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흰쥐에서 미주신경자극이 위장관 장크롬친화성세포의 미세구조와 세로토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조병필,김우갑,Cho, Byung-Pil,Kim, Woo-Kap 한국현미경학회 1995 Applied microscopy Vol.25 No.3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effect of vagus nerve stimulation on the enterochromaffin(EC) cells in the body of the stomach, the first part of the duodenum and the ceceum of rats by using routine electron microscopy and immunogold labelling. The changes in the ultrastructure and in the labelling density of the gold particles of the EC cells were investigated after vagus nerve stimulation. The vagus nerve was electrically stimulated with a square wave pulse generator for a duration of 5 minutes each, a total of 8 times at 2 minute intervals. Immunogold labelling demonstrated that the epithelial serotonin immunoreactive cell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EC cells containing characteristic pleomorphic granules. Immunocytochemically labelled gold particles were largely concentrated in the dense matrix of the granules of the EC cell, and the labelling density of the gold particles considerably increased after the vagus nerve stimulation. Except for a slight activation of Golgi complexes, no remarkable changes in the ultrastructures of the EC cells were noted after the vagus nerve stimulat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vagus nerve stimulation may activate serotonin biosynthesis in EC cells.

      • KCI등재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tigenic Component Inducing IgE and IgG Antibodies in Spirometra erinacei

        Chang-Hwan Kim(김창환),Sook-Jae Seo(서숙재),Hong-Ja Kim(김홍자),Kee-Hoon Kwak(곽기훈) 대한의생명과학회 1996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2 No.1

        Spirometra erinacei의 유충인 sparganum(metacercoid)에 감염되었을 때 호산성백혈구의 증가와 IgE 항체역가가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이 기생충에 감염되었을 때 IgG 항체와 IgE 항체를 유도하는 충체의 항원성분의 소재를 면역세포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충체의 성체와 유충에서 비교하였고, 또한 충체의 추출물을 SDS-PAGE와 EITB를 이용하여 IgG와 IgE 항체 유도 항원성분의 면역적 특성도 추구하였다. IgG와 IgE 항체 유도성분은 성체와 유충의 근층에서 공통적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IgG 항원성분은 근층 뿐만아니라 외피층과 유조직층에서도 반응이 나타났으며, 성체의 수태편절에서는 자궁 내에 있는 충난의 표면에서도 반응이 나타났다. 충체의 외피층에서 항원성분을 면역황금 표지법으로 관찰한 결과, 충체의 외피층(tegument)에서 IgG 항원성분의 분포밀도가 IgE 항원성분의 밀도보다 컸다. 충체의 추출물 중 IgG, IgE 유도 항원성 단백질의 면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성체의 추출물의 43개 분회 중 21개 분획이 IgG 항원성분으로서 반응하였고, IgE 항원성분으로는 21개 분획에서 반응하였다. 이들 중 11개 분획(410, 304, 268, 174, 162, 116, 92, 86, 72, 62, and 59 kDa)에서 IgG와 IgE가 교차반응하였으며, 유충의 추출물의 36개 분획 중 IgG 항원성분으로 22개의 분획에서 반응이 나타났고, IgE 항원성분으로는 13개의 분획에서 반응하였으며, 이들 중 5개 분획(204, 116, 92, 79, and 59 kDa)에서 IgG와 IgE가 서로 교차반응하였다. Antigenic components reacting with IgE and IgG antibodies were localized in muscular layer of adult and of larva, sparganum. But the antigenic components inducing IgG were localized at tegument and parenchyma in addition to muscular layer in adult and sparganum. Also in sparganum, the surface of calcareous corpuscles of parenchyma showed immunoreactivity to IgG antibody. However antigenic components inducing IgE antibody were not localized in tegument and parenchyma, but in adult worm, we observed the immunopositive reaction at the lining of vitelline follicles in mature proglottis and on surface of egg shell within uterus of graved proglottis. By the method of immunogold-labelling, we observed the location of antigenic particles in tegument of sparganum. The density of antigenic particles inducing IgG was higher than that of antigen particles inducing IgE in syncytial tegument, tegument cells. A total of 43 and 36 protein bands were resolved from crude extracts of adult and sparganum, respectively, by SDS-PAGE. 34 bands from crude extracts of adult and larva were migrated to same positions. By EITB, 21 bands of 44 bands in adult were recognized with IgG antibody, and also 21 bands of 36 bands in sparganum. 13 bands of them were common antigenic components both in the adult worm and sparganum. Because 19 bands of 44 bands in adult worm were reacted with IgE antibody, they were IgE antigenic component. In sparganum, 13 bands were IgE antigenic components. 9 bands of them were common antigenic component inducing IgE antibody in both adult and sparganum. 3 bands of antigenic component recognized by IgE and IgG antibody were nonspecific antigen in both adult and sparganum of Spirometra erinacei.

