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소득종합과세 개선에 관한 연구

        오윤,임동원 한국세무학회 2013 세무와 회계저널 Vol.14 No.1

        2001년 금융소득종합과세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지 12년이 되어 가고 있다. 자본이 축적됨에 따라 실물소득보다는 금융소득이 세수조달창구로서 그 의미를 더해가고 있다. 실물소득과 금융소득에 대한 과세상 달리할 점은 없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과 제도가 있다. 현재 우리는 금융소득과세의 특수성을 감안하면서도 우리 환경에 적합한 제도를 모색할 필요성에 대해 사회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문제는 우리에 가장 적합한 것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의 도출이 될 것이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범주의 설정은 실질적 형평의 제고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과거 부부단위 합산으로 종합과세의 인적 범주를 설정하던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진 종합과세기준금액을 낮추려 한다면 단계적인 접근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3천만원으로 낮춘다면 종합과세대상 납세자는 소폭 증가하면서 적지 않은 세수증가가 기대된다. 조금 길게는 종합과세의 물적 범주도 확대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서는 소액주주의 주식양도차익도 소득과세의 대상에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금융소득은 인적 귀속을 가리기 용이하지 않다고 하여 mobile income이라고 한다. 이런 특성을 중시하는 것이 최근 주요 국가들의 제도적 움직임이다. 우리의 형편상 그와 같은 움직임과 다소 다른 방향으로 가려한다면 그 지향성을 보다 분명히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질적 형평의 관점에서 현행 금융소득과세제도가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는 노력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비교과세제도로 금융소득을 다른 종류의 소득에 비해 중과하는 점, 금융소득의 규모만으로 종합과세여부를 판단하는 점 및 금융소득자에 대해서는 필요경비의 공제를 인정하지 않고 자본손익의 통산범위를 제한하는 점은 수평적 형평에 배치되는 측면이 있다. 낮은 금융소득자들에게 분리과세만 인정하는 것은 수직적 형평을 저해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배당세액공제 대상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자소득의 규모를 고려하는 것은 조세의 중립성을 저해한다. 이런 점들에 대한 제도개선은 우리의 납세의식 및 행정여건을 보아가면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그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In the year 2001, the Global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was implemented in earnest and is being applying for twelve years. As the capital is accumulating, the financial income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object income for the raising source of taxation. There are many theories and system about how to tax on the object income and the financial income. Currently, we have formed a social consensus about the need to seek an appropriate system for us, considering a specialty of Financial Income taxation. The matter will draw a agreement about what most appropriate system is. The setting range of the Global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is to improve a substantive equality. If it is lowering a threshold amount of the Global taxation has increased relatively as compared with that time setting range for couples jointly, it is desirable to phase in. If it is lowering a threshold amount by thirty million won, the taxpayers of the Global taxation increases slightly and the tax revenue increases considerably. Furthermore, the material range of the Global taxation have to expand. In addition, a taxable income have to include a capital gain of minority shareholder who has listed stock. Financial income is called 'mobile income' because it's hard to identify the personal attribution. In recent years, World's leading countries set a high value on these characteristics. If we were to go toward a different trend according to convenience, we have a need to sharpen the directivity. From the substantive equality of view, the current Global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is tried to improve. One is levied a heavy tax on financial income by Comparative taxation, another is judged whether it is the Global taxation by a scale of financial income, the other isn't allowed necessary expenses and so on are opposed to the horizontal equity. It is opposed to the vertical equity that the low financial income earners is granted the Separate taxation only. And it is impeded to the neutrality of tax that is judged whether it is the dividend tax allowances considering scale of interest income. The improving the system with respect to these things is necessary that improvement consider social consciousness and administrative conditions.

