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익인간(弘益人間)’ 이념과 다문화사회

        정성식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ongik Human’ ideology and re-examine its meaning, and to connect it with today's multicultural society to explore implications for peace and coexistence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 ‘Hongik Human’ ideology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s, deeply embedded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from the Dangun era to the present, as a major context in the founding myth of our people with a long history. The ideology of ‘Hongik Human’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ufficiently established as an ideological basis for promoting cultural convergence in a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The ‘Hongik Human’ ideology contains the ideal of coexistence that any human being should be able to enjoy the benefits given by heaven without discrimination. For example, it is a world where opposing things coexist, like a world where bears and tigers can live in one cave. In the ideology of the ‘Hongik Human’, it is not self-righteousness that only I am right or self-existence that only I exist, but harmony and coexistence that we should live in harmony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truth are deeply embedded. In Dangun mythology, heaven, earth, and humans appear in order. Humans are born in the form of a heavenly soul planted in a land existence. Sky, land, and humans symbolize different cultures, suggesting a typical pattern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each culture is fused to form a new culture. In the Dangun myth, the birth of Dangun can be said to mean the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cultures. The archetyp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ism are inherent in this myth, which embraces different opponents and their cultures and sustains communities in an orderly manner. Today, as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have emerged as a huge trend in the global community, they are undergoing rapid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religious. At this time, we need experts in each field to work together to find ways to more actively and actively utilize the wisdom of tradition obtained from the ‘Hongik Human’ ideology.

      • KCI등재

        해양오염, 기후위기, 그리고 홍익인간의 비전 : 지구시민의식의 형성을 중심으로

        나종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선도문화 Vol.35 No.-

        Global warming is a top priority problem of global village that threatens the earth and human civilization’ sustainability. Under such a crisis, the development of a civilizations that focus only on humanity in sight has no longer become impossible. The current severe crisis facing global village, paradoxicall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a universal history that unites human history and natural history. In other words,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facing humanity, if humanity cope effectively with it, can also be said to be a golden opportunity that can realize global village where all beings on the earth coexist harmoniously.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carbon dioxide emitted by humanity causes a greenhouse effect, which leads to global warming, it is not well understood the fact that the sea is deeply involved in this process. The study seeks examine the fact that this thesis introduces the view of nature of the Hongik-Ingan Thought, and as an extension of this, the sea not only is the origin of life and coexistent value, bu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 constant climate environment of earth which is suitable for life to thrive. When the earth as a super-living organism is said to be facing a severe environmental crisis, it means that the sea, which plays a crucial role in keeping a certain pattern of the earth’s climate, is in a serious concerning its self-resilience and homeostasi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mperative to continue various existing efforts aiming for zero carbon. At the same time, human greed and selfishness, and anthropocentric thinking lies in the abyss of this crisis, therefore opening the era of civilization of coexistence and harmony of all beings including humans, through collective evolution of human consciousness, is a fundamental approach to solving the crisis facing the earth. The vision of an “Ehwa World” in Hongik-Ingan Thought, at the present time,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humans and nature are one and by means of the evolution of human consciousness, is to overcome the current civilization crisis facing humanity and realize a global village of harmony and coexistence.