      • KCI등재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tigenic Component inducing IgE and IgG Antibodies in Spirometra erinacei

        Kwak,Kee-Hoon,Seo,Sook-Jae,Kim,Chang-Hwan,Kim,Hong-Ja THE KOREAN SOCIETY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EN 1996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2 No.1

        SSpirometra erinacei의 유충인 sparganum(metacercoid)에 감염되었을 때 호산성백혈구의 증가와 IgE 항체역가가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이 기생충에 감염되었을 때 IgG 항체와 IgE 항체를 유도하는 충체의 항원성분의 소재를 면역세포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충체의 성체와 유충에서 비교하였고, 또한 충체의 추출물을 SDS-PAGE와 EITB 를 이용하여 IgG 와 IgE 항체 유도 항원성분의 면역적 특성도 추구하였다. IgG 와 IgE 항체 유도성분은 성체와 유충의 근층에서 공통적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IgG 항원성분은 근층 뿐만아니라 외피층과 유조직층에서도 반응이 나타났으며, 성체의 수태편절에서는 자궁 내에 있는 충난의 표면에서도 반응이 나타났다. 충체의 외피층에서 항원성분을 면역황금표지법으로 관찰한 결과, 충체의 외피층(tegument)에서 IgG 항원성분의 분포밀도가 IgE 항원성분의 밀도보다 컸다. 충체의 추출물 중 IgG, IgE 유도 항원성 단백질의 면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성체의추출물의 43개 분획 중 21개 분획이 IgG 항원성분으로서 반응하였고, IgE 항원성분으로는 21개 분획에서 반응하였다. 이들 중 11개 분획(410, 304, 268, 174, 162, 116, 92, 86, 72, 62, and 59 kDa)에서 IgG 와 IgE 가 교차반응하였으며, 유충의 추출물의 36개 분획 중 IgG 항원성분으로 22개의 분획에서 반응이 나타났고, IgE 항원성분으로는 13개의 분획에서 반응하였으며, 이들 중 5개 분획(204, 116, 92, 79, and 59 kDa)에서 IgG 와 IgE 가 서로 교차반응하였다. Antigenic components reacting with IgE and IgG antibodies were localized in muscular layer of adult and of larva, sparganum. But the antigenic components inducing IgG were localized at tegument and parenchyma in addition to muscular layer in adult and sparganum. Also in sparganum, the surface of calcareous corpuscles of parenchyma showed immunoreactivity to IgG antibody. However antigenic components inducing IgE antibody were not localized in tegument and parenchyma, but in adult worm, we observed the immunopositive reaction at the lining of vitelline follicles in mature proglottis and on surface of egg shell within uterus of graved proglottis. By the method of immunogold-labelling, we observed the location of antigenic particles in tegument of sparganum. The density of antigenic particles inducing IgG was higher than that of antigen particles inducing IgE in syncytial tegument, tegument cells. A total of 43 and 36 protein bands were resolved from crude extracts of adult and sparganum, respectively, by SDS-PAGE. 34 bands from crude extracts of adult and larva were migrated to same positions. By EITB, 21 bands of 44 bands in adult were recognized with IgG antibody, and also 21 bands of 36 bands in sparganum. 13 bands of them were common antigenic components both in the adult worm and sparganum. Because 19 bands of 44 bands in adult worm were reacted with IgE antibody, they were IgE antigenic component. In sparganum, 13 bands were IgE antigenic components. 9 bands of them were common antigenic component inducing IgE antibody in both adult and sparganum. 3 bands of antigenic component recognized by IgE and IgG antibody were nonspecific antigen in both adult and sparganum of Spirometra erinacei.