      • KCI등재

        신탁 관련 소득과세의 문제점 및 개편방안

        이중교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3

        Recently, the use of the trust as a means of managing and proliferating property for each asset, such as finance, real estate and pension, has been increasing. In contrast to Japan's simultaneous push for an overhaul of the trust taxation while revising the trust law, Korea has yet to overhaul the trust taxation, which has been nearly a decade since the trust law was revised, causing taxes to hamper the use of the trust. To eliminate uncertainty and irrationality caused by taxation, the readjustment of the trust taxation has become a task that can no longer be delayed. In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is article analyzed the problems of current trust-related income taxation and presented specific measures for the reform. The main content is as follows. First,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law and the corporate tax law, uniformly defining the taxpayer of trust income as a beneficiary is an obstacle to utilize the flexibility and diversity of trus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harms tax neutrality with the corporation. The current tax law divides trust into investment trusts and other trusts only, but since trusts are of a wide variety of types,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taxpayer in line with the function and role of trust. In principle, the beneficiary shall be taxpayer of trust income, but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trustee shall be taxpayer if it has the entity of the corporation, and to accept the settlor shall be taxpayer if he or she has dominion and control over the trust property. Second, the classification, calculation, and collection of trust income are closely related to who would be liable to pay the trust income, so a reform plan is proposed based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taxpayer of trust income. Since the beneficiary taxation trust and the grantor taxation trust have strong conduit elements, trust income shall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source. However, in a trustee taxation trust, the beneficiary has a strong character as an investor, so the income distributed by the beneficiary shall be classified into dividend income regardless of its source. Also if the trustee of the trustees taxation trust distributes more than 90% of the trust income to the beneficiary, the trust has a strong character as a conduit, so it is necessary to deduct the distribution amount to adjust the double taxation at the trust level and the beneficiary level. 최근 금융․부동산․연금 등 각 자산에 대한 재산관리 및 증식수단으로 신탁제도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신탁법을 개정하면서 신탁세제에 대한 개편을 동시에 추진한 것과 대조적으로 우리나라는 신탁법이 개정된 지 10년 가까이 지났으나, 신탁세제의 정비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조세가 신탁제도의 활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조세로 인한 불확실성과 불합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신탁세제의 정비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이 글에서는 현행 신탁 관련 소득과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편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소득세법과 법인세법상 신탁소득의 납세의무자를 획일적으로 수익자로 규정하는 것은 신탁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활용하는 데 장애가 되고, 법인과의 조세중립성을 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행 세법은 신탁을 투자신탁과 그 이외의 신탁 정도로만 구분하고 있으나, 신탁은 매우 다양한 유형이 있으므로 신탁의 기능과 역할에 맞추어 납세의무자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수익자과세를 원칙으로 하되, 수탁자과세와 위탁자과세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야 한다. 즉 신탁이 단순히 도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수익자과세를 원칙으로 하되, 법인의 실체를 가지고 있는 신탁에 대하여는 수탁자과세를 적용하고, 위탁자가 신탁재산에 대한 지배권과 통제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위탁자과세를 적용하는 것이다. 둘째, 신탁소득의 구분, 계산 및 징수 등은 신탁소득의 납세의무자를 누구로 볼 것인지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므로, 신탁소득의 납세의무자 결정기준을 바탕으로 개편방안을 제시하였다. 도관적 요소가 강한 수익자과세신탁과 위탁자과세신탁에서 발생한 소득은 그 원천에 따라 소득을 구분한다. 그러나 수탁자과세신탁에서 수익자는 투자자로서의 성격이 강하므로 수익자가 분배받는 소득은 그 원천과 상관없이 모두 배당소득으로 구분한다. 다만, 수탁자과세신탁의 수탁자가 신탁소득의 90% 이상을 수익자에게 분배하는 경우 신탁은 도관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아 그 분배금을 공제하여 신탁단계와 수익자단계의 이중과세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금융소득 종합과세의 실효성과 합리적 과세방안 연구

