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職務執行停止假處分으로 職務執行이 停止된 代表理事가 한 行爲의 效力

        이흥주 민사판례연구회 2010 民事判例硏究 Vol.- No.32

        ○ Subject Decision: Supreme Court Decision 2008Da4537 Decided May 29, 2008. ○ Holding of the Subject Decision If a representative director whose duty is suspended by preliminary injunction enters into a contract with a third party, the contract is absolutely void. Though the application of the preliminary injunction is withdrawn afterwards and by which the execution is revoked, the revocation has its effect toward the future, and does not have retroactive effect. Thus, the withdrawal of the application cannot change the void contract into valid one. ○ Summary of Research 1. It is widely accepted theory and rule of the Supreme Court's judgments that preliminary injunction of suspension of duty has its effect not only on parties but also on third parties. There are some disputes over the reason of this theory. However, I believe that the most persuasive two reasons are the character of preliminary injunction and the necessity of entities to have consistent legal status. If we analyze some judgments of the Supreme Court, we can deduce the same reasons. 2. Some scholars interpret a registration of preliminary injunction of suspension of duty as an execution of the injunction. Also, Subject Decision seems to interpret a registration as same way. However, I think a registration is not an execution but a method of public notice. I also think that an execution of preliminary injunction of suspension of duty is not a registration but a service of the injunction order to the defendant. If the application of preliminary injunction is withdrawn after the execution, the effect of the execution is revoked toward the future. Thus, legal act violating the preliminary injunction before the withdrawal of the application is void, and could not be made valid by the withdrawal. 3. Although a preliminary injunction is wrongly ordered without valid legal ground and executed, a legal act violating the injunction is absolutely void. 4. If a duty of a representative of corporation is suspended by preliminary injunction but it is not yet registered, a third party who believes the registration to be true can be protected by Civil Act Article 54 Section 1 or Commercial Act Article 37 Section 1. Also, if a duty of a representative of an association without legal personality is suspended by preliminary injunction, a third party who believes the representative to be legitimate representative and enters into a legal act can be protected by analogical application of Civil Act Article 129. ○ 연구 대상판결: 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8다4537 판결○ 대상판결의 요지: 법원의 직무집행정지 가처분결정에 의해 회사를 대표할 권한이 정지된 대표이사가 그 정지기간 중에 체결한 계약은 절대적으로 무효이고, 그 후 가처분신청의 취하에 의하여 보전집행이 취소되었다 하더라도 집행의 효력은 장래를 향하여 소멸할 뿐 소급적으로 소멸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가처분신청이 취하되었다 하여 무효인 계약이 유효하게 되지는 않는다. ○ 연구의 요지1. 직무집행정지 가처분결정이 대세적 효력을 갖는다는 것은 통설과 판례의 입장이다. 그 근거에 관하여는 견해의 대립이 있으나, 임시의 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의 형성재판적 성격과 단체 법률관계의 획일적 처리 필요성이라는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의 성격에서 근거를 찾는 것이 타당하며, 대상판결에 앞서 선고된 대법원 판례를 종합하여 보면, 대법원도 같은 입장인 것으로 해석된다. 2. 직무집행정지가처분 등기의 법적 성격을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의 집행방법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있고, 대상판결도 같은 입장을 전제로 한 것으로 보이나, 직무집행정지가처분 등기는 공시방법이며,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의 집행은 채무자에 대한 송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집행된 이후 가처분신청이 취하된 경우 집행의 효력은 장래를 향하여 소멸하므로, 가처분신청이 취하되기 이전에 가처분결정에 위반된 행위가 있다면 이는 무효이며 신청의 취하에 의하여 그 행위가 유효하게 되지 않는다. 3. 설령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피보전권리 없이 발령되어 집행되었다 하더라도 그 가처분결정에 위반된 행위는 절대적으로 무효이다. 4. 직무집행정지 가처분결정의 채무자에 대한 송달 시점과 가처분등기 시점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등기의 기재를 믿은 제3자는 민법 제54조 제1항, 상법 제37조 제1항에 의하여 보호받을 수 있다. 한편, 직무집행이 정지된 비법인사단의 대표자를 진정한 대표자로 믿고 그와 법률행위를 한 제3자는 민법 제129조의 유추적용에 의하여 보호받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회사가처분에 관한 연구 - 기본구조와 주요가처분의 당사자 및 효력을 중심으로 -