      • 간흡충 성충의 조직항원 부위와 충체 추출물의 항원성

        이옥란,이민구 순천향의학연구소 1997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3 No.2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의 수용성추출물의 항원성과 충체조직의 부위별 조직항원의 황원성을 비교함으로써 수용성항원의 항원성을 주도하는 체조직항원부위를 알아보고자 이 실험을 시도하였다. 간흡충의 수용성항원은 충체 추출물(조항원)을 DEAE-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로 부분 정제한 분리하원(D1, D2, D3, D4 및 D5)을 사용하였고, 이들 수용성항원은 SDS-PAGE로 각 항원의 분자량별 단백분획상과 EITB로 단백분획의 항원성을 비교하였다. 조직항원의 항원성은 면역황금 표지법으로 부위별 조직항원을 검사하였다. 미세 조직항원의 면역반응 관찰에는 간흡충 감염 토끼 혈청, D3면역 토끼혈청 및 D5면역 토끼혈청을 사용하였다. 간흡충의 수용성항원과 분리항원들은 공통분획들이 관찰되었고 일부 분획들은 염색상 농도 차이를 보였다. 이들 수용성항원의 단백분획들 대부분이 항체와 결합한 것으로 보아 충체 단백물질 대부분이 항원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든 항원에서 항체와 강하게 결합된 공통 분획은 27 kDa, 16 kDa및 14 kDa분획이었다. 수용성항원과 감염 흰주혈청을 사용한 ELISA에서 D5항원은 감염초기(감염2주)를 제외한 전 감염기간 중 강력한 반응을 보였고, D1항원은 감염초기(2주)에 강한 항원성을 보였다. 면역황금표지법 상 간흡충의 표피, 장상피, 배설낭 및 난황선과 항혈청들(감염혈청, D3면역혈청및 D5면역혈청)의 반응은 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항원이 있는 조직들이었다. 전 조직은 D5면역혈청반응에서 강한 항원성을 보였고 D2및 D3면역혈청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D5면역혈청을 반응시켰을 때 난황선은 많은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항원단백질이 풍부한 조직부위로 보이나 감염혈청과 조직의 면역반응에서는 난황선의 항원성은 강하지 않았다. 면역황금표지법 상 간흡충의 표피, 장상피, 배설낭 및 난황선과 항혈청들(감염혈청, D3면역혈청및 D5면역혈청)의 반응은 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항원이 있는 조직들이었다. 전 조직은 D5면역혈청반응에서 강한 항원성을 보였고 D2및 D3면역혈청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D5면역혈청을 반응시켰을 때 난황선은 많은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하원단백질이 풍부한 조직부위로 보이나 감염혈청과 조직의 면역반응에서는 난황선의 항원성은 강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간흡충의 충체추출 수용성항원은 간흡충충체 항원단백질의 혼합체로 구성되었으나 감염혈청과 면역혈청에서 강한 항체결합을 한 장상피 및 배설낭이 주 항원성 단백질함유조직으로 보이며, 이 중 가장 강한 항원성을 보인 장조직은 수용성항원의 항원성을 주도하는 조직항원부위로 생각한다. The major antigenic site in the tissue of Clonorchis sinensis were observed and compared with antigenicity of the worm extracted soluble antigens. The worm extracted crude antigen(CSWA) was separated into five protein fractions(seperate antigens: D1, D2, D3, D4 and D5) by DEA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se antigens were analized with SDS-PAGE(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the EITB(enzyme linked immunotransfer blot). Antigenicity of the crude and separated five antigens were evaluated by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cted with sera from rat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The antigenicity in tissue sites of Clonorchis sinensis was observed with electronmicroscopy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using three anti rabbit sera (the infected serum with Clonorchis sinensis, the D3 and the D5 immune rabbit ser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y EITB, the most protein fractions on SDS-PAGE were binded to infected rat sera, and the strongly binding fractions against in all antigens were molecular weight of 27 kDa, 16 kDa and 14 kDa. In antigenicity estimated by the OD value of ELISA, the D5 was revealed stronger than those of the others. Statistically, the antigenicity of the D5 was stronger(p<0.001) than that of other separated antigens(p<0.05 ~ p<0.001) from 4 weeks to 20 weeks after infection. In the ultrastructural tissues, the tegumental syncytium, the intestinal epithelium, the excretory bladder and the vitellaria of Clonorchis sinensis were labeled with different density of the immunogold particles against all three antisera. The immunogold particles of a large numbers were labeled on the intestinal epithelium and the excretory bladder, but in the tegument and the vitellaria were labeled scarecely. Much more numbers of immunogold particles were labeled in D5 immune serum than other antisera, and especially, a large number of immunogold particles were labeled in intestinal epithelium.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although the antigenicity of Clonorchis sinensis was shown in all the tissues(tegument, intestine, excretory bladder and vitellaria), the major antigenic site was to be the intestinal region.