        정유석 한국국제회계학회 2019 국제회계연구 Vol.0 No.84

        The currently implemented comprehensive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is a conditional comprehensive taxation type that is applied to the case in which financial income summing up interest and dividend exceeds a certain standard amount. Through this conditional comprehensive taxation, it was executed for the purpose of pursuing the vertical fairness of financial income taxation. As a result of the status of taxation using national tax statistics, the devia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reporting ratio by financial income size was sizable. In the financial income section of KRW 20 million or less, the average ratio of financial income amount from the aggregate income amount was just 4.4%. The financial income reporting people in this section was only 1.4%. Since the ratio of the same section was so meager, the application of conditional comprehensive tax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amount setting was judged to add to the complexity of the taxation structure. This study presents more rational financial income taxation measures on such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dual income tax system, such as financial income and income other than financial income,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equity of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income taxation and tax burden.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clearly set the current financial income range. By adding the transfer gains of stocks in addition to interest and dividend income classified into current financial income, the unification of financial income should be preceded. Second, the reduction of non-taxation on the transfer gains of listed stocks or taxation range expansion through overall taxation is needed. Third, it is judged to be desirable to ease taxation rather than to reinforce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in consideration of financial income’s basic characteristics, creation purpose, and major countries’ financial taxation trend. 현행 시행되고 있는 금융소득 종합과세제도는 이자와 배당을 합산한 금융소득이 일정 기준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적용되는 조건부 종합과세 방식이다. 이는 조건부 종합과세를 통해 금융소득과세의 수직적 공평을 추구하고자 하는 도입 취지에서 시행되었다. 그러나 그동안의 국세통계를 이용한 과세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자와 배당소득에 대한 금융소득 규모별 종합과세 신고 비중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특히 2,000만원 이하의 금융소득 구간에서는 종합소득금액 중 금융소득금액의 평균 비중은 4.4%에 불과하다. 동 구간의 신고인원도 총신고인원의 1.4%에 불과하다. 동 구간의 비중이 이렇게 미미한데 기준금액 설정에 따른 조건부과세 적용으로 과세구조의 복잡성만 가중시키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금융소득 과세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금융소득 과세의 실효성과 세부담의 형평성을 위해 금융소득과 금융소득 이외의 소득으로 이원적 소득세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행 금융소득의 명확한 범위설정이 중요하다. 현행 금융소득으로 구분되는 이자와 배당소득 외에 주식의 양도차익을 추가하여 금융소득의 일원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상장주식 양도차익에 대한 비과세의 축소 또는 전면적 과세를 통한 과세범위의 확대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금융소득의 기본적 특성과 창출 목적 및 최근 주요국들의 금융과세 동향에 기초해 볼 때 금융소득 과세 강화보다는 과세 완화의 방향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Issue of Real Estate Income Taxation

        윤덕병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4

        Real Estate Income Taxation was enacted and publicly notified as law No. 1972 on November 29, 1967. While enforced under the tile of Special Taxation Act on prohibition of real estate speculation from Jan 1, 1968 to Dec 31, 1974, targeted only land as taxable under so-called Speculation Prohibition tax. And the area of application was restricted to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and certain areas in heavy real estate speculation. Subsequently, Special Taxation Act on prohibition of real estate speculation was discarded. From December 31, 1974, taxation continued under the name of capital income tax pursuant to the Income tax Act up till now. Furthermore, Korean Real Estate Income Taxation regime traditionally repeated heavy taxation and relaxed taxation actions according to necessity of real estate speculation prevention measures or economic cycle measures. In other words, the responding measures to overheated real estate cycle or malicious speculations was heavy taxation of Real Estate Income Taxation. Korean Real Estate Income Taxation is a kind of income tax taxable on capital gain which is earned from transfer of real estate and shares etc. at consideration and is not a regularly earned income. Hence current income tax laws do not sum up any capital gain into global income but assesses separately classified income tax. While taxation objects were regulated very limitedly, tax rate structure has been set under heavy complexity. In income taxation, generally the tax amount follows the scope of taxable income tax rate structure, but Korean Real Estate Income Taxation covers taxation objects in much restricted scope but sets the tax rate structure at very high level. As reviewed above, Korean Real Estate Income Taxation has strong feature of policy measure to prevent real estate speculation, rather than being faithful to tax principle on capital gain. Consequently, Korean Real Estate Income Taxation can be regarded as lacking not only properly established taxation principle, but also fairness or efficacy. Accordingly, this thesis reviews overall problems in Korean capital income tax, and seeks improving measures through review on Korean current tax laws and judicial precedents.