        노혁준 민사판례연구회 2010 民事判例硏究 Vol.- No.32

        In many Korean corporate litigations, preliminary injunctions play more critical role than the merits themselves: parties in a preliminary injunction tend not to raise further lawsuits once the court decides who would prevail in the preliminary injunction process. The requirements for issuing a preliminary injunction order, however, are far from clear and mostly up to courts' discretion. This paper is to point to problematic legal practice concerning preliminary injunction in Korea and to suggest legislative reform. The paper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sections. To begin with, the structural aspect of preliminary injunction is dealt with (Chapter I-III). Under current legal practice, two factors should be proved before the courts issue a preliminary injunction order: the existence of petitioner's right that could be preserved by a preliminary injunction; the urgency or necessity for issuing preliminary injunction. The Korean courts traditionally focused upon the first factor, i.e., their decisions depended upon the likelihood of success on the merits. Nowadays, the courts have changed their stance a bit, emphasizing independent importance of both factors: even where the petitioner is likely to prevail on the merits, the courts shall not issue preliminary injunction as far as the urgency or necessity is unproved.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issuing preliminary injunction cannot be defined without considering the role of preliminary injunction. Generally speaking, a preliminary injunction is to keep status quo until final decision on the merits is made. Because a 'preliminary' injunction is by nature interim and under time pressure, there is relatively high possibility of erroneous decision. Thus, as is mentioned by Prof. Leubsdorf and Judge Posner earlier, preliminary injunction trial should be designed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erroneous decision. From this perspective, the courts should balancing two factors for issuing preliminary injunction order: where likelihood of success on the merit is high, the courts may issue an preliminary injunction order notwithstanding low urgency or necessity; where urgency or necessity is highly demanding, the court may issue an order notwithstanding low likelihood of success on the merits. The second section of the paper deals with practical issues from individual preliminary injunctions in corporate law dispute (Chapter IV). Out of many types of injunctions available in corporate law context, most frequently used ones are as follows: one that preliminarily suspends corporate director's exercise of power; one that preliminarily suspend exercise of voting rights in shareholders meeting; one that tentatively ban general or extraordinary shareholders' meeting; one that tentatively ban issuing of new stocks. This paper addresses to controversial issues upon those major injunctions including: the parties of preliminary injunction process; the effect of preliminary injunction; and how to deal with a breach of preliminary injunction order. 이 글은 회사가처분의 개념을 민사집행법상 임시의 지위를 정하는 가처분의 일종으로서 회사의 인적, 물적 조직에 관련된 것으로 파악하면서, 회사가처분의 기본구조와 주요 회사가처분 유형에 관한 개별 쟁점을 살펴보고 있다. 이 글에서 먼저 주목하는 것은 임시지위가처분의 기능과 제도설계의 방향이다. 임시지위가처분은 본안사건과의 관계에서 생각될 수밖에 없고, 가급적 가처분법원의 오판이 불러올 수 있는 회복불가능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현행 실무상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에 관한 심리는 불명확한 부분이 있으므로 각기 본안의 승소가능성과 관련자들의 회복불능한 손해를 중심으로 심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은 기존 판례의 입장처럼 별도의 독립된 요건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요건으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기본구조에 관한 논의는 다른 임시지위가처분제도에도 확장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개별쟁점에 관한 논의로서 회사가처분 중 (a) 이사의 직무집행정지 및 직무대행자 선임 가처분, (b) 의결권 행사금지 가처분, (c) 주주총회 개최금지 또는 결의금지 가처분, (d) 신주발행금지 가처분을 비교, 검토하면서 각 사건의 본안, 당사자, 제3자의 이익 또는 공익의 고려여부, 제3자에 대한 효력, 가처분위반행위의 사법상 효력을 살펴보았다.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관련되는 회사가처분의 특수성과 위 회사가처분들의 실제 효과를 고려할 때, 위 각 가처분에 있어서 당해 회사를 공동피신청인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처분 결정시 제3자의 이익 또는 공익 역시 고려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위 가처분명령에 대세효를 부여하고, 일단 발령된 가처분에 대한 위반행위를 무효화함으로써 가처분명령을 위반하려는 행위를 억지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임시지위가처분의 경우 다양다기하고 무정형한 것이어서 법원이 피신청인의 범위나 가처분명령의 효력에 관한 법리를 보다 탄력적으로 정립해갈 여지가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고 있다. 회사기관의 선임/해임, 주주총회 운영, 신주발행이 문제되는 경우, 가처분 결정단계에서 회사 등 주요관련자들이 피신청인으로 관여할 수 있게 하되 일단 내려진 가처분명령에 대하여는 모든 회사관련자로 하여금 이를 준수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는 것이다. 다만 이는 그 행위의 효과가 회사관련 다수인에게 미쳐서 획일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 위 회사가처분에 한정된 것이고, 이사의 위법행위유지 가처분, 주주명부 내지 회계장부 열람·등사 가처분 등 다른 회사관련 가처분의 경우 가처분명령의 피신청인과 효력은 별도로 따져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계약해지 효력정지 가처분의 효력과 발령요건 -대법원 2022. 2. 8.자 2021마6668 결정에 관하여-

