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華嚴經問答』의 敎判思想

        장진영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ubdivided Teachings in the Huayan appears in the Hwaeomgyeong-Mundap, presumably a transcript of Uisang' lecture. It's overall sketch was at first presented in the course of explaining the Five Essentials of Teaching in the SuXuan-Ji earlier written by Zhiyan. The case of using the subdivided five teachings is rarely found in the other texts than Zhiyan's Kongmu-zhang where Zhiyan introduces the those to explain the tathatā. I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ve teachings in Mundap and Kongmu-zhang. The details of the subdivided five teachings are elaborated in the Gradual teaching. The division of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seems to be the influences of the new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related Canons, especially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tathatā. The essence of the teaching of the Beginning is the sūnyatā but includes the consciousness-only theory of the Dharmalakṣaṇa in the Beginning. It doesn't fall within the Final because of not relying on the tathatāgatha and dosen't go into the Ending of the Elementary teaching because of revealing sūnyatā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Final teaching, and of the Sudden teaching, adopts the explanation of three steps of the Speaking of Huiyuan about the Non-dual Dharma in the Vimalakīrti Sutra. The Final teaching and the Sudden teaching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he Verbal and Non-verbal teaching, and Speakable and Non-speakable teaching, in which the Sudden teaching takes place in the ultimate teaching of the Final teachings. This seems corresponding to the Sudden teaching of the Five teachings of Uisang. Only in the Mundap, the Sudden teaching is closer to the Final teaching of the Three Vehicles rather than that of the Perfect teaching of the One Vehicle. It seems that the types of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in the Final teaching wa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division of the true consciousness and altered false consciousness. They share the meaning of non-sūnyatā because both arise on the strength of tathāgatagarbha including the Old school of Consciousness-only in China. Only they individually divide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Final teaching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method of development. Finally it seem that it is impossible to divide each other throughout the Essential of Teaching from the Final Teaching to the Perfect Teaching. Therefore the viewpoint of dividing between of the Final Teaching and the Sudden Teachings discover from the view of the Verb on the Principle without differentiation and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Three Vehicle and the One Vehicle is due to whether getting the standpoint of One Vehicle or not. 의상의 강의록으로 추정되고 있는 『화엄경문답』에는 좀 더 세분화된 5교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지엄의 초기 저작인 『수현기』에서 언급된 5종 교체를 5교판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런 유형은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다만 이미 지엄의 『공목장』에 이를 진여의 대한 설명에 적용한 사례가 있어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5교판의 세분화된 모습은 점교문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초교문에서 시문과 종문을 나눈 계기는 신역 경론의 진여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초교는 본래 空義를 본질로 하는데 시문에 법상유식의 내용을 소속시키고 있다. 그 의지가 眞識이 아닌 妄識이기 때문에 종교에 속하지 못한 것이며, 그 밝힌 진여가 공의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초교 중에서도 시문에 속한 것이다. 종교문에서 시문과 종문은 돈교문과 함께 봐야 하는데, 그것이 『유마경』의 不二法門에 대한 혜원의 說에 대한 3단계의 설명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종교문과 돈교문은 言(가설)과 黙(불가설)으로 구분되고 돈교의 교체도 명확해졌으며, 돈교의 위치도 삼승의 궁극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의상은 돈교를 5교판의 돈교로 보았는데, 『문답』도 이를 따르고 있다고 보며, 다만 돈교를 일승원교보다 삼승의 종교에 더 밀접하게 파악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교문 내에서 시문과 종문의 구분은 구유식내에 진식(리야유식)과 망식(의식유식)의 전개방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록 종교의 시문에 속한 망식은 여래장진식을 의지로 하기 때문에 초교의 시문에 속하는 신유식의 망식(아뢰야식)과는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종교부터 원교까지 표면상 그 교체를 공유하므로 교체만으로는 서로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종교와 돈교는 둘 다 무분별의 理의 입장에서 가설과 불가설의 여부에 따라 구분하게 되었고, 삼승(종교‧돈교)과 일승(원교)과의 구분은 일승에 대한 안목을 갖추었는지 여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신라 의상(義湘)이 일본 화엄학(華嚴學)에 미친 영향

        장진영 ( Jin Young Jang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한국불교사연구 Vol.9 No.-