      • KCI등재

        개인지방소득세수의 불균형과 개선방안

        이준규,송은주 한국세무학회 2017 세무와 회계저널 Vol.18 No.2

        The fact that the local income tax is converted into the independent taxation system is meaningful to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taxation rights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s the mismatch of local income tax revenue in terms of tax revenue among the local government’s authorities of taxation. The main reason for the mismatch of local income tax income is that a high progressive tax rate is applied to areas where high income earners live, and the amount of the source income is increased by adding the source income other than the residence by residence. Local income tax imbalance is a problem in that it deepens the difference in financial independence rate between regions and causes mismatch in income earning and public cost sharing. We provid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to improve mismatch problem of local income tax revenue. Firs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come inequality caused by high income earners, the local income tax rate may be changed to the flat tax rate or collectively collected at the current progressive tax rate and distributed to local governments in proportion to the GRDP. However, in order not to affect the current taxpayer tax burden, the method of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GRDP after the collective collection is first implemented and gradually converted to the flat tax rate. Second, there are three ways to improve the residence taxation problem;the method of collecting local income tax collectively and distributing it according to the GRDP of each local government, the method of converting from current residence taxation to the source taxation, the adjustment of double taxation using both residence taxation and source taxation.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conversion to source taxation or the combination of source taxation and residence taxation will increase tax compliance and tax administration costs. Therefore, it is a realistic alternative to collect collectively and distribute. 개인지방소득세가 종전의 부가세 방식에서 독립세로 전환되었다는 것은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과세권 확대 가능성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과세권 중 조세수입권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별 개인지방소득세수의 불균형 문제를 살펴본다. 개인지방소득세수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은 고소득자가 특정 지역에 집중 거주함으로써 적용되는 누진세율에 차이가 발생하고 거주지 과세원칙을 적용함에 따라 거주지별로 소득이 합산됨에 따라 높은 누진세율이 적용되어 세액이 증가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수불균형은 지역 간 재정자립도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고 공공비용의 분담과 소득 간의 불일치를 발생시킨다는 측면에서 문제가 된다. 개인지방소득세의 세수불균형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소득자의 편중거주로 인한 소득불균형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지방소득세율을 누진세율에서 비례세율로 변경하거나 현행 누진세율로 일괄징수한 후 GRDP에 비례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 배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현재의 납세자별 조세부담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는 일괄징수 후 GRDP에 비례 배분하는 방식을 우선적으로 시행한 후 점진적으로 비례세율로 전환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둘째, 거주지과세로 인한 세수불균형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인지방소득세를 일괄하여 징수한 후 각 지방자치단체의 GRDP에 비례하여 분배하는 방안, 현재의 거주지 과세방식에서 원천지과세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 거주지과세와 원천지과세를 병행하면서 이중과세를 조정하는 방안의 세 가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원천지 과세방식으로 전환하거나 원천지과세와 거주지과세를 병행하는 방안은 납세순응비용 및 세무행정비용이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일괄징수 후 분배하는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집합투자증권 양도시 소득세 과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문성훈(Seong Hoon Moon) 한국세법학회 2009 조세법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집합투자증권의 종류 및 양도방법을 살펴보고, 집합투자증권 양도시 과세현황 및 문제점을 중심으로 검토한 후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간투법 및 2009년 2월 시행된 자본시장법상 구체적 집합투자증권의 종류 및 양도방법에 따른 구소득세법과 현행 소득세법상 과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대한 과세소득의 적합성 및 비과세의 타당성 등을 살펴본 후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소득세법에서는 집합증권의 종류, 양도방법, 상장여부에 따라 이자소득, 배당소득 및 양도소득 등으로 다양한 과세방식으로 과세하거나 비과세하는 등 과세의 일관성과 명확성이 부족했다. 