      • KCI등재

        홍익인간 사상의 경제학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6 No.-

        단군신화 속의 홍익인간은 인간세상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가치이자 지상의 모든 일들을 처리하고 운영함에 있어 입각해야 하는 기본원칙이었다. 홍익인간의 글자 그대로의 뜻은 [인간을 홍익하라], 곧 인간을 행복하게 해주라는 것이다. 신화속의 홍익인간은 우선 국가와 권력의 사명이나 존재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교육 · 종교 · 윤리 · 학문 · 과학기술 등 인류사회의 모든 문명장치들이 기여해야 하는 목적이자 운영원칙이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홍익인간은 어떠한 모습의 경제를 지향하는가, 그것이 경제방면에 주는 지혜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 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홍익인간이 실천되는 구체적 활동으로 적시되어 있는 주곡 · 주명 · 주병 · 주형 · 주선악에 대해 경제적으로 분석하는 일부터 시작하였다. 그리고 홍익인간을 경제의 목적이자 경제활동의 지침이라 이해할 때 그것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지에 대해 성찰하였다. 홍익인간이 지향하는 경제모습에 대한 필자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1) 경제의 존재이유는 홍익인간, 곧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데 두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시장과 돈의 존재이유 역시 그러하고, 공적 국가정책 역시 그에 목적이 두어져야 한다고 본다. (2) 먹고사는 문제와 병 고치는 일은 국가가 담당해야 할 사무로 간주된다. 인간이 살아가는 데 기본적인 민생사안은 국가가 책임져야 하며, 개인에게만 맡겨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3) 시장의 질서를 잡고 평화를 이룩하는 일도 국가가 수행해야 할 업무로 상정된다. 경제 방면에서 반공동체적 행위들을 제지하고 사회정의와 질서를 확보하며 시장을 도덕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4) 경제부문에서 선의지가 적극적으로 발휘되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본다. 홍익인간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선의지를 발동시키고 촉진시키는 데 관심 둔다. (5) 홍익인간은 고르면서도 큰 행복과 복지를 추구한다. 홍익인간은 가난한 평등을 추구하지 않으며, 성장과 발전, 생산성과 효율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는 바, 이런 지향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홍익인간이 가지는 이같은 경제적 지향은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경제위기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모색되는 자본주의4.0 담론들과 상통하는 바가 많다고 판단된다. Hongik-Inkan in Dangun-myth was the goal-value which must be implemented in human society and was the fundumantal principle which should be based in managing all things on earth. It’s literally meaning was “Make human beings happy”. First of all Hongik-Inkan was brought up as the purpose of state and political power. And also it was the gole and operating principle to which all the civilization apparatuses must serve,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education, religion, ethics, science, technology, etc. This article explores the wisdoms which Hongik-Inkan idea offers to economic problems. Hongik-Inkan think that economy and market must be operated for the happiness of mankind, and not of capital. And the welfare problem and safety issues of human society is the subject of state and not of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e economic orientations of Hongik-Inkan idea are similar to those of capitalism 4.0.

      • KCI등재

        다시 홍익인간이다-인간 없는 성장과 발전을 교정할 대안적 지혜-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20 고조선단군학 Vol.42 No.-

        홍익인간은 한민족이 공동의 역사를 시작할 때 갖고있던 건국이상이며, 현대 한국의 교육법이 정한 기본이념이다. 홍익인간은 국가와 권력을 비롯한 지상의 모든 문명장치는 인간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고 천명한다. 그리고 공동체 구성원 개개인들에게도 선공후사와 나눔・배려의 이타적 삶을 살 것을 촉구한다. 오늘날 한국은 경제적으로는 선진국에 진입해 있으며, 식민지에서 독립하여 근대화와 민주화를 함께 성취한 유일한 사례로 주목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의 근대화와 성장은 인간을 수단화하고 주변화시킨 가운데 성취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통합없는 국가, 사람없는 사회, 행복없는 삶]으로 병들어 있으며, 그 모순의 극점에서 ‘헬조선’의 비명이 터져나왔다. 이들 부정적 현상의 출발점은 인간의 도구화와 주변화이다. 이같은 시대의 문제는 한민족이 공동의 역사를 시작할 때 꿈꾸었고 교육이념을 제정할 때 다시 약속하였던 홍익인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1920년대의 민족지성은 통일을 위해 홍익인간을 호명하였다. 1949년의 교육법에서는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영입하였다. 21세기 한국에서는 인간의 도구화와 주변화를 청산하고 시대교체와 국가개조 과제를 이끌 기조이념으로 홍익인간을 다시 호출하고 있다. 우리의 3만달러 시대는 홍익인간 없이, 홍익인간을 배제한 채 성취하였다. 그러나 5만달러 시대는 홍익인간과 동행하여 홍익인간의 지도 밑에 도모해가야 한다. 그래야만 ‘헬조선’의 비명소리가 없는 [국민행복시대]와 [사람이 먼저]인 세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우리사회는 인간의 중심성과 목적성을 다시 회복해야 할 때이다. 그래서 다시 홍익인간이 호명돼야 하는 것이다. Hongik-Ingan(弘益人間) was the founding ideology of the ancient Korean nation and was settled down as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the Education Law enacted in 1949. Hongik-Ingan idea clarifies that the civilization devices and state must serve for human being. And it urges community members must contribute for the publicness and welfare of society. Today Korea became a developed country. Koreans became wealthy and prosperous. But the Korea"s growth were fulfilled in the conditions of human instrumentalization and marginalization. The country is without integration. The society is without humanity. And the human life is without happiness. The screams of ‘HellJoseon’ were burst out at the pole of these paradoxes. These problems of this era are now calling the HongikIngan idea which the ancient Koreans dreamed when they start a common history. The nationalist intellectuals of 1920’s called HongikIngan for the task of integration. In 1949 Education Law recruited it as the educational principle. By the way Koreas’ 21st century is calling HongikIngan ideology to overcome the dehumanization situations of instrumentalization and marginalization. The phenomenon of Human instrumentalization and marginalization are the global problems and humanity is now suffering because of such factors. So we can tell HongikIngan ideology is the universally requesting idea for 21st century world.