        곽희경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7 No.-

        The preliminary injunction to suspend the effect of contract termination does not possess the power to ‘suspend the effect of contract termination’, contrary to its name. Therefore, it cannot be considered a suspensory injunction, but rather a ‘confirmatory injunction’ that confirms the invalidity of the contract termination. Confirmatory preliminary injunctions generally lack enforceability and res judicata. This raises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of a confirmatory preliminary injunction. However, there are exceptions when : ① It is anticipated that the parties involved will comply with the confirmatory injunction, ② It is difficult to proceed with the main lawsuit due to special urgency or time constraints in the case, and the existence of the right of the creditor is clear, and ③ Other enforceable preliminary injunctions are not available. In such cases, the necessity of a confirmatory preliminary injunction is recognized. In precedent cases, it is almost certain that the debtor will not comply with the confirmatory preliminary injunc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contract termination will continue to be disputed in the main lawsuit. Therefore, an confirmatory preliminary injunction is not recognized as necessary. The conclusion of the precedent, which denies the necessity of the preliminary injunction to suspend the effect of contract termination in this case, is justified. However, regarding the reasoning, it is not valid to perceive the preliminary injunction to suspend the effect of contract termination in this case as an injunction “based on the premise of contract performance.” The content stated in relation to the necessity of the preliminary injunction to suspend the effect of contract termination actually holds significance for assessing the necessity of the other preliminary injunction requested by the applicant, namely the “preliminary injunction to prohibit contract conclusion.”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enforce the contract without the cooperation of the other party, the creditor ultimately has to satisfy themselves with monetary damages due to inherent limitations of the contract. In such cases, the necessity of an injunction based on the premise of contract performance can be deni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judgment is based on the premise of an “incomplete contract,” which implies that a separate subsequent contract must be concluded for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arties to be specifically determined. Therefore, this judgment should not be indiscriminately applied to contracts of a different nature. 계약해지 효력정지 가처분은 그 주문과 달리 ‘계약해지의 효력을 정지’하는 효력(형성력)을 가지지 않으므로 형성가처분이 아니고, 단지 계약해지가 무효라는 점을 확인하는 의미의 ‘확인가처분’이라고 볼 수 있다. 확인가처분은 집행력과 기판력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채권자의 ‘권리구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 보전의 필요성이 흠결되지만, 예외적으로 ① 당사자와 이해관계인들이 확인가처분을 따를 것으로 기대되고, ② 사안의 특별한 긴급성 내지 시간적 제한으로 인하여 본안소송을 상정하기 어렵고, 피보전권리의 존재가 명확하며, ③ 신청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집행력 있는 가처분(이행가처분)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전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대상결정 사안에서는 계약해지 효력정지 가처분(실질은 계약해지 무효확인 가처분)이 발령되더라도 채무자가 이에 따르지 않을 것이 거의 명확하고, 본안소송에서 계약해지의 효력이 계속 다투어질 것이 예상되었기 때문에, 아무런 법적 구속력이나 강제력도 없는 계약해지 효력정지 가처분은 보전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대상결정의 결론, 즉 이 사건 효력정지 가처분의 보전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판단은 정당하다. 그러나 판단이유에 있어서 이 사건 효력정지 가처분을 ‘계약의 이행을 전제로 하는 가처분’이라고 본 것은 타당하지 않다. 대상결정이 ‘이 사건 효력정지 가처분’의 보전의 필요성 판단과 관련하여 설시한 내용은 오히려 채권자가 신청한 두 가지 가처분 중 ‘이 사건 계약체결금지 등 가처분’(이행가처분)의 보전의 필요성 판단을 위하여 의미를 갖는다. 계약의 성격이 상대방의 협력 없이 그 이행을 강제적으로 관철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계약 자체에 내재된 한계로 인하여 채권자는 결국 금전적인 손해배상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경우 계약의 이행을 전제로 하는 가처분은 보전의 필요성이 부정된다는 취지의 판단은 수긍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판시는, 그 자체로서 완결된 계약이 아니라 별도의 후속 계약(공사도급계약)이 체결되어야만 당사자들의 권리ㆍ의무가 구체적으로 특정될 수 있는 ‘미완결적 계약’이라는 이 사건 약정의 특수성을 전제로 한 판시이므로, 이와 성격이 다른 계약에 일반적으로 확대적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실무에서 통용되고 있는 계약해지의 효력정지 가처분은 그 주문 내용과 실제 효력이 일치하지 않는다. 가처분결정은 본안판결과 마찬가지로 그 내용 및 효력에 따라 이행ㆍ확인ㆍ형성의 세 가지로 나뉘고, 각 종류마다 서로 다른 효력(집행력, 형성력, 대세효 유무 등)을 가진다. 가처분결정의 내용과 효력은 주문 자체에 의해 명확하고 분명하게 알 수 있어야 한다. 주문의 내용과 실제 효력이 맞지 않는 가처분이 발령되면 가처분결정의 효력이 모호해지고 당사자들에게 혼란을 주는 문제가 생긴다. 계약해지 효력정지 가처분은 대부분의 경우 보전의 필요성이 흠결되어 발령될 수 없지만, 예외적으로 보전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주문은 “계약해지의 효력을 정지한다”가 아니라 “계약해지는 무효임을 확인한다”가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송금지가처분(Anti-Suit Injunction)과 중재금지가처분