자본시장법 시행을 계기로 한 소득세법 개정으로 집합투자증권 양도방법과 관계없이 배당소득으로 과세하고 상장 집합투자증권은 비과세하는 등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대한 과세제도가 정비되었다. 그러나 집합투자기구의 법적 형태에 따른 상이한 과세취급, 채권 등 보유기간과세의 단순 적용, 형식적 상장거래를 통한 조세회피 가능성 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집합투자증권 과세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세제의 중립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해 현행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따른 채권 등 보유기간 과세규정을 삭제하고, 모든 형태의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대해 양도소득으로 과세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투자자의 납세순응 및 조세협력비용 감소를 위해 원천징수제도와 과표기준가제도를 준용하고, 양도소득세율은 집합투자기구의 환매시와 동일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투자조합 등 “사모성”과 “사업성”이 강한 집합투자기구에 대해서는 경제적 실질을 고려하여 PEF에서와 같이 동업기업 과세제도를 적용하는 것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자본시장법 도입으로 집합투자기구의 종류 및 투자대상 확대 등 법적 제도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시점에 맞추어 집합투자증권 양도소득 과세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과세의 중립성과 단순성을 고려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대한 합리적인 과세기준 정립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ind and the transfer method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nd taxation status. In addition to this, we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these after we study the taxation status and problem mainly. For the this study, First, we concretely examine the taxation of the kind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regarding previous income tax law and current income tax law under Indirect Investment Asset Management Business Act &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Second, we seek the improvement plan after we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axation and tax exemption. Under previous income tax law, there was no consistency regarding above mentioned taxation as the income from interest, income from dividends and transfer income etc. in accordance with the kind, transfer method and listing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In addition, there is the improvement of taxation regarding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that this income would be taxed as the income from dividends and the listed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would be non-taxable income regardless of the method oftransfer as follow the operation of FSCMA. By the way, there are still some problem that different tax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form of the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simple application to the tenure taxation of the bond and the possibility of tax avoidance through transaction of “formally” listed securities. To settle the problem of taxation regarding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nd to improve the impartiality and equality of taxation, we suggest that the current taxation of bond's holding period interest income regarding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should be deleted and all kind of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would be taxed as transfer income tax. To reduce the tax compliance costs and tax co-operation cost of investors, the withholding taxation and tax base standard pric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newly and the tax rate of transfer income tax should be same rate about the short covering of the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In addition to this, we cam consider that the partnership taxation will be applied to the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as the investment association which have the character of private placement and business purpose after taking account of economic substance. As introduction of FSCMA,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system improvement like that the kind and the enlargement of investment of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etc. is done in a nowaday, we examine the problem of transfer income tax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which reflect the impartiality and simplicity of taxation. Finally,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prepare reasonable standard of taxation regarding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fterward.