        본고에서는 신라 의상(義相, 625~702)의 화엄이 일본의 화엄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시대별 순서에 따라 개괄하였다. 나라 시대에 신라 화엄의 최초 일본 전래와 관련하여 큰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 바로 심상(審祥)이다. 심상이 신라에서 수학했다면, 의상에 대해 모르지는 않았겠지만, 실제 심상에 의해 의상의 화엄이 전래되었다거나 일본 화엄학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직접적인 근거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헤이안 시대에 신라에서 활동했던 견등(見登)에 의해 『향상문답』이 소개됨으로써 의상의 화엄이 우회적으로 일본 화엄학계에 전하게 되었다. 이후 법장(法藏)의 문헌으로 수용되었던 이 『문답』의 이질적인 사상들도 차차 그 안에 담긴 다른 사상들과 함께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법장의 입장과 조화시키는 차원의 수용된 것으로 이해된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를 보면, 동대사계에서는 중국 화엄의 영향이 더욱 중시되는 모습이지만, 법장의 기존 입장에 맞추어 이해되었던 『문답』의 경우는 차차 『문답』의 문장 그대로를 긍정하는 입장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고산사계에서는 신라 의상을 직접 전면에 내세우는데, 특히 명혜(明惠)는 『화엄조사회전』를 통해 의상을 중시함으로써 신라 화엄의 실천적 경향을 부각시키고 있어 주목된다. 다만 이상의 논의는 여전히 동대사계를 중심으로 형성된 일본의 주류 화엄학계를 위주로 한 것이므로, 향후 나라 시대 이후 동대사계와 긴장관계를 유지했던 약사사계나 가마쿠라 이후 고산사계 등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nto the influence of Uisang’s (義相) Hwaeom in Silla on the Japanese Hwaeom (J. Kegon) school, through existing studies by each period. Firstly in Nara period of Japan, Simsang (審祥) played an important role to introduce the thought of Silla Hwaeom in Japan. I guess he should know Uisang’s Hwaeom because he studied in Silla. But until now we can not find direct evidence that Uisang’s Hwaeom influenced on Japanese Hwaeom school. Secondly in the Heian period, Gyeondeung (見登) active in Silla introduced Uisang’s Hwaeom to Japanese Hwaeom school through text recording Uisang’s Hwaeom lectures, named Hyangsang-Mundap or Hwaeomgyeong-Mundap. And this Mundap recognized as Fazang’s (法藏) work so that the Uisang’s thought included in this text gradually accepted in Japanese Hwaeom School. In spite of that, the contents of Mundap was only understood in harmony with the viewpoint of Fazang. Finally since Kamakura period the people in Hwaeom school of Todai-ji lineage placed emphasis on Chinese Hwaeom and positively understood Mundap in itself. Meanwhile Myoe (明惠) at Kozan-ji Temple considered very importantly Uisang through Hwaeom-Yeongi picture scroll. Especially he emphasized practical tendency of Uisang’s Hwaeom. Until now most researches focused on the mainstream of Japanese Hwaeom formed around Todai-ji lineage, but it is necessary to study Hwaeom of Yakusi-ji and Kozan-ji lineage in strained relation with Todaiji lineage.