        조인영(Inyoung Cho)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8

        최근 국제중재사건이 대폭적으로 증가하면서, 중재와 소송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중재판정부와 법원이 상호 갈등을 빚을 수 있는 부분 중, 같은 분쟁 대상에 관하여 한 쪽 당사자는 중재절차를, 다른 한 쪽 당사자는 국내소송절차를 주장하여 두 가지 절차가 동시에 진행될 경우, 중재판정부가 당사자에 대하여 특정 법원에서의 소송을 진행하지 말라는 소송금지가처분(Anti-Suit Injunction)을 할 수 있는지, 반대로 법원이 당사자에 대하여 특정 중재절차를 진행하지 말라는 중재금지가처분(Anti-Arbitration Injunction)을 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소송금지가처분은 종래 영미법계에서 주로 인정되어 오던 것으로, 이러한 유형의 가처분을 인정하지 않는 대륙법계 국가들과 충돌을 일으켜 왔으며, 유럽사법재판소 역시 West Tankers 사건에서 영국 법원의 소송금지가처분은 브뤼셀협약에 위반된다고 판시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중재사례에 있어서는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중재판정부가 소송금지가처분을 명하는 사례가 존재해 왔고, UNCITRAL 모델 중재법과 중재규칙은 그러한 실무를 반영하여 이를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우리 중재법 역시 2016년 개정 과정에서 UNCITRAL 모델 중재법의 내용을 반영하여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에 관한 규정을 대폭 개정함으로써, 소송금지가처분은 개정 중재법이 허용하는 임시적 처분의 한 유형에 해당되기에 이르렀다. 유럽사법재판소 역시 Gazprom 사건에서 브뤼셀협약은 중재판정부에 의한 소송금지가처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반면 법원에 의한 중재금지가처분은 소송금지가처분에 대응할 일응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행 중재법상 이를 인정할 근거가 부족하며, 우리 대법원 역시 중재금지가처분 뿐만 아니라 중재절차위법확인소송 역시 부적법하다고 판시하였다. 다만, 외국 중재판정부나 외국 법원의 소송금지가처분은 우리법상 승인·집행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므로, 당사자에게 사실상의 구속력만 가질 것으로 보인다. 중재사건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륙법 체계를 기본으로 하는 우리 법제상 소송금지가처분이란 낯선 유형일 뿐만 아니라 재판받을 권리와 밀접히 연관되는 문제이므로 쉽게 남용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2016년 중재법개정으로 중재판정부가 이러한 가처분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이상, 소송금지가처분의 배경 및 요건, 집행의 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와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ith the rapid growth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possibilities for legal conflicts between arbitration and litigation have been also increasing. Such conflicts can be more obvious when the arbitral tribunal makes an order, called anti-suit injunction, to prevent a party from seeking a parallel litigation, or to the contrary, when the court orders a party not to pursue an arbitration, in the form of an anti-arbitration injunction. Historically, anti-suit injunction has been granted in common law countries and caused conflicts with civil law countries where such type of injunction did not exist. In West Tankers case, European Court of Justice adjudicated that English court"s anti-suit injunction is against the Brussels Convention. Regardless of this controversy, many arbitral tribunals have ordered anti-suit injunctions in actual practices. UNCITRAL Model Law and arbitration rule have been revised in 2006 to reflect and approve these practices. Korean Arbitration Act was also revised in 2016 and adopted most of the UNCITRAL Model Law, thus allowing anti-suit injunction by arbitral tribunals. In Gazprom case, European Court of Justice adjudicated that Brussels Convention does not apply to the anti-suit injunction issued by arbitrators. While Korean Arbitration Act allows anti-suit injunction issued by arbitral tribunals, current Korean legal scheme is interpreted not to permit anti-arbitration injunction issued by a court. Korean Supreme Court has also ruled that anti-arbitration injunction or a suit seeking declaration of illegality of arbitration procedure cannot be permitted. As relevant articles for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anti-suit injunction under Korean Arbitration Act are applied only to domestic arbitration, foreign anti-suit injunction still cannot be enforced in Korea and has only de facto constraints to the parties. Although anti-suit injunction is quite unfamiliar to most of the practitioners in civil law countries and cannot be overused, since revised Korean Arbitration Act now approves such type of injunction, Korean lawyer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backgrounds, possibility, requirement and enforcement of such injunction.