      • KCI등재

        세법상 종교인소득세의 도입배경과 향후과제

        박훈,허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외법논집 Vol.42 No.2

        현행 소득세법상 종교인소득세의 과세대상 소득은 종교인이 종교의식을 집행하는 등 종교관련 종 사자로서의 활동과 관련하여 소속된 종교단체로부터 받은 소득이다. 다만, 종교인소득 중 법령에 따른 본인 학자금, 식사 또는 식사대, 실비변상적 성질의 비용, 출산⋅6세 이하 보육수당, 사택제공이익은 비과세된다. 종교인소득은 기타소득으로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나, 근로소득으로 원천징수하거나 종합 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를 할 수 있다. 기타소득으로 신고 시에는 지급받은 소득의 최대 80%까지 필요경비로 인정되고, 근로소득으로 신고 시에는 근로소득 과세체계가 적용된다. 그리고 근로소득 또 는 기타소득으로 신고하고 요건 충족 시 근로장려금 등 소득지원 혜택도 가능하다. 종교단체가 원천징 수를 하는 경우에는 종교인에게 매월분 소득 지급시 소득세를 원천징수하여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 납부하여야 하고, 종교단체가 원천징수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종교인이 다음 해 5월에 종교인소득 에 대해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직접 하여야 한다. 종교인소득에 대한 과세의 타당성 여부에 대해서는 그간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현행 소득세법상 법적 근거를 둔 상황에서 그 논란들이 상당부분 정리되었다고 볼 수 있다. 헌법 제20조의 종교의 자유 및 정교분리의 원칙 위배여부, 세법상 근거유무, 이중과세 여부, 비과세 관행의 존중 여부 등은 법적 근거를 둔 상황에서 이들 논의가 의미가 없게 되었다. 다만 현행 소득세법상 종교인소득세가 기타소득 과 근로소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종교단체의 원천징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 은 이러한 예외를 인정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법이론적인 논의가 계속될 수 있다. 한편, 2018년 이전에 근로소득세를 납부한 종교인의 경우에는 법적 근거 없는 과세이므로 감액경정 청구를 할 수 있는지와 2018년부터 종교인소득 신고시 기타소득과 근로소득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면 서 세부담이 더 적은 소득의 종류를 감액경정청구 기간 내에 결정할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종교인소득세에 대한 법적 근거가 논란이 되는 상황에서 자발적 납부를 한 납세의무자에 게 불이익한 처분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차원에서 감액경정청구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동일한 소득에 대해 종교인에게 소득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과세의 형평성 차원에서 보면 유지가능한 소득세 체계는 아니라 할 것이다. 주요국의 입법례를 참고해 볼 때, 사업소득에 해당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종교인소득에 대해서도 다른 근로소득자와 동일하게 근로소득으로 과 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종교인소득에 대한 세무조사에 있어서 혜택을 주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종교단체와 관련한 세무조 사에 대해 적정한 통제수단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이것 때문에 지나친 혜택을 주는 것 또한 바람직하 지 않다. 결론적으로 현행 소득세법상 종교인소득세는 과세형평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일 관되고 체계적인 소득세 체계라고 보기는 어렵다. 지금 당장은 종교인과 종교단체의 과세상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려의 결과라고 볼 수 있지만, 결국은 종교인소득세를 근로소득의 하나로서 이해하 기 쉽고 단순화된 방법으로 전환하는 등의 입법적인 개선을 하여야 할 것이다. The taxable income of the clergy’s income tax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Act is the income earned from religious affiliations in relation to the activities as religious workers, such as religious persons conducting religious ceremonies. However, among the clergy’s income, their own school expenses, meal or food expenses, cost-compensatory expenses, benefits of child birth⋅child care under age 6, and housing benefits are tax-free. In principle, the clergy’s income should be reported as other income, but it can withhold tax as earned income or make final return/report on tax base as consolidated income tax. When reporting as other income, up to 80% of the income earned is recognized as a necessary expense, and when reporting as earned income, the earned income taxation system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report it as earned income or other income, as well as income support benefits including work incentives when meeting the requirements. If a religious organization collects withholding tax, it shall withhold income tax on the clergy’s monthly income, and then report and pay by the 10th day of next month. If a religious organization does not withhold tax, the clergy should directly report the his/her income to the final income tax return in May next year.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n the validity of the clergy’s income taxation, but the controversies have been largely settled in the context of the legal basis of the current income tax law. The argument becomes meaningless in the context of legal grounds according to Article 20 of the Constitution, such as whether there is violation i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religion and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whether there are any grounds for taxation, whether there is double taxation, and whether there is respect for non-taxation practices. However,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Act, whether or not to accept exceptions will continue to be the subject of legal theoretical debate, including the selection of the clergy’s income taxation as other income and earned income, and the selec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as withholding of tax. On the other hand, as the clergy who paid the labor income tax before 2018 have no legal basis, whether it is possible to make a request for reduction of amount can be a problem. Also, as it becomes possible to choose other income or earned income when reporting the clergy’s income taxation after 2018, there is a problem as to whether it is possible to decide the less income types with smaller burden on tax during the period of request for reduction of amount.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admit a claim for the reduction of income tax in the sense that it should not be disadvantageous to the taxpayer who voluntarily paid in the situation that the legal ground of the clergy’s income tax is controversial. And it would not be a sustainable income tax system in terms of tax equity to allow the clergy to choose the type of income for the same income. It is reasonable to tax the clergy’s income in the same way as other workers’ earned income, if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business income. Regarding benefiting from tax investigation of the clergy’s income, the proper control measures are necessary for tax investigation in relation to religious groups, but it is also not desirable to give too much benefits due to that reason. In conclusion, although the clergy’s income taxation in the current income tax law can be said to achieve taxation equality,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a consistent and systematic income tax system. Now, it can be the result of consideration for minimizing the difficulties of taxation of the clergy and religious groups, but it needs to make legislative improvements such as converting the clergy’s income taxation into one of the earned incomes easy to understand and simplified.