      • KCI등재후보

        緣起와 性起의 관계 - 『華嚴經問答』을 중심으로 -

        장진영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The problem of ‘Dependent Co-arising’(緣起) and ‘Nature-arising’(性起)is the central theme of Hwaeom(華嚴, C. Huayan) School. The serious concern with this problem begins with Zhiyan(智儼, 602~668). He criticizes the theory of ‘Dependent Co-gathering’(緣集說), Dependent Co - arising of Jilun(地論) School on the grounds that it is Dependent Co - arising of Tri-vehicle(三乘), On the contrary, he suggests the theory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ātu’(法界緣起), viz.,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ingle - vehicle(㊀乘). And he proposes the existence of ‘Nature-arising’present deeply within Dependent Co-arising. It seems that Jilun School at that time holds a advanced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elf -noumenon’(自體, K. Jache), which may be generally identified with the Tathāgata - garbha(如來藏). Ordinarily Tathāgata - garbha tends to be understood as potentiality of Buddha. But the detailed discussions of ‘Self -noumenon’(Jache) sometimes makes Tathāgata - garbha understood as actuality of Buddha. In examining changes i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Jache),therefore, we can find out the vestiges of transitional move from Tathāgata -garbha to Nature - arising. Zhiyan accepts the term of ‘Self-noumenon’ and uses it in the same context as ‘Nature-arising’. But in the Hwaeomgyeong -mundap(華嚴經問答), Uisang(義相, 625~702) distinguishes ‘Self - noumenon’and ‘Nature-arising’, and makes clear the meaning of Nature - arising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elf - noumenon’(自體緣起) and the ‘Dependent Co-arising of Single - vehicle’(㊀乘緣起). The thought of Nature-arising begins with Zhiyan. He introduces the Nature - arising into the system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ātu’. Also Uisang accepts and develops Zhiyan’s idea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ātu’. He pays more attention to the the purity part(淨門) of ‘Dependent Co-arising of Dharmdhātu’. And he understands ‘Originally -existing’(本有) and ‘Developing - by - practice of Originally - existing’(本有修生) in the place of Nature-arising, and in parallel with it, ‘Developing - by -practice’(修生) and ‘O riginally - existing of D eveloping - by -practice’(修生本有) in the place of Dependent Co - arising. His approaches in the Hwaeomgyeong - mundap correspond to the system of Ilseungbeopgye - do focusing on practice. Uisang understands the relation of ‘Dependent Co - arising’and ‘Nature-arising’ from th viewpoint of ‘midway without abiding in anything’(無住中道). He explains that the Nature - rising is the ‘Dharma-nature’(法性) without abiding in anything, and sings ‘Dharmdhātu’based on ‘Dharma - nature. ‘He posits Nature - arising in front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thinks highly of the differentiation of practice according to sentient beings’ positions. He strengthens the practical tendency by putting a great emphasis on Nature-arising. 緣起와 性起의 사상은 華嚴敎學의 중심사상이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智儼(602~668)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는 地論敎學의 緣起說인 緣集說을 三乘의 연기설로 비판하고, ㊀乘의 연기설인 法界緣起說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연기의 이면에 性起를 제기하고 있다. 당시 지론교학 내에서는‘自體’의 의미에 대한 좀 더 발전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이해된다. 기본적으로 ‘자체’는 如來藏과 같은 의미이다. 여래장은 여래의 잠재태인 因의 입장으로 이해되지만, 그 의미가 분화되는 과정에서 여래의 현실태인 果의 입장에대한 이해도 나타나고 있다. ‘자체’라는 용어에서 우리는 여래장사상에서 성기사상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지엄은 이를 수용하여 자체를 성기와 통용하고 있다. 하지만 義相(625~702)은 자체와 성기를 구분하여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자체연기를 일승연기와 구분하는과정에서 성기의 의미를 좀 더 명확히 하고 있다. 성기사상은 지엄으로부터 발현된 것이지만, 지엄은 법계연기의 체계 안에성기를 포함하여 소개하고 있다. 물론 의상도 법계연기의 사유를 수용하여발전시키고 있다. 다만 법계연기의 淨門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상은 정문의 本有와 本有修生, 그리고 修生과 修生本有를 각각 성기와 연기로 병립하여 이해하고 있다. 이는 行을 중심으로 법계를 이해했던 법계도의 체계를 계승한 것이다. 의상은 증분[성기]과 연기분[연기]의관계를 無住中道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있다. 의상은 성기가 곧 無住의 法性임을 밝히고 법성을 중심으로 법계를 노래하고 있다. 의상은 연기의 이면에서 성기를 밝혔던 지엄의 법계연기의 사유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한 걸음더 나아가 법성성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의상은 중생의 근기에 따른 수행을 중시함과 동시에, 성기를 연기의 이면에서 전면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의상은 性起사상을 중심에 내세움으로써 그의 실천수행을 중시하는 입장을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연기(緣起)와 성기(性起)의 관계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을 중심으로-