      • KCI등재후보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과 등기

        김우종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10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6 No.-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의 효력은 일본과는 달리 우리 민사집행법에는 명문화 되어 있지 아니하고 통설과 판례에 의한다. 가처분의 효력범위와 관련하여 현재의 통설과 판례, 그리고 민사집행 및 등기실무는 가처분의 주관적 효력에 관해서는 상대적 효력설을, 본안소송과 관련하여서는 본안승소설을, 가처분의 객관적 효력에 관하여는 실체적 효력설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가처분의 피보전 권리 실현을 위한 등기방법이 이러한 가처분의 효력 을 구현함에 있어 완벽하지 못한 면이 있다 처분금지가처분의 피보전권리. 가 제한물권이나 임차권의 설정등기청구권이고 가처분위반의 등기가 소유권이전 이외의 권리에 관한 등기이면서 서로 양립가능한 경우가 특히 문제된다. 가처분의 효력에 관한 실체적 효력설에 의하면, 가처분위반등기가 가처분의 피보전권리와 양립할 수 있다면(가처분의 피보전권리의 실현에 장애가 되지 아니한다면) 이 등기를 말소할 것까지는 없고 그 등기보다 가처분채권자의 본안승소판결에 의한 권리설정등기가 우선한다는 점을 등기부에 나타내면 충분 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현행 부동산등기법상 가처분채권자 명의의 권리설정등 기가 그보다 앞서 경료된 제3자의 권리에 관한 등기 보다 우선한다는 것을 공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다만 등기예규 제1062호에 의해 “O년 O월 O일 접수 제O호 가처분에 기함”이라는 기재를 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불완전 한 등기방법이며, 문제가 적지 아니하다. 2009. 11. 9. 입법예고된 부동산등기법 전면개정안에서도 위 등기예규와 같은 내용의 가처분등기에 관한 규정이 신설되었는바, 문제가 적지 아니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민사보전법과 일본 부동산등기법과 같이 처분금지가처분의 효력에 관한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처분금지가처분의 효력을 명확히 하고, 또한 보전가등기에 관한 규정의 신설을 고려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Preliminary injunction against a disposal of a real property and registry of a real estate In Korea, unlike in Japan, the legal effect of preliminary injunction against a disposal of a real property is in set out court precedents and legal scholars’ opinions, not in the provisions of the Civil Enforcement Act. As for the legal effect of the preliminary injunction, the relevant authorities support the view that the legal effect is relative in the sense that it is effective only to the parties concerned, not against unrelated third parties. In addition, a creditor who has obtained a preliminary injunction can invoke the validity of the injunction only after he wins the irrevocable judgment of the case on the merits. As for the effect of the preliminary injunction, it is valid only to the extent that it serves to protect the holder’s right or claim. Thus, acts which might breach the preliminary injunction, but are beyond the extent of the creditor’s right or claims, may still be valid. Because the procedure for recording a preliminary injunction has a number of defects, the rights or claims protected by a preliminary injunction are not always protected thoroughly. A problem arises, for example, when the right or a claim subject to the preliminary injunction is a restrictive real right (jus in rem) or a claim for a registered right of lease, and a registered right in violation of the preliminary injunction is not the right of ownership transferring registry on the one hand and consistent with the right or the claim subject to the preliminary injunction on the other hand. Where a registry in violation of a preliminary injunction is consistent with the right or the claim protected by the preliminary injunction (in other words, the registry in violation thereof does not become a legal hindrance in realizing the right or a claim subject to the preliminary injunction) there is no need to erase the registry violation, but only the fact that the registry of the right or claim of the creditor of the preliminary injunction will prevail over the registry in violation when the creditor wins the case on its merits. Under the current Real Estate Registry Law, the way that the registry of a right or claim of the creditor of the preliminary injunction will prevail over the registry of the third party’s right is not addressed. Moreover, pursuant to Item 1062 of the Registry Regulation, only the defective description of “registry accepted on th date, - month, - year, by – the preliminary injunction” can be used. Therefore, this defective or insufficient method of registry causes many problems. In the draft of the totally amended Registry Law of Real Estate, which was supposed to be enacted on 9 Nov. 2001, the provision on preliminary injunction as in Item 1602 of the Registry Regulation was newly added. Many problems still exist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like the Civil Preservation Law and Registry Law of Real Estate in Japan, one necessary step is to clarify the legal effect of a preliminary injunction by passing new legislation on the legal effect thereof and to enact the registry to preserve the right or a claim of preliminary injunction.

      • KCI등재

        보전처분 중 상계권행사금지가처분의 타당성 요건

        허정인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4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20 No.-