      • KCI등재

        화법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에 관한 고찰

        유동엽(Dong-yup Yoo)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화법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서 현재의 화법교육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화법교육의 방향을 논하고자 하였다. 첫째, 본 논문에서는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홍익인간을 ‘말을 잘 해서 다른 사람도 이롭게 하는 사람’이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토대로, ‘홍익인간을 양성한다’라는 공교육의 목표가 화법교육을 통해 달성하기에 간단한 과제가 아니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둘째, 방송 화법, 표준 화법 등을 내세운 과거의 화법교육만으로는 사회적 관계망(SNS)을 통한 개인 간의 소통이 주류를 이루는 현시대에 부응하기 어렵다는 점을 논하였다. 그리고, 아나운서처럼 말을 잘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부담으로부터 학생들을 자유롭게 해 주는 데서 화법교육의 방향 전환이 시작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인성 교육이나 전통 화법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현재보다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화법교육이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desirable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by focusing on human characters to be raised through OCE. First, In this paper, Hongik humans are operatively defined as ‘people who benefit others by speaking well.’ And it was argued that the goal of public education ‘raising Hongik humans' is not a simple task to achieve through OCE. Second, It was discussed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current era in which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through SNS is the mainstream only through OCE, which puts forward broadcasting Speech, and Standard Speech.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OCE should be re-oriented by freeing students from the burden of becoming a good speaker like an announcer. Third, based on discussions on personality education or traditional speech, it was suggested that OCE should move forward in a direction that emphasizes moral values more than the present.