      • KCI등재

        한국 연근해산 두족류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시엽 (Optic lobe)내 Serotonin 및 Somatostatin의 분포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장남섭,한종민,김상원,이광주,황선종,이정찬,Chang, Nam-Sub,Han, Jong-Min,Kim, Sang-Won,Lee, Kwang-Ju,Hwang, Sun-Jong,Lee, Jung-Chan 한국현미경학회 2002 Applied microscopy Vol.32 No.3

        두족류 Octopus minor와 Todarodes pacificus의 시엽내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neuron의 특성 및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serotonin 및 somatostatin의 항체를 사용한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을 시행하였다. 면역염색 결과 항-somatostatin은 살오징어인 경우 항-serotonin 면역반응과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서해낙지에서는 외과립세포층의 큰 세포에서만 반응을 보였다. 항-serotonin을 이용한 면역금표지법은 살오징어인 경우 내과립세포층과 수질부의 신경세포에서는 세포질 $0.5{\mu}m^2$당 30개 정도의 금입자가 관찰되어 강한 반응을 보인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17개 정도의 비교적 약한 반응을 보였다. 항-somatostatin에서는 살오징어의 외과립 및 내과립세포층 그리고 수질부의 반응된 세포의 세포질 $0.5{\mu}m^2$당 30개 정도의 금입자가 관찰되어 강한 반응을 보인 반면, 서해낙지의 외과립세포층의 세포에서는 3개 정도의 금입자만이 관찰되어 역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이 시엽의 각 부위별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을 시행한 결과 2종류의 항체에 각각 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세포들이 두 종에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했는데 특히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에 관한 반응외 정도를 비교하면 서해낙지에 비해 살오징어에서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immunostaining and immunogold labeling with antibodies to serotonin and somatostati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neurons that secrete neurotransmitters in optic lobes of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As a result of immunostaining with anti-somatostatin, the nerve cells of Todarodes pacificus reacted as similar to the anti-serotonin, but in Octopus minor, only large cells in the outer granule cell layer reacted positively. In the immunogold labeling with anti-serotonin, the nerve cells in the inner grande cell layer and medulla of Todarodes pacificus reacted strongly, 30 gold particles being labeled per $0.5{\mu}m^2$ of the cytoplasm. However, in Octopus minor, only 17 gold particles were labeled, which stated a weak re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anti-somatostatin case, the nerve cells in the outer and inner granule cell layers and medulla of Todarodes pacificus showed strong reaction, 30 gold particles being labeled per $0.5{\mu}m^2$ of the cytoplasm while the nerve cells in the outer granule cell layer of Octopus minor reacted weakly, about 3 gold particles being labeled per the equivalent area. As a result of immunostaining and immunogold labeling with two types of antibodies to each part of the optic lobes, we found that the reactive nerve cells were distributed differently in the two species. In particular, the degree of reactivity to the immunostaining and immunogold labeling appeared stronger in Todarodes pacificus than in Octopus minor.