        가처분은 다툼의 대상에 관한 가처분 외에도 임시로 잠정적인 법률상태를 형성하거나 그 사적 실현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임시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도 있다. 임시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 중에 상대방의 상계권 행사를 금지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가처분을 법원에 신청하는 경우 거의 대부분 피보전권리가 상계를 금지하는 임금채권인 경우를 제외하면 상계권행사금지가처분은 기각되어져 왔다. 왜냐하면 피보전권리가 상계금지채권이 아니라 상계를 허용하는 채권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상계권행사금지가처분의 피보전권리가 실체법상 법률상의 상계금지채권으로서 상계가 금지되는 임금지급청구권 등이 아님에도 상계권행사금지가처분이 인용된 결정이 있으므로 이러한 결정이 나오게 된 근거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 근거는 가처분의 소송물과 보전청구권의 성질에 있다. 실체법상 보전청구권설에 의하면 재판상 보전기능을 채무자에 대하여 행사하는 것이 실체적 가처분권이라고 한다. 즉 실체적 권리가 피보전권리인 것이다. 반면, 공법적 보전청구권설은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 2가지를 소송물로 보고 소송물은 보전청구권 자체라고 보며 보전되어야 할 실체법상의 청구권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견해이다. 대상결정에 대하여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을 보전소송의 소송물로 인정한다는 것은 가처분의 독자적인 요건을 인정한다는 것이고,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 요건을 실체법상 청구권과는 별개의 개념으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 점, 보전소송의 본안화 방지를 고려할 때,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을 보전처분의 소송물로 인정하는 것에서 나아가 공법적 보전청구권으로 보는 견해를 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대상결정은 공법적 보전청구권설을 따름으로써 몇 가지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데, 가처분이 목적에 의해 제약되고, 가처분의 본안화를 방지하며, 가처분의 재량성을 인정해 준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전의 필요성과 증명의 정도의 판단기준이 실체법상 청구권이 아니라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독자적인 판단으로서 비례의 원칙을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보다 더 가처분의 실질에 부합하도록 그 결정기준을 실체법상 보전청구권설에서 공법적 보전청구권설로 변경한 것임으로 의의가 크다고 생각한다. In addition to a provisional injunction regarding the subject of dispute, there is also a provisional injunction determining temporary status for the purpose of temporarily forming a provisional legal state or seeking its private realization. When applying to the court for a provisional injunction to prohibit the other party from exercising the right to set-off, among the provisional injunction to determine temporary status, in almost all cases, the provisional injunction prohibiting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set-off will be dismissed, except in cases where the right to be indemnified is a wage claim that prohibits set-off. This is because the preserved right in a provisional injunction of wage issue is not a claim that allows set-off, but a natural claim that prohibits set-off. However, there is a decision in which a provisional injunction prohibiting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set-off has been cited even though the preserved right is not the right to wage payment, which is not prohibited from being set-off by law, so let's look at the basis for this decision. The basis for this lies in the nature of the object of a conservative measure and the preserved right in a provisional injunct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preserved right in a provisional injunction under substantive law, exercising the judicial preservation function called the substantive right of injunction. In other words, the substantive right is the protected right.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law preservation claim theory views the two things, the preserved right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as the object of a conservative measure, and views the object of a conservative measure as the preservation claim itself and has no relationship with the claim under substantive law that must be preserved. The fact that the precedent recognizes the preserved right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as a lawsuit in a provisional injunction means that it recognizes the independent requirements for provisional disposition, and it is appropriate to recognize the preserved right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as a concept to separate from the claim under substantive law. When considering the prevention of litigation becoming a legal issue, I think it is appropriate to go beyond recognizing the preserved right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as the object of a conservative measure for a provisional injunction and take the view of them as public law claims for a provisional injunction. The decision follows the public law preservation claim theory and has several special characteristics : the provisional injunction is limited by purpose, prevents the injunction from becoming a legal action, and recognizes the discretion of the injunction. Lastly, it appears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accepted as an independent judgment on the preserved right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rather than the nature of the claim under substantive law.

      • KCI등재

        소송유지명령(訴訟留止命令) 및 집행금지명령에 대한 연구

        이규호 ( Lee Gyooh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硏究 Vol.30 No.3

        On January 4, 2018, the Shenzhen Intermediate People’s Court (hereinafter “Chinese Court”) in China held a judgment in the Huawei v. Samsung standard essential patent (SEP) case. In this cease, the Chinese Court ruled in favor of Huawei, holding that Huawei had fulfilled its obligations under the fair, reasonable and non-discriminatory (FRAND) provisions whereas Samsung did not. Hence, the Chinese Court issued an injunction against Samsung, banning any future infringement of Huawei’s SEPs from the distribution of Samsung’s Android devices. In response to the Chinese Court’s decision, Samsung moved for issuance of anti-enforcement injunction before the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for the Northern District of California, prohibiting Huawei from enforcing a couple of Chinese patent injunctions for the time being. Judge Orrick of the U.S. District Court for the Northern District of California issued an order that enjoins Huawei from enforcing an injunction on Chinese SEPs rendered by the Chinese Court. At the end, the world’s two largest makers of Android smartphones filed a joint motion to a U.S. appeals court on February 26, 2019 to halt court proceedings over their SEPs disputes because they have entered into a settlement agreement on February 25, 2019. This case shows the effectiveness of anti-enforcement injunction somehow foreign to legal community in civil law countries. Anti-enforcement injunction may be defined as a type of anti-suit injunction.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ims in illustrating anti-enforcement injunction and anti-suit injunction. Courts in Western European countries are reluctant to issue anti-enforcement injunctions whereas courts in common law counties are more inclined to issue anti-enforcement injunction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 one of civil law countries, deals with anti-enforcement injunction. Also, this Article will delve into how Korea needs to touch upon anti-suit injunctions. Furthermore, this Article discusses ant-anti-suit injunction because a court of country A can issue anti-anti-suit injunction following issuance of anti-suit injunction made by a court of country B. In addition, anti-arbitration injunction and pro-arbitration injunction will de examined in that they needs to be scrutinized in cases where litigation is processed parallel with arbitration between same parties in terms of same claims.