      • KCI등재

        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 탐색

        이철규,심준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6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ve theorie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field of quantum mechanics,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pedagogical meaning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Diseases and conflicts that occur in our bodies and societies occur when the flow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ts or organizations is not smooth. There is a medium in the flow, and it is called a variety of Qi, Higgs particles, Life particle. This trend has been described in the East for a long time, from Yin-yang &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and from the West, quantum physics. In recent years, the theory of universe energies and brain philosophy,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term quantum mechanics and are fused, have gained persuasiveness.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in Yin-yang &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that the whole universe, as well as the individual' s body, is peaceful when the sky, the earth, people and people, and food, color. In quantum physics, space, matter, life, and consciousness are all thought of as projection from the same background. This perception is that the energy as small particles is intertwined in different forms within a universe, but coexists with a flow of smooth energy through interchange It gives pedagogical meaning. Ultimately, all the East and West quantum mechanics theories have the common value that human being, nature, things and the universe can harmonize with each other through constant dialogue and communication. This value is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ideology of Korea, Hongik Huma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tep of Korean Sprit Learning which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learn and practice the value of Korean Sprit through education in schools and society with educational values common to both East and West quantum mechanics. This Korean Sprit Learning will be a small baseline for mitigating and solving educational problems. 이 글은 양자역학 분야에서 동양과 서양의 대표적인 이론을 고찰하고 이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우리의 신체와 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이나 갈등은 각 부위 또는 조직간 관계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그 흐름에는 매개체가 존재한다고 보며, 기, 힉스입자, 생명전자 등 다양하게 불린다. 이런 흐름을 동양에서는 오래전부터 음양오행으로, 서양에서는 양자물리학으로 구분하여 설명해왔다. 최근에는 양자역학이란 용어로 대표되며, 융합된 이론인 우주 에너지 학설이나 뇌철학 등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음양오행에 담긴 교육학적 의미는 하늘과 땅, 사람과 사람, 그리고 음식, 색깔, 느낌 등이 기를 통해 서로 소통이 원활할 때 개인의 신체는 물론 온 우주가 평화스럽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양자물리학에서는 우주, 물질, 생명, 의식이 모두 같은 바탕에서 나온 투영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인식은 작은 입자로서의 에너지가 한 우주 안에서 서로 다른 형태로 얽힌 관계이지만 교류를 통한 원활한 에너지의 흐름으로 공존하고 있다는 교육학적 의미를 던져주고 있다. 결국, 모든 동서양 양자역학 이론들은 공통적으로 인간, 자연, 사물, 우주는 끊임없는 대화와 소통을 통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상생할 수 있다는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는 우리나라 교육이념인 홍익인간과 일치한다. 이에 동서양 양자역학에 담긴 교육적인 공통 가치를 담아 학교와 사회에서 교육을 통해 홍익정신의 가치를 배우고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인 홍익학습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홍익학습법은 교육 현장 문제들을 완화하고 해결할 수 있는 작은 밑거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살펴본 홍익인간 사상과 민주시민의 의미

        제희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교육이념으로서의 홍익인간 사상을 포스트휴먼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민주시민의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단군신화를 바탕으로 홍익인간 사상을 해석하고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의 모습을 살피고자 하였다. 단군신화는 일원론적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타자와 공존하며 변화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 홍익인간은 전체론적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간이 아닌 모든 존재를 이롭게 하는 상생, 공존의 공동체를 추구하는 이념이다. 이는 이질적인 존재에 대한 사랑과 개방성을 가진 인간, 관계적인 차원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는 인간의 모습을 추구한다. 즉 인간을 혼종적인 존재로서 정의함으로써 윤리적 주체성을 찾아가고자 하는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모습과 유사하다. 따라서 홍익인간 이념은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육이념으로써 재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유아교육과정의 인간상으로 제시된 민주시민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탐색해보고, 홍익인간 이념에 따라 시민의 미덕을 제언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citizenship by reinterpreting Hongik Ingan ideas - generally translated as “to help all humankind” - as an educational id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s. To this end, we interpreted Hongik human thought based on Dangun mythology and explored the human form in the posthumanism. To this end, we interpreted Hongik Ingan thought based on dangun mythology, and explored the human form in the posthuman era. The Dangun myth depicts a changing human being coexisting with others based on a – holistic world view. Thus, Hongik Ingan is an ideology that benefits all non-human beings as well, and seeks a community that co-exists with others based on a holistic world view. It seeks to be a human being with love and openness for heterogeneous beings and a human being who recognizes his or her existence on a relational level. This is a human form in the posthuman era that seeks to create an ethical identity by defining humans as hybrid beings. Thus, Hongik Ingan ideas can be reinterpreted as an educational concept in the posthuman era. Therefore, I critically explored the mean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as presented in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a, and explored the virtues of citizenship according to Hongik Ingan ideas.

