 읽혀지는 내용에 대한 평과 토론이 훨씬 더 뜨겁게 이어졌다. 영화 줄거리의 촉매제는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행성 판도라에서 엄청나게 비싼 언오브태늄(unobtainium) 이라 불리는 광물을 채굴하려는 인류와 이 시도에 적극 저항하는 외계인 나비족 사이의 갈등이다. 인간과 나비족은 목숨을 건 전투를 벌이게 되는데, 여기서 놀라운건 영화 관객들 대부분은 외계인의 편을 들며 인간의 패배를 기뻐했다는 점이었다. 이와 관련해서 본고는 할리우드영화에서 생소한 악한 인류 대 선한 외계인 이라는 낯선 대결구도를 관객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낯설어 보이지만 익숙한, 예컨대 과거 미대륙의 식민지 역사와 주인공의 이중 혼합성으로 겹쳐 읽히는 영화의 네러티브와 시각적 익숙함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는다. 영화는 과거 유럽인들의 아메리카 대륙 침략을 떠올리게한다. 과거 스페인과 포르투갈 정복자들은 금과 은을 탐했다면 영화속 RDA 라는 기업은 언오브태늄을 탐한다. 아바타의 주인공은 “인간-외계인” 이자 “백인-원주민” 이라는 복합적 특성을 가지고있는데 카메론 감독은 할리우드 대작 영화에서 쉽게 만날 수 없는 이러한 이중 혼합성을 통해 신선한 통찰력을 보여주며 여러 병치 구조와 융합에서 나오는 다각적 시선을 보여준다. 병치구조는 주인공의 정체성은 물론 영화의 장르에서도 나타난다. 아바타는 미래 공상과학 영화이자 동시에 과거를 재현해낸 사극이기도 하다. 또한 본고에서는 인종차별 논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일각에서는 아바타가 백인을 역차별 한다고 항의한 반면 또 일각에서는 백인 구세주를 재현해낸 또 한편의 인종차별적 영화라고 폄훼했다. 본고는 이러한 인종차별 논란에 대해 영화에서 주인공이 인간에서 나비로 변화하는 과정은 백인 구세주 신화를 공고히 하는게 아니라 해체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Director and writer James Cameron’s movie Avatar was released in the midst of a large media campaign and a lot of public attention largely due to, at first, its impressive, sophisticated 3-D real-life images and the high cost of production, but the stunning visual aspect of the movie soon became only a part of the heated discussion on the context of the film. The plot catalyst of the movie Avatar is the invasion of a distant moon Pandora by humans to exploit precious unobtainium against resistance by the inhabitant alien Na'vi. Deadly battles erupt between humans and the Na’vi, but surprisingly, the audience at large eagerly sided with the “aliens” and rooted for the defeat of the humans.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bring to light the juxtapositon and hybridity that highlight both the narrative and visual familiarities -- the striking resemblance to the history of the colonization of the Americas coupled with double hybridity of the main character -- as the key factor for the audience’s ready acceptance of this unprecedented bad human vs. good alien twist. The movie recapitulates what happened in the Americas with the European invasion; while the RDA covets unobtainium in Pandora, Spanish and Portuguese conquistadors were driven by the lust for gold and silver. The main character is a double hybrid “human - alien” as well as “white - indigenous”. Arguably, such hybridity in character is very rare in Hollywood, and thus gives the movie a fresh insight and adds to the intrigue of the juxtaposition and fusion James Cameron creates in the movie. The concept of juxtaposition is not only shown in the character building of the protagonist, but also in the genre of the film - it is a futuristic science fiction, but at the same time it can be interpreted as a period piece. Furthermore, the controversy over racism will be discussed. Some claimed the movie is reverse racist, while others called the film racist for presenting one more time the myth of the white messiah.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issue and show that the “human-to-Na’vi” transition of the protagonist serves not to enforce, but to deconstruct the white messiah my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