      • KCI등재

        회사가처분소송에서의 보전의 필요성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윤은경 ( Eunkyoung Y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2

        임시의 지위를 정하는 가처분, 특히 만족적 가처분의 일종으로서 회사가처분은 회사를 둘러싼 다수의 이해관계인이 관여되어 있어 분쟁이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절차에 따른 시의적 해결 수단으로서의 효율성으로 인해 최종적인 분쟁해결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대안으로서 회사가처분사건에 대한 법원의 엄격한 심리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회사가처분을 비롯한 보전소송의 경우,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판단기준이 법문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개별 사안에 따라 광범위한 재량권을 가지고 있는 해당 재판부의 부당한 판단이 내려질 가능성이 상존한다. 거기에 더하여 채권자의 입증의 정도도 명문 규정과 달리 더 강화된 “고도의 소명”이 요구된다. 이러한 사법재량에 의한 회사가처분명령이 발령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통제가 필요함에도 현행법에서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고, 오히려 법과 다른 실무관행이 심화되고 있다. 대응방안으로 회사가처분에 관한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판단시, 대법원이 제시한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판단요소 중 “본안소송의 승패 예상 및 제반 사정”과 같은 재량기각판결 시 고려할 요소를 제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규정을 민사집행법에 추가함으로써 사법 재량에 대한 통제를 입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법원의 엄격한 심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회사가처분의 요건사실에 대한 “고도의 소명”을 요구하는 것은 신속·간이한 보전소송의 취지를 제도화한 법에 위배된다. 따라서 현행 민사집행법상 요구되지 않는 “고도의 소명”을 회사가처분에서 채권자에게 요구하는 관행도 입법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한 채권자의 남소제기에 대한 우려의 해소방안으로 회사가처분의 경우에 채권자가 제공할 담보의 세부기준을 마련하는 방안을 두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회사가처분을 포함한 임시의 지위를 정하는 가처분에서의 담보제도의 목적과 우리의 임시의 지위를 정하는 가처분과 유사한 미국의 예비적 유지명령제도에 있어서의 담보제도의 취지를 고려하되, 보전소송 채권자의 신청권이 과도하게 억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담보의 요구는 예외적인 경우에 한하고, 담보제공이 필요한 경우라 하더라도 담보제공은 지급보증위탁계약체결문서를 제출하는 방법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타당하다. Corporate litigations involve multi-interest disputes among relevant parties such as minority shareholders and corporate managers. Since most corporate disputes have a tendency to settle after a court issued a preliminary injunction, the preliminary injunction with regard to corporate litig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rporate preliminary injunction”) practically functions as a final legal resolution to resolve corporate disputes. For this reason, it has been raised concerns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to reduce a possibility of wrongful preliminary injunction by the court. They empathize the enhanced necessity for issuing a Corporate preliminary injunction. However, the Korean Civil Act(hereinafter the “KCA”) and the Korean Civil Execution Act(hereinafter the “KCEA”) are silent on the standard of the necessity for issuing a preliminary injunction. Thus, courts have a broad discretion to decide whether a pending Corporate preliminary injunction case have necessity for issuing the Corporate preliminary injunction as one of a preliminary injunction. In addition, courts impose a movant for a Corporate preliminary injunction more strong burden of proof of necessity for issuing a preliminary injunction than as requested in the KCA and the KCEA. As a result, there is a highly probability that courts might exercise an abusive discretion. Considering the above, such judicial discretion should be regulated by the explicit standards in the law. For this purpose, the factors, such as “a likelihood of success on the merits, the public interest and so forth”, treated as primary factors by the Korean Supreme Court, should be excluded when a court consider whether the necessity for issuing a preliminary injunction is proven or not, because such factors are the same as of “discretional dismissal of the court” on the merits. More specifically, the KCEA should be amended to facilitate the above. Also, the request of more strict burden of proof by the movant in a preliminary injunction is not permissible under the KCA and the KCEA, considering the basis of preliminary injunction as an immediate legal protection of the movant. For this reason, it is appropriate that the KCEA should be amended to facilitate the above. To balance the movant’s need for immediate and provisional relief and the respondent’s need for protection against a wrongful preliminary injunction including Corporate preliminary injunction, it seems to be adequate that the bond requirement in the KCEA should be amended to facilitate the consideration on the basis of bond or security under the KCEA and that of the U.S. preliminary injunction.