      • KCI등재

        농어업 사업소득 비과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주철 ( Park Ju-cheul ),한정희 ( Han Jung-hee ),천정애 ( Chen Jung-ae ),김용판 ( Kim Yong-pan ),이영훈 ( Lee Young-hu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1 세무회계연구 Vol.- No.68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농어업 사업소득에 대한 비과세제도의 문제점을 과세형평성과 세원 파악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제기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현행 소득세법령상 농어업소득 비과세범위에서 농업소득과 어업소득간 과세형평성에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농업소득의 경우 식량작물재배업 외의 작물재배업에서 발생하는 소득은 수입금액이 10억원 이하인 것은 전액 비과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어로어업소득의 경우에는 해당 과세기간의 소득금액의 합계액이 5천만원 이하인 소득을 비과세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과세 범위를 산정할 때 식량작물재배업 외의 작물재배업은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어로어업소득은 소득금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과세불형평이 제기된다. 그리고 광범위한 비과세 범위가 존재하는 농어업 사업소득의 경우 수입금액 신고에 관한 규정이 없어 납세자가 수입금액을 성실하게 신고하지 않을 경우 과세당국에서 세원의 파악이 어렵고 그 결과 소득이 있음에도 과세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농업소득과 어업소득간 비과세 범위의 차이로 인한 과세불형평성과 농어업 사업소득자의 신고불성실로 인한 과세투명성의 결여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득세법령에 의한 농어업 사업소득 비과세 규정을 분석하고 이로 인한 소득금액 차이를 예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첫째, 소득세법시행령 제9조의5(비과세되는 어로어업의 범위), 소득세법시행령 제9조의2(전통주의 제조에서 발생하는 소득의 범위), 소득세법 시행령 제9조(농어가부업소득의 범위)을 개정하여 농어업 관련 사업소득의 비과세범위의 기준을 수입금액으로 통일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농어업 사업소득의 비과세제도가 농어민 지원이라는 조세정책적 목적에서 시행되는 제도이므로 농어민간 과세형평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신고납세제도인 소득세는 납세자의 신고에 의하여 과세소득을 파악하게 된다. 이 때 비과세 대상이 되는 농어업 관련 사업소득이 있는 자가 자신의 소득이 비과세 범위에 해당하여 종합소득금액이 없다고 주장하면서 종합소득 과세표준을 신고하지 않을 경우 수입금액 누락 등으로 인한 과세누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9조의6(비과세되는 소득의 신고)을 신설하여 비과세되는 농어업 사업소득이 있는 자는 당해 과세기간의 수입금액을 소득세 신고기간에 신고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농어업사업소득이 있는 자의 성실 신고를 유도하여 과세 누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농어업 관련 사업소득에 대한 비과세 규정의 문제점을 과세형평성과 과세투명성의 관점에서 제기하고 예증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oblem on the non taxation system about agriculture and fishery profit. And we propose reform measure to solve taxation unfairness and taxation opacity on the non taxation system about agriculture and fishery income. Our study focuses on the inequality on the non taxation range between agriculture income and fishery income by income tax law and ordinances. And we argue that there is difference on the scope of non taxation amount between agriculture business income and fishery business income. Some agriculture businessman and fishery businessman who are liable to pay their business income tax may not file business income tax report by lowering the agriculture and fishery business profit to the scope of non taxation amounts.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use document research methodology. To find out inequality on the non taxation range between agriculture business and fishery business we scrutinize the text of income tax law and ordinances. Then we calculate numerical inequality amount between agriculture business income and fishery business income assuming equal raw business profits. [Findings] We find that non taxation amount extracts from raw profit in agriculture business where as non taxation amount extracts from business income in fishery business. Also we suspect that agriculture businessman and fishery businessman are motivated not to file business income tax statement asserting their incomes to be under non taxation amount scope. In this study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re are inequality on the non taxation range between agriculture producing crops and fishery. Second, we find that agriculture income earners and fishery income earners have motivation not to file business income tax report by lowering their profit to the scope of non taxation amount. As a result of artificially lowering agriculture and fishery business profit by taxpayers, there may be taxation evasion in agriculture and fishery business income tax. [Implicat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that the text of income tax law and ordinances are revised to unify the scope of non taxation amount in both agriculture and fishery. As results of income tax law revision we may improve taxation equality between agriculture business and fishery business. Furthermore we propose that agriculture income earners and fishery income earners who have non taxation income amount must report their raw business profits to tax office. Then we may improve taxation clarity in both agriculture business and fishery business.

