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se of Mental State Word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양은진(Eunjin Yang),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1

        배경 및 목적: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의 제한된 사회-정서적 능력은 언어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정신상태용어 사용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0명과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10명, 언어연령 일치 일반아동 10명, 총 30명이 참여하였다. 정신상태용어 확인을 위해 인터뷰 절차를 통해 언어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서 발화당 정신상태용어의 총 낱말 수(TNW)와 다른 낱말 수(NDW)를 측정하였고, 발화당 하위 범주 별 총 낱말 수(TNW)와 다른 낱말 수(NDW)를 측정하였다.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은 정신상태용어의 총 낱말 수(TNW)와 다른 낱말 수(NDW)에서 모두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언어연령 일치 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신상태용어의 하위 범주 별 총 낱말 수(TNW)와 다른 낱말 수(NDW)에서는 정서 범주에서만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집단과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이 학령기에 접어든 이후에도 정신상태 용어 사용이 제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어휘 평가 및 중재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limited social-emotional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s can affect language u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 of mental state word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S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 school-aged children with HF-AS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with the HF-ASD children (CA group),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language age with the HF-ASD children (LA group). Language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n individual interview procedure using ADOS-2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2) questions. The total number of words (TNW),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and TNW and NDW according to the type of mental state word per utterance were measured. Results: The HF-ASD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NW and NDW of mental state words compared to the CA group;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LA group in both. Regarding the TNW and NDW by subcategories of mental state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F-ASD group and the CA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limited use of mental state words is maintained even after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enter school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일반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존대법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비교

        이명희(Myung-hee Lee),송승하(Seungha Song),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언어적인 능력을 갖고 있으나, 청자나 상황에 맞게 자신의 말을 적절히 조절하는 화용론적 결함을 보인다. 한국어는 자신의 말을 맥락에 맞게 조율하는 표현의 하나로 존대법이 발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가 대화상대자에 따라 존대법의 사용능력이 어떤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5세에서 9세 사이의 고기능 자폐아동 12명과 일반아동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 과제는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은 존대 및 하대 상황의 대화로 제작하여, 존대법 사용에 필요한 어휘 및 형태소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부적절한 표현을 수정하는 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집단 간 수행 능력의 차이와 오류 유형 분석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대화 상대자에 따라 존대법 조율능력은 고기능 자폐아동 집단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어휘 및 형태소 조율에서도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다. 오류 유형에서는 두 집단 모두 수정오류에 비해 인식오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고기능 자폐아동에게서 그 빈도가 높았고, 오류 유형은 형태오류, 화용오류, 의미오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대화상대자에 따라 존대법을 사용하는 상황을 인식하고, 수정하는 능력에서 또래에 비해 유의한 어려움을 보였다. 일반아동과 달리, 고기능 자폐아동은 하대에서 보다 취약하였으며, 이는 또래와의 교류가 적은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능 자폐아동에게 존대법의 지도가 필요하며, 중재 시 존대법을 적용하는 상황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Objectives: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HF-ASD) have relatively intact form of language, however they have deficits in using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has a rich honorific system; which involves not only the grammatical domain, but also the pragmatic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regulation ability depending on honorific types (non-honorifics vs. honorifics, vocabulary vs. grammatical morphemes) between children with HF-A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Twelve 5- to 9-year-old children with HF-ASD and twelve T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if presented conversations which had honorifics were correct or not, and then to modify them if they are incorrect. The task consisted of 23 items which had conversations with honorifics and non-honorifics. Results: The HF-ASD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in recognition of honorifics compared to the TD group. TD children had higher scores in non-honorifics than in honorifics, but HF-ASD children showed the opposite result. The HF-ASD group had lower scores in vocabulary and grammatical morpheme regulation. Conclusion: Children with HF-ASD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regulation skills depending on honorific types. They seem to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honorifics and modifying the honorific errors in convers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to recognize the situations in which honorifics are needed before teaching honorific systems.