      • KCI등재후보

        영업비밀 침해금지청구에 대한 우리 법원의 태도

        박준석(Park Jun-Seok) 한국법학원 2009 저스티스 Vol.- No.114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영업비밀보유자에게 물권적 지위를 부여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침해금지청구권의 법적성격은 사실 민법상 물권적 방해배제청구권과 비슷하다. 침해금지청구권을 행사하려면 우선 법적 쟁송 대상인 영업비밀의 구체적 내용을 특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대방이나 제3자에게 당해 영업비밀의 구체적 내용이 필요이상으로 누설되어 영업비밀의 비공지성을 상실할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기판력이나 집행력 범위를 명확히 함에 있어, 우리 판례는 영업비밀보유자로 하여금 지나치게 영업비밀의 구체적 내용을 특정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음으로써 잘 대처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보호명령 제도와 같은 것을 도입하는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한편 우리 판례가 침해금지기간을 결정함에 있어 침해자가 당해 영업비밀을 사용하지 않고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나 독립적인 개발에 의해서 합법적으로 알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에 국한시키고 있는 것은 타당하다고 본다. 그렇지만, 우리 판례가 위와 같이 제한된 침해금지기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당해 영업비밀이 더 이상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는 것으로 취급하고 있는 것은 부당하다. 이른바 금지기간의 기산점에 관하여 특히 전직금지청구 사안에 있어 치열한 논란이 있어 왔으며 우리 판례는 심지어 기산점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먼저 금지기간을 결정하고 있지만, 금지기간의 기산점이 먼저 정해지고 난 뒤 그로부터 적절한 금지기간이 정해져야 더 설득력 있을 것이다. 아울러 그렇게 정할 기산점은 다름 아니라 민법상 금지청구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판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덧붙여 우리 판례는 형평법상 금지청구에 관한 미국 법원의 동향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한국 부정경쟁방지법상 금지청구권의 법적 성격, 그리고 그런 금지청구권과 민법상 물권적 방해배제청구권과의 조화 등에 관심을 집중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The legal aspect of an injunction claim based on Korea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hereinafter, Korea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s actually similar to the original injunction claim based on property right of Korea Civil Act, while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doesn’t grant the status of exclusive possession to a trade secret owner. Because the identification of trade secret’s details as the subject matter of legal proceedings is prerequisite to exercise the injunction claim, there is always danger of losing trade secret’s secrecy through excessively revealing the details of the trade secret to the opponent party or 3rd parties. In clarifying of the scope of the res judicata and judicial enforcement, Korean courts have done well at this point by not excessively requiring trade secret owner to identify trade secret’s details. But the legislative supplement such as the adoption of US-style protective order system is needed. On the other hand, it seems reasonable for Korean courts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injunction according to the period needed by the infringer either by reverse engineering or by independent development to develop the product legitimately without the use of the secrets. However, it is wrong for Korean courts to treat the trade secret as no more eligible for legal protection if the above injunction period is over. Though there has been severe debate over so-called the starting point of injunction period especially in non-competition cases and Korean courts seem to determine the injunction period even without finding the starting point, it would be more plausible that the finding of the starting point for injunction period should be prior to the determination of proper injunction period. Also, such a starting point is none other than the time of infringement as is in the original injunction claim based on property right of Korea Civil Act. In addition, Korean courts had better focus on the legal aspect of injunction claim based on Korea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the harmonization of the above injunction claim and the original injunction claim based on property right of Korea Civil Act, rather than the trend of US courts’ decision about equitable injunction.

      • KCI등재

        권리 구제 방법에 대한 검토

        김명숙 ( Myeong Sook Kim ) 안암법학회 2015 안암 법학 Vol.0 No.46

        Remedies give meaning to obligations by enforcing substantive Rights. Select of adequate remedy is important to effectively realize the rights. Remedies can be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or by their form. The legal system gives very different answers on the problem of the adequacy of remedies. Primary remedy for breach of contract is specific performance, the aggrieved party is entitled to require performance of a obligation. It is based on the effect of the Rights. A claim for performance is the normal sanction in Germany and Korea, but specific performance is regarded as exceptional in the Common Law. But the distance is not as great as might appear. The right to special performance is irrelevant to the right to damages. The most common remedy is damages compensating for harm. The plaintiff may ordinarily follow the claim for damages because of the inefficiency and inconvenience of specific performance. But measuring damages isn`t always easy. The injunction is an order from a court directing to do or to refrain from doing some specific thing. Injunctions can forbid conduct and order defendant to do something. A specific performance is a specialized form of injunction. It usually requires affirmative conduct coercing the defendant`s behavior. Injunction are sometimes classified as being mandatory or prohibitory. In many situations the two kinds of injunctions are different in form, but not in purpose or effect. A classifications for injunction may be more meaningful ; as reparative or preventive. The reparative injunction requires the defendant to restore the plaintiff to a preexisting entitlement, A preventive injunction attempts to prevent the harm in the future. The reparative injunction does not literally undo the past violation; rather it prevents some of the harm from that violation. Damages authorizes plaintiff to seize defendant`s property, an injunction seek to coerce defendant`s behavior. The injunction may be a greater intrusion on defendant`s liberty. But inadequate remedy for the loss of something irreparable injury justified the use of Injunction - an interest in the performance which cannot well be translated into money terms. The irrepairable injury rule does not solve the difficulties of issuing injunction. Also Undue hardship to defendant may be an independent reason for denying specific relief. The measure of injunction is preventing harm in spite of their scope. The injunction against future violation to prevent harm rather than compensate for harm already suffered. Judge can not only enjoin future violation but also ameliorate the harm of past violation. The point of injunction is to gets how much injunction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discontinuance. Before issuing of an injunction there must be a ripe threat of injury. But it may not require a showing of actual harm.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harm will accru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