      • KCI등재

        선인(仙人)단군을 통한 홍익인간 함의 소고 -실천적 인간상에 대하여-

        박진규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1

        Dangun(檀君) was born in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Sundo(仙道) which is the root of Korean traditional ideology, and he became a guardian spirit of a mountain in Asadal. The essence of his identity is 'Sunin Dangun(仙人檀君)'. The identity of Sunin Dangun contains the cultivation of self-discipline which is the concrete substance in Shinsun(神仙) ideology. It empowered Sunin Dangun to maintain the governing ideology of Hong-Ik-In-Ghan(弘益人間) as a leader, and was inherited to the leader class as a culture of practice like Hwarangdo(花郞道), to the politicians as a Hongik(弘益) system of converging opinions and to the ordinary people as Hongik(弘益) customs. In the identity of Sunin Dangun, the ideology of "Hong-Ik-In-Ghan" is not hierarchical instructions given by a leader. Enjoying Hongik customs(弘益風俗) and systems, people made Hongik(弘益) ideology as a principle of community among people and as a principle of life for the individuals. Thus Hong-Ik-In-Ghan ideology has been changed into a practical one which is horizontal and autonomic being led by all people. It means that Hong-Ik-In-Ghan ideology hasn't just remained as a motto. It implicates a participatory human character who internalizes Hongik spirit and creates Hongik culture together through a series of practice culture, i.e. it indicates an active human character who realizes Hong-Ik-In-Ghan ideology. The education system should reflect the identity of Sunin Dangun. 건국사화에서 단군이 고조선 치세 후에 아사달의 산신이 되었다는 것은 단군 본연의 정체성을 ‘仙人’으로 규정하는 결말이다. 仙人단군의 정체성은 고유한 신선사상에 기반하는 수양전통과 홍익인간 재세이화라는 ‘실천’ 문화를 내포한다. 역사적으로 선인단군의 실천적 정체성은 면면히 전승되었다. 선인단군은 수양실천에서 한국선도 선맥의 조종이었고, 홍익인간의 실천이념은 고대 광명이세·이도여치·접화군생 등 홍익치세의 사상으로 전해졌다. 후대에 풍류도·조의선인 등 심신수양‧호국실천의 인재양성제도, 화백·제가평의 등 홍익의견수렴제도, 남녀노소 지위고하를 막론하여 하늘과 하나되는 제천의례, 민간에서는 두레 등 홍익풍속들로 지속되었다. 조선말기 동학이나 근대 민족종교 등에 나타난 실천사상 역시 선인단군의 홍익인간 실천·수양의 맥을 잇고 있다. 홍익인간 이념은 오늘날 건국이념·교육이념으로 정립되었지만 그 실효성은 회의적이며 특히 교육제도에서 홍익인간이념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비판이 적지 않다. 홍익인간 이념은 ‘실천’함으로써 비로소 실현된다. 선인단군의 정체성을 교육적 인간상의 정립에 반영하여 ‘선인단군의 사상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삶의 가치관을 홍익인간에 두고, 스스로 심신을 다스릴 수 있으며 각 단위에서 홍익의 가치를 실천하는 사람’을 육성해야 한다. 고유의 수양전통과 홍익인간 실천문화를 담은 실천적 인간상의 정립은 미래사회에서 홍익인간 이념이 개인에게 기본정서가 되고 사회구성원 간에는 소통문화가 되며, 국가적으로는 한국의 중심 가치로 부활하는 토양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고대의 진휼과 ‘공생정치’

        소대봉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선도문화 Vol.34 No.-

        The purpose of the Jinhyul(=relief) is essentially symbiosis. Jinhyul may only be a temporary benefit performed at times depending on the monarch’s mood, but it becomes a national policy if it is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implemented. This will be possible only if it is based on a solid ideological basis for symbiosis.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Jinhyul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saw the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advocated by Dongjungseo of the Han Dynasty a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Jinhyul based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However, this view cannot explain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Jinhuil, which existed before the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was introduced. As a result of analyzing Chinese literature, the substance of the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was not a spirit of symbiosis. According to the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the king’s good deeds and virtues were pardons, cut back on king’s diet, recommendations for talent, and listening to admonitions, so it was far from relieving the people from hunger. The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was the basic theory for the king to maintain his power stably. Korean Sundo sees humans as beings born under the bright and clear energy of the sky. Since everyone was born with the same energy, humans are precious and equal to each other, and symbiosis was the basic value of community and personal life. The spirit of symbiosis was expressed as Jinhyul, and there was Jinhyul in Dangun Joseon Dynasty, where the Hongik human spirit of the Korean Sundo was the founding ideology. There was also Jinhyul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inherited the ideology of the founding of the Dangun Joseon Dynast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providing food to save lives was the most important way. It was a completely different aspect from China’s focus on avoiding the wrong politics of the monarch, which leads to disaster situations, based on the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The starting point of the Jinhyul of Confucianism, which focuses on maintaining the power of the monarch, and the Jinhyul of the Korean Sundo that respects life and coexists with each other, was clearly different. Hongik human spirit, the core of the Korean Sundo, wa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Jinhyul at the national level. In ancient Korea, symbiotic politics of Hongik human was the basic principle of state management. It is now a well-known fact that symbiosis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a modern capitalist society to function as a sustainable system. Symbiosis for sustainable survival is not just an imaginary product. Symbiosis was a product of history i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The historical fact that symbiosis was practiced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Jinhyul of the Korean Sundo. In modern capitalist countries, Jinhyul is a national policy. Disaster policy and welfare policy systematically reflect the spirit of symbiosis. However, specific practice varies depending on the overall level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policymakers. If the symbiotic spirit of Hongik human is fully expressed in this era, the sustainability of our society will be even higher.