      • KCI등재

        비디오 프롬팅을 활용한 중재가 저기능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조립작업에 미치는 영향

        장서경,윤현숙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ccupation function through Video Prompting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SD. The participants were autistic disorder of social skills, communication and behavior problems with verbal and nonverbal self-stimulus behavior. Employing 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researcher evaluated on-task behavior and sustained attention. A Video Prompting through training procedure was conducted in a classroom that consist of video clips 11-steps tasks. During intervention, participants improved on-task behavior and reduced reaction time. So, Video Prompting was higher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at the follow-up sessions that was 2 weeks after intervention.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 4명을 대상으로 비디오 프롬팅을 활용한 중재가 조립작업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대상아동은 특수학교 조립작업부에 배치되어 직업교육을 받는 학생으로, 흔들기 등의 상동행동과 음성상동행동, 지연반향 등의 문제행동을 보였으나, 조립작업에 흥미와 작업지속력이 있었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였다. 주 4회 30회기에 걸쳐 일정간격을 두고 진행된 실험에서, 측정변수로는 콘센트 조립하기 과제의 수행비율과 10개의 과제 완수에 대한 반응시간이었다. 수행률 측면에서 대상자 4명은 기초선에 비해 높은 수행률을 보였고, 종료이후 2주 후에도 높은 유지비율을 나타냈다. 10개의 과제 완수에 따른 반응시간에 대해서는 대상자 1, 2, 4 아동의 경우 높은 수준의 시간단축을 보였고 종료 이후 2주 후에도 높은 유지비율을 보였다. 따라서 비디오 프롬팅을 활용한 중재는 자폐장애 고등학생의 직업기술 과제 수행력 향상과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과제 완수율에 따른 시간 단축을 위하여 사전 훈련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고기능 자폐 아동의 질문유형 및 자극유형에 따른 아이러니 이해 능력과 마음이론과의 관계

        최수영,송승하,김영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 아동과 일반 아동의 질문유형 및 자극유형에 따른 아이러니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 마음이론과 아이러니 이해 능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만 7-9세 사이의 고기능 자폐 아동 12명과 연령 및 수용어휘력, 구문이해력 등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2명이었다. 아이러니 과제는 총 28문항으로, 개방형 14문항과 선택형 14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두 가지 질문유형에는 각각 내레이션 자극 7문항과 만화 자극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음이론 과제는 총 5개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결과: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은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아이러니 이해 능력을 보였으며, 특히 선택형에 비해 개방형에서 더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두 그룹 모두 자극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음이론과 아이러니 능력 간의 상관관계는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 아동은 아이러니를 이해하는 능력이 일반 아동에 비해 부족함을 나타내었고, 특히 구어 능력을 요구하는 개방형에서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기능 자폐 아동의 타인에 대한 감정과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 즉 마음이론 능력이 아이러니 이해 능력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능력

        최지은(Jieun Choi),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1

        배경 및 목적: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갖고 있어 많은 사회적 상황에서 대화에 어려움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대화능력을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운용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화자료는 10분 동안 대화차례 주고받기 측면에서 대화차례 총 빈도, 대화차례 개시비율, 유지비율, 중첩비율, 중단비율을 측정하였고, 주제운용능력 측면에서는 주제 개시비율, 유지비율, 변경비율 그리고 적절과 부적절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화차례 주고받기 유형에서는 대화차례 주고받기 개시 비율에서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집단이 다른 두 일반아동 집단과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대화차례 총 빈도, 유지비율, 중첩비율, 중단비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제운용능력에서 전체 주제유지비율은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집단이 언어연령 일치집단과 차이를 보였고, 주제개시의 적절, 전체주제 변경, 주제유지의 적절, 주제변경의 적절과 부적절 비율에서는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집단이 다른 두 일반아동 집단과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대화 시 주제를 다루는 주제운용능력에서 가장 큰 취약성을 보였고, 이어서 대화차례 주고받기에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이 대화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후 대화평가와 대화기술 중재에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Objective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ve difficulty with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turn-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skill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HF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36 children: 12 children aged 7-12 years old with HFA, 12 normal children matched for the chronological age, and 12 normal children matched for the language age with the HFA group. Conversational samples were collected individually by the examiner. The performances of turn-taking (total frequency,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overlap, and breakdown) and topic manipulation (total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and appropriate/inappropriate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were measured.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three groups.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in turn-taking,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rates of initiation 2) in topic manip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ropriate rates of initiation, total rates of maintenance, appropriate rates of maintenance, total rates of change, and appropriate/inappropriate rates of change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hool-aged children with HFA have difficulty with turn-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in a conversation. These results help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with children with HFA,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HFA.