      • KCI등재

        자본이득과세제도 개선방안

        오윤(Oh Yoon) 한국국제조세협회 2012 조세학술논집 Vol.28 No.2

        It’s almost 10 years since the concept of “complete comprehensive gift” was introduced in the taxation of gift. For the income taxation an item is not to be taxable unless it is enumerated as a taxable income in the income tax code. The incompleteness of income taxation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code is the most prominent in the capital gain taxation area. The author argues for the comprehensive capital gain taxation in terms of encompassing taxable capital gain items as well as assessing the amount of taxable gain. In principle all capital gain items should be taxed, for which purpose the author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capital gain concept”. And the requirement of 5 year consecutive residency for the taxation of capital gain from a foreign located property should be discarded.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abolition of stepping-up of basis through gift or inheritance taxation of a property. The actual purchase price of a property should be accepted for the computation of taxable gain amount under the income tax code, even where the property was purchased from a related party individual. The capital loss should be allowed to be setoff with capital income in the year of its accrual and afterwards. The abolition of stepping-up of basis may result in an economic double taxation on the capital gain which have accrued in the hands of the transferor. The gift tax or inheritance tax paid by the transferee may be counted as a purchase expense for the computation of capital gain amount of the transferee at the time of his sell-off. The tax rate on capital gain should be set at the same level of the tax rate for capital income in general because capital gain is a capital income item. In an aspect the taxation on capital income invites the double taxation of an life-long consumption opportunity. The correct determination of the attribution of an capital income to an individual is never an easy job for the tax administration in the age of open capital market. Those may explain for the introduction of a flat-rate capital income taxation. The tax rate for capital income should be set at the current withholding tax rate on interest and dividend. A flat-rate capital income taxation will be able to be introduced only through full-fledged social discussions, which may result in the deviation from the original prototype.

      • KCI등재

        금융소득의 범위조정을 통한 이원적 소득과세의 도입 방안에 대한 연구

        정유석(Jeong Yu-seok) 한국국제회계학회 2020 국제회계연구 Vol.0 No.89

        우리나라의 소득세제는 형평성과 소득재분배를 가장 중요한 목표이자 기본원리로 삼고 있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현행 6가지 유형의 소득을 종합합산하여 과세함으로써 고소득자와 저소득자간의 세부담의 형평을 이룰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금융소득 과세의 수직적 공평성 제고 목적에서 금융소득에 대한 조건부 종합과세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자소득과 배당소득만이 금융소득의 범위에 포함되며 주식양도차익은 별도의 양도소득세로 구분되고 과세됨으로 써 소득의 수평적 형평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유럽 국가들은 1990년대 초부터 이원적 소득과세를 적용해 오고 있다. 이원적 소득과세의 가장 큰 특징은 자본소득(금융소득)과 근로소득(비금융소득)을 구분하여 과세하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유동성으로 인해 국외로의 유출가능성이 높은 자본소득에 대해서는 근로소득보다 저율로 과세하고 있다. 결국 소득세의 최고 목표를 과세형평성보다는 경제성장과 정책적 효율성에 더 중심을 두고 있는 과세원리를 따르고 있다. 바로 이점에서 북유럽과 우리나라의 소득세제가 지닌 기본원리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의 금융소득 과세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금융소득의 이원적 소득과세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현재 이원적 소득과세를 운영하고 있는 몇몇 주요국들의 소득과세 현황과 동향을 문헌적으로 고찰한다. 연구결과 금융소득의 이원적 소득과세 도입이 필요함을 주장하면서 이원적 소득과세 도입을 위한 구체적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주식양도차익인 자본이득에 대한 과세대상 범위를 확대한다. 둘째, 이자 및 배당소득을 포함한 주식양도차익까지 포함하는 금융소득의 일원화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근로소득과 자본소득간 과세형평성 측면에서의 세율조정이 필요하다. Th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dual income taxation into Korea based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direction of income taxation among leading countries adopting dual income taxation. In addition, this study points out that in order to introduce and implement dual income taxation, one prerequisite is unification of financial income in a way of adjusting the scope of financial income. Realization of equity and income redistribution is the most important goal and basic principle of income taxation in Korea. For this reason, it is viewed that combining all the incomes and imposing taxes on them can achieve equity in tax burdens among high-income and low-income brackets. Accordingly, the conditional taxation on global income is applied to financial incom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vertical equity in financial income taxation. However, only the income from interests and the income from dividend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financial income while profits from stock sales are classified as subject to transfer income taxation.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dual income taxation is that capital income (financial income) is distinguished from the earned income (non-financial income) in taxation. Due to the relatively high liquidity, the tax rate applied to the capital income of a high possibility of outflow to foreign countries is lower than that applied to the earned in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dual income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as a way to improve the problems of financial income taxation.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income taxation in several major countries that currently operate dual income tax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dual income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and suggests concrete improvement directions for dual income taxation. First, the scope of taxation on capital gains, which are equity transfer gains, should be expanded; second, the unification of financial income including interest and dividend income should be adjusted. Third, the tax rate adjustment is necessary in terms of taxation equity between earned income and capital in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