      • KCI등재후보

        냉동초미세박절을 이용한 면역금표지법

        황덕호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6 계명의대학술지 Vol.15 No.1

        The technique of cryoultramicrotomy was introduced by Tokuyasu in 1980. The main processes are conducted at low temperature, so it has an advantage to preserve the antigenicity. The procedures are fixation, infusion of sucrose, cutting, immunolabelling and heavy metal staining. The advantages of cryoultramicrotomy are the high success rate to label immunogold and short course (less than 2 days), easy to cut with glass knives, because it is performed at low temperature. And it also gives a chance to perform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nder light microscope. The disadvantages of cryoultramicrotomy are the high cost (the cryo unit requires around US $ 50,000), constant supply of cheap liquid nitrogen and technical difficulty(the period of training needs more than 3 months in a case of an expert in eletronmicroscopy).

      • KCI등재

        발생중인 흰쥐 간에서의 Metallothionein 발현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오승한,안영모,신길상,김완종,Oh, Seung-Han,Ahn, Young-Mo,Shin, Kil-Sang,Kim, Wan-Jong 한국현미경학회 2004 Applied microscopy Vol.34 No.3

        메탈로사이오닌 (metallothionein: MT)은 시스테인(cysteine)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저분자량인 단백질로서 중금속이온이나 다양한 세포 독성 인자에 의해 유도되며, 최근 발암과정 (carcinogenesis)이나 혹은 세포분화와 연관하여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흰쥐를 수정시킨 후 발생과정 또는 출생 후 성장과정 단계에서 태아와 신생 흰쥐의 간 조직 및 세포내 MT의 분포 양상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흰쥐 간 조직내 MT의 분포는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세포내 미세구조적 위치 (localization)는 금 입자 표지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MT는 발생 13일이 경과한 흰쥐 태아의 간에서 처음으로 관찰되기 시작하여, 출생 당일의 신생 흰쥐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면역 조직화학 및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한 결과, MT 염색성은 발생 후기에서 출생후 10일째까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MT에 대한 양성반응은 난형 세포 (oval cell)들과 간 실질세포 (liver parenchymal cell)들에서 뚜렷하게 존재하였다. 발생과정과 신생 흰쥐의 간 조직에서는 핵과 세포질 양쪽에서 공통적으로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생후 30일 이후부터 성체에 이르는 시기까지는 세포질에 한정되어 있는 양상을 보였다. 금 입자 표지법에 의한 MT의 세포질내 분포를 보면, 발생 중인 흰쥐 간 세포에서는 핵과 세포질내에 고르게 산재되어 있었다. 즉, 핵내 염색질, 인, 조면소포체 및 cytosol에서도 MT에 대한 면역 금 입자들이 관찰되었으나, 미토콘드리아와 지질 소포 등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들은 발생중 혹은 성장중인 흰쥐의 간에서 MT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MT가 세포들의 증식과 분화에 금속 이온의 저장과 방출 혹은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Metallothionein (MT) is a family of ubiquitous, low molecular weight (6-7 kDa), cysteine-rich protein with a high affinity to metal ions and has no aromatic amino acids and histidine. Some of the known functions of MT include detoxification of heavy metals and alkylating agents and neutralization of free radicals. Also, this protein may affect a number of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gene expression, apoptosi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But, its actual functions are still not clear.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immunocytochemically the localization of MT in developing rat liver. On the day 11 of gestation, the fetal rat liver has already been formed and contained numerous oval cells with high nuclear cytoplasmic ratio, which were the progenitors of hepatic parenchymal cells, but no reaction products of MT were detected at this time. And then, positive reactions against MT started to appear predominantly in the parenchymal cells of liver from the 13th day after gestation. Reaction products, immunogold particles or brown coloration, were localized at both the nucleus and the cytoplasm of the parenchymal cells, except mitochondria. The intensity of this reaction gradually increased, and exhibited the strongest at birth. The intensity of MT staining and immunogold labelling diminished with growth, and by the 15th day after birth weak positive reaction was observed in the cells. In brief, positive reactions for MT were observed in the oval cells and the parenchymal cells during fetal stage, meanwhile they were present only in the parenchymal cells after birth.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MT possibly involves parechymal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rough the storage or the supply of various metal ions in the developing rat liver.