      • KCI등재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igh and Low Functioning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송승하(Seung Ha Song),김훼린(Huai Rhin Kim),천근아(Keun Ah Chun),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4

        배경 및 목적: 비장애 아동의 경우 표현 가능한 어휘보다 수용 어휘가 높은 것에 비해, 자폐성 아동의 경우 공식검사 결과에서 수용어휘 결과가 낮게 보고 되고 있다. 새로운 낱말을 실제 사물과 연결시킬 때, 자폐성 장애 아동은 다른 비장애 아동과 같이 상호배타성의 원리를 활용할 수 있지만 사회성 결함으로 인하여, 낱말 연결에서 상대방이 제공하는 강화를 적절하게 수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과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장애 아동, 그리고 지적장애 아동의 세 그룹 간 표현 및 수용어휘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그룹에서 보이는 표현 및 수용언어 능력의 차이가 그룹 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연구에는 10명의 고기능 자폐성 아동과 11명의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아동, 그리고 12명의 지적장애 아동이 참여하였고, 이들의 수용 및 표현어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용 및 표현어휘 점수는 세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각 그룹 내에서 표현 및 수용어휘의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자폐성 아동에게 보이는 표현어휘 우세 양상이 고기능 자폐성 아동 집단과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아동 집단에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세 집단의 어휘 능력 간 보이는 경향성은 지적장애 그룹의 상호배타성 원리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늘리고 어휘능력 평가 도구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shows atypicality in various domains in language. One of atypical characteristics in their language can be found in vocabulary. Usually children show greater receptive than expressive vocabularies, but for ASD children the opposite results are reported. Even though children with autism show mutual exclusivity when mapping new words to the correct objects, their social deficits prohibit them from being reinforced by others' feedback. Thus they can have more difficulty in receiving initiation and directions from others, and as a result, can demonstrate atypical vocabulary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among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SD, low functioning ASD,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nd the discrepancies in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mong the three groups. Methods: Ten high functioning ASD, 11 low functioning ASD, and 12 ID children were tested wi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test (REV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mong three groups even though trends of higher expressive vocabularies over receptive can be found in the high and low functioning ASD group. Conclusion: The trends of higher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two ASD groups compare to ID group tells high possibilities that children with ID can be reinforced by the feedback that the interaction partner gives. For the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mple size and add assessment tools which can prove vocabulary abilities.

      • KCI등재

        한국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직접 화행 능력의 장애

        이영인 ( Youngin Lee ),정석진 ( Suk Jin Jung ),이경숙 ( Kyung-sook Lee ),이수미 ( Sumi Lee ),장하아얀 ( Ha-a-yan Jang ),조숙환 ( Sook Whan Cho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1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4 No.2

        사전 연구에 따르면, 자폐성스펙트럼장애(ASD) 유아들은 화행적 의사소통 능력이 전반적으로 손상되어 있다고 한다. ASD 유아들은 질문에 반응하기, 사물이나 행동을 요청하기 및 항의하기 등의 화행적 언어 행위는 표현하는 반면, 평하기, 청자 인정하기, 정보 요청하기 등의 능력은 전혀 발휘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Cho, 2003). 본 논문은 ASD 유아들과 일반 유아들이 구조화된 환경에서 직접 화행의 의도를 어느 정도로 적절히 표현하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32개월과 37개월연령의 유아들을 각각 두 집단으로 나누어 화행 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SD 유아들은 일반유아들과 달리, 맥락이 주어진 조건에서도 특히, 어떤 행동의 수행을 표현하기 및 적절히 질문하기 등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ASD 유아의 직접 화행 능력의 문제는 전반적인 양상이 아니라, 특정한 화행 능력에 선별적으로 국한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It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at children with autistism spectrum disorder (ASD) are largely impaired in their communicative use of language. Certain skills such as commenting, acknowledging the listener, and requesting information were completely absent while other speech acts including responding to questions and requesting objects or actions and protesting were present (Cho, 2003; Hong et al., 2010). This paper seek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direct pragmatic intent is properly delivered in the utterances produced in a structured setting by Korean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tic spectrum disorder(ASD). For this purpose, direct pragmatic abilities of the two groups of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2 and 37 months have been compared. It was found that, unlik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hildren with ASD had more difficulties stating an intent to carry out an act and responding to and asking questions appropriately in a given context, in particular, than other types of direct pragmatic speech acts. Results suggest that it is likely that direct speech acts in children with ASD are impaired selectively, but not across-the-bo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