        장진영 ( Jin Young J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연기(緣起)와 性起의 사상은 화엄교학(華嚴敎學)의 중심사상이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지엄(智儼)(602~668)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는 지론교학(地論敎學)의 연기설(緣起說)인 연집설(緣集說)을 삼승(三乘)의 연기설로 비판하고, 삼승(三乘)의 연기설인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연기의 이면에 성기(性起)를 제기하고 있다. 당시 지론교학 내에서는``자체(自體)``의 의미에 대한 좀 더 발전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이해된다. 기본적으로 ``자체``는 여래장(如來藏)과 같은 의미이다. 여래장은 여래의 잠재태인 인(因)의 입장으로 이해되지만, 그 의미가 분화되는 과정에서 여래의 현실태인 과(果)의 입장에 대한 이해도 나타나고 있다. ``자체``라는 용어에서 우리는 여래장사상에서 성기사상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지엄은 이를 수용하여 자체를 성기와 통용하고 있다. 하지만 의상(義相)(625~702)은 자체와 성기를 구분하여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자체연기를 일승연기와 구분하는 과정에서 성기의 의미를 좀 더 명확히 하고 있다. 성기사상은 지엄으로부터 발현된 것이지만, 지엄은 법계연기의 체계 안에 성기를 포함하여 소개하고 있다. 물론 의상도 법계연기의 사유를 수용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다만 법계연기의 정문(淨門)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상은 정문의 본유(本有)와 본유수생(本有修生), 그리고 수생(修生)과 수생본유(修生本有)를 각각 성기와 연기로 병립하여 이해하고 있다. 이는 行을 중심으로 법계를 이해했던 법계도의 체계를 계승한 것이다. 의상은 증분[성기]과 연기분[연기]의 관계를 무주중도(無住中道)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있다. 의상은 성기가 곧 무주(無住)의 법성(法性) 임을 밝히고 법성을 중심으로 법계를 노래하고 있다. 의상은 연기의 이면에서 성기를 밝혔던 지엄의 법계연기의 사유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한 걸음 더 나아가 법성성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의상은 중생의 근기에 따른 수 행을 중시함과 동시에, 성기를 연기의 이면에서 전면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의상은 성기(性起)사상을 중심에 내세움으로써 그의 실천수행을 중시하는 입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The problem of ``Dependent Co-arising``(緣起) and ``Nature-arising``(性起) is the central theme of Hwaeom(華嚴, C. Huayan) School, The serious concern with this problem begins with Zhiyan(智儼, 602~668). He criticizes the theory of ``Dependent Co-gathering``(緣集說), Dependent Co - arising of Jilun(地論) School on the grounds that it is Dependent Co - arising of Tri-vehicle(三乘), On the contrary, he suggests the theory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tu``(法界緣起), viz,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ingle - vehicle(三乘). And he proposes the existence of ``Nature-arising`` present deeply within Dependent Co-arising. It seems that Jilun School at that time holds a advanced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自體, K. Jache), which may be generally identified with the Tathagata - garbha(如來藏). Ordinarily Tathagata - garbha tends to be understood as potentiality of Buddha. But the detailed discussions of ``Self - noumenon``(Jache) sometimes makes Tathagata - garbha understood as actuality of Buddha. In examining changes i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Jache), therefore, we can find out the vestiges of transitional move from Tathagata - garbha to Nature - arising. Zhiyan accepts the term of ``Self-noumenon`` and uses it in the same context as ``Nature-arising``. But in the Hwaeomgyeong - mundap(華嚴經問答), Uisang(義相, 625~702) distinguishes ``Self - noumenon`` and ``Nature-arising``, and makes clear the meaning of Nature - arising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elf - noumenon``(自體緣起) and the ``Dependent Co-arising of Single - vehicle``(三乘緣起). The thought of Nature-arising begins with Zhiyan. He introduces the Nature - arising into the system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atu``. Also Uisang accepts and develops Zhiyan`s idea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atu``. He pays more attention to the the purity part(淨門) of ``Dependent Co-arising of Dharmdhatu``. And he understands ``Originally - existing``(本有) and ``Developing - by - practice of Originally - existing``(本有修生) in the place of Nature-arising, and in parallel with it, ``Developing - by - practice``(修生) and ``O riginally - existing of D eveloping - by - practice``(修生本有) in the place of Dependent Co - arising. His approaches in the Hwaeomgyeong - mundap correspond to the system of Ilseungbeopgye - do focusing on practice. Uisang understands the relation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Nature-arising`` from th viewpoint of ``midway without abiding in anything``(無住中道). He explains that the Nature - rising is the ``Dharma-nature``(法性) without abiding in anything, and sings ``Dharmdhatu`` based on ``Dharma - nature. ``He posits Nature - arising in front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thinks highly of the differentiation of practice according to sentient beings`` positions. He strengthens the practical tendency by putting a great emphasis on Nature-ar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