      • KCI등재

        위암 조직내 Metallothionein의 면역 세포화학적 연구

        양승하,신길상,김완종,Yang, Seung-Ha,Shin, Kil-Sang,Kim, Wan-Jong 한국현미경학회 2002 Applied microscopy Vol.32 No.4

        사람의 위암 조직을 미세구조와 metallothionein (MT)에 대한 면역 조직 및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냈다. 위암 세포들은 핵 세포질비가 정상세포에 비해 크고, 불규칙한 핵과 이질염색질의 분포가 증가하였으며, 세포질내에서 유리리보솜의 분포가 뚜렷이 증가하였다. 면역 조직 및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MT의 발현을 조사하였던 결과, 이 단백질은 위암조직의 암세포에서 반응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핵 부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이질염색질과 인 부위에서 면역 금입자들이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위암 세포의 미세구조가 미분화세포들이 나타내는 일반적인 특징과 비교되었으며, 위암 세포에서 MT가 증가하는 현상은 이 단백질이 세포질에서 합성되어 핵내로 수송된 후, 세포 증식을 위한 전사과정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Metallothionein (MT) is a family of ubiquitous, low molecular weight ($6,000{\sim}7,000D$), cysteine-rich ($30{\sim}35%$) inducible protein with a high affinity to metal ions and has no aromatic amino acids and histidine. Some of the known functions of MT include detoxification of heavy metals and alkylating agents and neutralization of free radicals. Also, this protein has been reported to involve in tumor pathophysiology and therapy resistance. MT expression may affect a number of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gene expression, apoptosi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Many reports on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MT have been published, but ultrastructural reports on the localization of MT in human gastric cancer tissues are extremely ra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ultrastructural features and the localization of MT within the gastric adenocarcinoma. Ultrastructures of gastric cancer cells were characterized by the high nuclear cytoplasmic ratio, the interdigitation between cells, the irregular nucleus containing much heterochromatin and the wide distribution of free ribosomes in the cytoplasm.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for MT was prominent in the gastric adenocarcinoma. And the immunogold labellings were more prominent within the nucleus than the cytoplasm. Particularly, immunogold particles were numerously seen at nulcleolus or nucleolar associated heterochromat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T expression by gastric cancer cells is associated with cell proliferative activity and is possibly synthesized in the cytoplasm, and then the protein is transported into the nucleus to participate in any transcriptional steps.

      • KCI등재

        Ultrastructural Antigenic Localization in the Tissues of Echinostoma hortense Observed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Yoon-Kyung Jo(조윤경),Yong-Suk Ryang(양용석),Kyu-Je Lee(이규재),Insik Kim(김인식),Jang-Keun Ryu(류장근),Mi-Sook Song(송미숙) 대한의생명과학회 1999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5 No.2

        호르텐스극구흡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성충을 획득하여 고정, 포매 및 절편하여 조직항원 분포 부위를 관찰하였다.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체는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채혈한 혈청과 호르텐스극구흡충 조항원을 면역증강제와 함께 흰쥐에게 근육 주사하여 채혈한 혈청을 이용하였으며, 이 혈청을 반응시켜서 호르텐스극구흡충 조직 내의 항원성 분포를 규명하였다. 한편, 면역황금표식법에 의한 미세조직의 항원성 반응 여부는 조직에 표지된 황금입자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충체 조직에서 황금입자와 강하게 반응하는 미세조직은 표피층의 표지합포체, 난황세포의 구성물질, 유연조직의 분비과립 그리고 배설낭의 구성물질 등에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원은 생식세포와 소화분비 및 소화관계통에서 분비 유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olved applying rat sera (control, infected and immunized) to adult worm tissue in order to measure the antigenic response. A serum was obtained from rats infected with E. hortense metacercaria for 4 weeks. Another immunized serum was taken from rats given a muscle injection with crude adult worm antigen. The detection of antigenic response in E. hortense tissue was made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and measured through gold particles impregnated in the tissue. The antigenic sites, those with the highest density of gold particles, were the tegmental syncytium, vitelline cells, seminal receptacle and cec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