      • KCI등재후보

        인류의 철학, 역사, 문화의 원류인 『천부경(天符經)』에 함의된 홍익인간사상 연구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3 No.-

        『천부경』은 구천여년 전의 천서(天書)로 동북아 최초 한국(桓國)을 건국한 한인천제(桓仁天帝)에게 구전된 천리(天理)에 부합된 역사상 최초의 경전이다. 따라서『천부경』은 우주조화의 원리이며 우리철학, 역사, 교육, 문화의 뿌리이며, 한민족의 정신이며, 국학의 묘맥이 기도 하며, 세계철학의 종원(宗源)이기도 하다. 배달국을 개천한 한웅천황(桓雄天皇)은 심오한『천부경』을 백성들에게 쉽게 이해케 하기 위해 신지(神誌) 혁덕(赫德)에게 명해 문자를 창제하게 하였다. 이 결실이 바로 녹도문자다. 이로 인한 『녹도문천부경』의 출현으로 『천부경』을 쉽게 공부할 수 있게 하였다. 그뿐 아니라 『삼일신고(三一神誥)』를 찬술해서『천부경』속에 함의된 홍익인간사상도 알게 하였다. 홍익인간사상은 한인천제가 한웅천왕에게 계승시켰지만 우리 한(桓)민족의 얼이요, 정신이요, 이념이다. 다만 원천적으로는 『천부경』에 함의된 것이다. 한웅천왕은 홍익인간의 이념은 배달국의 정치와 교육의 이념으로 확정했다. 한웅천왕은 『천부경』을 이해시키기 위해 첫째로 문자를 창제케 하였으니 즉 『녹도문천부경』의 출현이요, 둘째로『천부경』의 이해와 전개를 위한『삼일신고』의 찬술이다. 본고에서는 홍익인간 사상은 『천부경』에서 여하히 홍익인간사상이 창출(創出)되었는지가 연구목적이며, 현대적 의의와 가치를 궁구하는 것이다. 홍익인간사상의 시대적 요청은 인간성이 극도로 파괴된 이때에 인본주의로 세상을 되돌리는 데 있다. 제2차적인 의도는 ‘우리의 민족정신과 우리의 국학과 국교를 심는 민족문화’를 바탕으로 함께 공부 하려는 제2의 의도가 있다. "Cheonbukyung" is the first book of the world's history, about 9,000 years old. Hwanin(桓仁) sultan founded Korea(桓國), the first nation in Northeast Asia. The book is a translation of the Korean by the universal principle. "Cheonbukyung" is the principle of cosmic harmony, the root of education culture, the spirit of nation, the fountain of national science, and the origin of world philosophy. After Hwanung(桓雄) sultan, who opened Baedalguk(倍達國), made Shinjihyukduk(神誌革德) to make "Nokdomun(鹿圖文)" to understand the "Cheonbukyung" to the people. This led to the creation of the "Nokdomun Chunbukyung" and taught the people the ideological foundation and global philosophy. In addition, Hwanung made "Samilsingo(三一神誥)" to understand "Cheonbukyung" and made him aware of the Hongik human thought embodied in "Cheonbukyung", so that the ideology of Ewha(理化) world and Hongik human became the politics and educational ideology of the delivering countr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how the Hongik human ideology was created in the "Cheonbukyung", and to cultivate attitudes of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